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402B1 -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402B1
KR100235402B1 KR1019930030246A KR930030246A KR100235402B1 KR 100235402 B1 KR100235402 B1 KR 100235402B1 KR 1019930030246 A KR1019930030246 A KR 1019930030246A KR 930030246 A KR930030246 A KR 930030246A KR 100235402 B1 KR100235402 B1 KR 10023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electronic component
tape piece
fixed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200A (ko
Inventor
다케시 미야오카
가츠미 우에노
Original Assignee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루타 히로시,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루타 히로시
Publication of KR94001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3Placing of components on belts holding th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18Delaminating processes adapted for specified product, e.g. delaminating medical specimen slide
    • Y10S156/919Delaminating in preparation for post processing recycling step
    • Y10S156/922Specified electronic component delaminating in preparation fo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S156/934Apparatus having delaminating means adapted for delaminating a specified article
    • Y10S156/941Means for delaminating semiconductive product
    • Y10S156/942Means for delaminating semiconductive product with reorienta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75Prior to assembly of plural laminae from single stock and assembling to each other or to additional lamina
    • Y10T156/1077Applying plural cut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22Severing before bonding or assembling of parts
    • Y10T156/133Delivering cut part to 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78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magazine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91Cutting of interdigitating pro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24Plural cutting steps
    • Y10T83/0538Repetitive transverse severing from leading edge of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74Including means to divert one portion of product from another
    • Y10T83/2087Diverging product m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4With work-constraining means on work conveyor [i.e., "work-carrier"]
    • Y10T83/6542Plural means to constrain plural work pieces
    • Y10T83/6544End of work protrudes through aperture in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4With work-constraining means on work conveyor [i.e., "work-carrier"]
    • Y10T83/6545With means to guide work-carrier in nonrectilinear path
    • Y10T83/6547About axis fixed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548Infeed
    • Y10T83/6555Cut normal to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667Work carrier rotates about axis fixed relative to too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리드선이 짧은 리드부착 전자부품도 제태이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1)의 연속한 테이프(3)을 전자부품 1개 마다 절단하여 각각의 테이프 부착 전자부품으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공급분리수단과, 공급분리수단(10)을 재테이핑하는 전자부품의 배열순서에 대응하여 동작시키는 제어수단(5)과 테이프편 달린 전자부품의 소자부를 유지하고, 테이프편에 걸어맞춤하여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리드선에 따라 테이프편을 인발하는 테이프편 제거수단(100)과, 테이프편이 제거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제테이핑하는 제테이핑수단(160)을 갖는다.

Description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재테이핑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구성 전체도.
제2도는 제1도의 202-202 선 단면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203-203 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204-204 선 단면 확대도.
제5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
제6a도는 테이핑된 축상(axial) 리드 전자부품의 절단부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6b도는 테이프 부착 축상 리드 전자부품의 설명도.
제6c도는 테이핑된 축상 리드 전자부품의 절단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7도는 제3도의 207-207 선 단면도.
제8도는 테이프 커터(cutter)수단의 상세 평면도.
제9도는 테이프 커터수단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0도는 테이프편 제거수단 및 이환(移換)수단 부분의 개략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211-211 선 단면 확대도.
제12도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부분의 단면 확대도.
제13도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부분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4도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5도는 제10도의 215-215 선 단면 확대도.
제16도는 압입레버(lever) 와 테이프편 인발 치구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7도는 분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개략 정면도.
제19도는 제17도의 219-219 선 단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부품 1a : 소자부
2 : 리드선 3 : 테이프
3a : 테이프편 10 : 분리수단
16 : 테이프 가이드판 22 : 톱니달린 휠(wheel)
42 : 고정날 43 : 가동날
71 : 소출(搔出) 레버 80, 81 : 고정날
82 : 가동날 90 : 반송수단
94 : 유지편 100 : 테이프편 제거수단
104 : 회전체 106 : 가이드축
107 : 전자부품 홀더 116 : 클릭 홀더
117 : 테이프편 인발 고정 클릭 117a : 유지부
117b : 제2가이드부 117d : 단부
118 : 테이프편 인발 가동 클릭 118a : 가이드부
118b : 단부 118c : 가이드부
119 : 테이프편 인발 치구 125 : 홈 캠
126 : 롤러 143 : 압입레버
150 : 이환수단 160 : 재테이핑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발명은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동일 종류의 것만이 테이핑된 축상 리드 전자부품을 자동실장기에 의하여 지정되는 소정의 배열로 재테이핑하는 재테이핑 장치로서, 예를들면 일본 실개소 62-1180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테이핑된 동일종의 축상 리드 전자부품의 리드선을 테이프의 내측에서 절단하고 잘라 버려진 각각의 축상 리드 전자부품을 자동 실장기에 의하여 지정되는 소정의 순서로 배열하여 재테이핑을 행하고 있다. 또 리드선을 절단하지 않는 방법으로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소 58-165400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를 가열하여 점착제를 연화시켜 리드선을 인발하는 테이프 떼기 방법이 알려져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종래기술의 제1의 방법은 테이핑 된 축상리드 전자부품의 리드선을 테이프의 내측에서 절단함으로 리드선은 절단되는 길이 만큼 짧아진다.
