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349B1 - 편심 캠 기구 - Google Patents

편심 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349B1
KR0166349B1 KR1019890016761A KR890016761A KR0166349B1 KR 0166349 B1 KR0166349 B1 KR 0166349B1 KR 1019890016761 A KR1019890016761 A KR 1019890016761A KR 890016761 A KR890016761 A KR 890016761A KR 0166349 B1 KR0166349 B1 KR 0166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lever
mod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481A (ko
Inventor
미쯔루 이다
야스히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0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172Reversal of direction of power flow changes power transmission to alternate pa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358Laterally slidable gears
    • Y10T74/19367Swinging carri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 Y10T74/19884Irregular teeth and bodie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심 캠 기구
제1도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동작 기구부의 전체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2도는 테이프 플레이어 동작 기구부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헤두부의 정면도.
제4도는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제5도는 캠 기어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정상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 요부의 저면도.
제8도는 리버스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 요부의 저면도.
제9a, 9b, 9c도는 헤드 슬라이더의 이동순서를 나타내는 요부의 수평 단면도.
제10a, 10b, 10c, 10d도는 정상 플레이 모드의 형성 동작을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요부의 수평 단면도.
제11a, 11b, 11c도는 리버스 플레이 모드의 형성 동작을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요부의 수평 단면도.
제12a도 및 12b도는 플레이 모드의 해제 동작을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요부의 수평 단면도.
제13도는 제1도의 ⅩⅢ -ⅩⅢ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제어 캠 기구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15도는 되감기 모드에 있어서 요부의 저면도.
제16a, 16b, 16c도는 빨리감기 모드가 형성될때의 제어 캠 기구의 동작을 순서에 따라나타내는 요부의 수평 단면도.
제17도는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 제어 캠 기구등을 나타내는 요부의 수평 단면도.
제18도는 플레이 모드의 형성시 및 플레이 모드의 해제시에 있어서 각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도.
제19도는 빨리감기 모드의 형성 및 해제시에 있어서 제어 캠 기구등의 움직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도.
제20도는 플레이 모드의 형성 및 해제시에 있어서 제어 캠 기구등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 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지부재 154b : 구동기어
159 : 편심 캠 기구 160 : 슬라이더
167 : 편심기구 178 : 탄성반발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편심 캠 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지지 부재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슬라이더를 구동기어에 의하여 회전되는 편심 캠 부재에 의하여 이동시키도록한 편심 캠 기구에 관한 것이고, 상기 편심 캠 부재를 연구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도록한 새로운 편심 캠 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새로운 편심 캠 기구에 관한 것이다. 지지부재에 왕복 이동자재로 지지된 슬라이더를 구동기어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편심 캠 부재에 의하여 이동시키도록한 편심 캠 기구에서,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기어자체에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게 함으로써, 편심 캠 부재를 특별한 캠부를 가지지 않는 기어만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것에 의하여 이런 종류의 편심 캠 기구를 얇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기술]
원운동이나 직선운동을 이들 운동의 방향과 다른 방향의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서 소위 캠 기구가 넓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재에 왕복 이동 자재로 지지된 슬라이더를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동기어에 의하여 왕복 이동시키도록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해당 구동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기어부 및 그 기어부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편심 캠부, 즉 주면의 회전중심에서의 거리가 적어도 일부에서 그 나머지 부분과 다른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편심 캠 부재를 구동기어와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하고 슬라이더를 상기 편심 캠부의 주면에 항시 혹은 소정의 타이밍으로사 탄성접촉시키기 위한 탄성반발 수단을 설치하고 편심 캠 부재가 회전하면, 그 캠부의 주면 슬라이더와 접촉하는 위치의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가 변화하고, 그것에 의하여 슬라이더가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기어부와 편심 캠부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편심 캠 부재에서는 총상 편심 캠부를 기어부와 축 방향에 있어서의 면에서 돌출하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 두께 즉,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의 크기가 크게 되며 따라서 이런 종류의 캠 부재를 사용하는 기기에서는 이 캠 부재가 기기의 박형화를 곤란하게 하는 원인의 하나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래서 본 발명의 편심 캠 기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에 왕복 이동 자재로 지지되고 통상 일방향으로 이동력을 부과시킨 슬라이더에 구동기어와 통상, 혹은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치합되는 편심 기어를 회전자재로 지지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심 캠 기구에 의하면, 편심기어가 구동기어와 치합하여 회전시키면 편심기어의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위치의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가 변화하고, 상기 거리가 길게 될 때는 슬라이더에 부과된 이동력에 대항하여 구동기어에서 멀게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거리가 짧게 될 때는 슬라이더에 부가된 이동력에 의하여 구동기어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편심기어는 회전하면서 슬라이더와 일체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종래 이런 종류의 편심 캠 기구에 있어서 캠 부재가 구동기어의 회전을 전달시켜 회전하는 기능과 회전 함으로써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기어부와 캠부가 분담하여 부과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의 편심 캠 기구에서는 편심기어가 상기 2개 기능의 양쪽을 부과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편심 캠 기구에 의하면, 편심기어만으로 편심 캠 기능을 나타내는 편심 캠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캠 부재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형상을 작게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편심 캠 기구를 상세히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편심 캠 기구를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고속 모드 레버의 이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캠 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a. 메카샤시)[제1도 내지 제4도, 제13도]
도면부호 1은 테이프 플레이어(도면에는 동작 기구부만 나타내고 있다)이다.
2는 테이프 플레이어(1)의 메카샤시이고, 각각 좌우방향(제1도에 있어서 왼쪽을 향하는 방향을 좌측으로 하고, 윗쪽을 향하는 방향을 전측으로 하며, 아래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측으로 한다. 또한 제1도를 향하여 본인측을 위쪽으로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방향을 나타낼때는 이 방향에 의한 것으로 한다)으로 긴 평판상을 한 후부(3) 및 전부(4)와 이들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중간부(5,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며, 중간부(5)의 대부분은 그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부(3)에는 그 후단부의 거의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긴 구형을 한 긴구멍(7)이 그 긴구멍(7)에서 좌우 양측으로 약간 이간한 위치에 거의 전후방향으로 긴 작은판형을 한 작은 구멍(8)이 각각 형성되며, 전부(4)의 중앙과 우측 사이의 거의 중앙부에 기어 배치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후부(3)의 전측연의 좌단부에서 약간 전방으로 돌출한 부분과 좌측의 중간부(5)의 우측부에 스프링 걸림돌기(10,11)가 형성되고, 전부(4)의 후측연의 거의 중앙부에서 스프링 걸림돌기(12)가 아래측으로 향하여 실시되어 있다.
13은 우측의 중간부(6)의 중앙부에서 아래측으로 향하여 돌출한 풀리지지축, 14는 거의 원통상을 하여 상기 풀리지지축(13)과 동축으로 설치된 레버 지지 슬리브이다.
이러한 메카샤시(2)에는 후술하는 다수의 지지축이나 지지핀이 위쪽으로 향하여 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15는 테이프 카셋트(16)가 착탈자재로 배치되는 카셋트 위치판이고, 그 일부가 메카샤시(2)에 상측에서 고정되어 있다. 17, 17'는 자기테이프(18)의 양단이 고정된 테이프 릴(이하 좌측의 테이프 릴(17)을 N릴이라 하고, 우측의 테이프 릴(17') R릴이라 한다)이다.
(b. 캡스턴, 릴대)
[제1도 내지 제4도, 제6도 내지 제8도, 제10a도 내지 제13도, 제15도]
19는 메카샤시(2)의 후부(3)의 좌우 양단부의 위치에 고정된 베어링, 20, 20'는 그 중간부가 상기 베어링(19)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캡스턴이고, 그 하단부가 메카샤시(2)의 아래쪽으로 위치한 플라이 휘일(21,21')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있다. 21a, 21a'는 플라이 휘일(21,21')의 하면측에 형성된 풀리부이다.
하면측에 형성된 풀리부이다.
22, 22'는 릴대이고,메카샤시(2)의 전부(4)의 좌우 양단부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릴대 지지축(23)에 회전자재로 지지되며, 그 하단부에 기어부(22,22'a)가 설치되어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좌측의 릴대(22)를 N측 릴대라고 하고 우측의 릴대(22')를 R측 릴대라 한다.
(c. 헤드부)[제2도, 제3도, 제6도, 제7도, 제9도 내지 제12a도 및 12b도]
24는 메카샤시(2)의 상면의 후단부에 지지된 헤드부 샤시이고, 전방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긴 문형을 하고 있으며, 그 상편(24a)의 좌우 양단부에서 지지축(25)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26은 헤드 홀더이고, 전방에서 보아 거의 문형을 한 주부(27)와 그 주부(27)의 우상단에서 우방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하는 아암(28)으로 이루어지며, 그 아암(28)의 우단부가 우측의 지지축(25)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되도록 지지되고, 주부(27)의 좌측부(27a)의 상단부에 헤드부 샤시(24)의 상편(24a)에 지지된 헤드 복귀 스프링(29)(제3도 참조)의 1단부가 전측에서 접하여 있다.
따라서, 헤드 홀더(26)는 상시 후방으로 향하여 회동력을 부세시키고 있으며,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되어 있지 않을때는 제2도에 나타나듯이 헤드부 샤시(24)의 상편(24a)의 후벽에 맞닿은 위치(이하, 후퇴 위치라 한다)에 지지되어 있다.
27b는 헤드 홀더(26)의 주부(27)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피가 압돌기이고, 그 하단부는 메카샤시(2)의 후부(3)에 형성된 구형의 긴구멍(7)을 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30은 헤드 홀더(26)의 주부(27)에 고정된 자기 헤드이고, 그 테이프 접촉면(30a)이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31, 31'는 핀치 로울러 아암이고, 헤드부 샤시(24)의 상기 지지축(25)에 거의 전후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되도록 지지되고, 그 회동 단부가 상기 캡스턴(20,20')과 각각 별도로 대향되고 여기에 핀치 로울러(32,32')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33, 33'은 핀치 로울러(33,33')를 캡스턴(20,20')에 압착시키기 위한 핀치 로울러 압착 스프링이고, 집게형 스프링상을 하고 있으며, 그 코일부(33a,33'a)가 상기 지지축(25)에 바깥끼움 상태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 한쪽 아암(33b)이 핀치 로울러 아암(31,31')의 등면에 접하게 되고, 다른쪽의 아암(33c)은 핀치 로울러 아암(31,3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선단 부분이 핀치 로울러 아암(31,31')의 회동 선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접촉부(31a,31'a)에 전방에서 접하게 되어 있다.
34, 34'는 압출 아암이고, 메카샤시(2)의 후단부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아래측으로 향하여 돌출한 피가압돌출부(34a,34'a)의 하단부가 메카샤시(2)의 후단부에 형성된 작은판형의 구멍(8)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가압돌출부(34b,34'b)가 상기 압착 스프링(33,33')의 전측 아암(33c,33'c)의 선단부에 후방에서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출 아암(34,34')은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그 피가압돌출부(34a,34'a)가 후술하는 모드 절환 레버에 의하여 거의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되며, 그것에 의하여 그 가압돌출부(34b,34'b)가 압착 스프링(33,33')의 전측 아암(33c,33'c)의 선단부를 가압하고 그것에 의하여 핀치 로울러 아암(31,31')이 전방으로 향하여 회동되어 핀치 로울러(32,32')가 캡스턴(20,20')에 압착된다.
(d. 모드의 종류)[제1도, 제7도, 제8도, 제15도, 제16도c]
그런데, 이 테이프 플레이어(1)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본적인 모드에는 재생을 행하는 플레이 모드와, 자기테이프(18)를 하나의 방향(이하 정상방향이라 한다)으로 고속 주행시키는 빨리감기 모드와, 자기테이프(18)를 상기 정상방향과 반대방향(이하 리버스방향이라 한다)에 고속으로 주행시키는 되감기 모드와 이들의 모드에 의한 동작을 해제한 스톱모드가 있으며, 플레이모드에는 자기테이프(18)를 정상방향으로 주행시켜 발생을 행하는 정상 플레이모드와 자기테이프(18)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켜 재생을 행하는 리버스 플레이모드가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셋트(16)가 카셋트 위치판(15)상에 위치되면, 테이프 릴(17,17')에 릴대(22,22')가 각각 별도로 결합되고, 자기테이프(18)의 카셋트 케이스외로 임하게 되어 있는 부분에 자기헤드(30) 및 핀치 로울러(32,32')가 후방에서 대향되며, 플레이모드가 선택되었을 때는 헤드홀더(26)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자기헤드(30)의 테이프 접촉면(30a)이 자기테이프(18)에 접촉되고, 정상 플레이모드의 경우는 제1도에 있어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캡스턴(20)에 좌측의 핀치 로울러(32)가 자기테이프(18)를 끼워 압착되어 자기테이프(18)가 정상방향, 즉 R릴(17')에서 인출되어 N릴(17)에 권취되어가는 방향으로 이송되며, N측 릴대(22)가 제1도에 있어서 시계회전방향(이하, 테이프 권취 방향이라 한다)으로 회전하여 N릴(17)을 시계회전방형으로 회전시키도록 되며 리버스 플레이모드의 경우는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캡스턴(20')에 우측의 핀치로울러(32')가 자기테이프(18)를 끼워 압착시켜 자기테이프(18)가 리버스방향, 즉 N릴(17)에서 인출되어 R릴(17')에 권취 되어가는 방향으로 속행되며, R측 릴대(22')가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이하, 테이프 권취 방향이라 한다)으로 회전하여 R릴(17')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된다.
