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357B1 - 카세트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357B1
KR100244357B1 KR1019920001590A KR920001590A KR100244357B1 KR 100244357 B1 KR100244357 B1 KR 100244357B1 KR 1019920001590 A KR1019920001590 A KR 1019920001590A KR 920001590 A KR920001590 A KR 920001590A KR 100244357 B1 KR100244357 B1 KR 100244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link
holder
insertion detection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사야다까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riority to PCT/US1993/000885 priority Critical patent/WO1993014668A1/en
Priority to US08/256,990 priority patent/US5487877A/en
Priority to AU36564/93A priority patent/AU3656493A/en
Priority to CA002129026A priority patent/CA2129026A1/en
Priority to EP93905773A priority patent/EP0632700A1/en
Priority to JP5513478A priority patent/JPH07503388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3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1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of container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카세트 장착 장치는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로의 배선을 위한 하네스를 필요없게 한 것이다.
4개의 연결핀중의 1개가 고정부에 부착된 평행 4 연링크 기구에 의해, 고정부에 부착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ON-OFF 조작 하도록 구성하고, 카세트 홀더에 삽입되는 카세트에 의해, 카세트 홀더에 부착된 구동 레버를 회전 조작하도록 구성하고, 그 구동 레버로 평행 4 연 링크 기구를 평행 이동 조작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세트 장착 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장착 장치의 한 실시예의 동작 원리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장착 장치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카세트 삽입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삽입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카세트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제5도는 종래 카세트 장착 장치의 카세트 삽입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제6도는 종래 카세트 장착 장치의 카세트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카세트 홀더
3 :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 11 : 제1링크
12 : 제2링크 13 : 제3링크
14 : 제4링크 15 : 제1연결핀
16 : 제2연결핀 17 : 제3연결핀
18 : 제4연결핀 19 : 평행 4 연 링크 기구
20 : 제1장공 21 : 제2장공
22 : 스위치 조작부 23 : 제1유동 가능 핀
24 : 제2유동 가능 핀 25 : 구동 레버
26 : 카세트 검출 부재 29 : 왕복 운동용 스프링
P1 : 카세트 미삽입 검출 위치 P2 : 카세트 삽입 검출 위치
P3 : 스위치 비조작 위치 P4 : 스위치 조작 위치
본 발명은, 예를들어 VTR 의 적용에 가장 적합한 카세트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카세트 홀더에 삽입되는 카세트에 의해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ON-OFF 조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론트 로딩 방식의 VTR 에는 카세트가 삽입되는 카세트 삽입 위치와, 상기 카세트의 기록, 재생 위한 카세트 장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이동하는 카세트 홀더와, 상기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가 삽입된것을 검출하여 카세트 홀더를 카세트 삽입 위치에서 카세트 장착 위치로 이동개시하는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세트 장착 장치가 있다(예를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60-111360 호 공보 참조).
이같은 종류의 카세트 장착 장치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1)가 삽입되는 카세트 홀더(2)의 측면판(2a)과 저면판(2b)에 포토카프라등의 카세트 삽입검출 스위치(3)와, 그 카세트 검출 스위치(3)를 ON-OFF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 부재(4)를 카세트 홀더(2)에 부착,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와 섀시등의 고정부에 부착된 카세트 삽입 검출 회로(도시 않음)와의 사이를 신축, 굴곡이 가능한 하네스(5)에 의해 설치하고 있었다.
그래서, 제5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삽입 위치로 왕복운동하는 카세트 홀더(2)에 카세트(1)가 화살표 a 방향에서 삽입되면, 그 카세트(1)에 의해 스위치 조작 부재(4)가 왕복운동용 스프링(6)에 대항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되어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가 ON 으로 된다.