이 때문에 테이프 간격이 넓은, 즉 리드선이 긴 축상리드 전자부품으로부터 테이프 간격이 좁은 테이핑 부품으로 재테이핑 하는 것이 아니면 상기 제1의 방법은 사용할 수 없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테이프 간격이 52㎜의 것에서 26㎜의 것으로 재테이핑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26㎜의 것을 같은 간격으로 재테이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제2의 방법은 테이프를 가열할 필요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다. 장치내에 열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연화한 점착제는 점성이 높아지므로 인발후에도 점착제가 리드선에 부착한 대로 남기 쉽고, 반송수단에 점착제가 부착하여 퇴적하고 이 점착제에 전자부품에 남은 점착제가 부착하여 전자부품이 용이하게 떼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원 발명자는 여러 가지 실험한 결과 상온에서 또는 냉각함으로서 점착제를 고화하고, 이 상태에서 리드선을 인발하더라도 전자부품에 각별한 손상을 주는일 없이 점착제가 고화되어 있으므로 리드선에 부착하는 점착제도 적고 가령 부착하고 있더라도 고화하여 있으므로 반송수단에 퇴적하는 일이 없는 것을 알았다.
본발명은 이 식견을 이용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발명의 목적은 리드선이 짧은 리드부착 전자부품도 재테이핑하는 것이 가능한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제1의 수단은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일단 각각의 전자부품으로 분리한 다음 소정의 배열로 재테이핑 하는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에 있어서,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연속한 테이프를 전자부품 1개 마다 절단하여 각각의 테이프편 부착 전자부품으로서 분리하는 분리공정과 각각의 테이프편 부착 전자부품의 소자부를 유지시키고 테이프편에 걸어맞춤하여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리드선에 따라서 테이프편을 인발하는 테이프편 제거공정과, 테이프편이 제거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재테이핑하는 재테이핑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제2수단은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일단 각각의 전자부품으로 분리한 후 소정의 배열로 재테이핑하는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장치에 있어서, 테이핑된 리드 달린 전자부품의 연속한 테이프를 전자 부품 1개마다 절단하여 개개의 테이프편 달린 전자부품으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공급분리수단과 이 공급분리수단을 재테이핑하는 전자부품의 배열순에 대응하여 동작시키는 제어수단과, 각각의 테이프 달린 전자부품의 소자부를 유지하고, 테이프편에 걸어맞춤하여 리드달린 전자부품의 리드선에 따라 테이프편을 빼내는 테이프편 제거수단과 테이프편이 제거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재테이핑하는 재테이핑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제1 및 제1수단에 의하면, 우선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연속한 테이프를 절단하여 각각의 테이프편 달린 전자부품으로 분리한다.
다음에 이 테이프편 달린 전자부품의 테이프편을 인발하여 제거한다.
즉, 연속한 테이프를 먼저 절단하여 둠으로써, 테이프편은 쉽게 빠진다.
이와 같이, 리드선을 절단하지 않으므로 리드선이 짧아지는 일없이 리드선이 짧은 리드부착 전자부품도 재테이핑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축상 리드 전자부품(이하, 단지 전자부품이라 함)(1)의 리드선(2)을 테이핑하고 있는 테이프(3)을 절단하여 전자부품(1)을 각각 분리하는 공급분리 수단(10)과 분리한 전자부품(1)을 반송하는 반송수단(90)과 이 반송수단(90)의 반송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분리수단(10)으로 절단된 테이프편을 제거하는 테이프편 제거수단(100)과 테이프편이 제거된 전자부품(1)을 반송수단(90)의 유지편의 제2의 유지위치로 바꿔옮기는 이환수단(150)과 전자부품(1)을 재테이핑하는 재테이핑수단(1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을 테이핑하고 있는 테이프(3)는 테이핑 리일(4)로 두루감겨지고 또는 도시하지 않는 수납상자로 접어 작게하여 수납되어 있고 공급분리수단(10)의 상방에 상하2단으로 동시에 병렬로 등간격으로 다수(실시예는 20개) 배열되어 있다. 또 공급분리수단(10)도 테이핑된 테이프(3)에 각각 대응하여 병렬로 다수 (20개) 배열되어 있다.
우선, 공급분리수단(10)의 구성은 제2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1)은 부착틀체(12)에 나사축(13)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체 11의 대향한 측벽(11a, 11b)에는 폭조정용축(14)의 양단측이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고, 폭조정용축(14)에는 왼쪽 나사부(15a)와 오른쪽 나사부(15b)가 형성된 나사부재(15)가 고정되어 있다. 나사부재(15)의 왼쪽 나사부(15a) 및 오른쪽 나사부(15b)에는 각각 테이프 가이드판(16)이 나사맞춤되어 있고, 2개의 테이프 가이드판(16)의 대향면에는 테이프(3)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6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1)의 상벽(11c)에는 폭조정용축(14)과 평행으로 홈(11d)이 설치되어 있고, 홈(11d)에는 테이프 가이드판(16)의 상단에 설치한 돌기(16b)가 미끄러져 움직임이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다시 제2도로 되돌아가서, 폭조정용축(14)의 측벽(11a)의 외측부분에는 스토퍼용 손잡이(17)가 고정되고 이 스토퍼용 손잡이(17)가 측벽(11a)에 압접하도록 측벽(11a)와 나사부재(15)사이의 폭조정용축(14) 부분에는 스프링(18)이 배설되어 있다.
또 테이프 가이드판(16)의 나사덜걱거림(play of screw)을 제거하기 위하여 테이프 가이드판(16) 사이의 나사부재(15) 부분에는 스프링(19)이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용 손잡이(17)를 회전하면 테이프 가이드판(16)은 왼쪽 나사부(15a)와 오른쪽 나사부(15a)와의 작용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서로 대향하는 가이드홈(16a)의 간격을 양측의 테이프(3)의 간격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폭조정용축(14)의 아래쪽에는, 테이프 보내기축(20)이 본체(11)의 측벽(11a,11b)에 축받이(21)를 사이에 두고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보내기축(20)에는 전자부품(1)의 양측의 리드선(2)를 유지하는 v자형의 유지홈(22a)이 테이핑된 전자부품(1)과 같은 피치간격으로 형성된 톱니달린 휠2)이 고정되어 있다.