빨리감기 모드에서는 N측 릴대(22)가 고속으로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며, 되감기 모드에서는 R측 릴대(22')가 고속으로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모드의 선택적 지정은 도시하지 않은 모드 선택 보턴의 소정의 것을 누르므로서 행하여진다. 그리고, 플레이모드의 선택용으로는 1개의 조작 보턴이 설치되어 있으며, 정상 플레이모드 또는 리버스 플레이모드는 해당 플레이모드에서 플레이 보턴이 눌러졌을 때는 눌린 만큼 정상 플레이모드와 리버스 플레이모드가 교대로 절환하여 형성되며, 플레이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플레이 보턴이 눌러졌을 때는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종류의 플레이모드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빨리 감기 모드의 선택용 선택모드의 선택용 및 스톱모드의 선택용에는 별도의 조작보턴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상 플리에모드, 리버스 플레이모드, 빨리감기 모드 미치 되감기 모드의 형성은 모두 스톱모드에서 행하여지며, 따라서 스톱모드 이외의 모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동작모드의 지령이 행하여졌을 때는 항시 일단 스톱모드가 형성된다.
제1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스톱모드, 제7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정상 플레이모드, 제8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리버스 플레이모드이고, 제16c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빨리감기 모드, 제15도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감기 모드이다.
(e. 구동계)[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13도]
35는 카셋트 위치판(15)의 하면에 고정된 모터이고, 그 회전축(35a)에 출력 풀리(36)가 고정되어 있다.
37은 메카샤시(2)의 후단부 좌단에서 설치된 축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가이드 풀리, 38은 회전구동체이고 그 회전구동체(38)는 비교적 대경의 풀리부(39)와 그 풀리부(39)의 중심부 상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기어 이빨이 형성된 원통상의 기어부(40)와 그 기어부(40)의 내측에 그것과 동축으로 위치한 슬리브상을 이루는 보스부(41)(제1도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부(40)는 어느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 구동체(38)는 그 보스부(41)에 메카샤시(2)의 우측 중간부(6)에 설치된 상기 풀리 지지축(13)이 삽입되므로서 그 축(13)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42는 상기 출력 풀리(36), 가이드 풀리(37), 플라이 휠(21,21')의 풀리부(21a,21'a) 및 회전구동체(38)의 풀리부(39)에 권선부착된 무단상의 벨트이고, 모터(31)가 제1도에 있어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이하, 이 방향으로의 회전을 정회전이라 한다) 했을 때 좌측의 캡스턴(20) 및 회전구동체(38)가 제1도에 있어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우측의 캡스턴(20')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우측의 캡스턴(20')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도록 권선부착되어 있다.
모터(35)는 되감기 모드일때에 역전 즉 제1도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이외일때에 정회전된다.
그러나, 회전구동체(38)는 모터(35)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 상시 회전된다.
43은 후술하는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달기어이고, 서로 동축인 대소 2개의 기어부(43a,4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소기어부(43b)가 상측으로 위치하는 방향이고, 메카샤시(2)의 하면중 풀리 지지축(13)보다 조금 후방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설치된 기어 지지축(44)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그 대기어부(43a)가 회전구동체(38)의 기어부(40)의 하단부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달 기어(43)는 모터(35)가 회전하고 있는 사이에 상시 회전되며, 모터(35)가 정회전했을 때는 제1도에 있어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f. 캠 기어)[제1도, 제4도 내지 제12a, 12b도 제15도 내지 제17도]
45는 캠 기어이다.
46은 캠 기어(45)의 중심부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위치한 원통상의 보스이며, 하방으로는 비교적 많이 돌출하고 위쪽으로는 매우 낮게 돌출하고 있다.
(f-1. 절결티쓰부)[제1도, 제4도, 제5도, 제7도 내지 제12a, 12b도, 제15도 내지 제17도]
47은 캠 기어(45)의 외주부를 이루는 티쓰부, 48은 그 티쓰부(43)의 위치에 형성된 긴구멍이고, 캠 기어(45)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49 및 50은 캠 기어(45)의 외주부에 형성된 절결부, 즉, 절결부티쓰부이고, 한쪽의 절결티쓰부(49)(이하 제1절렬티쓰부라 한다)는 캠기어(45)를 아래쪽에서 보아 상기 긴구멍(48)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조금 기울은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쪽의 절결티쓰부(50)(이하, 제2의 절결티쓰부라 한다)는 긴구멍(48)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기울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티쓰부(47)중 이들 절결티쓰부(49,50)의 반시계 회전방향측의 단부에서 절결티쓰부(49,50)의 중간에 대응하는 곳까지 돌출한 부분(47a,47b)(이하 탄성부라 한다)은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탄성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47a,47b)의 각 선단부는 긴구멍(48)을 끼워 중심각에서 약 90° 이간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f-2. 하면의 캠)[제4도, 제6도 내지 제8도, 제10a도 내지 제12b도]
그리고 캠 기어(45)의 하면(45a)에는 각종의 기능을 가지는 돌출 손톱 형상의 캠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51 및 52는 후술하는 모드 절환 레버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 캠이고, 그 한편(51)이 스톱모드에서 모드 절환 레버의 위치를 규제하는 캠(이하 중립위치 규제 캠이라 한다), 다른쪽(52)이 플레이모드에 있어서 모드 절환 레버의 최종적 위치를 규제하는 캠(이하, 플레이 위치 규제 캠이라 한다)이다. 그리고 이들 규제 캠(51,52)은 보스(46)와 외주부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여 있어 전체가 캠 기어(45)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을 이루고 캠 기어(45)르 제10a도에 나타나듯이 그 긴구멍(48)이 보스(46)의 우측정 가로로 와 있는 방향(이하, 초기의 방향이라 한다)으로한 상태에서 보아, 중립 위치 규제 캠(51)은 그 시작단부, 즉 시계 회전방향측의 단부가 보스(46)에서 좌경사 전방으로 기울은 위치에 있으며, 종단부, 즉 반시계 회전방향측의 단부가 보스(46)에 전방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있듯이 배치되며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은 그 시작단부가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종단부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이간한 위치에 있으며 종단부가 보스(46)의 바로 후의 위치에서 약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기울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외주면(53)은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과 거의 같은 원주상에 있으며,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 및 모드 위치 규제 캠(52)의 내주면(55)의 시작단부(54a,55a)는 선단으로 행함에 따라 캠 기어(45)의 중심에서 멀게되는 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56 및 57은 후술하는 주 제어 레버와 협동하여 캠 기어(45)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톱 캠이고, 캠(56)은 스톱 모드에서 캠 기어(45)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스톱 캠(이하, 초기용 스톱 캠이라 한다), 캠(57)은 플레이모드의 형성이 아암료한 시점에서 캠 기어(45)의 회전을 저지 하기 위한 스톱 캠(이하, 중간용 스톱 캠이라 한다)이다. 그리고 초기용 스톱 캠(56)은 상기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외주면에서 보스(46)를 끼워 긴구멍(48)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여 연장하도록 위치되며, 중간용 스톱 캠(57)은 캠 기어(45)의 외주부와 상기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종단부 사이의 거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58, 59 및 60은 후술하는 주 제어 레버의 선단부를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캠 기어(45)의 중심측으로 향하여 가압하기 위한 캠(이하, 복귀 캠이라 한다)이고, 각각 캠기어(45)의 외주부 위치에서 L자상을 하고 있으며, 58(이하, 제1복귀 캠이라 한다)는 그 시작 단부가 상기 초기용 스톱 캠(56)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중심각에서 약 40°기울은 곳에 있도록 배치되며, 59(이하, 제2복귀 캠이라 한다)는 그 시작단부가 상기 중간용 스톱 캠(57)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이간한 곳에 있도록 배치되며, 60(이하, 제3복귀 캠이라 한다)은 그 시작단부가 상기 긴구멍(48)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기울은 곳에 있도록 위치되어 있다.
61은 보조 캠이고,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의 중간부보다 약간 시작단부로 기울은 위치에서 시작 단부까지의 부분과 거의 평행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62는 후술하는 부 제어 레버를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회동시키기 위한 퀵 캠이고, 캠 기어(45)가 상기 초기의 방향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스(46)의 외주면에서 후경사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f-3. 상면의 캠 및 센터링 홈)[제5도, 제9a도, 내지 제9c도, 제15도 내지 제17도]
63은 캠 기어(45)의 상면(45b)에 형성된 슬라이더용 캠, 즉 후술하는 헤드 슬라이더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캠이고, 그 외주면(64)이 캠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캠면(64)은 제9a도에 나타나듯이 캠 기어(45)를 초기 방향으로 한 상태에서 보아 전방을 향한 제1피가압부(64a)와 우방을 향한 평탄한 제2피가압부(64b)와, 좌경사 전방을 향한 평탄한 제1가압부(64c)와 거의 후방을 향하여 호상으로 연장하는 제2가압부(64d)로 이루어지며, 제1피가압부(64a)와 제1가압부(64c)가 연속하는 각부가 캠 기어(45)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있으며, 제1피가압부(64a)는 거의 중앙부에 작은 단자가 있는 거의 L자상을 하고, 제2가압부(64d)는 반시계 회전방향측으로 행함에 따라 캠 기어(45)의 중심에서 거리가 점증하도록 형성되고 그 선단부(64e)가 제2피가압부(64b)에서 약간 우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65는 캠 기어(45)의 상면(45b)에 형성된 센터링 홈이고 플레이모드에서 후술하는 고속모드 레버의 동작을 저지하여 두기 위한 것이다. 그 센터링 홈(65)은 캠 기어(45) 면(45b)의 외주부의 위치에 캠 기어(45)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에 형성되고, 상기 긴구멍(48)과 대응하는 부분(66)(이하, 해제부라 한다)에서 폭을 넓히게 되어 있다.
센터링 홈(65)의 해제부(66) 이외의 대부분(67)(이하 센터링부라 한다)의 폭은 후술하는 고속 모드 레버의 결합 돌기의 크기와 거의 같은 크기를 하고 있으며 해제부(66)의 폭은 센터링부(67) 폭의 4배 강도의 크기를 가지고, 센터링부(67)의 시계 회전방향측의 단부(67a)는 해제부(66)에 가까울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f-4. 메카샤시로의 지지등)[제1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12b도, 제15도 내지 제17도]
그리고, 이러한 캠 기어(45)는 그 보스(46)에 메카샤시(2)의 후부(3)의 거의 중앙부에서 설치된 지지축(68)이 삽입간통되므로서 지지축(68)에 회전자재로 지지되며, 그 티쓰부(47)의 핀치원이 상기 전달기어(43)의 소기어부(43b)의 핀치원과 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캠 기어(45)는 그 절결티쓰부(49,50)가 상기 소기어(43b)와 대향하고 있는 동안은 그 소기어(43b)와 치합되지 않지만, 그 이외일때는 티쓰부(47)가 소기어(43b)와 치합되며, 모터(35)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달 기어(43b)와 치합되면, 캠 기어(45)가 제1도에 있어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캠 기어(45)가 초기 방향으로 되는 위치(이하, 초기스톱 위치라 한다)에 와 있을때는 제1절결티쓰부(49)가 전달 기어(43)의 소기어부(43b)와 대향되며, 캠 기어(45)가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초기 스톱 위치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중심각에서 약 270°이동한 위치(이하, 중간 스톱 위치라 한다)에 왔을때는 제2절결티쓰부(50)가 전달 기어(43)의 소기어부(43b)와 대향 된다. 즉 캠 기어(45)는 이들 초기 스톱 위치와 중간 스톱 위치에 왔을때에 전달 기어(43)의 회전을 전달시키지 않는 상태로 된다.
(g. 헤드 슬라이더)[제1도, 제2도, 제4도, 제6도, 제9a 내지 9c도, 제13도, 제15도내지 제17도]
69는 헤드 슬라이더이고, 상기 캠 기어(45)가 회전 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헤드 홀더(26)를 이동시키고, 또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캠 기어(45)에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헤드 슬라이더(69)는 전후 방향으로 긴 판상을 하고, 그 후단부의 부분이 폭넓게 형성되고, 이 부분의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형상의 비교적 큰 구멍(70)이 형성되며, 그 후단부 좌측에 전후 방향으로 긴 비교적 작은 긴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72는 헤드 슬라이더(69)의 좌측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중앙보다 조금 전부의 위치에서 좌측으로 돌출한 캠부이고, 비등각대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헤드 슬라이더(69)는 그 절결부(72)에 메카샤시(2)의 후단부 중 긴구멍(7)보다 약간 우측으로 이간한 위치에 설치된 가이드핀(78)이 미끄럼자재로 결합되고, 그 피가이드구멍(73)에 메카샤시(2)의 전부(4)의 거의 중앙부에서 설치된 등이 낮은 가이드핀(79)이 미끄럼자재로 결합됨으로써 일정의 범위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되며, 그 스프링 걸림돌기(75)와 메카샤시(2)의 전부(4)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 걸림돌기(12) 사이에 설치된 인장 스프링(80)에 의하여 상기 후방으로의 이동력을 부과시키고 있다.
