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902B1 -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902B1
KR100345902B1 KR1019990052779A KR19990052779A KR100345902B1 KR 100345902 B1 KR100345902 B1 KR 100345902B1 KR 1019990052779 A KR1019990052779 A KR 1019990052779A KR 19990052779 A KR19990052779 A KR 19990052779A KR 100345902 B1 KR100345902 B1 KR 100345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vinyl
tape reel
vinyl recover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8198A (ko
Inventor
문희열
서민석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902B1/ko
Publication of KR20010048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8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05K13/0469Surface mounting by applying a glue or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자동으로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서 표면실장부품이 삽입된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를 손쉽게 교체팅할 수 있도록 비닐회수장치와 비닐 회수부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표면실장부품이 삽입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상기 테이프의 비닐을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회수장치의 일측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비닐 회수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회수장치는 테이프의 비닐을 회수하는 비닐 회수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테이프 피더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작업효율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Tape Reel Vinyl Collecting Apparatus for Surface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표면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자동으로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서 표면실장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의 비닐을 회수하기 위한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표면실장부품이 삽입된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를 손쉽게 셋팅할 수 있도록 비닐회수장치와 비닐 회수부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기, 전자제품의 개발에 있어서 그 추세는 전자부품의 고밀도화, 소형화, 다양화로 들어서고 있으며, 그 개발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전기,전자부품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의 조립생산에 표면실장기를 이용한 표면실장기술(SMT ;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은 날이 갈수록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표면실장기는 표면실장부품(SMD ; Surface Mounting device)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표면실장 조립장비의 핵심장비로서 각종 표면실장부품을 부품공급기로부터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의 실장위치까지 이송시킨 다음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는 장비이다.
종류로는 그 기능에 따라 고속기와 범용기로 대별되는데, 고속기는 단시간내에 많은 부품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장속도가 빨라 대량생산에 적합한 장점을 갖는 반면, 실장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고, 범용기는 다양한 부품의 실장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장정밀도가 높고 다양한 부품의 실장이 가능하여 다품종 중,소량 생산에 적합한 장점을 갖는 반면, 실장속도가 늦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표면실장기는 실장부품을 공급하는 피더부(이하 "테이프 피더"라 함)와, 작업위치를 결정하는 X - Y 테이블부와, 작업할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부와, 테이프 피더로부터 실장부품을 차례로 픽업하여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는 헤드부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는 표면실장부품을 테이프의 요입홈 내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표면실장부품을 비닐로 테이핑하고, 테이핑이 이루어진 테이프를 테이프 릴에 권취한 후, 테이프 피더를 피더부에 설치하여 표면실장기로 공급하였다. 이때 피더부에 공급된 테이프 피더는 테이프의 비닐이 벗겨진 상태로 1피치씩 이송시키고 피커가 요입홈내의 실장부품을 1개씩 순차적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피딩 장치에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의 개폐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우선, 프레임(120)의 중간부분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122)와, 상기 모터(122)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워엄(103)과, 상기 워엄(103)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워엄(103)에 근접되게설치된 센서(124)와,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워엄(103)의 회전력을 직각방향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워엄(103)과 치합하는 워엄기어(105)와, 테이프 릴(126)에 형성된 이송공(98)이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테이프 릴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프레임(120)에 설치된 구동 휠(107)과, 상기 워엄기어(105)의 구동 휠(107)에 각각 고정된 풀리(96)(97)사이에 연결되어 모터(122)의 구동력을 구동 휠(107)측으로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109)와, 상기 테이프 릴(126)로부터 비닐(111)이 벗겨짐에 따라 요입홈(92)내에 삽입 이송된 실장부품을 피커가 흡착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커버에 형성된 개방부(112)와, 상기 테이프 릴의 이송시 개방부에 위치된 요입홈(92)으로부터 실장부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요입홈을 폐쇄시키는 절곡편(94)이 형성된 개폐판(113)과, 상기 개폐판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해 커버(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4)과, 상기 개폐판을 진퇴 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제어보드(11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110)를 개방한 상태에서 테이프 릴(126)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 이송공(98)을 구동 휠(107)의 돌기(94)에 끼운 다음 테이프 릴(126)을 커버(110)의 직하방에 위치시키고 커버(110)를 닫으면 모터(122)의 구동에 따라 테이프 릴(126)을 1피치씩 이송시키면서 피커에 의해 요입홈(92)내의 실장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실장 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 않은 전원을 모터(122)에 인가하게 되면 모터(122)가 구동하여 워엄(103)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워엄(103)의 회전각을 센서(124)가 검출하여 테이프 릴(126)을 1피치만큼 이송시키고 그 지점에서 모터(122)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 릴(126)을 1피치씩 이송되도록 모터(122)가 구동하면 워엄(103)과 맞물린 워엄기어(105)에 동력이 직각방향으로 절환된 상태로 전달되므로 상기 워엄기어(105)에 고정된 풀리(96)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그 동력이 타이밍 벨트(109)를 통해 구동 휠(107)에 전달되어 구동 휠(107)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테이프 릴(126)이 1피치만큼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휠(107)이 1피치 이송되는 상태에서는 개폐판(113)이 개방부(112)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개방부(112)를 폐쇄하게 되므로 테이프 릴(126)의 이송중에 테이프 피더에 진동 등으로 인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요입홈(108)에 수용된 실장부품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테이프 릴(126)이 1피치 이송되어 요입홈(92)내의 실장부품이 개방부(112)상에 위치되면 개폐판(113)이 커버(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4)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부(112)를 열어주게 되므로 피커가 요입홈(92)내에 위치된 실장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테이프 릴(126)로부터 벗겨진 비닐(111)은 별도의 보빈(도시되지 않음)에 감기게 된다.
