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520B1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520B1
KR100889520B1 KR1020070053268A KR20070053268A KR100889520B1 KR 100889520 B1 KR100889520 B1 KR 100889520B1 KR 1020070053268 A KR1020070053268 A KR 1020070053268A KR 20070053268 A KR20070053268 A KR 20070053268A KR 100889520 B1 KR100889520 B1 KR 10088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gate
cover
component mounter
carrie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541A (ko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520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1/00Machines for separating superpos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실장기에 장착되는 바디 전방에 캐리어 테이프(2)를 일정피치로 이송 공급하는 테이프 이송수단(14); 상기 캐리어 테이프(2)의 장착 및 이송 안내를 위해 설치되는 게이트 수단(16);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14)에 연결되는 실린더의 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8)으로 이루어진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16)은 게이트 커버(20), 게이트 커버(20)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가이드 블록(22) 및 상기 게이트 커버(20)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컷팅 펀치(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컷팅 펀치를 사용하여 커버 비닐과 베이스 테이프를 함께 배출하게 되어 기기를 간소화 시키고, 캐리어 테이프의 초기 삽입 시 전자 부품의 낭비를 줄이고, 커버 비닐 배출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커버 비닐의 당김 현상으로 발생되는 전자 부품 픽업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수단이 후방으로 개방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삽입이 용이하고, 판스프링의 사용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캐리어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부품 실장기, 테이프 피더, 컷팅 펀치, 게이트 수단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Tape Feeder for Chip Mounter}
도 1은 종래의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에 캐리어 테이프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에 캐리어 테이프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서 캐리어 테이프가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컷팅 펀치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캐리어 테이프 4 : 베이스 테이프
6 : 수납공간 8 : 전자 부품
10 : 커버 비닐 12 : 이송공
14 : 이송수단 16 : 게이트 수단
18 : 구동수단 20 : 게이트 커버
22 : 가이드 블록 24 : 컷팅 펀치
28 : 판스프링 30 : 레버
32 : 클램프 34 : 커버 클램프
36 : 권취휠 38 : 링크
40 : 랫치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이 일열로 다수개 격리 수납되고 커버 비닐에 의해 밀봉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칩을 하나씩 인출하여 실장기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컷팅 펀치를 사용하여 커버비닐과 베이스 테이프를 동시에 배출시킴으로써, 장치 신뢰성의 극대화와 구성부품의 간소화 및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구현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칩마운터)는 피더에서 공급되는 전자부품을 픽 앤드 플레이스(Pick and Place)하는 헤드의 노즐에 진공 흡착하여 픽업(Pick-Up)한 후 기판에 이송 탑재한다.
전자산업의 발전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실장기술도 날로 발전하고 있으며,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표면실장기술은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부품을 삽입한 후 납땜을 함으로써 완성하는 것이다.
최근의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부품은 더욱 소형화되고 고밀도의 부품실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기술도 종래의 관통공 방식을 벗어나 인쇄회로기판표면에 직접 소형, 고밀도의 부품을 실장하는 SMT(Surface Mounted Technology)방식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종래의 SMT방식 표면 실장기는 SMD헤드에 의하여 연동되는 테이프 권취부와 상기 테이프 권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부품이 실장된 테이프를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부와 테이프 상면에 피복되어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비닐을 회수하는 비닐 회수부 및 상기 테이프 권취부와 비닐 회수부를 연동시키는 전동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권취부는 SMD헤드의 힘을 받는 푸시로드와 이에 연결설치된 래치트포울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래치트가 테이프 이송부 플레이트에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부품이 실장되는 테이프가 권취되는 테이프 권취축을 구비한다.