그러면, 카세트 홀더 구동 장치의 모터(어느 것이나 도시 않음)가 작동되어서, 카세트 홀더(2)의 측면판(2a)에 부착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7)와 섀시(도시 않음)위에 수직으로 부착시킨 가이드판(8)에 설치된 복수의 L자형상의 가이드홈(9)에 의해 카세트 홀더(2)가 안내 되어서, 이 카세트 홀더(2)가 제5도의 카세트 삽입 위치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수평으로 움폭해진후, 제6도에 도시하는 카세트(1)의 기록, 재생을 위한 카세트 장착 위치까지 화살표 c 방향으로 수직 하강되도록 구동 된다. 그래서, 카세트 홀더(2)에 의해 카세트(1)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움폭해진 후, 화살표 C 방향으로 수직 하강되어서 카세트 장착 위치에 자동적으로 장착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5도에 1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홀더(2)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 개시된 후, 카세트(1)를 부주의로 손으로 누르는 등하여, 카세트 홀더(2)가 카세트(1)을 카세트 삽입 위치에 남겨두는 일이 있으면, 스위치 조작부재(4)가 스프링(6)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가 OFF로 된다. 그러면, 상기한 모터가 역전 구동되어서, 카세트 홀더(2)가 카세트 삽입 위치까지 화살표 b' 방향으로 즉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세트 장착 장치는, 카세트 홀더가 카세트 삽입 위치와 카세트 장착 위치와의 사이에서 반복하여 왕복운동 될때 마다, 하네스(5)에 신축, 굴곡에 의한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하네스(5)의 수명이 짧아지고,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로의 배선을 위한 하네스를 없앨수 있도록한 카세트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세트 장착 장치는 제1, 제2, 제3, 제4링크가 제1, 제2, 제3, 제4연결핀에 의해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핀이 고정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연결핀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 및 그것과 평행한 상기 제2링크의 장수방향에 따라 형성된 제1, 제2장공을 갖는 평행 4 연 링크 기구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와, 상기 제1연결핀에 연결된 상기 제3링크에 설치되어서 이 제3링크의 제1연결핀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의해 상기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ON-OFF조작하는 스위치조작부와, 제1, 제2유동가능핀에 의해 상기 제3링크와 평행하게 제1, 제2장공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유동 가능핀에 의해 카세트 홀더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고 상기 카세트 홀더에 삽입되는 카세트에 의해 카세트 미삽입 검출 위치에서 카세트 삽입 검출 위치로 회전되는 구동 레버를 구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세트 장착 장치는, 평행 4 연 링크 기구의 고정 지점인 제1연결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3링크의 스위치 조작부에 의해, 고정부에 부착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ON-OFF 조작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3링크와 평행한 구동레버를 카세트 삽입 위치와 카세트 장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카세트 홀더에 부착시키고 이 카세트 홀더에 삽입되는 카세트에 의해 구동레버를 회전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이 구동 레버에 의해 평행 4 연 링크 기구의 제3링크를 구동 함과 함께, 카세트 홀더가 카세트 삽입 위치와 카세트 장착 위치와의 사이로 이동되는 사이에, 구동 레버를 제3링크와 평행하게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카세트 홀더로의 카세트의 삽입을 고정부에 부착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에 의해 검출 할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프론트로딩 방식의 VTR 에 적용되는 카세트 장착 장치의 한 실시예를 제1a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5도 및 제6도와 동일 구조부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크 길이와 긴 제1, 제2링크(11,12) 및 링크 길이가 짧은 제3, 제4링크(13, 14)가 제1, 제2, 제3, 제4연결핀(15,16, 17, 18)에 의해 평행 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평행 4 연 링크 기구(19)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1연결핀(15)이 고정부인 가이드판(8)에 부착되어서, 이 제1연결핀(15)이 고정된 지점에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그 제1연결핀(15)에 연결된 제1링크(11) 및 그것과 평행한 제2링크(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제1, 제2장공(20, 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고정부인 가이드판(8)의 제1연결핀(15)의 근처 위치에는 포토카프라등의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가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제1연결핀(15)에 