상기 캠 기어(45)의 슬라이더용 캠(63)은 헤드 슬라이더(69)의 구멍(70)내에 약간 여유를 가지고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70)의 전측연(70a)(이하, 캠 접촉에지이라 한다)은 상기 슬라이더용 캠(63)의 캠면(64)에 상시 접하게 되며, 캠면(64)중 캠 기어(45)의 중심에서의 거리가 가장 짧은 위치가 캠 접촉에지(70a)에 접촉하고 있을 때 슬라이더(69)가 그 이동범위에 있어서 가장 뒤의 위치에 오게되며, 캠면(64)중 캠 기어(45)의 중심에서 거리가 가장 긴 위치가 캠 접촉에지(70a)에 접촉하고 있을 때 헤드 슬라이더(69)가 그 이동범위에 있어서 가장 앞의 위치에 오게된다.
헤드 홀더(26)에서 설치된 상기 피가압돌기(27b)의 선단부는 헤드 슬라이더(69)에 형성된 긴구멍(71)내에 위치되어 있다.
(h. 전자 플런져)[제1도, 제4도, 제7도, 제8도, 제10a도 내지 제12b도]
81은 전자 플런져이다.
82는 전자 플런져(81)의 베이스부 83은 영구자석에서 이루는 코아자석, 84는 그 코아 자석(83)에 권선된 코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 플런져(81)는 코아 자석(83)의 자속 방향이 전후 방향으로 되는 방향이고, 메카샤시(2)의 후부(3)의 하면중, 헤드 슬라이더(69)의 곧은 좌측 위치에 고정되고 코아 자석(83)의 전단부는 베이스부(82)의 전면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전자 플런져(81)는 플레이모드의 형성 및 그 해제를 행할 때, 소정의 타이밍으로 통전되고, 코일(84)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은 코아 자석(83)의 자속을 부정하는 방향의 자속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i. 제어 레버)[제1도, 제4도, 제6a도 내지 제8도, 제10a도 내지 제12b도]
(i-1. 주 제어레버)
85는 사이 캠 기어(45)에 대하는 회전의 저지 및 그 저지의 해제를 행하는주 제어 레버이다.
주 제어 레버(58)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쪽의 아암(86)과 그 한쪽의 아암(86)의 우단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다른쪽의 아암(87)에 의하여 L자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들 2개의 아암(86)과 (87)이 연속하는 각부에 상하 양단부가 레버(85)의 상하 양면에서 각각 돌출한 슬리브(8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아암(86)의 선단부 상면에서 피규제돌기(89)(제2도 및 제4도 참조)가 설치되며, 다른쪽의 아암(87)의 후단부 상면에 스토퍼 돌출부(90)가 형성되어 있다. 91은 한쪽의 아암(86)의 좌단부에 부착된 투자성을 가지는 금속편이고, 그 일부가 한쪽의 아암(86)의 후측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92는 메카샤시(2)의 후부(3)의 전측연의 거의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레버 지지축, 93은 그 레버 지지축(92)에서 약간 후방으로 이간한 위치에 설치된 등이 낮은 스프링 접촉핀, 94는 메카샤시(2)의 후부(3)와 좌측의 중간부(5)가 연속하는 위치에 형성된 구형의 규제 구멍(제2도 및 제4도 참조)이다.
그리고 주 제어 레버(85)는 그 슬리브(88)에 상기 레버 지지축(92)이 삽입관통 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그 금속편(91)이 전자 플런져(81)의 코아 자석(83)에 전방에서 대향되며, 그 피규제돌기(89)가 메카샤시(2)에 형성된 상기 규제 구멍(94)내에 약간 여유를 가진 상태로서 위치되어있다.
(i-2.제어 스프링, 주 제어 레버의 회동)
95는 제어 스프링이고, 코일부(95a)와, 그 코일부(95a)의 1단에서 연장된 비교적 짧은 제1아암(95b)과, 코일부(95a)의 타단에서 연장하는 대략 자상을 한 비교적 긴 제2아암(95c)과, 제2아암(95c)의 선단에서 코일부(95a) 측으로 향하여 절반되도록 연장한 제3의 아암(95d)에서 이루며, 코일부(95a)가 주 제어 레버(85)의 슬리브(88)의 상단부에 바깥끼움 형태로 지지되며, 제1아암(95b)의 선단부가 상기 스프링 접촉핀(93)에 좌경사 전방에서 접하게 되며, 제2아암(95c)의 코일부(95a)의 부분이 주 제어 레버(85)의 한쪽 아암(86)에 후방에서 접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주 제어 레버(85)에는 제어 스프링(95)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상시 제1도에 있어서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과되어 있으며, 이 방향으로의 이동은 피규제 돌기(89)가 메카샤시(2)의 규제 구멍(94)의 전측 에지에 맞닿으므로서 규제된다.
주 제어 레버(85)는 상기 전자 플런져(81)가 통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그 금속편(91)이 전자 플런져(81)의 코아 자석(83)에 접속시키면, 그 코아 자석(83)에 흡착되며, 그것에의하여 제어 스프링(95)의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그 위치(이하. 흡착 위치라 한다)에 지지되며, 그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1)에 대한 통전이 이루어지면, 코아 자석(83)의 자속이 부정됨으로 금속편(91)의 코아 자석(83)으로의 흡인이 해제됨으로 주 제어 레버(85)는 제어 스프링(95)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피규제돌기(89)가 규제 구멍(94)의 전측 에지에 맞닿는 위치(이하, 흡착 해제 위치라 한다)로 이동한다.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 위치에 오고 있을 때 그 다른쪽의 아암(87)의 후단부가 캠 기어(45)의 외주부에서 근소하게 축심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아래쪽에서 대향하도록 위치되며이 상태에서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기(90)가 캠 기어(45)의 하면(45a)에 형성된 상기 스톱 켐(56 및 57)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하고 있다.
(i-3. 부 제어 레버)
96은 부 제어 레버이다.
그 부 제어 레버(96)은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아암(97)과, 그 긴 아암(97)의 좌단부에 연속하여 거기에서 우경사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짧은 아암(98)에서 이루어지고 긴 아암(97)의 좌단면의 전후 양단부에 작은 스프링 접촉 돌기(9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긴 아암(97)의 우단부는 조금 전방으로 향하여 굴곡되며, 이 부분의 하면에 3각형상을 한 작은 피가압돌출부(100)가 형성되고, 짧은 아암(98)의 선단부(101)는 그 상면에 원형을 한 작은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그 나머지 부분보다 위쪽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 제어 레버(96)은 짧은 아암(97)의 좌단부가 주 제어 레버(85)의 다른쪽의 아암(87)의 후단부 하측에 핀(102)에 의하여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그 좌단면에 상기 제어 스프링(95)의 제3아암(95d)의 선단부가 가볍게 접하여 있다.
따라서 이동시켰을 때는 그것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며, 수평방향에서 가압되었을 때는 주 제어 레버(85)에 대하여 독자로 회동하고, 수평방향에서의 가압이 이루어져 있지 않는 사이에는 스프링당돌출부(99)의 양쪽으로 제어 스프링(95)의 제3아암(95d)이 접촉한 자세(이하, 초기 자세라 한다)에 지지되며, 수평방향에서 가압되어 초기 자세에서 회동시키면 2개의 스프링당돌기(99)의 어느것인가 한쪽에만 제어 스프링(95)의 제3아암(95d)이 탄성접촉됨으로 초기 자세로 복귀하는 회동력이 생긴다.
부 제어 레버(96)의 짧은 아암(98)의 선단부(101)는 캠 기어(45)의 상기 캠(51,52)등보다 조금 낮은 곳에 있으며, 피가압돌출부(100)는 캠 기어(45)의 하면(45a)에 근접한 높이에 있다.
(j 캠 기어의 회전, 헤드 슬라이더의 이동등)[제9a도 내지 제12b도, 제18도]
상기 캠 기어(45)의 회전 및 그것에 따르는 헤드 슬라이더(69)의 이동은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j-1. 캠 기어의 초기 스톱 위치에 있어서의 지지등)[제9a도, 제10a도]
제10a도에 나타나듯이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그 하면(45a)에 설치된 초기용 스톱 캠(56)이 캠 기어(45)의 중심의 왼쪽 위치에 있으며, 이때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 위치에 오고 있으면, 상기 초기용 스톱 캠(56)이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출부(90)에 전방에서 당접되어 캠 기어(45)의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며, 이 상태에서는 캠 기어(45)의 상면(45b)에 설치된 슬라이더용 캠(63)의 캠면(64)은 그 제1피가압부(64a)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됨으로, 헤드 슬라이더(69)의 캠 접촉에지(70a)이 제9a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피가압부(64a)의 거의 중간부, 즉 그 나머지부분보다 조금 전방으로 돌출하고 캠 기어(45)의 중심부에서 우측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부분에 접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캠 기어(45)에 헤드 슬라이더(69)에 의한 시계회전 방형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됨과 함께 그 회전이 주 제어 레버(85)에 의하여 저지되어 있다.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1절결티쓰부(49)가 전달기어(43)의 소기어(43b)와 대향되며, 헤드 슬라이더(69)가 상기와 같이 슬라이더용 캠(63)의 캠면(64)의 제1피가압부(64a)에 접하여 그것보다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는 위치(이하, 대기 위치라 한다)에 와 있는 상태에서 상기 헤드 홀더(26)의 피가압돌기(27b)의 선단부가 헤드 슬라이더(69)의 긴구멍(71)의 후단연(71a)(이하, 홀더 가압상이라 한다)에 근접되어 있다.
상기 캠 기어(45), 헤드 슬라이더(69) 및 주 제어 레버(85) 등의 위치는 스톱모드에 있어서 이들 부재의 위치이다.
(j-2. 캠 기어의 중간스톱 위치로의 이동, 헤드 슬라이더 및 헤드 홀더의 전진)
[제9b도, 제9c도, 제10b도, 제10d도, 제11c도, 제18도]
그래서 이 상태에서 모터(35)가 정회전되면, 전달 기어(43)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전자 플런져(81)에 통전이 행하여지면,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해 제위치로 이동함으로 그 스토퍼 돌출부(90)가 제10b도에 나타나듯이 캠 기어(45)의 초기용 스톱 캠(56)의 회전 궤적의 외측으로 피함으로 캠 기어(45)가 헤드 슬라이더(69)에 의하여 부세되어 있던 회전력에 의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그것에 의하여 캠 기어(45)의 제1탄성부(47a)가 전달기어(43)의 소기어(43b)와 치합되고, 캠 기어(45)는 이 상태에서 전달기어(43)에 의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헤드 슬라이더(69)는 일단 그 캠 맞닿음 에지(70a)가 제9b도에 실선으로 나타나듯이 슬라이더용 캠(63)의 제1피가압부(64a)의 좌반분, 즉 캠 기어(45)의 중심부에 대응한 위치를 포함하는 부분과 평행으로 접촉하기까지 근소하게 후방으로 이동되지만, 캠 기어(45)가 전달기어(43)에 의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기 시작하면, 이번에는 슬라이더용 캠(63)의 제1피가압부(64a)와 제1가압부(64c)가 연속하는 각부가 다음에 제1가압부(64c)가 캠 맞닿음 에지(70a)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하도록 됨으로, 제9b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되어 행하게 되며, 이러한 캠 기어(45)에 의한 전방으로의 이동개시와 거의 동시에 그 홀더 가압연(71a)이 헤드 홀더(26)의 피가압돌기(27b)를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하여 가게 된다. 즉 헤드 홀더(26)가 후퇴 위치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되어 행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 슬라이더(69)는 그 캠 맞닿음 에지(70a)가 슬라이더용 캠(63)의 제2가압부(64d)에 의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됨으로써 전방으로 향하여 이동된다.
흡착 해제 위치로 이동된 주 제어 레버(85)는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 위치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중심각에서 약 270° 이동한 위치, 즉 상기 중간 스톱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소정의 타이밍에서 흡착 위치로 복귀된다. 이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따라서,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출부(90)는 캠 기어(45)가 중간 스톱위치에 도달하기까지 캠 기어(45)의 스톱 캠(56,57)의 회전 궤적상에 복귀시키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초기 스텝 위치에서 회전항온 캠 기어(45)는 중간 스톱 위치에 왔던 곳에서 이번에는 그 중간용 스톱 캠(57)이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출부(90)에 맞닿으므로서 더 이상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시킨다(제10d도 참조).
그리고 이 사이 헤드 슬라이더(69)는 그 캠 접촉에지(70a)에 캠 기어(45)의 슬라이더용 캠(63)의 제2기압부(64d)의 선단부(64e)가 접촉한 상태에서 가장 전방으로 이동한 위치에 도달하고 이 상태로 되기 직전에 제2가압부(64e)의 선단부(64e)는 제9c도에 나타나듯이 캠 기어(45)의 중심부에서 우측으로 어긋나는 제2피가압부(64e)보다 조금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제2가압부(64d)의 선단부(64e)가 제 9c도에 나타나듯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헤드 슬라이더(69)의 후방으로 이동력이 재차 캠 기어(45)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력 으로서 작용하고, 이러한 상태로된 직후에 캠 기어(45)의 제3절결티쓰부(50)가 전달 기어(43)의 소기어부(43b)와 대향된다. 즉 캠 기어(45)는 중간 스톱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전달기어(43)의 치합을 해제시키고, 거기에서 중간 스톱 위치로는 헤드 슬라이더(69)의 후방으로의 이동력에 의하여 이동되고 중간 스톱 위치에 온 상태에서는 헤드 슬라이더(69)에 의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세시킬 때 그 위치에 지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헤드 슬라이더(69)는 가장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거기에서 근소하게 후퇴한 위치, 즉 제9c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이하 전진 위치라 한다)로 온 곳에서 그것보다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킨다.