더욱, 상기한 테이프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의 하단부는 톱니달린 휠(22)의 상방에서 유지홈(22a)에 따라 약 90도의 위치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보내기축(20)에는, 톱니달린 휠(22)의 유지홈(22a)의 피치각도와 같은 피치각도로 위치결정홈(23a)이 형성된 위치결정 휠(23)이 고정되어 있다. 본체(11)의 측벽(11b)에는 지지축(24)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축(24)에는 레버(25)가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25)에는 위치결정 휠(23)의 위치결정홈(23a)에 대응하여 롤러(26)가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고 롤러(26)를 위치결정 휠(23)의 위치결정홈(23a)에 압접하도록 레버(25)와 측벽(11b)에는 스프링(27)이 결려 있다.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보내기축(20)에는 측벽(11a)의 외측부분에 손잡이(30)가 고정되고, 측벽(11b)의 외측부분에 랫치휠(31)이 고정되어 있다.
또 랫치휠(31)의 외측 부분에는 축받이(32)를 사이에 두고 요동레버(33)가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요동레버(33)에는 작동축(34)이 고정되어 있고, 작동축(34)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으로 회전되는 캠(35)에 의하여 제5도의 화살표 A, B 방향으로 테이프 보내기 축(20)을 중심으로 요동하게 된다.
작동축(34)에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톱니달린 휠(22)의 유지홈(22a) 및 위치결정 휠(23)의 위치결정홈(23a)과 같은 피치각도로 설치된 랫치휠(31)의 톱니(31a)에 걸어 맞춤하는 클릭(36)이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고, 클릭(36)을 랫치휠(31)의 톱니(31a)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37)이 가세되어 있다.
또 클릭(36)을 필요에 따라 랫치휠(31)의 톱니(31a)에 걸어맞춤시키기 위하여,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틀체(12)에는 솔레노이드(38)가 고정되고, 솔레노이드(38)의 플런저(38a)는 틀체(12)에 고정된 축(39)에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된 백-업 레버(40)의 한 끝에 연결되고, 백-업 레버(40)의 타단의 롤러(41)를 클릭(36)이 랫치휠(31)의 톱니(31a)에 걸어맞춤하도록 누름하고 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38)의 플런저(38a)를 후퇴시켜 롤러(41)로 클릭(36)을 랫치휠(31)의 톱니(31a)에 걸어맞춤시킨 상태에서 작동축(34)이 캠(35)에 의하여 화살표 A, B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면, 클릭(36)에 의하여 랫치휠(31)과 같이 테이프 보내기축(20) 및 톱니달린 휠(22)이 화살표 B방향으로 1 피치 회전케된다.
톱니달린 휠(22)의 지지홈(22a)에는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이 간직되어 있으므로 전자부품(1)은 톱니달린 휠(22)에 의하여 1피치 만큼 보내지고 리드선(2)의 양측에 테이핑된 테이프(3)가 테이프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dp 가이드되고, 제1도에 도시하는 테이핑 리일(4)로부터 송출된다.
상기 테이프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의 하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제4도,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부(42a)를 갖는 고정날(42)과 날부(43a)을 갖는 가동날(43)이 배설되어 있다. 고정날(42)은 측벽(11a,11b)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들보(11f)에 고정된 날부착판(44)에 고정되고 가동날(43)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부착판(44)에 고정된 축(45)에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가동날(43)에는 홈부(43b)가 형성되고 그 홈부(43b)에는 작동축(46)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축(46)을 화살표 c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면 고정날(42)의 날부(42a)와 가동날(43)의 날부(43a)에 의하여 리이드선(2)사이의 테이프(3)의 부분이 절단된다.
다음에 가동날(43)을 요동시키는 작동축(46)의 요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 제4도, 제5도, 제7도 및 제8도 (특히 제7도에 주목)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1b)에는 축받이 홀더(50)가 고정되어 있고, 측벽(11a)과 축받이 홀더(50)에는 지지축(51)이 축받이(52)를 사이에 두고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51)의 가동날(43)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요동레버(53)가 고정되어 있고 요동레버(53)에는 작동축 홀더(5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축 홀더(54)에 상기 작동축(46)이 고정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51)의 측벽(11b)의 외측부분에는 요동레버(55)가 고정되어 있고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랫치휠(31)을 회전시키는 상기 요동레버(33)에는 요동레버(55)에 작용하는 작용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11b)에는 요동레버(55)의 작동 스타트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56)가 고정되어 있고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51)의 측벽(11a)근처에는 되돌림 레버(57)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레버(55)가 스토퍼(56)에 항상 압접하도록 되돌림 레버(57)와 측벽(11a)에는 스프링(58)이 걸려 있다.
여기서 제5도에 도시하는 요동레버(33)가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 요동레버(33)가 스프링(58)에 저항하여 요동레버(55), 즉 지지축(51)을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요동레버(33)가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때에는 클릭(36)이 랫치휠(31)에 걸어맞춤하지 않고 랫치휠(31)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때는 테이프(3)의 보내기를 행하지 않을 때이고, 테이프(3)가 정지하고 있을 때 지지축(51)이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지지축(51)이 회전하게되면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요동레버(53) 및 작동축 홀더(54)를 사이에 작동축(46)이 제4도의 좌방향으로 요동하고 제4도 및 제8도에 도시하는 가동날(43)은 고정날(42)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6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1)의 리드선(2)사이의 테이프(3)의 절단부분(3b)이 절단된다.
이로써 전자부품(1)은 제6b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이드선(2) 위에 테이프편(3a)을 남기고 연속한 테이프(3)로부터 절단 분리된다.