상기 비닐 회수부는 브래키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기어를 구비한 비닐 권취릴과 비닐 권취릴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레버 및 상기 회동레버 일측에 설치된 피니언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부는 중간부가 전동부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어 일측은 상기 테이프권취부의 푸시로드의 하단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링크레버와 일단은 링크레버의 단부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비닐회수부의 회동레버의 하단부에 연동되게 연결설치되는 링크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피더는 테이프 피더, 칩(Chip) 피더, 트레이(Tray) 피더 등의 여러 종류가 개시되고 있으나, 칩을 고속 및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테이프 피더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피더에는 캐리어 테이프가 적용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는 테이프 와 엠보싱 타입의 2종류가 있다.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전자 부품이 매우 미세한 크기로 제공되어 적재한 상태로 하나씩 인출하기 어렵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미세한 크기로 인한 분실 가능성으로 인해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2)는 종이재의 베이스 테이프(4)에 일정간격의 피치로 이격 형성된 수납공간(6)에 전자 부품(8)이 수납되고, 커버비닐(10)로 테이핑 처리되며, 일측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이송공(12)이 형성된 형태로 유통되고 있다.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상기 전자 부품간의 수납 간격이 4mm 또는 2mm 간격으로 이루어진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는 부품실장기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에 의해 상기 이송공을 로킹하여 소정의 피치씩 이동되면서 베이스 테이프와 상기 커버 비닐이 단계적으로 분리되고 노출된 수납공간 내의 전자 부품을 흡착노즐에 의해 흡착하여 취출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테이프 피더는 캐리어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장착 시 베이스 테이프와 비닐을 작업자가 손으로 분리해야 하며, 캐리어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수납공간에 수납된 많은 양의 전자 부품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테이프는 전면부로 배출되고, 커버 비닐은 후면부로 따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커버 비닐 배출부에 엉킴 현상이 발생하여 부품이 손실되고, 커버 비닐의 당김 현상으로 피치의 변화가 발생하여 정확한 픽업(Pick-up)이 어려워 재 셋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컷팅 펀치를 이용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커버 비닐과 베이스 테이프를 동시에 전면부로 배출하여 커버 비닐 배출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게이트 수단을 테이프 피더의 후반부로 개방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킨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부품실장기에 장착되는 바디 전방에 캐리어 테이프를 일정피치로 이송 공급하는 테이프 이송수단;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장착 및 이송 안내를 위해 설치되는 게이트 수단;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에 연결되는 실린더의 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게이트 커버,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컷팅 펀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이송수단은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 전방으로 테이프 피더에 연결설치된 권취휠로부터 캐리어테이프를 이송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테이프 이송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은 게이트 커버,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직선 운동하며 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베이스 테이프와 커버 비닐을 분리하는 컷팅 펀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은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에 연결설치되는 실린더의 로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동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구동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를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에 캐리어 테이프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에 캐리어 테이프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서 캐리어 테이프가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컷팅 펀치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가 접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테이프 이송수단(14), 게이트 수단(16) 및 구동수단(18)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테이프 이송수단(14)은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 전방으로 테이프 피더에 연결설치된 권취휠(36)로부터 캐리어테이프를 이송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 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테이프 이송수단(14)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수단(16)은 상기 캐리어 테이프(2)의 장착 및 이송 안내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게이트 커버(20), 가이드 블록(22) 및 컷팅 펀치(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커버(20)는 테이프 피더의 전방에 연결설치되어 캐리어 테이프(2)를 장착 및 커버 비닐(6)의 이송 안내를 위한 것으로서, 테이프 피더의 전방 일측에 힌지로 연결설치되어 후방으로 개폐되며, 상기 힌지가 연결설치된 일측과 대향되는 후방 일측에 구비된 커버 클램프(3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게이트 커버(2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블록(22)은 상기 게이트 커버(20)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38)작동에 따라 랫치(40)가 회전하면 상기 랫치(40)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을 하며 캐리어 테이프(2)를 게이트 커버(20) 전방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가이드 블록(22)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컷팅 펀치(24)는 상기 게이트 커버(20)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2)의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6)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는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캐리어 테이프(2)가 공급되 는 방향 일측으로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6)을 분리하기 위한 칼날이 형성되어 있고, 분리된 커버 비닐(6)이 접히도록 가이드 블록(22) 일측 및 하향으로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캐리어 테이프(2)를 사용할 수 있도록 캐리어 테이프(2)를 컷팅 펀치(24)에 밀착시켜주는 판스프링(28)이 게이트 커버(20) 내부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컷팅 펀치(24)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28)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18)은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14)에 연결설치되는 실린더의 로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동수단(18)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구동수단(18)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 실장용 테이프 피더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버(30)를 올리면 클램프(32)가 작동하게 되어 실장기에 테이프 피더를 장착한다.
그 다음으로 커버 클램프(34)를 개방하면 게이트 커버(20)가 후방으로 개방되고, 권취휠(36)에 감겨져 있는 캐리어 테이프(2)를 게이트 커버(20)를 폐쇄하여 커버 클램프(34)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캐리어 테이프(2)를 게이트 커버(20)에 장착할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 펀치(24)에 의해서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커버 비닐(6)의 일측이 길이 방향을 따라 분리되고, 분리된 커버 비닐(6)은 컷팅 펀치(24)에 형성된 굴곡을 따라 분리된 커버 버닐(6)과 대향되는 타측으로 접어지면서, 게이트 커버(20) 하부로 다시 삽입된다.