한편, 개방부(112)상에 위치된 요입홈(92)으로부터 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하고 나면 구동수단에 의해 개폐판(113)을 좌측으로 이송시키고 개폐판에의해 개방부(112)를 폐쇄한 상태에서 모터(122)를 재구동하여서 테이프 릴(126)을 1피치 이송시키게 되므로 테이프 릴(126)의 요입홈(92)상에 담겨진 실장부품을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스퍼어 기어를 이용하지 않고, 워엄(103)과 워엄기어(105)를 이용하여 모터(122)의 구동력을 구동 휠(107)에 전달하게 된다. 왜냐하면, 스퍼어 기어를 이용할 경우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모터(122)를 구동 휠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해야 하므로 테이프 피더의 폭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표면실장기에 설치되는 테이프 피더의 개수가 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서는 고가 장비인 표면실장기를 여러개 설치하여야 되었으므로 워엄(103)과 워엄기어(105)를 이용하여 모터(122)의 동력전달방향을 절환 한 다음 타이밍 벨트(109)를 이용하여 구동 휠(107)에 동력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테이프 피더는 표면실장부품이 권취된 테이프 릴과 비닐회수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테이프 피더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테이프 피더의 비닐회수장치와 비닐 회수부를 별도로 구성하여 테이프 피더의 설치시 비닐 회수부만을 별도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피딩 장치에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의 개폐판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 메인 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 프레임 12 : 가이드 프레임
14 : 고정바 16 : 제 1레버
18 : 제 2레버 20 : 아암
22 : 제 3레버 24 : 고정 프레임
26 : 서포트 프레임 28 : 고정부
30 : 릴판 34 : 고정홈
36 : 손잡이 38 : 힌지핀
100 : 안내부 102 : 클램핑 장치
104 : 가이드부 106 : 비닐 회수부
상기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실장부품이 삽입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상기 테이프의 비닐을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회수장치의 일측에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비닐 회수부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닐 회수부는 일측이 상기 고정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도록 홈이 형성된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회수장치는 테이프의 비닐을 회수하는 비닐 회수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테이프 피더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작업효율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테이프 피더에서, 메인 프레임(10)의 상부에는가이드부(10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104)는 가이드 프레임(12)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상부에 전자부품이 삽입된 테이프가 끼워져서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고정바(14)와, 상기 고정바(14)의 앞쪽으로 상기 고정바(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레버(16)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2)의 전방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1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장치(102)에는 표면실장부품이 삽입된 테이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제 2레버(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장치(102)의 전방부에는 아암(20)과 제 3레버(22)로 이루어진 안내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후방부에는 고정부(28)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8)에는 비닐 회수부(10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비닐 회수부(106)는 일측에 손잡이(36)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고정홈(34)이 형성된 고정 프레임(24)과, 상기 고정 프레임(24)의 일측면에 이격되어 힌지핀(38)에 의해 회동되도록 연결 설치되고, 일측에 손잡이(36)를 구비하고, 타측에 고정홈(34)이 형성된 서포트 프레임(26)으로 구성되고, 테이프의 비닐을 회수하기 위한 릴판(30)이 상기 고정 프레임(24)과, 서포트 프레임(26)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고정 프레임과(24)과 서포트 프레임(26) 각각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36)를 사용자가 손으로 쥔 상태에서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고정 프레임(24)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26) 각각의 중앙부분에 삽설된 힌지핀(38)에 의해 회동되어 각각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34)들의 간격이 가까워져 복수개의 고정부(28)에서 이탈되어 고정 프레임(24)과 서포트 프레임(26)으로 이루어진 비닐 회수부(106)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상기 고정 프레임(24)의 일측에 아랫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34)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26)의 일측에 윗쪽 방향으로 개구된 고정홈(34)은 사용자가 손으로 고정 프레임(24)과 서포트 프레임(26) 각각의 손잡이(36)를 벌리게 되면 상기 고정홈(34)들이 복수개의 고정부(28)에 상하 방향으로 끼워져 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다.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부재(21)는 고정 프레임(24)의 일측과 서포트 프레임(26)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각각을 탄력지지 할수 있다.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스텝핑 모터(50)는 표면실장부품이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를 1피치씩 이동시키고, 돌기(25)는 메인 프레임(10)과 안내부(100)를 연결시킬 수 있다.