제5도에 도시하는 요동레버(33)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프링(58)의 가세력으로 지지축(51)은 상기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가동날(43)은 고정날(42)로부터 떨어진다.
상기와 같이 고정날(42)과 가동날(43)로 절단되어 분리한 테이프편(3a) 달린 전자부품(1)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수단(90) 상방에 설치된 출구(65)까지, 톱니달린 휠(22)의 유지홈(22a)과 유지판(66)의 유지부(66a) 사이에 유지되어 반송된다.
이 유지판(66)은 톱니달린 휠(22)의 유지홈(22a)의 저면과 유지부 (66a)와의 사이에 리드선(2)의 굵기보다 약간 큰 간격을 보유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이 테이프 가이드판(16)의 가이드홈(16a)의 하단에 연속하도록 본체(11)의 들보(11f)에 고정되어 있다. 또 출구(65) 상방의 유지홈(22a)에 위치하는 전자부품(1)은 그대로 낙하하지 않도록 스토퍼 레버(67)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 레버(67)는 지지부재(64)에 고정된 축(68)에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고 스토퍼 레버(67)의 상승을 금지하는 스토퍼(69)에 압접하도록 토션 스프링(70)으로 가세되어 있다. 또 스토퍼 레버(67)로 지지된 전자부품(1)을 강제적으로 출구(65)에 낙하시키도록 소출레버(71)가 출구(65)상의 유지홈(22a) 의 저면 보다 약간 상방으로 위치하여 배설되어 있다. 소출레버(71)는 지지부재(64)에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된 지지축(72)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축(72)은 상기 가동날(43)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레버(73,74)를 사이에 두어 제7도에 도시하는 상기 되돌림 레버(57)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축(72)에는 연겨레버(73)의 한끝이 고정되고 연결레버(73)의 다른 끝은 연결레버(74)의 한 끝에 핀(75)으로 회전이 자유로이 연결되고 연결레버(74)의 다른 끝은 상기 되돌림 레버(57)에 연결핀을 겸한 수동레버(76)로 회전이 자유로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수동레버(76)는 측벽(11a)에 설치한 도피구멍(11e)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5도에 도시하는 요동레버(33)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축(51)이 회전하고 제4도에 도시하는 가동날(43)이 작동하여 연속한 테이프(3)를 절단하여 테이프편(3a)이 달린 전자부품(1)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제7도에 도시하는 되돌림 레버(57)가 작동하여 수동레버(76), 제4도에 도시하는 연결레버(74), 핀(75) 연결레버(73)를 사이에 두어 지지축(72)이 회전한다.
이로서 소출레버(71)는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토퍼 레버(67)를 가세하고 있는 토션 스프링(70)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톱니달린 휠(22)의 출구(65) 상방으로 유지되어 있는 테이프편(3a) 달린 전자부품(1)을 출구(65)에 강제적으로 밀어낸다.
즉, 출구(65) 상방의 전자부품(1)은 출구(65)로 자연낙하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강제적으로 소출레버(71)로 밀어내어지므로 이 밀어내어진 전자부품(1)과 이에 계속되는 전자부품(1)과 테이프편(3a)이 서로 달라 붙더라도 강제적으로 분리된다.
더욱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출구(65) 상방의 전자부품(1)에 연속하는 2번째의 전자부품(1)은 지지부재(64)에 고정된 판 스프링(77)으로 유지홈(22a)의 저면에 억눌러지고 상기한 바와 같이 밀어내어지는 전자부품(1)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실시에는 고정날(42)의 날부(42a)와 가동날(43)의 날부(43a)로 연속한 테이프(3)을 단위부분(3a)으로 선상(線狀)으로 절단하는 것뿐이므로, 테이프편(3a)의 절단면에 점착제가 밀어내어지고 이로서 테이프편(3a)의 절단면이 서로 달라붙을 염려가 있으므로, 강제적으로 전자부품(1)을 소출하여 분리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테이프(3)의 절단장치를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서도 해소된다. 본 실시예는 테이프(3)에 테이핑된 전자부품(1)을 제6c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좁은 간격의 2개소에서 절단하고, 미세편(3c)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에 2개의 고정날(80,81)을 배설하고 고정날(80,81)에 각각 대향하여 2개소의 절단날(82a,82b)을 갖는 가동날(82)이 배설하여 있고, 가동날(82)내부에는 녹아우트(Knock-out) 핀(83)이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로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녹아우트핀(83)의 내부는 후방이 해방한 공동부(空洞部)(83a)로 되어 있고 가동날(82)에 고정된 핀(84)과 녹아우트핀(83)의 공동부(83a)에는 스프링(85)이 배설되고, 녹아우트핀(83)은 고정날(80,81)측으로 향하여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날(82)이 상기 작동축(46)과 같은 기구로 왕복운동하면, 고정날(80,81)과 가동날(82)의 2개소의 절단날(82a,82b)에 의하여, 고정날(80,81) 사이의 일정폭의 테이프 부분이 미세편(3c)로 되어 절단되고, 이 미세편(3c)는 녹아우트편(83)에 의하여 고정날(80,81)사이에 밀어내어진다. 이와 같이, 미세편(3c)의 부분이 제거되므로 분리된 전자부품(1)의 테이프편(3a)의 단면이 서로 접촉하여 달라붙는 것이 방지되고, 소출레버(71)등이 없더라도 전자부품(1)은 확실히 한 개씩 반송수단(90)상에 배출된다.
다음에 전자부품(1)의 반송수단(90)의 구성을 제1도 및 제10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도시하는 반송수단(90)는 종래예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하는 공급분리수단(10)의 아래쪽에는 끝이 없는 반송체인(91)이 구동스프로킷(92) 및 종동 스프로킷(93)에 두루감겨져서 배설되어 있다.