그리고, 헤드 홀더(26)는 헤드 슬라이더(69)와 일체적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헤드 슬라이더(69)가 상기 전진 위치에 온 곳에서 이동을 정지시킨다. 즉 제9c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지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자기 헤드(30)가 자기테이프(18)와 접촉한 위치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캠 기어(45), 슬라이더(69), 헤드 홀더(26) 등의 위치가 플레이모드에 있어서 이들 부재의 위치이다.
(j-3. 캠 기어의 초기스톱위치로의 복귀 헤드 슬라이더 및 헤드 홀더의 후퇴)
[제9c도, 제12a도 및 제12b도, 제18도]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모터(35)가 정회전되고, 전자 플런져(81)에 통전이 행하여지면,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 위치로, 헤드 슬라이더(69)가 대기 위치로 각각 이동된다.
즉, 전달기어(43)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어 레버(85)가 흡착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그 스토퍼 돌출부(90)가 캠 기어(45)의 중간용 스톱 캠(57)에서 좌측으로 피함으로 캠 기어(45)가 슬라이더(69)에 의하여 부세되어 있는 회전력에 의하여 시계 회전방형으로 회전되어 제2탄성부(47b)가 제9c도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듯이 전달기어(43)의 소기어부(43b)와 치합되며, 이 상태에서 캠 기어(45)는 전달기어(43)에 의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헤드 슬라이더(69)는 우선 제9c도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듯이 그 캠 맞닿음 에지(70a)가 슬라이더용 캠(63)의 캠면(64)의 제2피가압부(64b)에 접하는 곳까지 후퇴된다. 그리고 캠 기어(45)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가면 슬라이더용 캠(63)의 캠면(64)의 캠 맞닿음에지(70a)와 접촉하는 위치의 캠 기어(45)의 중심에서 거리가 짧게 되어 감으로, 헤드 슬라이더(69)는 인장 스프링(80)의 인장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하여 헤드 슬라이더(69)의 홀더 가압연(71a)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헤드 홀더(26)는 상기 헤드 복귀 스프링(29)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헤드 슬라이더(69)와 일체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어간다.
흡착 해제 위치로 이동된 주 제어 레버(85)는 캠 기어(45)가 중간 스톱 위치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중심각에서 약 90° 회전한 위치, 즉 초기 스톱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흡착 위치로 복귀된다. 이 동작의 상세에 대하여도 후술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출부(90)는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 위치에 복귀하기까지의 사이에 캠 기어(45)의 스톱 캠(56,57)의 회전 궤적상에 복귀하게 되며, 이것에 의하여 중간 스톱 위치에서 회전하여 온 캠 기어(45)는 초기 스톱 위치에 도달한 곳에서 초기용 스톱 캠(56)이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출부(90)에 맞닿으므로서 더 이상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시킨다.
그리고 캠 기어(45)는 초기 스톱 위치에 복귀하기 직전에 제1절결티쓰부(49)가 전달기어(43)의 소기어부(43b)와 대향되며, 따라서 이 상태에서 초기 스톱 위치로 헤드 슬라이더(69)의 캠 맞닿음 에지(70a)가 슬라이더용 캠(64)을 가압하는 힘에 의하여 이동된다.
이렇게하여 캠 기어(45)가 중간 스톱 위치에서 초기 스톱 위치로 복귀하고, 헤드 슬라이더(69)가 대기 위치에, 헤드 홀더(26)가 후퇴 위치에 각각 복귀되며, 그것에 의하여 자기헤드(30)가 자기테이프(18)에서 이간된다.
(k. 모드 절환 레버)[제1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8도, 제10a도 내지 제12b도]
103은 모든 절환 레버이다.
(k-1. 구조)
상기 모드 절환 레버(103)는 거의 다이형상을 한 주부(104)와 그 주부(104)의 후측연에 따라 연장하고 그것보다 약간 긴 후측부(105)와 주부(104)의 전단부에서 좌경사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아암부(106)와 그 아암부(106)의 선단부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L자상으로 돌출한 연결부(107)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며, 주부(104)에는 거의 중앙부에 위치한 작은판형을 이루는 삽입관통구멍(108)과 그 삽입관통구멍(108)의 전측에 위치한 결합용 긴구멍(109)이 형성되어 있다.
주부(104)의 좌측연의 거의 중앙부에는 거의 L자상을 한 절결이 형성되고 절결의 좌측을 향한 에지(110)(이하, 피가압 에지라 한다)에 따른 부분의 상면에 마름모형을 한 작은 제어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제어 돌출부(11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가장 폭이 큰 부분은 캠 기어(45)의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폭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그리고 후측부(105)에는 거의 중앙부에 지지구멍(105a)이 형성되고, 그 후측연 양단부의 상면에 등이 낮은 벽(112)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06)의 선단부에 작은판형을 한 삽입관통구멍(113)이 형성되고, 연결부(107)의 수평적인 상부의 하면에 작은 연결 돌기(107a)가 형성되어 있다.
(k-2. 메카샤시로의지지)
그리고, 이러한 모드 절환 레버(103)는 그 주부(104)가 캠 기어(45)에 아래쪽에서 겹치도록 위치되며, 후측부(105)에 형성된 지지구멍(105a)에 가이드핀(78), 즉 헤드 슬라이더(69)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후측의 가이드핀(778)의 하단부가 삽입관통되며, 그것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종자재로서 지지된다.
모드 절환 레버(103)의 2개의 삽입관통구멍(108 및 113)에는 캠 기어(45)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68) 및 주 제어 레버(85)를 지지하고 있는 레버 지지축(92)의 하단부가 각각 여유를 가진 상태에서 삽입관통되고, 이들 축(68,92) 및 가이드 핀(78)의 하단부에 걸림 와셔(114)가 걸림부착되어 있다.
모드 절환 레버(103)에는 상시 좌방으로의 이동력을 부세시키는 후술하는 스위치 조작 레버가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모드 절환 레버(103)에는 상기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어 있다.
모드 절환 레버(103)의 상면에 형성된 제어 돌출부(111)는 캠기어(45)의 하면(45a)에 근접하든지 또는 가볍게 접촉되며, 적어도 캠 기어(45)의 하면(45a)에 형성된 상기 각종의 캠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캠 기어(45)의 하면(45a)중, 보스(46)에서 좌측으로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측부(105)의 벽부(112)는 상기 압출아암(34,34')의 피기압 돌출부(34a,34'a)의 메카샤시(2)의 하측으로 돌출한 하단부에 후방에서 각각 별도로 근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상기 부 제어 레버(96)의 짧은 아암(98)의 선단부(101)는 모드 절환 레버(103)의 피가압연(110)에 좌측에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l. 플레이모드 레버, 중간 기어등)
[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8도, 제13도, 제15도 내지 제17도]
(l-1. 플레이모드 레버)[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8도, 제13도, 제15도]
115는 플리이모드에서 상기 2개의 릴대(22,22')의 어느것인가 한쪽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를 지지한 플레이모드 레버이다.
116은 플레이모드 레버(115)의 주부이고, 그 주부(116)는 전후방향으로 길은 거의 자상으로 굴곡되며, 후단으로 향함에 따라 폭이 넓게 되는 평판상을 하고 있으며, 그 후단연에 c자상을 한 절결(116a)의 연에 따라 연정하는 환상을 한 지지벽(117)이 설치되어 있다. 118은 축방향으로 짧은 원통상을 한 슬리브이고, 상기 지지벽(117)의 내측에 그것과 동축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그 외주면의 후부 상단에 지지벽(117)의 후부 상단과 연결되어 있다. 119는 주부(116)의 후단부 좌측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한 아암이고, 그 후단부에서 연결핀(120)이 하측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플레이모드 레버(115)는 그 슬리브(118)에 메카샤시(2)의 우측의 중간부(6)에서 하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상기 레버지지 슬리브(14)가 삽입관통됨으로써 좌우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되고, 그 연결핀(120)이 상기 모드 절환 레버(103)의 주부(104)에 형성된 결합용의 긴구멍(109)에 미끄럼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드 절환 레버(10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핀(12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그것에 의하여 플레이모드 레버(115)가 좌우방향으로 회동된다.
121은 주부(116)의 중앙부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된 기어 지지축이고, 그 기어 지지축(121)에 대경의 마찰기어(122)와 소경의 구동기어(123)가 아래에서 이 순서로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마찰기어(122)와 구동기어(123)의 하면 사이에는 마찰판 및 압착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마찰수단이 개재삽입되어 있으며, 마찰기어(122)의 회전력은 이러한 마찰수단을 거쳐 구동기어(123)에 전달된다.
그리고, 마찰기어(122)는 상기 회전구동체(38)의 기어부(40)에 전방에서 치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마찰기어(122)는 모터(35)가 회전하고 있는 사이 항시 회전되며, 모터(35)기 정회전했을 때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123)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는 구동기어(123)에 대하여 슬립하게 된다.
(l-2. 중간기어 방향 변환기어)
[제1도, 제3도, 제6도 내지 제8도, 제13도, 제15도 내지 제17도]
79a는 상기 헤드 슬라이더(69)를 지지하고 있는 가이드핀(79)의 메카샤시(2)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부분, 124는 메카샤시(2)의 N측 릴대(22)와 상기 가이드핀(79)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뒤가 낮은 축이고, 가이드핀(79)의 상측 부분(79a)에 N측 릴대(22)의 기어부(22a)와 거의 같은 직경의 중간 기어(125)가 회전 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축(124)에 상기 중간 기어(125)보다 약간 대경인 중간기어(126)가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그 중간기어(126)가 N측 릴대(22)의 기어부(22a)와 중간기어(125)에 치합되어 있다.
127은 메카샤시(2)의 전부(4)의 상면중 기어 배치구멍(9)과 R측 릴대(22')사이의 위치에서 돌출한 축이고, 그 축(127)에 구동기어(123)와 같은 직경을 가지는 소경의 방향 변환기어(128)가 회전자재로 지지되며, 그 방향 변환기어(128)가 R측 릴대(22')의 기어부(22'a)와 치합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모드 레버(115)에 지지된 상기 기어 배치구멍(9)을 통하여 위쪽으로 돌출시키며, 상기 중간기어(125)와 방향 변환기어(128)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나 플레이 모드에서는 모터(35)가 정회전함으로써 마찰기어(122) 및 구동기어(123)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플레이모드 레버(115)가 제7도에 나타나듯이 구동기어(123)를 중간 기어(125)에 치합시키는 위치(이하, 정상 모드 위치라 말한다)로 이동시키면, 그 중간기어(125)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중간기어(12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각각 회전되어 N측 릴대(22)가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며, 플레이 모드 레버(115)가 제8도에 나타나듯이 구동기어(123)를 방향 변환기어(128)에 치합시키는 위치(이하, 리버스모드 위치라 한다)로 이동 시키면 방향 변환기어(128)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히전시켜 R측 릴대(22')가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m. 플레이모드의 형성 및 해제등)
[제1도, 제7도, 제8도, 제10a도 내지 제12b도, 제18도]
그래서 정상 플레이모드, 리버스 플레이모드의 형성 및 이들 모드의 해제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 진다.
(m-1. 스톱모드)[제1도, 제10a도]
상기와 같이 스톱모드에서 주 제어 레버(85)는 흡착 위치에 캠 기어(45)는 초기 스톱우치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모드 절환 레버(103)의 제어 돌출부(111)는 제10a도에 나타나듯이 캠 기어(45)의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중간보다 약간 시계 회전방형 측부분과 보조 캠(61) 사이에서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에 접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중립 위치 규제 캠(51)은 캠 기어(45)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어돌출부(111)가 이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의 시작단부(54a)를 제외하는 부분에 접촉하고 있는 사이는 제어 돌출부(111)의 위치가 일정하게 지지되며, 이것에 의하여 모드 절환레버(103)가 제1도 및 제10a도에 나타내는 위치 즉, 그 후측부(105)의 벽부(112)가 핀치 로울러 아암 압출용의 압출 아암(34,34')을 어느것도 가압하여 있지 않은 위치(이하, 중립 위치라 한다)에 지지되고, 모드 절환레버(103)가 이 중립 위치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플레이모드 레버(115)가 제1도에 나타나듯이 구동기어(123)를 중간기어(125)와 방향 변환기어(128) 사이의 거의 중간에 위치되어 있는 위치(이하, 중립 위치라 한다)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부 제어 레버(96)의 짧은 아암(98)의 선단부(101)가 모드 절환레버(103)의 피가압연(110)에 좌측에서 근접되며 부 제어 레버(96)의 긴 아암(97)의 피가압출돌출부(100)는 캠 기어(45)의 퀵 캠(62)의 회전 궤적상에 있으며, 보스(46)에 좌경사 전방에서 근접한 곳에 위치되어 있다.
정상 플레이모드 및 리버스 플레이모드의 형성은 이러한 스톱모드에서 모터(53)가 정회전하고 다음에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개시된다.