그리고, 제어보드(40)는 테이프 피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닐회수장치는 상기 비닐 회수부(106)는 비닐회수장치의 메인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테이프 피더의 교체시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표면실장부품이 삽입된 테이프가 권취되어 있는 비닐 회수부(104)만을 교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릴판(30)에 테이프가 모두 감기게 되면 상기 비닐 회수부(106)를 교체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24)과 서포트 프레임(26)의 손잡이(36)를 손으로 눌러주면, 상기 힌지핀(38)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서포트 프레임(26)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부(28)에서 고정홈(34)이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 프레임(26)이 오므라들면 상기 고정 프레임(24)의 고정홈(34)을 상기 고정부(28)에서 분리하여 비닐 회수부(106)의 교체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회수장치는 테이프의 비닐을 회수하는 비닐 회수부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테이프 피더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지고, 작업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작업효율이 향상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표면실장부품이 삽입된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상기 테이프의 비닐을 회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닐회수장치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부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질 수 있게 형성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힌지핀에 의해 설치되고, 그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그 소정부위에 고정홈이 아래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그 소정부위에 고정홈이 위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닐 회수부를 교환할 때, 상기 고정험들이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에 대해 서로 상하방향으로 끼움설치 및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 및 서포트 프레임은 그 소정부위에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회수장치.
  4. 삭제
KR1019990052779A 1999-11-25 1999-11-25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KR100345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779A KR100345902B1 (ko) 1999-11-25 1999-11-25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2779A KR100345902B1 (ko) 1999-11-25 1999-11-25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198A KR20010048198A (ko) 2001-06-15
KR100345902B1 true KR100345902B1 (ko) 2002-07-27

Family

ID=1962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779A KR100345902B1 (ko) 1999-11-25 1999-11-25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8045B2 (en) 2010-05-25 2017-08-08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of gaming, a gaming system and a game controller
KR101443708B1 (ko) * 2013-07-18 2014-09-26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Acf 공급 탈부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464U (ko) * 1991-12-05 1993-07-29 금성산전 주식회사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비닐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7464U (ko) * 1991-12-05 1993-07-29 금성산전 주식회사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비닐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819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678B1 (ko) 전자 부품 장착 방법
US6202728B1 (en) Electric-component feeder
KR100345902B1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비닐 회수장치
KR101143835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125287B1 (ko) 듀얼 픽업 타입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350154B1 (ko) 테이프 피더의 클램핑 장치
KR100298630B1 (ko) 표면실장기의테이프릴비닐회수장치
KR100322903B1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구조
KR100942164B1 (ko)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KR100276482B1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
KR10088952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458679B1 (ko) 테이프 피더용 진동 흡수장치
KR100288198B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터 헤드
JPS6097700A (ja) 電子部品装着機
KR101889167B1 (ko) Smt 부품 실장을 위한 소형 멀티 피딩장치
EP3806601B1 (en) Tape feeder
JP410551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4322512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09239125A (ja) 部品供給装置
KR20000002951A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
KR200262970Y1 (ko) 표면실장기의 마운팅 헤드
KR100347370B1 (ko) 표면실장기의 부품 이송 유니트
KR100450707B1 (ko) 테이프 피더
JP4202815B2 (ja) 表面実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