반송체인(91)에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1)을 위치결정하여 재치(載置) 유지편(94)이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유지편(94)은 반송체인(91)의 진행방향 (화살표 F방향) 에 대하여 후단측에 형성된 제1유지부(94a)와 이 제1유지부(94a)에 계속하여 앞끝측에 형성된 제2유지부(94b)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지편(94)은, 진행방향으로 평행하게 상대 향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2개 배설되어 있고 상대향하는 유지편(94)의 제1유지부(94a) 또는 제2유지부(94b)의 짝으로 전자부품(1)의 양단 리드선(2)을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한 다수의 공급분리수단(10)에 대한 테이프(3)의 절단공정 및 출구(65)로부터의 테이프편(3a) 달린 전자부품(1) 의 반송수단(90)으로의 공급공정은 프린트(print) 회로기판에 전자부품(1)이 장착되는 순서 즉 재테이핑되는 순서에 반송체인(91)에 설치된 유지편(94)의 제1유지부(94a) 상에 전자부품(1) 이 순서로 배열되어 보내지는 것과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의 지령에 따라 작동하고, 전자부품(1) 이 미리 결정된 전자부품(1)의 배열이 되도록 다수의 분리수단(10)에 의한 공급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체인(91)이 화살표 F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동되어 유지편(94)의 제1유지부(94a)에 유지된 전자부품(1)이 차례로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의 근방에 도달한다.
다음에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의 구성을 제10도 내지 제16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0도 내지 제12도 특히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설된 지지판(101)에는 축심이 수평으로 배설된 지지축(102) 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102)에는 축받이(103)를 사이에 두고 회전체(104)가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고, 회전체(104)에는 반송체인(91)의 구동스프로킷(92)과 연동하여 회전케되는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톱니바퀴(105) 가 고정되어 있다. 또 회전체(104)에는 가이드축(106)이 2개 1조로서 등간격으로 복수조(실시예는 8조) 고정되어 있다.
각조의 가이드축(106)에는 전자부품 홀더(107) 가 반송체인(91)의 유지편(94)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전자부품 홀더(107)는 전자부품(1)의 소자부(1a)를 도망하여, 리드선(2)을 간직함과 동시에 소자부(1a)의 스토퍼부로 되는 유지부(107a)를 갖는다.
전자부품 홀더(107) 의 외주에는 그 전자부품 홀더(107)에 따라서 지지축(102)의 아래 위치에서 좌우 약 45。의 범위를 제외하여 고정가이드판(108)이 배설되어 있고 고정 가이드판(108)은 지지판(109)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판(10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조의 가이드축(106) 에는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 홀더(107)의 양측에 각각 축받이(115)를 사이에 두고 클릭홀더 본체(116) 가 미끄러져 움직임이 자유로이 장착되어 있고 클릭홀더 본체(116)에는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과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으로 이루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 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은 클릭홀더 본체(116) 에 고정되고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을 유지하기 위한 리드선(2)의 직경보다 약간 큰 오목부에 형성된 유지부(117a)을 갖고, 유지부(117a)의 한쪽측에는 리드선(2)을 유지부(117a)에 유도하는 경사한 제2가이드부(117b)와 그 제2가이드부(117b) 보다 경사각이 작은 제1가이드부(117c)가 형성되고 유지부(117a)의 다른측은 제2가이드부(117b)와 일직선이 되지 않도록 단부(117d)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은 클릭홀더(116) 에 고정된 축(120) 에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에는 상기 유지부(117a), 제2가이드부(117b) 및 제1가이드부(117c)에 근접한 부분에 제2가이드부(117b)와 거의 같은 각도로 경사진 가이드부(118a)가 형성되고, 상기 단부(117d)에 대응하여 그 단부(117d)와 같은 단부(118b)가 형성되어 있다. 즉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도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과 같이 리드선(2)을 유지하는 부분의 양측인 가이드부(118a)와 단부(118b)가 일직선이 되지않도록 되어 있다. 또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의 제2가이드부(117b)에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에는 스프링(121)이 설치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102)에는 상기 가이드축(10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홈 캠체(125)가 고정되어 있다. 홈 캠체(125)의 외주에는 상기 전자부품 홀더(107)의 중앙부를 중심으로하여 대칭으로 2개의 캠 홈(125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클릭홀더(116)에는 캠 홈(125a)에 삽입된 롤러(126) 가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캠 홈(125a)의 윤곽은 전자부품 홀더(107)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0도에 있어서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의 회전방향(G)을 보아 부호 130부로부터 131부까지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 가 전자부품 홀더(107) 측에 상호 접근하여 위치하는 상태 즉 제12도에 실선으로 그려진 위치에 있어서 윤곽이고, 131부로부터 132부에 있어서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가 상호 퍼져서 테이프편(3a)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의 윤곽이고, 132부에 있어서는 제12도에 상상선으로 그려진 리드선(2) 의 외측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132 부로부터 133부까지에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 가 이동하지 않고 리드선(2)의 외측에 위치하는 윤곽으로 되어 있다.
제10도,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가이드판(108) 에는 반송수단(90)의 유지편(94)으로부터 전자부품(1)을 받는 측의 상방에 축(140)이 고정되어 있다. 축(140)의 양단에는 각각 축받이(141)을 사이에 두고 레버홀더(142)가 회전이 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레버홀더(142)에는 압입부(143a)를 갖는 압입 레버(143)가 고정되어 있다. 또 고정가이드판(108)에는 압입 레버(143)의 압입부(143a)의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144)가 고정되어 있고, 압입레버(143)가 스토퍼(144)에 압접되도록, 압입레버(143)와 스토퍼(144)와의 사이에는 스프링(145)이 걸려 있다.