(m-2. 정상 플레이모드의 형상)[제7도, 제10a도 내지 제10d도, 제18도]
스톱모드에서 전자 플런져(81)에 대하는 통전이 행하여지면, 상기와 같이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 해제위치로 이동되어 캠 기어(45)에 대하는 회전의 저지가 해제되고 캠 기어(45)가 헤드 슬라이더(69)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달기어(43)와 치합하는 위치까지 회전되고, 캠 기어(45)는 이 상태에서 전달기어(43)에 의하여 회전되어가게 된다.
그리고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위치에서 중심각으로서 약 40° 회전한 위치에 오면, 제1복귀 캠(58)의 시작단부가 제10b도에 1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출부(90)에 당접하여 그것을 우경사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하도록 되며 그것에 의하여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 위치로 복귀된다.
주 제어 레버(85)가 이렇게하여 흡착 위치에 복귀된 후,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우치에서 중심각으로 80° 이동한 위치에 오면, 제어돌출부(111)가 제10c도에 실선으로 나타나듯이 중립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의 종단부에 접촉하는 위치에 오고 퀵캠(62)이 동도 c에 실선으로 나타나듯이 부 제어 레버(96)의 피가압돌출부(100)에 당접하여 이것을 우경사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하도록 되며, 그것에 의하여 부 제어 레버(9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짧은 아암(98)의 선단부(101)가 모드 절환레버(103)의 피가압연(110)을 우측으로 향하여 가압한다.
즉,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위치에서 약 90° 회전하면, 그 중립 위치 규제 캠(51)의 종단이 모드 절환레버(103)의 제어돌출부(111)에서 전방으로 떨어져 행하게 되며 이 경우 모드 절환레버(103)에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어 있으므로, 그 제어돌출부(111)에 중립 위치 규제 캠(51)이 대응하지 않게되면 좌측으로 회동하게 되지만 그 전에 부 제어 레버(96)가 상기와 같이 모드 절환레버(103)를 우측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어돌출부(111)가 중립위치 규제 캠(51)에서 떨어져도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퀵 캠(62)이 피가압돌출부(100)를 가압하기 시작하면서 제10c도에 1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피가압돌출부(100)에서 떨어지기까지의 사이에 캠 기어(45)가 중심각에서 약 60° 회전하고, 이 시점에서는 제어돌출부(111)에 플레이위치 규제 캠(52)의 내주면(55)의 시작단부(55a)가 대향된다. 따라서 퀵 캠(62)이 피가압돌출부(100)에서 떨어지면 부 제어 레버(96)가 제어 스프링(95)의 제3아암(95d)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초기 자세로 복귀되어 모드 절환레버(103)에 대한 우측으로의 가압을 해제함으로, 모드 절환레버(103)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것에 의하여 제어돌출부(111)가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내주면(55)의 시작단부(55a)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규제 캠(51,52)의 내주면(54,55)의 캠 기어 중심에서의 거리는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내주면(55)쪽이 중립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보다 가깝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어돌출부(111)가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내주면(55)중 시작단부(55a) 이외의 부분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에서 약간 우측으로 기울은 위치, 즉 제7도 및 제10d도에 나타내는 정상모드 위치로 이동되어 이 위치에 지지된다.
그리고 캠 기어(45)는 모드 절환레버(103)의 제어돌출부(111)가 플레이 위치규제 캠(52)에 접촉한 후 중심각에서 약 130° 회전한 곳에서 중간 스톱위치에 도달하고 이 상태에서 제어돌출부(111)는 제10d도에 나타나듯이 플레이 위치규제 캠(52)의 내주면(55)의 종단부(55b)와 접촉한 상태로 된다.
모드 절환레버(103)가 정상모드 위치에 오면, 플레이모드 레버(115)가 제7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정상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고, 모드 절환레버(103)의 좌측벽부(112)가 죄측의 압출아암(34)의 피가압돌출부(34a)를 가압하여 압출아암(34)을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며, 그것에 의하여 압출아암(34)의 가압돌출부(34b)가 죄측의 압착 스프링(33)의 다른쪽 아암(33c)의 선단부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핀치 로울러 아암(31)을 전방으로 회동되어 핀치 로울러(32)를 캡스턴(20)에 압착된다.
상기와 같이 캠 기어(45)가 중간 스텝위치에 오면 자기헤드(30)가 자기테이프(18)와 접촉된다.
그러나 자기테이프(18)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캡스턴(20)과 핀치 로울러(32)에 의하여 끼워져 정상방향으로 주행시키고 N측 릴대(22)가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상태가 정상 플레이 모드이고,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정상 플레이 모드는 스톱 모드에서 전자 플런져(81)에 대하는 통전이 1회 행해짐으로서 형성된다.
(m-3. 리버스 플레이모드의 형성)[제8도, 제11a도 및 제11c도, 제18도]
리버스 플레이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동작은 그 초기 단계에서 정상 플레이모드의 형성 동작과 마찬가지로 행하여지지만, 캠 기어(45)가 회전을 개시한 후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전자 플런져(81)에 대한 통전이 재차 행하여짐으로서 도중에서 정상 플레이모드의 형성 동작과 다른 동작이 행하여진다.
상기와 같이 정상 플레이모드가 형성될때는 캠 기어(45)의 퀵 캠(62)이 부 제어 레버(96)를 거쳐 모드 절환레버(103)를 우측으로 가압하고, 그것에 의하여 모드 절환레버(103)의 제어돌출부(111)가 중립 위치 규제 캠(51)에서 떨어진 후는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내주면(55)과 접촉하여 안내시키도록 되지만, 리버스 플레이모드가 형성되는 경우는 퀵 캠(62)에 의한 모드 절환레버(103)에 대한 상기 가압이 개시된 직후에 전자 플런져(81)에 대한 통전이 행하여져 모드 절환레버(103)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즉, 리버스 플레이모드가 형성되는 경우에서도 퀵 캠(62)이 부 제어 레버(96)의 피가압돌출부(100)를 일단은 가압하지만, 그 가압이 개시된 직후에 전자 플런져(81)에 대하는 2회째의 통전이 행하여지며, 그것에 의하여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 해제 위치로 이동되며, 익서에 의하여 부 제어 레버(96)는 제11a도에 나타나듯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회동하여 그 피가압돌출부(100)와 퀵 캠(62)의 결합을 해제하면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부 제어 레버(96)는 퀵 캠(62)에 의하여 가압되므로서 일단은 모드 절환레버(103)를 우측으로 향하여 가압하지만 그 직후에 좌측으로 피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모드 절환레버(103)의 제어돌출부(111)는 제11a도에 나타나듯이 중립위치 규제 캠(51)의 종단과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시단 사이의 통로상의 공간에 대응한 곳에 대응한 곳에 있으며 따라서 모드 절환레버(103)는 전자 플런져(81)에 2회째의 통전이 행해짐과 동시에 제11b도에 나타나듯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회동은 모드 절환레버(103)가 이것에 부세되어 있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만으로 이동하는 것이 간으한 위치, 즉 우측의 벽부(112)가 우측의 압출아암(34') 및 압착 스프링(33')의 다른쪽 아암(33'c)을 순차 거쳐 가압 함으로써 핀치 로울러(32')를 캡스턴(20')에 가볍게 접촉되는 위치(이하, 불완전 리버스모드 위치라 한다)에 오기까지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어돌출부(111)가 중립위치 규제 캠(51)의 종단에서 좌측으로 떨어진 직후에 플레이 위치 규제 캠(52)의 외주면(53)의 시작단부(53a)가 제어돌출부(111)에 접촉하여 그 제어돌출부(111)를 좌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제어돌출부(111)는 캠(52)의 외주면(53)중 시작단부(53a) 이외의 부분과 접촉한 상태에서 일정 위치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에서 약간 좌측으로 기울어진 위치, 즉 제8도 및 제11c도에 나타내는 리버스모드 위치에 지지된다.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위치에서 약 205° 회전한 위치까지 오면, 제3복귀 캠(60)이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돌출부(90)에 맞닿아 그것을 우측으로 가압하고, 그것에 의하여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부 제어 레버(96)는 그 짧은 아암(98)의 선단부(101)가 모드 절환레버(103)의 피가압연(110)에 맞닿아 상대적으로 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회동된다.
캠 기어(45)가 중간 스톱위치에 온 상태에서 제어돌출부(111)는 제11c도에 나타나듯이 플레이위치 규제 캠(52)의 외주면(53)의 종단부(53b)와 접촉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하여, 모드 절환레버(103)가 리버스모드 위치에 오면, 플레이모드레버(115)가 제8도에 나타나듯이 상기 리버스모드 위치로 이동되고, 핀치 로울러(32')가 자기테이프(18)를 끼우지만, 캡스턴(20')에 압착된다.
그러나, 자기테이프(18)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캡스턴(20')가 핀치로울러(32')에 의하여 끼워져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R측 릴대(23)가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상태가 리버스 플레이모드이고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리버스 플레이 모드는 스톱모드에서 전자 플런져(81)에 대한 통전이 2회 행하여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m-4. 플레이모드의 해제)[제12a도, 제12b도, 제18도]
이렇게하여 형성된 플레이모드는 전자 플런져(81)에 대한 통전이 행하여짐으로서 해제된다.
즉, 상기와 같이 캠 기어(45)가 중간 스텝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1)에 대한 통전이 행하여지면,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 해제위치로 이동되어 캠 기어(45)가 슬라이더(69)의 가압력에 의하여 전달기어(43)와 치합하는 위치까지 회동되고 캠 기어(45)는 이 상태에서 전달기어(43)와 치합하는 위치까지 회동되고 캠 기어(45)는 이 상태에서 전달기어(43)에 의하여 회전되어가게 된다.
그리고 캠 기어(45)가 전달기어(43)와 치합하는 것과 동시에, 제12a도(이 도면은 정상 플레이모드에서의 해제 개시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에 나타나듯이 제2복귀 캠(59)이 주 제어 레버(85)의 스토퍼 돌출부(90)에 맞닿아 그것을 우측으로 가압하고, 이것에 의하여 주 제어 레버(85)가 흡착위치로 복귀되며, 그 직후에 제어돌출부(111)가 플레이위치 규제 캠(52)의 종단에서 떨어져 모드 절환레버(103)가 상기 불완전 리버스모드 위치로 이동된다. 이 이동은 그것가지의 플레이모드가 정상 플레이모드일 때는 우선 그때까지 핀치 압착 스프링(33)을 가압하여 있던 것에 의한 반력으로, 다음에 모드 절환레버(103) 자체의 회동력에 의하여 행하여지며, 그때까지의 플레이모드가 리버스 플레이모드일때는 그때까지 핀치 압착스프링(33')을 가압하고 있던 것에 의한 반력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때 부 제어 레버(96)는 그 짧은 아암(98)의 선단부(101)가 모드 절환 레버(103)의 피가압연(110)에 맞닿아 상대적으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 직후에 중립위치 규제 캠(51)의 내주면(54)의 시작단부(54a)가 제12b도에 나타나듯이, 제어돌출부(111)에 좌경사 후방에서 접촉하여 그 제어돌출부(111)를 가압하고, 제어돌출부(111)가 캠(51)의 내주면(54)중 시작단부(54a) 이외의 부분과 접촉하도록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에 복귀되며 캠 기어(45)는 초기 스톱위치에 복귀한 곳에서 회전을 저지시킨다.
그러나,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로 복귀됨으로써 핀치 로울러(32) 또는 (32')가 캡스턴(20,20')에서 이간되어 자기테이프(18)의 주행이 정지되고, 플레이모드 레버(115)가 중립위치로 복귀되어 릴대(22 또는 22')의 회전이 정지되고, 헤드 슬라이더(69)가 대기 위치로 후퇴되어 자기헤드(30)가 자기테이프(18)에서 이간된다.
이렇게하여 플레이 모드가 해제된다.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에 복귀되면 그 피가압연(110)이 부 제어레버(96)의 선단부(101)에서 우측으로 피함으로 부 제어 레버(96)가 초기 자세로 복귀된다. 모터(35)의 회전은 후술하는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신호변화에 의하여 정지된다.
(n. 모드 기억수단)[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9c도, 제18도]
129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플레이모드가 정상 플레이모드인지 리버스 플레이모드인지를 기억시켜두기 위한 모드 기억수단이고, 모드 기억용의 스위치를 갖추고, 플레이 모드 선택용의 조작보턴이 눌러졌을 때는 상기 스위치의 상태에 따른 종류의 플레이모드, 즉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플레이모드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n-1. 스위치 조작레버)[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내지 제8도]
130은 후술하는 메모리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레버이다.
그 스위치 조작레버(130)는 위쪽에서보아 좌우방향으로 세장인 틀상을 하고 어느정도 높이를 가지는 피가이드부(131)와, 그 피가이드부(131)의 우단면의 하단부에서 우측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연결부(132)와, 피가이드부(131)의 좌단면에서 좌측으로 향하여 설치하고 위쪽에서 보아 전방으로 향하여 개구한 ㄷ자 형상의 스위치 조작부(1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며 피가이드부(131)의 후측면의 상단부에서 스프링 걸림편(134)이 설치되며, 연결부(132)의 우단부에 작은 연결구멍(135)이 형성되어 있다.
