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116B1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116B1
KR101034116B1 KR1020080116697A KR20080116697A KR101034116B1 KR 101034116 B1 KR101034116 B1 KR 101034116B1 KR 1020080116697 A KR1020080116697 A KR 1020080116697A KR 20080116697 A KR20080116697 A KR 20080116697A KR 101034116 B1 KR101034116 B1 KR 10103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procket
carrier tape
cover
worm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8036A (ko
Inventor
황영수
최완수
Original Assignee
최완수
황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수, 황영수 filed Critical 최완수
Priority to KR102008011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11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어 캐리어 테이프(2)로부터 칩을 인출하여 부품 실장기로 공급하기 위해 캐리어 테이프(2)의 장착 및 이송을 안내하는 피딩부재(16)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2)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14)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4)가 모터(20); 상기 모터(20)에 연결설치되어 모터(20)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24); 상기 웜기어(24)와 치합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웜휠기어 폴리(30)가 구비된 웜휠기어(28); 상기 웜휠기어(28)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연결설치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스프라켓 폴리(34)가 구비된 스프라켓(32); 상기 웜휠기어(28)의 웜휠기어 폴리(30)와 스프라켓(32)의 스프라켓 폴리(34)에 서로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28)의 회전력을 스프라켓(32)에 전달하는 타임벨트(36)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기, 구동부재, 테이프 피더, 웜기어, 웜휠기어, 스프라켓, 센서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Tape Feeder for Chip Mounter}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일렬로 다수개 격리 수납되고 커버 비닐에 의해 밀봉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칩을 하나씩 인출하여 실장기로 공급하기 위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및 웜기어를 이용하여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스프라켓을 구동시켜 백래쉬를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장치 신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칩마운터)는 피더에서 공급되는 전자부품을 픽 앤드 플레이스(Pick and Place)하는 헤드의 노즐에 진공 흡착하여 픽업(Pick-Up)한 후 기판에 이송 탑재한다.
전자산업의 발전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실장기술도 날로 발전하고 있으며, 종래의 인쇄회로기판 표면실장기술은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부품을 삽입한 후 납땜을 함으로써 완성하는 것이다.
최근의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자부품은 더욱 소형화되고 고밀도의 부품실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실장기술도 종래의 관통공 방식을 벗어나 인쇄회로기판표면에 직접 소형, 고밀도의 부품을 실장하는 SMT(Surface Mounted Technology)방식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종래의 SMT방식 표면 실장기는 SMD헤드에 의하여 연동되는 테이프 권취부와 상기 테이프 권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부품이 실장된 테이프를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부와 테이프 상면에 피복되어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비닐을 회수하는 비닐 회수부 및 상기 테이프 권취부와 비닐 회수부를 연동시키는 전동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권취부는 SMD헤드의 힘을 받는 푸시로드와 이에 연결설치된 래치트포울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래치트가 테이프 이송부 플레이트에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부품이 실장되는 테이프가 권취되는 테이프 권취축을 구비한다.
상기 비닐 회수부는 브래키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기어를 구비한 비닐 권취릴과 비닐 권취릴의 일측에 고정된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레버 및 상기 회동레버 일측에 설치된 피니언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부는 중간부가 전동부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어 일측은 상기 테이프권취부의 푸시로드의 하단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링크레버와 일단은 링크레버의 단부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비닐회수부의 회동레버의 하단부에 연동되게 연결설치되는 링크레버로 구성된다.
상기 피더는 테이프 피더, 칩(Chip) 피더, 트레이(Tray) 피더 등의 여러 종류가 개시되고 있으나, 칩을 고속 및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테이프 피더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피더에는 캐리어 테이프가 적용된다.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테이프와 엠보싱 타입의 2종류가 있는바,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는 매우 미세한 크기의 전자부품으로 인해 적재한 상태로 하나씩 인출하기 어렵고, 미세한 크기로 인한 분실 가능성 등이 있어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캐리어 테이프(2)는 종이재 등의 베이스 테이프(4)에 일정간격의 피치로 이격 형성된 수납공간(6)에 전자부품(8)이 수납되고, 커버 비닐(10)로 테이핑 처리되며, 일측 또는 양측에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이송공(12)이 형성된 형태로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는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에 의해 이송공을 로킹하여 소정의 피치씩 이동되면서 베이스 테이프와 커버 비닐이 단계적으로 분리되고 노출된 수납공간 내의 전자부품을 흡착노즐에 의해 흡착하여 취출한다.