다음에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송체인(91)이 화살표 F방향으로 구동되어 유지편(94)의 제1유지부(94a)에 유지된 전자부품(1)이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의 근방에 도달하면 톱니바퀴(105)가 반송체인(91)의 구동스프로킷(92)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어 회전체(104)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체(104)에는 가이드축(106)이 고정되고 가이드축(106)에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회전체(104)와 같이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가 회전한다.
이로서 유지편(94)에 간직된 전자부품(1)은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의 가이드부(118c)에서 건져 올려지고, 가이드부(118a)에 따라 가이드부(118a)와 테이프 인발 고정클릭(117)의 제1가이드부(117c)의 안쪽으로 이동케된다.
그러나,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은 스프링(121)에서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에 압접하도록 가세되어 있으므로,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은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의 유지부(117a)에는 삽입되지 않는다.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의 제1가이드부(117c)와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의 가이드부(118a)에서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이 유지된 상태에서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가 회전하면 리드선(2)은 압입레버(143)의 압입부(143a)에 맞닿고 리드선(2)은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을 가세하는 스프링(145)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을 열고 리드선(2)은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의 제1가이드부(117c)에 따라 압입되어지고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의 유지부(117a)로 이동하고 리드선(2)은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의 유지부(117a)에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로 유지된다.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 가 다시 회전하면 131부로부터 132부까지의 홈 캠(125)의 캠 홈(125a)의 윤곽에 의하여, 제12도에 상상선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126)를 사이에 두고 클릭홀더(116)와 같이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가 리드선(2)의 방향과 평행으로 그 리드선(2)의 외측까지 이동케된다.
이로서, 테이프편(3a)는 리드선(2)으로부터 뽑아 내어진다. 이 경우 좌우의 테이프편(3a)는 좌우의 어느 것 인가가 먼저 뽑아지므로, 소자부(1a)의 단면이 전자부품 홀더(107)의 유지부(107a)의 내벽에 닿아서 옆 어긋남이 멈추고 한쪽의 테이프편(3a)이 제거된 후에 다른편의 테이프편(3a)이 제거된다.
그런데,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과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과의 맞춤면이 일직선에서 접촉하여 있으면 테이프편(3a)을 뽑아낼 때, 테이프편(3a)의 방향이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과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의 맞춤면에 일치한 경우에는,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과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 사이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는 일이 생길 염려가 있다. 이점, 본 실시예의 겨우는 리드선(2)을 유지하는 유지부(117a)의 양측(117b,117d)이 일직선이 아니고 또 마찬가지로,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도 리드선(2)을 유지하는 부분의 양측(118a,118b)이 일직선이 아니기 때문에 테이프편(3a)이 어떠한 방향으로 되어 있더라도 확실히 제거된다.
제14도는 테이프 인발 치구(11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은 제13도의 경우와 거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은 리드선(2)을 유지하는 양측이 일직선의 가이드부(118c)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가이드부(118c)에 단부(117d)가 포개여 교차하므로, 테이프편(3a)이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과 테이프편 인발 가동클릭(118)의 맞춤면에 끼이는 일은 없다.
132부로부터 133부까지는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는 리드선(2)의 외측에 위치함으로, 전자부품(1)은 132부로부터 전자부품 홀더(107)의 유지부(107a)와 고정 가이드판(108)으로 유지된다. 여기서 테이트편 인발 치구(119)가 다시 회전하면, 전자부품(1)은 133부에서 유지편(94)의 제1유지부(94a)로 낙하하게 된다.
그런데 테이프편(3a)은 점착 테이프이므로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에 의하여 인발된 테이프편(3a)이 그대로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에 부착하는 일이 생긴다.
테이프편(3a)이 부착한 대로 다음의 전자부품(1)을 유지편(94)에서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로 건져 올리려면 부착하고 있던 테이프편(3a)이 방해하여 테이프편 인발 고정클릭(117)의 유지부(117a)에 정확히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생겨 전자부품(1)이나 테이프편 인발 치구(119)를 파손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체인(91)의 반송로상에 고정한 테이프편 제거판(146)에서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환수단(150)을 제10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환수단(150)은 일본실개소 62-11800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예와 거의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또 본발명의 요지와 특히 관계 없으므로 간단히 설명한다.
종래예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이환드럼(151)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유지편(94)의 제1유지부(94a)에 유지된 전자부품(1)은 제2유지부(94b)로 이환된다.
더욱,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환드럼(151)은 일본 실개소 62-11800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예에는 가동커터로 되어 있고, 종래예는 가동커터에 대향하여 고정커터를 설치하고, 리드선(2)의 끝부를 절단하여 리드선(2)의 길이의 흐트러짐을 작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리드선(2)의 끝부를 절단하는 구조이거나 또 절단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도 좋다.
마지막으로 재테이핑수단(160)의 구성 및 작용을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재테이핑수단(160)은 종래예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라도 좋고 특히 본발명의 요지와는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간단히 설명한다.
테이핑드럼(161)의 외주에는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을 지지하여 반송하는 톱니바퀴 모양의 홈이 전자부품(1)이 재테이핑되는 피치로써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핑드럼(161)의 양끝부는 톱니바퀴 모양의 홈의 톱니 밑과 거의 같은 직경의 원통상이고 점착성의 베이스 테이프(162)가 베이스 테이프 공급리일(163)로부터 공급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반송체인(91)의 유지편(94)의 제2유지부(94b)로부터 테이핑드럼(161)의 홈에 공급된 전자부품(1)은 리드선(2)이 베이스 테이프(162)위에 위치한다.