연결된 제3링크(13)에 셔터판 형상의 스위치 조작부(22)가 일체로 설치되어 그 제3링크(13)가 제1연결핀(15)을 중심으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 하므로서, 스위치 조작부(22)가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의 발광소자(3a)와 수광 소자(3b)와의 사이의 틈사이(3c)에 출입을 하여, 이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를 ON-OFF조작하도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유동 가능핀(23, 24)에 의해 제3링크(13)와 평행하게 제1, 제2장공(20, 21)에 느슨하게 끼워진 구동 레버(25)가, 제1유동 가능핀(23)에 의해 카세트홀더(2)의 측면판(2a)에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카세트 홀더(2)의 저면판(2b)에 화살표 a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카세트 삽입 검출 부재(26)와 구동 레버(25)의 상단이 연결핀(27)과 장공(2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카세트 삽입 검출 부재가 왕복운동용 스프링(29)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왕복 이동부가 되므로서 구동 레버(25)가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부가 되어있다. 또한, 이 구동레버(25)의 제1, 제2유동가능핀(23, 24)간의 링크 길이(1)는 제3링크(13)의 제1, 제2연결핀(15, 16)간의 링크 길이(1)과 같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카세트 장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a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홀더(2)가 카세트 삽입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카세트 삽입 검출 부재(26)가 스프링(29)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 결과로써, 연결핀(27)에 의해 구동레버(25)가 제1유동 가능핀(23)을 중심으로 카세트 미삽입 검출 위치 P1 까지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그래서, 구동레버(25)의 제2유동 가능핀(24)에 의해, 평행 4 연 링크 기구(19)의 제2링크(12)가 화살표 e'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제3링크(13)가 제1연결핀(15)을 중심으로 구동레버(25)와 평행한 스위치 비조작위치 P2까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다음으로, 카세트 장착시에 있어서, 먼저,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삽입 위치에 이동되어 있는 카세트 홀더(2)에 카세트(1)가 화살표 a 방향에서 삽입되면, 그 카세트(1)에 의해 카세트 삽입 검출 부재(26)가 스프링(29)에 대항해서 S 행전 만금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제1a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핀(27)에 의해 구동레버(25)가 제1유동 가능 핀(23)을 중심으로 카세트 삽입 검출 위치 P2까지 회전각 θ만큼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구동레버(25)의 제2유동 가능 핀(24)에 의해, 평행 4 연 링크 기구(19)의 제2링크(12)가 화살표 e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제3링크(13)가 제1연결핀(15)을 중심으로 구동레버(25)와 평행한 스위치 조작 위치 P4까지 같은 회전각 θ만금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스위치 조작부(22)가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의 틈사이(3c)내에 삽입되어서, 발광소자(3a)와 수광소자(3b)와의 사이의 광을 차단하여, 이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가 ON 으로 된다.
그러면, 카세트 홀더 구동장치의 모터(모두 도시않음)가 작동되어서, 카세트 홀더(2)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7)와 가이드홈(9)에 의해 안내되어 이 카세트 홀더(2)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도의 카세트 삽입 위치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수평으로 움푹해진 후, 제4도의 카세트 장착 위치까지 화살표 C 방향으로 수직 하강 되도록 평행 이동되어서, 카세트(1)가 카세트 장착 위치에 자동적으로 장착된다.
그런데 이때, 제1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레버(25)의 제1, 제2유동 가능 핀(23, 24)이 평행 4 연 링크 기구(19)의 제1, 제2링크(11, 12)의 제1, 제2장공(20, 21)내를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구동 레버(25)가 상기 회전각 θ를 보존한채로 카세트 홀더(2)와 일체로되어 화살표 b 방향으로 수평 인입된 후, 화살표 C 방향으로 수직 하강되도록 평행이동된다.
따라서, 이 사이에 있어서, 구동 레버(25)는 시종 평행 4 연 링크 기구(19)의 제3링크(13)와 평행한 자세를 보존하여 화살표 b, c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키게 되기 때문에, 제1, 제2링크(11, 12)가 제1, 제2연결핀(15, 16)을 중심으로 화살표 d 방향으로 평행이동 되는 것에, 제3링크(13)의 상기 회전각 θ가 그대로 보존되어서, 제3의 링크(13)가 스위치 조작 위치 P4에 그대로 보존된다. 따라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는 시종 ON 상태를 보존할 수가 있다.