136은 메카샤시(2)의 좌측 중간부(5)에 설치된 가이드핀이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레버(130)는 그 피가이드부(131)의 긴구멍(131a)에 상기 가이드핀(136)이 미끄럼자재로 결합되고 연결구멍(135)에 상기 모드 절환레버(103)의 연결부(107)에 형성된 연결돌출부(107a)가 회전자재로 삽입되고 스프링괘편(134)과 메카샤시(2)의 후부(3)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걸림돌기(10)에 인장스프링(137)의 양단부자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조작레버(130)는 그 우단부가 모드 절환레버(103)의 회동단부와 연결되며, 인장스프링(137)의 인장력에 의한 좌측으로의 이동력이 상시 부세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모드 절환레버(103)에 상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세하고, 모드 절환 레버(103)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103)의 이동에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위치 조작레버(130)는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에 와 있을 때는 그 이동 범위에 있어서 중간의 위치 즉 제1도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중립위치라 한다)로 지지되며, 모드 절환레버(103)가 정상모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는 이동범위에 있어서 우측의 위치, 즉 제7도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정상위치라 한다)로 이동되며, 모드 절환레버(103)가 리버스모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는 이동범위에 있어서 좌단의 위치, 즉, 제8도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리버스위치라 한다)로 이동된다.
스위치 조작부(133)의 좌단부(133a)(이하, 제1가압부라 한다)와 우단부(133b)(이하, 제2가압부라 한다) 사이의 거리는 스위치 조작레버(130)의 이동스트로크, 즉 정상위치와 리버스위치 사이의 거리와 거의 같은 길이로 되어 있다.
(n-2. 메모리 스위치)[제1도, 제6도 내지 제8도]
138은 슬라이더 스위치 형식의 메모리스위치이고, 메카샤시(2)의 하면에 약간 간격을 가져 평행으로 대향한 회로기관(139)(제6도 참조)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140은 메모리스위치(138)의 케이싱, 141은 케이싱(140)에 미끄럼자재로 지지된 가동자이고, 그 가동자(141)은 제1도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1위치와 동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시키고, 이들 2개의 위치에서 클리 스톱을 걸치도록 되어 있으며, 메모리스위치(138)는 가동자(141)가 이들 2개의 위치에 옴으로써 다른 접속상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자(141)의 이동 스트로크는 그 가동자(141)의 이동방향에 있어서 폭과 거의 같은 길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 조작레버(130)의 이동 스트로크는 가동자(141)의 이동 스트로크의 약 2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메모리스위치(138)는 그 가동자(141)의 이동방향이 좌우방향으로 되는 방향에서 가동자(41)의 선단부가 스위치 조작레버(130)의 2개 가압부(133a,133b) 상이에 위치되며,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중립위치에 와 있을 때는 상기 2개의 가압부(133a,133b)의 모두가 가동자(141)의 위치 여하에 구속되지 않고 그것을 이동시키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n-3. 모드의 기억)
상기 같이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에 와 있을 때는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중립위치에 지지된다.
그래서 모드 절환레버(103)가 정상모드 위치에 이동하면,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정상위치로 이동됨으로 그 스위치 조작레버(130)의 제1가압부(133a)가 가동자(141)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가동자(141)는 스위치 조작레버(130)의 정상위치로의 이동이 개시하기전의 상태에서 제1위치에 와 있었을 때는 제1가압부(133a)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1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상태에서 이미 제1위치에 와 있었을 때는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가동자(141)에 접하지 않고 우측으로 이동할뿐이고, 제1위치에 남게된다.
그리고 이 상태, 즉 가동자(141)에 와 있는 상태에서 모드 절활레버(103)가 중립위치로 돌아와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중립위치로 이동되어도 가동자(141)는 제1위치에서 움직이 않는다.
따라서 정상 플레이모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스톱모드로 되어도 가동자(141)는 제1위치에 지지된다.
모드 절환레버(103)가 리버스모드 위치로 이동되면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리버스위치로 이동됨으로 그 스위치 조작레버(130)의 제2가압부(133b)가 회동자(141)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가동자(141)는 스위치 조작레버(130)의 리버스위치로의 이동이 개시되기 전의 상태에서 제1위치에 와 있었을 때는 제2가압부(133b)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2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상태에서 이미 제2위치에 와 있었을 때는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가동자(141)에 접하지 않고 이동할 뿐이고 제2위치에 남게된다.
그리고 이 상태 즉 가동자(141)가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모드 절환레버(103)가 중립위치로 복귀하여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중립위치로 이동되어도 가동자(141)는 제2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리버스 플레이모드가 형성된 상태에서 스톱모드로 되어도 가동자(141)는 제2위치에 지지된다.
그러나 플레이모드에서 스톱모드로 되어도 메모리스위치(138)의 가동자(141)는 이동시키는 것이 없으므로 메모리스위치(138)의 접속상태는 스톱모드로 되기전의 플레이모드의 종류에 따른 상태가 지지된다.
빨리감기모드나 되감기모드의 형성은 캠 기어(45)를 회전시키지 않고 행함으로써 이들 모드에서는 모드 절환레버(103)나 스위치 조작레버(130)가 작동되는 것 없고, 따라서 플레이모드가 해제된 후에 이들 빨리감기모드나 되감기모드가 형성되어도 메모리스위치(138)에 있어서 접속상태가 변화되는 것은 없다.
(n-4. 직전의 플레이모드의 형성)[제1도, 제6도, 제9도 내지 제9c도, 제18도]
142는 트리거 스위치(제1도, 제9a,b,c,d도 참조)이고, 플레이모드의 형성동작이 개시되었을때 상기 메모리(138)에 있어서 접속상태를 읽는 타이밍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143은 트리거스위치(142)의 케이싱이고, 그 케이싱(143)에서 스프링탄성을 가지는 2개의 접촉편(144,145)이 서로 평행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한쪽의 접촉편(144)의 다른쪽 접촉편(145)에 대향하는 면의 선단부에 접점(144a)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리거스위치(142)는 상기 회로기관(139)의 상면에 2개의 접촉편(144와 145)이 전후방향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되고, 접촉편(144 및 145)의 선단부가 상기 헤드 슬라이더(69)의 전단부에 취착된 스위치 가압부재(76)의 전방으로 배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헤드 슬라이더(69)가 대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소정의 위치까지 오면, 스위치 가압부재(76)가 트리거스위치(142)의 한쪽의 접촉편(144)에 맞닿고, 헤드 슬라이더(69)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9b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나듯이, 한쪽 접촉편(144)의 접점(144a)이 다른쪽 접촉편(145)에 접촉되며, 그것에 의하여 트리거스위치(142)에서 제어회로의 시스템기어로의 소정의 신호(이하, 온 신호라 한다)가 출력된다.
이 온 신호가 출력되는 타이밍, 즉 2개의 접촉편(144와 145)이 접촉하는 타이밍은 캠 기어(45)의 퀵 캠(62)이 부 제어 레버(96)의 피가압돌출부(100)에 맞닿는 것과 거의 같은 타이밍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에서는 상기 온 신호를 트리거로 상기 메모리스위치(138)에 있어서 접속상태의 종류 즉 가동자(141)가 제1장치에 와 있을때의 접속상태(이하, 제1접속 상태라 한다)인지 제2위치에 와 있을때의 접속상태(이하, 제2상태라 한다)인지를 읽으며, 그것이 제1접속 상태인 경우는 전자 플런져(81)에 대하는 통전을 행하지 않고 제2접속 상태인 경우는 전자 플런져(81)에 대하는 통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메모리스위치(138)의 접속상태가 제1접속 상태인 경우 즉 해당 플레이모드의 형성동작이 개시되지 전의 플레이모드가 정상 플레이모드인 경우는 퀵 캠(62)에 의한 부 제어 레버(96)의 피가압돌출부(100)에 대하는 가압이 도중에서 해제되지 않고 완수되므로 모드 절환레버(103)가 정상모드 위치로 이동되어 정상 플레이모드가 형성되고 메모리스위치(138)의 접속상태가 제2접속 상태인 경우, 즉 해당 플레이모드이 형성 개시전의 플레이모드가 리버스 플레이모드인 경우는 퀵 캠(62)에 의한 부 제어 레버(96)의 피가압돌출부(100)에 대하는 가압이 도중에서 해제되고, 그것에 의하여 모드 절환레버(103)가 리버스모드 위치로 이동되어 리버스 플레이모드가 형성된다.
그러나, 스톱모드나 빨리감기모드 또는 되감기모터를 선택하는 조작보턴이 가압되었을 때 직전에 형성되어 있던 플레이모드의 종류와 같은 종류의 플레이모드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플레이모드가 해제될때는 헤드 슬라이더(69)가 후퇴되고, 이때 소정의 타이밍에서 스위치 가압부재(76)에 의한 한쪽의 접촉편(144)에 대하는 가압이 해제됨으로, 그것에 의하여 2개의 접촉편(144,145)이 서로 이간하여 상기 온 신호와 다른신호가 제어회로로 출력되며, 제어회로에서는 이 신호를 트리거로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모터(35)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o. 고속 모드레버, 고속 회전기어)
[제1도, 제3도,제4도, 제6도, 제13도, 제15도 내지 제17도]
(o-1. 고속 모드레버)
[제1도, 제3도,제4도, 제6도, 제13도, 제15도 내지 제17도]
146은 빨리감기모드 또는 되감기모드에서 2개의 릴대(22,22')의 어느것인가 한쪽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2개의 고속 회전기어를 지지한 고속 모드레버이다.
147은 고속 모드레버(146)의 주부이며, 그 중앙부에 원형을 한 큰 지지구멍(148)이 형성되며, 그 지지구멍(148)의 좌우 양쪽의 부분(147a)은 원형을 하고 있으며, 그 나머지 부분보다 조금 낮은위치에 있으며 이 부분(147a)에서 기어 지지축(149)이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부분(147a)중 좌측것의 좌측연에서 아암(150)이 좌측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151은 고속 모드레버(146)의 후부편이고, 주부(147)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하고, 그 전부에 구형을 한 구멍(152)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 하면에 원주상을 한 작은 결합돌기(15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속 모드레버(146)는 메카샤시(2)의 하면에 위치되며, 지지구멍(148)에 상기 플레이모드 레버(115)의 환상을 한 지지벽(117)이 회동자재로 내감시킴으로써 그 지지벽(117)에 수평방향으로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그 결합돌기(153)가 캠 기어(45)의 상면(45b)에 형성된 상기 센터링 홈(65)에 미끄럼자재로 결합되어 있다.
전단기어(43)를 지지하고 있는 기어지지축(44)는 고속 모드레버(146)에 형성된 구멍(152)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o-2. 고속 회전기어 고속 모드레버의 회동력)
[제1도, 제3도, 제4도, 제6도, 제13도, 제15도 내지 제17도]
154 및 155는 고속 회전기어이고, 각각 평기어를 하고 서로 동축인 대기어(154a,155a)와 소기어(154b,155b)가 위에서 이러한 순서로 위치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며, 그 중심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한 지지구멍(1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기어(154a,155a)는 릴대(22,22')의 기어부(22a,22'a)와 겅의 같은 직경을 가지고 소기어(154b,155b)는 상기 고속 모드레버(46)의 주부(147)의 좌우 양단부(147a)의 직경보다 조금 작게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속 회전기어(154 및 155)는 그 지지구멍(156)에 고속 모드레버(146)의 기어 지지축(149)이 삽입관통시킴으로써 고속 모드레버(146)에 회전자재로 지지되며, 상기 기어 지지축(149)의 상단부에 계착된 스프링수좌(157)(제13도 참조)와 대기어(154a,155a)의 하면 사이에 개삽된 압축스프링(158)(제13도 참조)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고속 모드레버(146)와 그 사이에 적당한 강도의 마찰력을 생기도록 접하여 있다.
이들 고속 회전기어(154,155)의 대기어(154a,155a)는 상기 회전 구동체(38)의 기어부(40)의 상단부에 좌우 양측에서 각각 별도로 치합되고, 좌측의 고속 회전기어(154)(이하,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라 한다)의 대기어(154a)는 상기 중간기어(125), 즉 상기 플레이모드에서 상기 구동기어(123)가 치합되는 기어에 후방에서 대향되고 우측의 고속 전 기어(155)(이하, 되감기용 고속 회전기어라 한다)의 대기어(155a)는 R측 릴대(22')의 기어부(22'a)에 후방에서 대향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체(38)가 회전하면 고속 회전기어(154,155)가 회전되고 그리고 이들 고속 회전기어(154,155)는 고속 모드레버(146)에 적당한 강도로서 접하고 있으므로 고속 모드레버(146)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지 않을때는 이들 기어(154,155)의 회전이 고속 모드레버(146)을 회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하고, 고속 모드레버(146)이 회동이 저지되어 있을때는 고속 모드레버(146)에 대하여 슬립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모터(35)가 정회전하여 회전구동체(38)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고속 모드레버(146)에 시계 회전방형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고 고속 회전기어(154,155)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모터(35)가 역전하여 회전구동체(38)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고속 모드레버(146)에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고 고속 회전기어(154,155)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속 모드레버(146)의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 타이밍은 후술하는 제어 캠 기구에 의하여 제어된다.