또 테이핑드럼(161)의 전자부품 공급후의 부분에는 마찬가지로 점착성의 누름테이프(164)가 누름테이프 공급리일(165)로부터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은 누름롤러(166)에 의하여 베이스 테이프(162)와 누름테이프(164)사이에 끼워 넣어지고 테이핑되어 접어 작게하기용 요동아암(167)으로부터 접어작게하기용 수납상자(168)에 수납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공급분리수단(10)은 리드선(2)이 짧고 연속한 테이프(3)를 절단하여 테이프편(3a) 달린 전자부품(1)으로 하는 것이였다.
그러나 다수의 공급분리수단(10)은 모두 상기 실시예에 나타내는 구조일 필요는 없고 그 일부는 리드선(2)이 길고 그 리드선(2)을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는 공급분리수단(10)을 설치하여도 좋다.
다음에 긴 리드선(2)을 리드선이 짧은 전자부품의 리드선과 같은 길이로 절단하는 공급분리수단(10)을 제17도 내지 제19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제2도 및 제4도와 같은 또는 상당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제17도는 제2도의 하부, 제18도는 제17도의 배면도, 제19도는 제4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의 테이프 가이드판(16)과 똑같지만 간격이 리드선이 긴 테이핑 전자부품에 상당하도록 간격이 넓혀진 테이프 가이드판(16)을 갖고 테이프 보내기축(20)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위치를 결정하는 휠(23)이 고정되고,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회전 및 위치결정 수단으로 회전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또 테이프 보내기축(20)에는 외부측에 상기 실시예와 같은 톱니달린 휠(22)이 2개 고정되고, 측부에 톱니달린 휠(22)의 유지홈(22a)과 같은 톱니형을 갖고 이 톱니형의 외측면이 절단날로 되어 있는 가동날(171)이 2개 전자부품(1)의 리드선(2)을 절단하여야할 소정의 치수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본체(11)의 측벽(11a),(11b)(제2도 참조) 에는 톱니달린 휠(22)의 유지홈(22a)에 리드선(2)을 유지시키는 유지판(66)이 고정되어 있고 유지판(66)에는 가동날(171)과 작용하여 리드선(2)을 절단하는 고정날(172)이 가동날(171)을 끼고 고정되어 있다.
또 유지판(66)에는 고정날(172)외측에 전자부품(1)이 제외된 후의 테이프(3)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도피 가이드판(173)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보내기축(20)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회전하게 되면 테이프(3)에 테이핑된 전자부품(1)은 톱니달린 휠(22)에 의하여 보내진다.
그리고 톱니달린 휠(22)의 유지홈(22a)에 유지된 리드선(2)이 고정날(172)의 위치까지 보내지면 톱니달린 휠(22)와 같이 회전하는 가동날(171)의 회전에 의하여 리드선(2)은 고정날(172)에 눌러져서 절단된다.
이 리드선(2)이 절단된 전자부품(1)은 상기 실시예와 같게 반송수단(90)의 유지편(94)으로 보내진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3)를 보내는 톱니달린 휠(22)을 가동날로 하지않고 톱니달린 휠(22)와 별개로 가동날(171)을 설치하였으므로 톱니달린 휠(22)은 테이프(3)근처에 배설할 수 있고, 리드선(2)을 보낼때에 리드선(2)의 구부러짐이 생기지 않는다. 또 리드선(2)이 절단되어 전자부품(1)이 제외된 테이프(3)부분은 테이프 도피 가이드판(173)에 가이드되어 보내어지므로 리드선(2)를 절단한 후의 테이프(3)가 톱니달린 휠(22)에 말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상기 실시예는 테이프(3)로 테이핑된 전자부품(1)을 공급분리수단(10)으로 절단하여 각각의 테이프편(3a) 부착 전자부품(1)으로 하고, 이 테이프편(3a) 달린 전자부품(1)을 반송수단(90)의 유지편(94)에 공급하고, 반송수단(90)으로 반송되어온 테이프편(3a) 달린 전자부품(1)을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으로 받고 테이프편(3a)을 제거한 후 다시 반송수단(90)의 유지편(94)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공급분리수단(10) 가까이에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을 배설하고 공급분리수단(10)으로 절단한 각각의 테이프편(3a) 부착 전자부품(1)을 직접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으로 공급하여 테이프편(3a)을 제거하고 이 테이프편(3a)이 제거된 전자부품(1)을 반송수단(90)에 공급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는 반송수단(90)의 유지편(94)이 제1유지부(94a)와 제2유지부(94b)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이환수단(150)을 설치하였지만 유지편(94)이 하나의 유지부 예를 들면 제2유지부(94b)뿐인 경우에는 이환수단(150)은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 반송수단(90)은 하나의 반송수단을 설치하였지만, 분리수단(10)에서 절단된 테이프편(3a)부착된 전자부품(1)을 분리수단(10)으로부터 받아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으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으로 테이프편(3a)이 제거된 전자부품(1)을 테이프편 제거수단(100)으로부터 받아 재테이핑수단(160)으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는 별개로 설치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발명에 의하면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연속한 테이프를 각각의 테이프편으로 절단하고, 이 테이프편 부착된 전자부품의 테이프편을 인발하여 제거하므로 리드선이 짧은 리드부착 전자부품도 재테이핑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일단 각각의 전자부품으로 분리한 후 소정의 배열로 재테이핑 하는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에 있어서,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연속한 테이프를 전자부품 1개 마다 절단하여 각각의 테이프 달린 전자부품으로 분리하는 절단분리공정과, 각각의 테이프 다린 전자부품의 소자부를 유지하고, 테이프편에 걸어맞춤하여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리드선에 따라 테이프편을 인발하는 테이프 제거공정과, 테이프편이 제거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재테이핑하는 재테이핑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2.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1)을 일단 각각의 전자부품으로 분리한 후 소정의 배열로 재테이핑하는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장치에 있어서, 테이핑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연속한 테이프(3)를 전자부품 1개마다 절단하여 각각의 테이프편(3a)달린 부품으로서 분리하는 복수개의 공급분리수단(10)과, 이 공급분리수단을 재테이핑하는 전자부품의 배열순서에 대응하여 동작시키는 제어수단(5)과, 각각의 테이프편 달린 전자부품의 소자부를 유지하고, 테이프편에 걸어맞춤하여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리드선에 따라 테이프편을 인발하는 테이프편 제거수단(100)과, 테이프편이 제거된 리드부착 전자부품을 제테이핑하는 제테이핑수단(1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장치.