또한, 카세트 홀더(2)를 카세트 장착 위치에서 카세트 삽입 위치로 화살표 c',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카세트(1)를 카세트 삽입 위치로 배출 할때에는, 상기 동작의 역동작으로 되어,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는 역시 시종 ON 상태를 보존할 수가 있다.
그래서, 제3도에 1 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같이, 카세트 삽입 위치에 이동된 카세트 홀더(2)에서 카세트(1)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뽑아내면, 카세트 삽입 검출 부재(26)가 스프링(29)에 의해 S 행정 만큼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구동레버(25)가 카세트 미삽입 검출 위치 P1 까지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평행 4연 링크 기구(19)의 제3링크(13)가 스위치 비조작 위치 P3까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의 발광소자(3a)의 빛이 수광소자(3b)에 또다시 수광되어서, 이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가 OFF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카세트 장착시에 있어서, 제3도에 1 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홀더(2)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개시된 후, 카세트(1)를 부주의로 손으로 눌려서, 카세트 홀더(2)가 카세트(1)를 카세트 삽입 위치에 남겨두는 일이 있으면, 카세트 검출 부재(26)는 스프링(29)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결과,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가 OFF로 되어, 카세트 홀더(2)는 카세트 삽입 위치까지 화살표 b' 방향으로 즉시 이동된다.
이상과같이 본 카세트 장착 장치에 의하면, 카세트 홀더(2)로의 카세트(1)의 삽입을 고정부인 가이드판(8)에 부착시킨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에 의해 검출할 수가 있다. 그래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를 고정부에 부착시킬 수가 있으므로, 이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3)로의 배선에 신축, 굴곡이 가능한 하네스를 사용할 필요가 전혀없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거해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자면 본 발명은, VTR 의 카세트 장착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카세트식 기록 재생 장치의 카세트 장착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카세트 장착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카세트 삽입 위치와 카세트 장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카세트 홀더로의 카세트의 삽입을 검출하는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고정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로의 배선을 위한 신축, 굴곡이 가능한 하네스를 없앨 수가 있다. 따라서, 하네스의 신축, 굴곡에 의한 수명 단축 문제가 전혀 없고, 카세트 장착 장치의 내구성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 할수가 있다.

Claims (1)

  1. 카세트가 삽입되는 카세트 삽입 위치와, 상기 카세트의 기록, 재생을 위한 카세트 장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를 이동하는 카세트 홀더와, 상기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여 상기 카세트 홀더를 카세트 삽입 위치에서 카세트 장착 위치로 이동을 개시하는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구비한 카세트 장착 장치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제4링크가 제1, 제2, 제3, 제4연결핀에 의해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서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핀이 고정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연결핀에 연결된 상기 제1링크 및 그것과 평행한 상기 제2링크의 장수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제1, 제2장공을 갖는 평행 4 연 링크 기구와,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상기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와, 상기 제1연결핀에 연결된 제3링크에 설치되어, 이 제3링크의 제1연결핀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의해 상기 카세트 삽입 검출 스위치를 ON-OFF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부와, 제1, 제2유동가능핀에 의해 상기 제3링크와 평행하게 상기 제1, 제2장공에 느슨하게 끼워져, 상기 제1유동 가능핀에 의해 상기 카세트 홀더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고, 상기 카세트 홀더에 삽입되는 상기 카세트에 의해 카세트 미삽입 검출위치에서 카세트 삽입 검출 위치로 회전되는 구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장착 장치.