그 다음으로 실린더의 구동으로 링크(38)가 작동하면 랫치(40)가 회전하고 가이드 블록(22)은 직선운동하며 캐리어 테이프(2)를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그 다음으로 실장기 헤드가 픽업 위치에서 전자 부품을 픽업하여 실장기로 이동한다.
전자 부품이 픽업된 캐리어 테이프(2)는 베이스 테이프(4)와 접혀진 커버 비닐(6)이 일체로 테이프 피더 전방(실장기 헤드 방향)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부품 실장용 테이프 피더에는 여러 종류의 캐리어 테이프(2)가 사용되는 바, 다양한 두께를 갖는 캐리어 테이프(2)를 사용하여도, 게이트 커버(20) 내부에 구비된 판스프링(28)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6)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컷팅 펀치를 사용하여 커버 비닐과 베이스 테이프를 함께 배출하게 되어 기기를 간소화 시키고, 캐리어 테이프의 초기 삽입 시 전자 부품의 낭비를 줄이고, 커버 비닐 배출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커버 비닐의 당김 현상으로 발생되는 전자 부품 픽업의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수단이 후방으로 개방되어 캐리어 테이프의 삽입이 용이하고, 판스프링의 사용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캐리어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부품실장기에 장착되는 바디 전방에 캐리어 테이프를 일정피치로 이송 공급하는 테이프 이송수단;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장착 및 이송 안내를 위해 설치되는 게이트 수단; 상기 테이프 이송수단에 연결되는 실린더의 로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은 게이트 커버,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컷팅 펀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2. 제 1항에 있어서,
    컷팅 펀치에 캐리어테이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칼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3. 제 1항에 있어서,
    게이트 커버 내부 일측에 상기 컷팅 펀치와 대응되도록 판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4. 제 1항에 있어서,
    컷팅 펀치는 일측에 커버 비닐을 접어 넣을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용 테이프 피더.
  5. 제 1항에 있어서,
    게이트 수단이 프레임의 전면부(부품 실장기의 헤드 방향)에 힌지로 고정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20070053268A 2007-05-31 2007-05-31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88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68A KR100889520B1 (ko) 2007-05-31 2007-05-31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268A KR100889520B1 (ko) 2007-05-31 2007-05-31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41A KR20080105541A (ko) 2008-12-04
KR100889520B1 true KR100889520B1 (ko) 2009-03-19

Family

ID=4036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268A KR100889520B1 (ko) 2007-05-31 2007-05-31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883B1 (ko) * 2010-03-30 2010-10-13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캐리어 테이프 공급용 커버 테이프 분리장치
KR101125287B1 (ko) * 2009-10-20 2012-03-21 김광식 듀얼 픽업 타입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789B1 (ko) * 2010-02-05 2012-04-05 김광식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자동공급장치의 테이프 가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491A (ko) * 1997-05-21 1998-12-05 기타바타케 미치아키 전자부품 실장기용 외치형 테이프커터 장치
KR20020069639A (ko) * 2001-02-27 2002-09-05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표면실장기용 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JP2005116712A (ja) * 2003-10-07 2005-04-28 Juki Corp 部品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491A (ko) * 1997-05-21 1998-12-05 기타바타케 미치아키 전자부품 실장기용 외치형 테이프커터 장치
KR20020069639A (ko) * 2001-02-27 2002-09-05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표면실장기용 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JP2005116712A (ja) * 2003-10-07 2005-04-28 Juki Corp 部品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287B1 (ko) * 2009-10-20 2012-03-21 김광식 듀얼 픽업 타입의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987883B1 (ko) * 2010-03-30 2010-10-13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캐리어 테이프 공급용 커버 테이프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541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0019A1 (en) Feeder device
CN101742898A (zh) 电子零件安装装置
JPH09186487A (ja) 部品供給装置
KR100627067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KR10088952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502223B1 (ko) 부품 공급 장치
JP4832243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表面実装機
WO2001076994A1 (en) Multiple index tape feeder and method
CN101296610B (zh) 用于芯片安装机的带供给器
KR10103411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028667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298630B1 (ko) 표면실장기의테이프릴비닐회수장치
EP3806601B1 (en) Tape feeder
JP2964773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H06239522A (ja) テープフィーダー
JP2004111726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708219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4322512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00091790A (ja) テープフィーダーのカバーテープ回収方法及びテープフィーダー
JP2005175045A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電子部品供給方法
JP4267955B2 (ja) テープフィーダー
JP398291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電子部品供給方法
JP2002158490A (ja) 包装テープの部品取り出し装置
KR20030061236A (ko) 테이프 피더용 진동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