종래의 테이프 피더는 전술한 캐리어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장착할 경우, 작업자가 직접 베이스 테이프와 비닐을 분리해야 하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캐리어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수납공간에 수납된 전자부품이 손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테이프는 전방부로 배출되고, 커버 비닐은 별도로 후방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커버 비닐 배출부에 엉킴 현상이 발생하여 부품이 손실될 수 있고, 커버 비닐의 당김 현상으로 인해 피치의 변화가 발생하여 정확한 픽업(Pick- up)이 곤란하여 재 셋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7-0053268호에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구비되는 게이트 수단을 게이트 커버,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게이트 커버 상부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컷팅펀치로 구성하여, 상기 컷팅펀치로 인해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 비닐과 베이스 테이프를 함께 배출하여 기기를 간소화하고, 캐리어 테이프의 초기 삽입 시 전자부품의 낭비를 감소시키며, 커버 비닐 배출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커버 비닐의 당김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자부품의 픽업 오차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구비되어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는 랫치의 경우, 랫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로더의 속도에 따라 랫치의 회전반경이 불규칙하게 변하게 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 길이, 즉 피치가 불규칙하게 변화되고, 상기 랫치의 회전이 빠르게 진행될 경우에는 그 회전속도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에 구비된 부품이 튀거나 기계적인 백래쉬(backlash) 현상이 발생하고, 랫치의 역회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해 스프라켓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라켓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 공기압을 사용하는 에어 실린더나 전기적인 스테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 소음이 발생하고, 공기압의 충격과 스프링의 힘에 의한 반작용에 따라 캐리어 테이프에 수납된 부품이 튀거나, 이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 위치가 변경되는 단점이 있고,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어 연결을 통하여 스프라켓을 구동하여 기어 백래쉬에 의해 픽업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제공되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조절하는 구동부재의 동력전달을 모터, 웜기어, 웜휠기어 및 스프라켓 등으로 구성하여 구동력이 웜 방향으로만 구동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에 구비된 부품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기계적으로 발생하는 백래쉬(backlash) 현상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구성하는 구동부재를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웜휠기어 폴리가 구비된 웜휠기어; 상기 웜휠기어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연결설치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스프라켓 폴리가 구비된 스프라켓; 상기 웜휠기어의 웜휠기어 폴리와 스프라켓의 스프라켓 폴리에 서로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의 회전력을 스프라켓에 전달하는 타임벨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제공되는 부품, 특정적으로 전자부 품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속도를 조절하여 캐리어 테이프에 구비된 부품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기계적으로 발생하는 백래쉬(backlash) 현상을 감소시켜 기기의 오차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어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칩을 인출하여 부품 실장기로 공급하기 위해 캐리어 테이프의 장착 및 이송을 안내하는 피딩부재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가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웜휠기어 폴리가 구비된 웜휠기어; 상기 웜휠기어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연결설치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스프라켓 폴리가 구비된 스프라켓; 상기 웜휠기어의 웜휠기어 폴와 스프라켓의 스프라켓 폴리에 서로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의 회전력을 스프라켓에 전달하는 타임벨트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b는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재의 스프라켓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를 일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에 구비된 스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피딩부재(14) 및 구동부재(1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2)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14)의 구성을 백래쉬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동부재(14)는 모터(20); 상기 모터(20)에 연결설치되어 모터(20)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24); 상기 웜기어(24)와 치합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웜휠기어 폴리(30)가 구비된 웜휠기어(28); 상기 웜휠기어(28)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연결설치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스프라켓 폴리(34)가 구비된 스프라켓(32); 상기 웜휠기어(28)의 웜휠기어 폴리(30)와 스프라켓(32)의 스프라켓 폴리(34)에 서로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28)의 회전력을 스프라켓(32)에 전달하는 타임벨트(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20)는 구동부재(14)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터(20), 특정적으로 전기적인 모터(20)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테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웜기어(24)는 상기 모터(20)에 연결설치되어 모터(2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이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나사선으로 되어 있는 