KR1019920001590A 1991-02-06 1992-02-01 카세트 장착 장치 KR100244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3/000885 WO1993014668A1 (en) 1992-02-01 1993-02-01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US08/256,990 US5487877A (en) 1992-02-01 1993-02-01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AU36564/93A AU3656493A (en) 1992-02-01 1993-02-01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CA002129026A CA2129026A1 (en) 1992-02-01 1993-02-01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EP93905773A EP0632700A1 (en) 1992-02-01 1993-02-01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JP5513478A JPH07503388A (ja) 1992-02-01 1993-02-01 洗面所組織体及び消毒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5086A JP2906693B2 (ja) 1991-02-06 1991-02-06 カセット装着装置
JP91-035086 1991-0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4357B1 true KR100244357B1 (ko) 2000-02-01

Family

ID=1243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590A KR100244357B1 (ko) 1991-02-06 1992-02-01 카세트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23995A (ko)
JP (1) JP2906693B2 (ko)
KR (1) KR100244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513B2 (ja) * 1992-04-22 1996-11-06 橋本コーポレイション株式会社 Vtrとテレビとの結合装置
JP3326667B2 (ja) * 1995-04-21 2002-09-2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接続装置
JPH10247349A (ja) * 1997-03-03 1998-09-14 Sony Corp テープ再生及び/又は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9324B (de) * 1965-11-03 1969-02-13 Staar Sa Tonbandgeraet zur Verwendung geradlinig parallel zu ihrer Hauptebene in das Geraet einschiebbarer Kassetten
US3669457A (en) * 1969-03-03 1972-06-13 Sankyo Kogaku Kogyo Kk Cassette-loading means for cassette tape recorder
BE758743A (fr) * 1969-11-10 1971-04-16 Ampex Mecanisme d'abaissement et de liberation d'une cassette
NL7101256A (ko) * 1971-01-30 1972-08-01
JPS5410706A (en) * 1977-06-27 1979-01-26 Sony Corp Cassette charging device
JPS57205850A (en) * 1981-06-10 1982-12-17 Fuji Photo Film Co Ltd Cassette-in loading device
JPH0646468B2 (ja) * 1983-11-21 1994-06-15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KR870006567A (ko) * 1985-12-09 1987-07-13 허신구 카세트 홀더의 커버 연결장치
US4979061A (en) * 1986-10-17 1990-12-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cassette insertion force
US4868693A (en) * 1987-02-09 1989-09-19 Yamaha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060094A (en) * 1987-11-20 1991-10-22 Goldstar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IT1220307B (it) * 1988-03-09 1990-06-15 C M A Srl Macchina automatica ad ingombro contenuto per lo scarico ed il ricarico di pellicole da ed in cassette radiografiche
NL8800751A (nl) * 1988-03-25 1989-10-16 Philips Nv Laadmechanisme alsmede een opname en/of weergave apparaat voorzien van een dergelijk laadmechanis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39351A (ja) 1992-11-26
US5223995A (en) 1993-06-29
JP2906693B2 (ja) 1999-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6992A (ko) 카세트 로딩장치
US5493459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having a resilient arm adapted to deform upon the insertion of a large size cassette therein
KR100244357B1 (ko) 카세트 장착 장치
US5105320A (en) Operation mode switching and loading-eject mechanism for a tape player
US5371641A (en) Cassette loading device with a unitary linkage lever
US5475546A (en) Tape loading device
KR0148479B1 (ko) 테이프 주행 장치의 모드 변환 기구
KR940005106B1 (ko) 카세트 로딩 장치
KR0166349B1 (ko) 편심 캠 기구
US4519269A (en) Transmission system in a cam mechanism
KR940007628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로딩장치
KR970059805A (ko) 이동렌즈 위치검출장치
KR920005712Y1 (ko) 브이티알의 리뷰아암 작동 장치
KR880010649A (ko) 전기 또는 전자부품 조작장치
KR013987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리뷰아암 구동장치
US5621584A (en) Tape loading device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US5021900A (en) Tape guide driving device for rotating head type tape player
KR960002124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빨리 감기 모드 변환장치
KR900001492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정지장치
JP2531017B2 (ja) カセットロ―ディング装置
KR910006349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이젝트 장치
KR920000447Y1 (ko) Vtr의 테이프 카세트 로딩장치
KR910001765Y1 (ko) 테이프 손상 방지장치
US5594604A (en) Tape loading device incorporating therein an intermediate gear for actuating loading gears
KR930000739Y1 (ko) 브이씨알의 헤드 크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