(o-3. 센터링 고속 주행모드)[제15도 내지 제17도]
(o-3-a. 고속 모드레버의 센터링)[제17도]
고속 모드레버(146)는 플레이 모드에서 소정의 위치에 록되며, 스톱 모드에서 상기 록을 해제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속 모드 레버(146)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돌기(153)는 캠 기어(45)의 상면에 형성된 센터링 홈(65), 즉 그 대부분(67)이 결합돌기(153)의 크기와 거의 같은 폭의 홈에 미끄럼자재로 결합되어 있으며, 고속 모드레버(146)가 회동하기 위하여는 이 결합돌기(15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 필요하고, 그리고 결합돌기(153)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상기 센터링 홈(65)의 폭넓은 부분 즉 해제부(66)가 우측으로 좌우 방향에서 길게 되는 방향으로된 상태만이고, 이러한 상태로 되는 것은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스톱 모드에서만 예를들면 제15도, 제16a 내지 제16c도 등에 나타나듯이 센터링 홈(65)의 해제부(66)내에 위치됨으로써, 고속 모드레버(146)는 이 상태에서만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며, 캠 기어(45)가 초기 스톱 위치 이외의 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플레이모드와 그 전후의 플레이모드 형성 과정 및 플레이모드 해제 과정에서는 결합돌기(153)가 예를들면 제17도에 나타나듯이 센터링 홈(65)의 센터링부(67)와 결합됨으로, 이 사이는 고속 모드레보(146)의 위치가 록된다.
그리고 고속 모드레버(146)는 이 록이 행하여져 있는 상태에서 2개의 고속 회전기(154 및 155)의 모두가 중간기어(125), R측 릴대(22')와 치합되어 있지 않는 위치 즉 제1도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중립위치라 한다)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모터(35)가 정회전하고 있으므로, 회전 구동체(38)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2개의 고속 회전기어(154 및 155)는 각각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o-3-b. 빨리감기모드, 되감기모드)[제15도, 제16c도]
스톱모드로 되면, 고속 모드레버(146)의 중립위치에 있어서 록이 해제됨으로, 이 상태에서 모터(35)가 정회전했을 때는 고속 모드레버(146)가 후술하는 제어 캠 기구에 의한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이동 저지가 해제되는 것을 조건으로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6c도에 나타나듯이,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가 중간기어(125)와 치합하는 위치(이하, 제1위치라 한다)까지 이동하고, 그것에 의하여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중간기어(125)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중간기어(12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각각 회전되어 N측 릴대(22)가 시계 회전방향, 즉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고속으로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로크 해제 상태에서 모터(35)가 역전 했을때는 고속 모드레버(14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5도에 나타나듯이 되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5)가 R측 릴대(22')의 기어부(22'a)와 치합하는 위치(이하, 제2위치라 한다)까지 이동하고 그것에 의하여 되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5)가 시계 회전방형으로 회전되어 R측 릴대(22')가 반시계 회전방향, 즉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고속으로서 회전된다.
그러나 스톱모드에서 모터(35)가 정회전했을 때, 빨리감기 모드가 형성되고, 스톱 모드에서 모터(35)가 역전 했을 때 다기 감기 모드가 형성된다.
(p. 제어 캠 기구)[제1도, 제2도, 제4도, 제6도, 제14도 내지 제17도, 제19도, 제20도]
그런데 상기와 같이 빨리감기모드와 플레이모드에서는 모터(35)의 회전방향이 같으며, 플레이모드를 형성할때는 캠기어(45)의 초기 스톱위치에 있어서 록을 해제하기 전에 모터(35)의 회전을 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플레이모드의 형성 동작이 개시하면, 빨리감기모드의 형성 동작시와 같은 고속 모드레버(146)에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됨으로 그 결합돌기(153)가 센터링 홈(65)의 해제부(66)중, 캠 기어(45)의 중심측단부에 오므로써 이 상태에서 캠 기어(45)의 초기 스톱위치에 있어서 록을 해제하여도 캠 기어(45)가 원활하게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캠 기어(45)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그 이전에, 고속 모드레버(146)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가 중간기어(125)에 치합되어 N측 릴대(22)가 고속으로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회전되며, 자기테이프(18)에 토크가 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핀치 로울러(32,32')가 캡스턴(20,20')에 압착됨으로, 플레이모드의 개시 시점에 있어서 테이프의 주행이 극히 불안정하게 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불안정한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 모터(35)가 정회전을 개시하여도 고속 모드레버(146)가 시계 회전방형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고속 모드레버(146)에 대하여 이러한 동작의 규제를 행하는 것이 규제 캠 기구(159)이며, 제어 캠 기구(159)는 고속 모드레버(146)의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동작을 저지하는 저지 위치와 그러한 저지를 해제하는 저지 해제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설치된 캠 스라이더와, 상기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와 협동하여 캠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고속 회전기어(154)와 협동하여 캠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편심기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p-1. 구조)
(p-1-a. 캠 슬라이더)
160은 캠 슬라이더이다.
161은 캠 슬라이더(160)의 주부이고, 위쪽에서 본 외형이 좌우방향으로 긴구형을 한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의 우단부의 위치에 역 L자상을 한 돌출부(162)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162)의 후방을 향한 면(162a)(이하, 저지면이라 한다)의 우단에 연속한 면(162b)은 우경사 후방을 향한 곡면으로 되어 있다. 주부(161)의 전측연의 좌단부는 그 나머지 부분에서 약간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이 돌출한 부분에서 스프링 지지핀(163)이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164는 캠 슬라이더(160)의 피가이드부이고, 좌우방향으로 세장형이며, 어느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그 좌단부가 주부(161)의 좌단부와 연속하여 두고, 좌우방향으로 긴 가이드구멍(164a)이 형성되며, 그 전측면의 상단부 좌단에서 스프링 괘부(165)가 전방으로 향하여 설치되며, 그 우단면(164b)의 상단부에서 포크상을 한 피가이드편(166)이 우방으로 향하여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p-1-b. 편심기어 클릭스프링)
167은 상기 캠 슬라이더(160)의 우단부에 지지된 편심기어이다.
그 편심기어(167)는 그 중앙부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지지구멍(168)이 형성되고, 그 지지구멍(168)을 끼워 서로 반대측의 2개부분(169)의 형상이 점대칭을 이루고, 서로 반대측의 2개측단부(170)가 호상에 연장하는 티쓰부로 되어 있으며, 이들 티쓰부(170)는 위쪽에서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에 있어서 선단으로 행함에 따라 지지구멍(168)에서의 거리가 차차로 길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이들 2개의 티쓰부(170)의 중심은 편심기어(167)의 회전중심에서 떨어진 곳에 있다.
171은 편심기어(167)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클릭 돌출부이고 작은판형을 하고 있으며, 상기 2개의 티쓰부(170)에 대한 방향은 서로 평행으로 평탄한 2개의 측면(172)(이하 스톱면이라 한다) 이 티쓰부(170)측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위치하고 있다.
편심기어(167)의 티쓰부(170) 이외부분의 측연(173) 즉 티쓰부(170)중 편심기어(167)의 회전중심에서의 거리가 가장 긴 단부(170a) 이하 최장단부라 한다)와 상기 거리가 가장 짧은 단부(170b)(이하 최단단부라 한다) 사이의 측연은 편심기어(167)의 중심측으로 향하여 오목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174는 캠 슬라이더(160)의 우단부 상면에 고정된 지지축이고, 그 상단부에 플런져부(174a)가 형성되고, 그 플런져부(174a)에서 아래쪽 부분이 편심기어(167)의 지지구멍(168)에 회전자재로 삽입관통되고, 이것에 의하여 편심기어(167)가 캠 슬라이더(160)의 우단부에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175는 집게형 스프링상을 한 클릭스프링이고, 그 코일부(175a)가 캠 슬라이더(160)의 상기 스프링 지지핀(163)에 바깥끼움상 형태로 지지되고, 한쪽의 아암(175b)의 선단부가 편시기어(167)의 틀릭 돌출부(171)에 전방에서 접하게 되며 다른쪽의 아암(175c)의 선단부가 캠 슬라이더(160)의 피가이드부(164)의 전면에 접하여 있다.
따라서, 편심기어(167)는 클릭돌출부(171)의 스톱면(172)의 한쪽에 클릭스프링(175)의 한쪽 아암(175b)이 평행으로 접촉함으로써 클릭스톱을 걸치도록 되어 있다.
(p-1-c. 메카샤시로의지지)
176 및 177은 메카샤시(2)의 좌측 중간부(5)의 하면에서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된 가이드편 그리고 캠 슬라이더(160)는 그 피가이드부(164)에 형성된 가이드구멍(164a)과 피가이드편(166)에 형성된 슬릿(166a)과 피가이드편(166)에 형성된 슬릿(166a)에 상기 가이드핀(176,177)이 각별로 미그럼자재로 결합됨으로써 일정의 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가 되도록 지지되며, 그 스프링 걸림부(165)와 메카샤시(2)의 좌측 중앙부(5)의 우단부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걸림돌기(11)에 인장스프링(179)의 양단이 걸림부착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상기 우측으로 이동력을 부세기키고 있다.
편심기어(167)는 상기 고속 모드레버(146)에 지지된 빨리감기용 고속회전기어(154)가 소기어(154b)에 좌측에서 대향하고 고속 모드레버(146)의 아암(150)은 캠 슬라이더(160)의 주부(161)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62)에 우측으로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헤드 슬라이더(69)의 좌측부의 거의 중앙부는 캠 슬라이더(160)의 주부(161)와 피가이드편(166) 사이에 위치되고 따라서 그 좌측연이 캠 슬라이더(160)의 피가이드부(164)의 우단면(164b)과 대향하고 있다.
(p-2. 작용)
이렇게 구성된 제어 캠 기구(159)에 의한 고속 모드레버(146)에 대한 제어는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
(p-2-a. 초기상태)[제1도, 제16a도, 제19도, 제20도]
제어 캠 기구(159)의 초기 상태, 즉 스톱 모드에 있어서의 상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스톱 모드에서는 제1도 및 제16a도에 나타나듯이 캠 슬라이더(160)가 그 가이드구멍(164a)의 좌단이 가이드핀(176)에 당접하여 극서 이상 우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시킨 위치(이하, 저지위치라 한다)에 와 있으며, 고속 모드 레버(146)의 아암(150)이 선단부가 캠 슬라이더(160)의 돌출부(162)의 저지면(162a)에 후방에서 접촉 혹은 근접되어 있으며,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의 소기어(154b)에 편심기어(167)의 티쓰부(170)의 최단 단부(170b)의 어느것인가 한쪽이 경사 전방에서 치합되어 있다.
스톱 모드에서 헤드 슬라이더(69)의 캠부(77)는 캠 슬라이더(160)의 피가이드부(164)의 우단면(164b)에 후방에서 근접한 곳에 와 있다.
고속 모드레버(146)은 그 아암(150)이 캠 슬라이더(160)의 저지면(162a)에 맞닿아 있는 상태로서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된다.
(p-2-b. 빨리감기모드 형성시에 있어서의 제어)[제16a도내지 제16c도, 제19도]
그래서 스톱모드에서 모터(35)가 정회전하면, 고속 모드레버(146)에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됨으로 고속 모드레버(146)가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하지만, 그 아암(150)이 캠 슬라이더(160)에 저지면(162a)에 맞닿아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시킴으로, 고속 모드레버(146)는 제1위치로의 이동을 저지시킨다. 즉 모터(35)의 정회전이 개시하여도 즉시 제1위치로 이동하지 않아 중립위치에 지지된다.
따라서, 고속 회전 기어(154, 155)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리고,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 기어(154)의 소기어(154b)에는 편심 기어(167)의 한쪽 티쓰부(170)가 치합되어 있으므로, 모터(35)의 회전 개시와 동시에 편심 기어(167)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티쓰부(170)는 상기와 같이 편심하고 있으므로 편심기어(167)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티쓰부(170)의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에 치합하는 위치의 회전중심에서의 거리가 차차 길게 되어가고 따라서 편심기어(167)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가게 된다. 즉 편심기어(167)가 회전을 개시하면, 그 편심기어(167)와 이것을 지지하고 있는 캠 슬라이더(160)가 인장스프링(17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일체적으로 좌측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그 저지면(162a)이 고속 모드레버(146)의 아암(150)에서 차례로 좌측으로 피하여가게 된다.
편심기어(167)가 이렇게 회전시킬때는 그 클릭 돌출부(171)의 스톱면(172)중 그것 이전에 클릭스프링(175)의 한쪽 아암(175b)이 접촉되어 있던쪽의 좌단이 상기 아암(175b)를 그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가압하고, 중심각에서 약 90° 회전한 곳에서 클릭돌출부(171)의 긴쪽방향에 있어서 단면(179)의 한쪽이 상기 아암(175b)과 접촉하여 클릭스프링(175)의 탄성반발력을 최대로 높히고, 이상태를 넘으면 클릭스프링(175)의 한쪽 아암(175b)의 탄성반발력이 클릭돌출부(171)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서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캠 슬라이더(160)가 그 편심기어(167)가 제16b도에 나타나듯이 티쓰부(170)의 최장단부(170b)가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의 소기어(154b)와 치합하는 위치(이하, 저지 해제 위치라 한다)의 바로 앞 위치까지 온 곳에서 고속 모드레버(146)의 아암(150)의 선단에는 캠 슬라이더(160)의 돌출부(162)의 곡면(162b)이 전방에서 대향하도록 되며, 이것에 의하여 고속 모드레버(146)에 대하는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이동 저지가 서서히 해제됨으로 고속 모드레버(146)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기시작한다. 그리고,캠 슬라이더(160)가 상기 저지해제 위치에 오는 것과 동시에 빨리감기용 고속 회전기어(154)의 대기어(154a)가 중간기어(125)와 치합되고, 티쓰부(170)의 소기어(154b)의 치합이 떨어지고, 그것에 의하여 편심기어(167)가 클릭스프링(175)의 한쪽 아암(175b)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제16c도에 나타내는 위치, 즉 클릭돌출부(171)의 스톱면(172)에 상기 아암(175b)이 평행으로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되어 클릭스톱을 걸게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캠 슬라이더(160) 돌출부(162)의 곡면(162b)의 전단부 위치, 즉 우방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고속 모드레버(146)의 아암(150)의 선단이 맞닿고, 이것에 의하여 캠 슬라이더(160)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캠 슬라이더(160)가 인장스프링(17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저지 해제위치에 지지된다.