KR1019930030246A 1993-01-18 1993-12-28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 KR100235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3323 1993-01-18
JP5023323A JPH06219411A (ja) 1993-01-18 1993-01-18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200A KR940019200A (ko) 1994-08-19
KR100235402B1 true KR100235402B1 (ko) 1999-12-15

Family

ID=1210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246A KR100235402B1 (ko) 1993-01-18 1993-12-28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11622A (ko)
EP (1) EP0607705B1 (ko)
JP (1) JPH06219411A (ko)
KR (1) KR100235402B1 (ko)
DE (1) DE69304187T2 (ko)
HK (1) HK37497A (ko)
SG (1) SG48714A1 (ko)
TW (1) TW31091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1674A (en) * 1996-06-12 1999-08-24 Tempo G Interchangeable electronic carrier tape feeder adaptable to various surface mount assembly machines
JP6937463B2 (ja) * 2017-10-31 2021-09-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装置ならびに実装基板の製造方法
CN110481920A (zh) * 2019-08-23 2019-11-22 楼显华 一种编带二极管的分离上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31957A (de) * 1970-12-03 1972-12-31 Schweiz Aluminium Ag Verfahren zum Auspacken von durch Folienbänder gruppenweise miteinander verbundenen zylindrischen Körpern sowie Vorrichtung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US3773591A (en) * 1971-02-01 1973-11-20 Coloroll Ltd Manufacture of carrier bags
US3878026A (en) * 1973-08-23 1975-04-15 Universal Instruments Corp Electrical component sequencer and taper
US3911646A (en) * 1974-09-11 1975-10-14 Trw Inc Feeding apparatus for body taped components
US4069931A (en) * 1976-09-30 1978-01-24 Saylors James P Capacitor removal device and method
US4338763A (en) * 1978-08-21 1982-07-13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Component sequencing method
US4213286A (en) * 1978-08-21 1980-07-22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Component sequencing and taping machine
JPS5915385B2 (ja) * 1978-11-02 1984-04-09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テ−プ貼着装置
US4270651A (en) * 1979-01-17 1981-06-02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Taped belt electronic component centering device
JPS58165400A (ja) * 1982-03-26 1983-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プ電子部品の取り外し装置
US4607761A (en) * 1984-04-06 1986-08-26 Molex Incorporated Apparatus for dispensing solid components from a flexible substrate assembly
JPS62118004A (ja) * 1985-11-18 1987-05-29 Toshiba Corp 蒸気タ−ビン動翼及びその製造方法
US4795526A (en) * 1987-04-16 1989-01-03 Lightner Associates Inc. Detaping apparatus
JPH0719997B2 (ja) * 1990-08-09 1995-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子部品自動組立装置
JP2768049B2 (ja) * 1991-04-30 1998-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の自動テーピング装置
US5218894A (en) * 1991-10-31 1993-06-15 Amp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 pin he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19411A (ja) 1994-08-09
EP0607705B1 (en) 1996-08-21
KR940019200A (ko) 1994-08-19
TW310918U (en) 1997-07-11
US5411622A (en) 1995-05-02
HK37497A (en) 1997-04-04
DE69304187D1 (de) 1996-09-26
EP0607705A1 (en) 1994-07-27
SG48714A1 (en) 1998-05-18
DE69304187T2 (de) 199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156800A (ja) コネクタピンインサ−タ
KR100235402B1 (ko) 리드부착 전자부품의 재테이핑 방법 및 장치
CN109693966B (zh) 送引线机构
JP3207656B2 (ja)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装置
JPH10162926A (ja) 端子挿入装置
JP3242783B2 (ja)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方法及び装置
KR100723797B1 (ko) 표면실장용 전자부품 급송테이프 연결 장치
JP2003051696A (ja) テープフィーダにおけるリール交換方法及びテープフィーダ
JPH06345027A (ja)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装置
JP3207658B2 (ja)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方法
JP3207657B2 (ja)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装置
JP3242782B2 (ja)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装置
JP3261889B2 (ja) 端子加工・圧入装置
JP2854909B2 (ja) ジャンパー線挿入装置
JP2008024393A (ja) プリンタ用ロールペーパの巻き取り装置
JPH0826211A (ja) リード付電子部品の再テーピング装置
WO2023067644A1 (ja) テープ先端処理方法およびテープ先端処理治具
JP2020019582A (ja) 粘着剤転写機構及びプリンタ
JPH11333783A (ja) カッティング装置
KR0159844B1 (ko) 코일선의 커터장치 및 절단방법
US3945283A (en) Axial lead dispenser head
JPH08315949A (ja) 電線規制ユニット
JP2001246593A (ja) 紙切断装置
JP2003188587A (ja) 部品挟持装置、部品搬送装置及びこれらを含む部品処理装置
KR970001241Y1 (ko) 전자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