KR0153232B1 -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232B1
KR0153232B1 KR1019940038761A KR19940038761A KR0153232B1 KR 0153232 B1 KR0153232 B1 KR 0153232B1 KR 1019940038761 A KR1019940038761 A KR 1019940038761A KR 19940038761 A KR19940038761 A KR 19940038761A KR 0153232 B1 KR0153232 B1 KR 0153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itch
motor
pitch conveyo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197A (ko
Inventor
홍성호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40038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232B1/ko
Publication of KR96002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26Applications of clutche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치컨베이어(7)를 구동하는 구동축(10)과 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의 모터(4)를 직력식으로 연결시켜 동결의 손실없이 정확 위치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하나의 구동장치(1)로도 다수개의 피치컨베이어(7)의 위치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브레이크해제판을 정면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제3도는 종래의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장치 2 : 베이스플레이트
3 : LM가이드 4 : 모터
5 : 롤러 6 : 브레이크해제판
7 : 피치컨베이어 8 : 프레임
9 : 컨베이어체인 10 : 구동축
11 : 스프링 12 : 브레이크판
13 : 커플링 13a : 돌출부
14 : 정위치센서 15 : 복귀센서
16 : 드롭리프터
본 발명은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축과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직접식으로 체결되게 하여 피치컨베이어의 위치제어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라인에서 기가공된 다수의 부품을 컨베이어상에 적재한 다음 이 컨베이어를 적절히 회전시켜 적재된 부품을 소정위치에까지 이동시켜 이를 운반수단으로 옮기도록 되어 있는 피치컨베이어(2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의 구동축(22)을 회전시키는 스프라켓(23)과 이를 구동시키는 모터(24)의 스프라켓(25)이 구동체인(26)을 매개로 연결되고, 컨베이어체인(27)의 상부와 구동축(22)에 정위치센서(28)가 장착되어져 상기한 정위치센서(2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가 모터(24)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컨베이어체인(27)이 원하는 피치만큼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컨베이어체인(27)의 상부면에 안착된 가공물이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송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이를 파지하고서 다른 공정으로 옮기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동축(22)과 모터(24)의 동력전달이 구동체인(26)을 매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 모터(240의 회전에 의한 컨베이어체인(27)의 정확한 위치제어를 할 수 없으며, 동력전달이 구동체인(26)을 매개로 한 간접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달효율이 100%로 되지 못하고, 다단식 피치컨베이어의 경우 각각의 단별로 컨베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한 개씩의 모터가 설치되어져야 함에 따라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을 해결하개 위해 발명된 것으로,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축과 모터를 직렬식의 선택적으로 체결되게 함으로써 동력단속의 정확성을 기하여 피치컨베이어의 위치제어를 정확하게 하고, 다단식의 경우 한 개의 모터가 승/하강되게 하여 각 단의 피치컨베이어를 위치제어하게 함으로써 설비비용의 저감과 피치컨베이어의 위치제어의 정확성을 기할수 있도록 하는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LM가 이드를 매개로 전/후진가능하게 모터가 안착되며, 이 모터의 회전축에 상하로 이분되어 돌출된 롤러가 고정되고, 이 롤러의 외측에 중앙이 개구된 브레이크해제판이 상기 LM가이드의 측부에 접합되는 한편, 피치컨베이어의 컨베이어체인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구동축의 일측선단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발되게 브레이크판이 끼워지고, 상기 구동축의 선단에 고정되면서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커플링이 브레이크판에 탄발지지되게 장착되어져, 상기 모터에 장착된 롤러가 LM가이드를 매개로 전진되어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축에 취부된 커플링에 결합되어 이를 동작시키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브레이크해제판을 정면으로 나타낸 상세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장치(1)는 바닥면으로부터 직립되게 설치된 드롭리프터(Drop Lifter)(16)의 일면을 타고 승/하강되게 베이스플레이트(2)가 장착되고, 이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면에 LM가이드(Liner Motion Guide)(3)를 매개로 전/후진가능하게 모터(4)가 안착되며, 이 모터(4)의 회전축에 단면이 원형이면서 상/하로 이분되어 돌출된 롤러(5)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이 롤러(5)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중앙이 개구된 브레이크해제판(6)이 상기 LM가이드(3)의 측부에 접합되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장치(1)에 의해 구동되는 피치컨베이어(7)는 프레임(8)을 가로질로 컨베이어체인(9)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장착되는 구동축(10)의 일측 선단에 스프링(11)을 매개로 탄발되게 끼워진 브레이크판(12)과, 이 브레이크판(12)에 면마찰되면서 상기 구동축(10)의 선단에 고정되는 커플링(13)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피치컨베이어(7)의 프레임(8)의 측부에 정위치센서(14)가 위치되고, 구동장치(1)의 롤러(5)의 측부에 복귀센서(15)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1)의 