그러나 캠 슬라이더(160)는 편심기어(167)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반회전함으로서 저지위치에서 저지 해제위치로 이동되고 빨리감기 모드는 캠 슬라이더(160)가 이렇게하여 저지 해제위치에 오는 것과 동시에 형성되고 캠 슬라이더(160)는 빨리감기모드가 해제되기까지, 즉 고속 모드레버(14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아암(150)의 선단이 돌출부(162)보다 후방으로 이동되기까지, 인장스프링(178)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저지 해제위치에 지지된다.
이렇게 형성된 빨리감기모드의 해제는 모터(35)가 일시적으로 역전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 동작에 대하여는 후에 설명한다.
(p-2-c. 플레이모드 형성시에 있어서의 제어)[제17도, 제20도]
상기와 같이 모터(35)의 정회전이 개시하여 고속 모드레버(146)가 즉시 시계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없이 그 이동이 가능하게 되기까지 일정의 시간, 즉 캠 슬라이더(160)가 저지 위치에서 저지 해제위치로 이동하는데 요하는 시간이 걸리고 플레이모드의 형성 개시시에 있어서 플런져(81)에 대한 통전은 이 사이에 행하여진다.
따라서 플레이모드가 형성될때는 우선 모터(35)가 정회전하여 고속 모드레버(146)에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세하고, 그것에 의하여 고속 모드레버(146)의 아암(150)을 캠 슬라이더(160)의 지지면(162a)에 당접시킴으로써 고속 모드레버(146)를 중립위치에 지지되며, 이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1)에 통전하여 캠 기어(45)의 회전을 개시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고속 모드레버(146)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그 결합돌기(153)가 캠 기어(45)의 센터링 홈(65)의 센터링부(67)에 결합되고 고속 모드레버(146)가 중립위치에 록된다.
그러나 플레이모드의 형성이 행하여질때는 모터(35)의 회전방향이 빨리감기모드의 형성시와 같은 방향에도 불구하고, 고속 모드레버(146)가 제1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레이모드의 형성이 행하여지는 경우이어도 고속 회전기어(154 및 155)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편심기어(167)는 상기와 같이 회전되며, 따라서 캠 슬라이더(160)는 저지 해제위치로 이동되며, 이 경우는 고속 모드레버(146)가 중립위치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아암(150)이 캠 슬라이더(160)의 돌출부(162)의 곡면(162b)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캠 슬라이더(160)는 저지 해제위치로 이동시킨 후, 인장스프링(178)의 인장력에 의하여 저지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편심기어(167)가 빨리감기모드용 고속 회전기어(154)와 치합하여 재차 회전시키고, 캠 슬라이더(160)가 재차 저지 해제위치로 이동된다. 그런데, 플레이모드의 형성에서는 헤드슬라이더(69)가 전진됨으로써, 캠 슬라이더(160)가 상기와 같이 재차 저지 해제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헤드 슬라이더(69)의 캠부(77)가 제17도에 나타나듯이 캠 슬라이더(160)의 피가이드부(164)의 우단면(164b)에 대향되고, 그것에 의하여 캠 슬라이더(160)가 저지 해제위치에서 약간 좌측으로 기울은 위치에서 그것 이상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 시킨다. 이러한 저지상태는 헤드 슬라이더(69)가 후퇴함으로서 해제된다.
(p-2-d. 되감기모드에 있어서의 상태)[제15도]
상기와 같이 되감기모드는 스톱모드에서 모터(35)가 역전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고속 모드레버(14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때 빨리감기모드용 고속 회전기어(154)의 소기어(154b)는 제15도에 나타나듯이 편심 기어(167)의 상기 만곡한 측부 에지(173)가 이루는 오목부상의 공간내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이동되며, 그것에 의하여 티쓰부(170)의 최단단부(170a)의 치합이 해제된다.
그러나,되감기모드가 형성된때는 편심기어(167)가 회전되는 것 없이 따라서 캠 슬라이더(160)가 저지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없다.
(p-2-e. 빨리감기모드의 해제)[제19도]
상기와 같이 형성된 빨리감기모드의 해제는 모터(35)를 일시적으로 역전시킴으로서 행하여진다.
즉 빨리감기모드에서 모터(35)가 역전되면, 고속 모드레버(14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며, 그것에 의하여 그 고속 모드레버(146)의 아암(150)이 캠 슬라이더(160)의 돌출부(162)의 곡면(162b)에서 후방으로 피함으로, 캠 슬라이더(160)가 인장스프링(178)의 인장력에 의하여 저지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모터(35)의 역전은 매우 단시간 행하여지며 종료와 함께 브레이크,를 걸게 된다.
플레이모드에 있어서 모터(35)의 회전방향은 빨리감기모드에 있어서 그것과 같으므로, 빨리감기모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모드를 형성하는 지령이 행해졌을 때는 모터(35)를 그대로 정회전시켜두는 것도 고려되지만 빨리감기모드에서는 자기테이프(18)가 도속으로 주행하고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갑자기 편치로울러(32,32')를 캡스턴(20,20')에 압착시키면 자기테이프(18)에 과도의 장력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빨리감기모드에서 플레이모드 형성의 지령이 행해진 경우에서도 모터(35)를 일시적으로 역전되어 빨리감기모드를 해제하여 자기테이프(18)의 주행을 정기시키고, 이 상태에서 모터(35)를 재차 정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기재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편심 캠 기구는 지지부재에 왕복 이동자재가 되도록 지지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가하는 탄성반발 수단과, 슬라이더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구동기어와 상시 또는 소정의 타이밍으로서 치합되는 편심기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심 캠 구성에 의하면, 편심기어가 구동기어와 치합하여 회전되는 편심기어의 구동기어와 치합하는 위치의 회전 중심에서의 거리가 변화하고 상기거리가 길게 될 때는 슬라이더에 부세된 이동력에 저항하여 구동기어에서 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거리가 짧게 될 때는 슬라이더에 부세된 이동력에 의하여 구동기어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편심기어는 회전하면서 슬라이더와 일체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이런 종류의 편심 캠 기구에 있어서 캠 부재가 구동기어의 회전을 전달시켜 회전하는 기능과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기어부와 캠부로서 분담하여 달성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본 발명 편심 캠 기구에서는 편심기어가 상기 2개의 기능을 둘다 달성하게 되기까지, 특별한 캠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편심기어만으로 편심 캠 기능을 나타내는 편심 캠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그 두께를 얇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캠 부재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형상을 작게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심기어로서 2개의 편심기어부가 일체화된 것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편심기어의 수나 구조는 해당 편심 캠 기구가 달성할 역할에 따라 선정하면 좋고, 경우에 의하여는 복수의 편심기어를 그 축방향에서 겹치도록 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나란히 설치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심기어가 구동기어와 간헐적으로 치합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을 상시 치합하도록 하여도 좋고, 슬라이더에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반발 수단은 실시예에 나타낸 인장스프링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9)

  1. 편심 캠 기구로서,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부재에 대해 왕복운동하는 편심 캠과, 상기 편심캠을 소정방향으로 밀어붙이는 가압 수단과, 상기 편심 캠 상에 배치되는 피봇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소정 기간동안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편심기어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편심기어 수단은 원호로 배치되는 티쓰를 구비하고, 이들 티쓰 각각은 피봇으로부터 상이한 거리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 캠은 구동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편심기어 수단의 회전으로 인해 가압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 기구는, 병진캠에 고정되는 편심기어 수단과 결합하는 제2가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제2가압 수단은 소정 상태하에서 편심기어 수단을 소정의 회전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소정의 상태하에서는 편심기어 수단을 다른 소정의 회전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 기구는 원호로 배치된 한쌍의 치형성부와 치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한쌍의 치형성부는 피봇에 대해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치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 기구는, 구동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이에 의해 구동되는 종동기어 수단과,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가능한 레버 수단과, 구동수단을 종동기어 수단과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레버수단을 밀어붙이는 압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수단상에는 레버수단이 압박수단의 힘 방향으로 선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편심 캠의 캠면과 커플링되는 캠 종동자가 제공되고, 상기 병진캠은 편심기어 수단의 티쓰가 구동기어와 결합하므로서 야기되는 편심기어 수단의 회전으로 인해 가압수단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되며 그로 인해 레버 수단은 선회가 금지되고, 상기 구동기어는 압박기어 수단에 힘에 의해 종동기어 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 수단은 테이프 반송장치의 제1릴 베이스기어와, 제2릴 베이스기어와 결합되는 중간 기어중에서 선택되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수단은 테이프 반송장치의 릴 베이스기어 및 다른 릴 베이스기어와 결합되는 중간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한쌍의 구동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은, 기어와 결합되고 그 회전방향은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바뀌는 구동기어와 레버수단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을 유발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의 캠면은 편심기어 수단이, 가압수단의 힘에 대항하는 편심캠의 운동으로 인해 종동기어와 이미 결합된 구동기어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캠 종동자와 결합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종동기어 수단으로부터 결합해제되기 위한 방향으로 레버수단을 압박하도록 역회전되며, 그로 인해 레버수단상에 제공된 캠 종동자는 편심 캠의 캠면 부분으로부터 자유로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캠 기구.
KR1019890016761A 1988-11-18 1989-11-18 편심 캠 기구 KR0166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3354 1988-11-18
JP63293354A JPH02142956A (ja) 1988-11-18 1988-11-18 偏心カム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481A KR900008481A (ko) 1990-06-03
KR0166349B1 true KR0166349B1 (ko) 1999-03-20

Family

ID=1779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761A KR0166349B1 (ko) 1988-11-18 1989-11-18 편심 캠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18401A (ko)
EP (1) EP0369454B1 (ko)
JP (1) JPH02142956A (ko)
KR (1) KR0166349B1 (ko)
CA (1) CA2003096A1 (ko)
DE (1) DE689224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150A (en) * 1989-11-15 1993-10-26 U.S. Philips Corporation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having a tiltable transport member for switching tape transport direction
DE4032638A1 (de) * 1989-11-15 1991-05-16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m laufwerk fuer magnetbandkassetten (umkehrgetriebe)
DE4130401A1 (de) * 1991-09-13 1993-03-18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m laufwerk fuer magnetbandkassetten (wickelgetriebe mit logischem schnellauf und mit richtungsumkehr)
JP3273637B2 (ja) * 1992-07-10 2002-04-08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用モード切換え機構
JPH07184339A (ja) * 1993-12-24 1995-07-21 Asmo Co Ltd モータの取付け構造
JP2002295631A (ja) * 2001-03-28 2002-10-09 Fuji Photo Optical Co Ltd 遊星歯車機構
TW568209U (en) * 2002-10-18 2003-12-21 Lite On It Corp Gear type linkage device with fool pro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8578A (en) * 1980-01-14 1983-03-29 Pioneer Ansafone Manufacturing Corporation Mode control device for tape recorders
JPS57154547A (en) * 1981-03-16 1982-09-24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Gear change device
JPS58171748A (ja) * 1982-03-31 1983-10-08 Sony Corp 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機構
US4636889A (en) * 1983-04-02 1987-01-13 U.S. Philips Corporation Magnetic-tape cassette apparatus with reversing tape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18401A (en) 1991-05-28
JPH02142956A (ja) 1990-06-01
EP0369454B1 (en) 1995-05-03
KR900008481A (ko) 1990-06-03
EP0369454A3 (en) 1991-07-17
DE68922466T2 (de) 1995-09-07
EP0369454A2 (en) 1990-05-23
CA2003096A1 (en) 1990-05-18
DE68922466D1 (de) 199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58694B2 (ko)
KR0166349B1 (ko) 편심 캠 기구
KR0148479B1 (ko) 테이프 주행 장치의 모드 변환 기구
KR900007310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KR100331187B1 (ko) 오토리버스형테이프플레이어및그동작절환기구
JPS6273449A (ja) 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装置
JPH0734501Y2 (ja) テーププレーヤ
EP0345739A2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JP2548139B2 (ja) テ−プレコ−ダ
JPH0422422Y2 (ko)
KR90000149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 역전장치
JP2926815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960002124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빨리 감기 모드 변환장치
KR100195427B1 (ko) 테이프 레코더
JP2952927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オートリバース機構
JP2926814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KR950000951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사용된 테이프 감기기구 및 테이프 감기방법
JPH0422421Y2 (ko)
KR900004464B1 (ko) 카세트 데크에서의 이젝트 기구의 기동기구
JPH02139743A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514343Y2 (ko)
JP2606200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H0755698Y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装置
JP3138269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リール台駆動機構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