웜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형태를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웜기어(24)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웜기어(24)는 모터(20)의 구동축에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모터(20)와 웜기어(24) 사이에는 별도로 모터(20)의 회전력, 즉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어박스(22)를 더 연결설치하여 모터(20)의 회전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모터(20)에 연결설치되는 웜기어(24)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웜휠기어(28)는 상기 웜기어(24)에 치합되어 웜기어(2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웜휠기어(28)라면 특별 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윔기어(24)에 구비된 한 줄 또는 여러 줄의 나사선에 치합되기 위한 톱니(26)가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웜휠기어 폴리(3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라켓(32)은 상기 웜휠기어(2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2)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스프라켓(32)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웜휠기어(28)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연결설치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스프라켓 폴리(34)가 형성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판상의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톱니(40), 특정적으로 캐리어 테이프(2)의 이송공(12)에 삽입될 수 있는 톱니(40)가 형성된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상기 스프라켓(32)은 상기 톱니(40)가 형성된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내측 위치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스프라켓(32)을 관통한 스프라켓 홀(38)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라켓 홀(38)은 상기 스프라켓 홀(38)과 이웃하도록 구비되어 스프라켓 홀(38)을 감지하는 센서(42)에 의해 그 위치 등이 감지됨으로써, 상기 스프라켓(32)이 회전하는 정도가 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센서(42)를 이용하여 스프라켓(32)의 회전, 즉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것은 센서(42)로부터 전달되는 스프라켓 홀(38)의 위치정보를 통해 모터(20)의 회전속도를 감소 또는 증가 시키거나, 모터(20)에 연결설치될 수 있는 기어박스(22)를 조절하여 윔기어(24)에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센서(42)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조절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이라도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임벨트(36)는 상기 웜휠기어(28)의 웜휠기어 폴리(30)와 스프라켓(32)의 스프라켓 폴리(34)에 서로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28)의 회전력을 스프라켓(32)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타임벨트(36)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16)는 구동부재(14)를 이용하여 캐리어 테이프(2)를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로 공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16)는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는 테이프 피더에 연결설치된 권취휠(미도시)로부터 캐리어 테이프(2)를 이송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재(14)의 상단, 특정적으로 스프라켓(32)의 상단에 캐리어 테이프(2)의 이송공(12)에 스프라켓(32)의 톱니(4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딩부재(16)는 캐리어 테이프(2)를 교체하거나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2)를 설치하기 위해 피딩부재(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딩부재(16)로 유입되는 캐리어 테이프(2)는 캐리어 테이프(2)에 수납된 전자부품(8)이 픽업되도록 커버 비닐(10)이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완전히 또는 일부만이 분 리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2)는 피딩부재(16)에 최초 장착시 작업자가 직접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10)을 분리하여 장착한 뒤 피딩부재(16)에서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2)의 커버 비닐(10)이 연속으로 베이스 테이프(4)와 분리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테이프(4)는 전방(실장기 헤드 방향)으로 배출되고,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분리된 커버 비닐(10)은 별도로 후방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거나; 캐리어 테이프(2)를 구성하는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10)의 접착면 중 일측 접착면만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48)을 피딩부재(16)의 일측에 구비시켜 캐리어 테이프(2)의 커버 비닐(10)을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분리수단(48)은 커버 비닐(10)을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분리수단(48)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칼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 양태로서, 상기 피딩부재(16)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2)가 유입되는 피딩커버(50); 및 상기 피딩커버(50)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캐리어 테이프(2)로부터 분리된 커버 비닐(10)이 캐리어 테이프(2)의 유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회전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6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분리된 커버 비닐(10)은 상기 피딩부재(16)의 일측 종단에 이웃하도록 구비되는 제 1 무빙롤러(44) 및 제 2 무빙롤러(46)에 삽입되어 이송되며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무빙롤러(44) 및 제 2 무빙롤러(46)는 상기 분리된 커버 비닐(10)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무빙롤러(44) 및 제 2 무빙롤러(46)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무빙롤러(44)는 타임벨트(36')에 의해 웜휠기어(28)의 배면에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28)의 회전력이 타임벨트(36')를 통해 제 1 무빙롤러(44)로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무빙롤러(44) 