LM가이드(3)를 매개로 에어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모터(4)가 전진하여 회전하면 모터(4)의 회전축 선단에 체결된 롤러(5)가 피치컨베이어(7)의 구동축(10) 선단에 고정된 커플링(13)을 사이에 두고 이를 회전시켜 피치컨베이어(7)를 동자시키게 되는데, 상기 모터(4)의 전진동작시 모터(4)의 일측에 접합된 브레이크해제판(6)은 구동축(10)을 정지시키도록 커플링(13)과 면마찰된 브레이크판(12)을 밀어 브레이크작용을 해제시켜 모터(4)의 롤러(5)와 커플링(13)이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이후 상기 모터(4)가 피치컨베이어(7)를 원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나서 다시 LM가이드(3)를 타고 후진할 경우, 모터(4)의 브레이크해제판(6)이 밀고 있던 브레이크판(12)이 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제위치로 복귀하여 커플링(13)과 마찰되어 구동축(10)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한편, 상기 피치컨베이어(7)의 측부에 정위치센서(14)와 구동장치(1)의 롤러(5)의 측부에 구비된 복귀센서(15)는 각각 피치컨베이어(7)의 위치와 구동장치(1)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상적으로 동작되는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피치컨베이어(7)가 총상으로 된 다단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구동장치(1)는 드롭리프터(16)의 안내면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되어 하나의 구동장치(1)만으로도 다단으로 된 피치컨베이어(7)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에 의하면, 피치컨베이어(7)를 구동하는 구동축(10)과 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의 모터(4)가 직결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동력의 손실없이 정확한 위치제어를 시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동장치(1)로도 다수개의 피치컨베이어(7)의 위치제어를 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면에 LM가이드(3)를 매개로 전/후진가능하게 모터(4)가 안착되며, 상기 모터(4)의 회전축에 상하로 이분되어 돌출된 롤러(5)가 고정되고, 상기 롤러(5)의 외측에 중앙이 개구된 브레이크해제판(6)이 상기 LM가이드(3)의 측부에 접합되는 한편, 피치컨베이어(7)의 컨베이어체인(9)을 회전가능하게 하는 구동축의 일측선단에 스프링을 매개로 탄발되게 브레이크판(12)이 끼워지고, 상기 구동축(10)의 선단에 고정되면서 일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커플링(13)이 브레이크판(12)에 탄발지지되게 장착되어져, 상기 모터(4)에 장착된 롤러(5)가 LM가이드(3)를 매개로 전진되어 피치컨베이어(7)의 구동축에 취부된 커플링(13)에 결합되어 이를 동작시키도록 하며, 상기 피치컨베이어(7)의 프레임(8)의 일측부에 정위치센서(14)가 위치되고, 구동장치(1)의 롤러(5)의 측부에 복귀센서(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KR1019940038761A 1994-12-29 1994-12-29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KR015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61A KR0153232B1 (ko) 1994-12-29 1994-12-29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761A KR0153232B1 (ko) 1994-12-29 1994-12-29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97A KR960022197A (ko) 1996-07-18
KR0153232B1 true KR0153232B1 (ko) 1999-02-18

Family

ID=1940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761A KR0153232B1 (ko) 1994-12-29 1994-12-29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2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114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비중이 높은 자동차 소재부품의 정밀 간격 이동을 위한 피치 컨베이어 회전구동장치
KR20220120289A (ko) * 2021-02-23 2022-08-30 한국중부발전(주)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KR102471647B1 (ko) * 2022-01-03 2022-11-28 한국중부발전(주) 벨트컨베이어 회전방지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114A (ko)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비중이 높은 자동차 소재부품의 정밀 간격 이동을 위한 피치 컨베이어 회전구동장치
KR20220120289A (ko) * 2021-02-23 2022-08-30 한국중부발전(주) 공기부상 컨베이어벨트 점검용 구동장치
KR102471647B1 (ko) * 2022-01-03 2022-11-28 한국중부발전(주) 벨트컨베이어 회전방지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197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8485B (zh) 乘客输送机扶手驱动控制策略
JPS6397512A (ja) ロ−ラコンベヤ
WO2021085090A1 (ja) トラバーサ、ベースユニット及び移動ユニット
KR0153232B1 (ko) 피치컨베이어의 구동장치
CA1241040A (en) Lifting head of swivel arm of assembly robot
JP3600861B2 (ja) 搬送装置及びローラコンベア装置
EP0249430B1 (en) Conveyor systems
KR950014682B1 (ko) 리드 프레임 반송장치
GB2263265A (en) Magazine rack positional adjustment system
CN218057270U (zh) 一种机械零部件加工用联动夹取装置
CN114148697A (zh) 一种双向双伸输送机构、机器人
CN210062795U (zh) 装夹机构以及搬运装置
EP0313369A3 (en) A polishing machine for polishing a gemstone
CN110626730A (zh) 自动传输装置
KR960006676Y1 (ko) 분할회전 이동테이블의 구동장치
CN215363239U (zh) 旋转移载机构
JPS643867A (en) Automatic aligner of chart disc
KR920002866B1 (ko) 모노레일형 반송장치
CN211495745U (zh) 液压自动纠偏装置
CN219131825U (zh) 双面可调砂带研磨设备
CN221116354U (zh) 一种过渡辊联动保险装置
CN220722384U (zh) 一种抬起自脱离回流产线
CN218966960U (zh) 闸机运输装置
CN220906453U (zh) 一种夹具传送装置
CN210943477U (zh) 自动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