및 제 2 무빙롤러(46)를 통과한 캐리어 테이프(2)의 커버 비닐(10)은 별도로 피딩부재(16)의 일측과 이웃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무빙롤러(44) 및 제 2 무빙롤러(46)와 이웃하도록 후단에 연결설치되는 스택박스(70)에 저장되도록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스택박스(70)는 분리된 커버 비닐(10)을 저장하는 장소로서 일정량 이상의 커버 비닐(10)이 채워지면, 채워진 커버 비닐(10)을 폐기하고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하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상기 피딩부재(16)는 캐리어 테이프(2)가 유입되는 피딩커버(50); 상기 피딩커버(50) 내부 일측에 캐리어 테이프(2)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연결설치되되 캐리어 테이프(2)의 커버 비닐(10)과 베이스 테이프(4)을 접촉면을 분리하도록 구비된 분리수단(48); 및 상기 분리수단(48)과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리수단(48)에 의해 베이스 커버(4)로부터 분리된 커버 비닐(10)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수단(6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딩부재(16)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2)의 커버 비닐(10)은 캐리어 테이프(2)의 베이스 테이프(4)의 양쪽 접착면 중 일측 접착면이 분리수단(48)에 의해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분리되므로 상기 커버 비닐(10)과 베이스 테이프(4)가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로 전자부품(8)의 픽업 후 함께 외부로 배출, 바람직하게는 소정 경로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수단(68)은 분리수단(48)에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분리된 커버 비닐(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캐리어 테이프(2)에 수납된 전자부품(8)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커버 비닐(10)이 가이드 수단(68)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16)는 그 일측에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작동, 특정적으로 구동부재(14)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스위치(7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74)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스위치(74)를 누르게 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시 스위치(74)의 외주면을 따라 스위치(74)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스위치 보호부(7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16)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실장되는 전자부품(8)의 픽업 수를 카운팅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수단(80), 특정적으로 LDE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8)이 수납된 캐리어 테이프(2)를 교체하거나 새로운 캐리어 테이프(2)를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설치하기 위해 피딩부재(16), 특정적으로 피딩부재(16)의 피딩커버(50)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하는바, 상기 피딩커버(50)는 그 종단 일측에 하부로 만곡된 걸림홈(56)이 구비되고, 상기 피딩커버(50)의 걸림홈(56)에 탈/부착되며 피딩커버(5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클램프부(18)가 피딩커버(50)에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부(18)가 피딩커버(50)의 걸림홈(56)으로부터 체결 해제되면 상기 피딩커버(50)는 걸림홈(56)에 대향되는 타측 힌지연결을 기준으로 회전, 바람직하게는 상방향으로 회전하며 개방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16)의 하단 일측에는 클랩프부(18)가 피딩커버(50)의 걸림홈(56)으로부터 체결 해제될 경우, 상기 피딩커버(50)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개방수단(78)이 구비될 수 있는바, 상기 개방수단(78)은 그 일측이 피딩커버(50)와 힌지로 연결설치되되, 상기 힌지 연결설치된 부분을 축으로하여 개방수단(78)의 일측과 피딩커버(5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는 토션 스프링(82)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82)의 탄성력에 의해 피딩커버(50)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방수단(78)은 필요에 따라, 그 상단 일측에 압축 스프링(80)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 스프링(80)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딩수단(16)의 피딩커버(50)로 유입되는 캐리어 테이프(2)의 두께와 상관없이, 상기 캐리어 테이프(2)가 피딩커버(50)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 스프링(80)의 상단에는 피딩커버(50)로 유입되는 캐리어 테이프(2)와 압축 스프링(80)이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별도의 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18)는 피딩커버(50)가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피딩커 버(50)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한 당업계의 통상적인 클램프부(18)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딩커버(50)의 걸림홈(56)에 체결 또는 해제되며 피딩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58) 및 상기 힌지(58)에 대향되는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회전축(60)을 포함하는 체결수단(52); 상기 체결수단(52)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체결수단(52)에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62); 상기 체결수단(52)에 연결설치되어 체결수단(52)이 피딩커버(50)의 걸림홈(56)에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버튼(54); 및 상기 버튼(54)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5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64)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52), 토션 스프링(62), 버튼(54), 압축 스프링(64) 등의 구성부품은 그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몸체(66)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구성부품이 서로 연결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테이프 피더의 캐리어 테이프(2)로부터 부품을 픽업하여 인출하는 위치의 하단으로 픽업시 오류로 픽업되지 않은 부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관통하는 부품 배출구(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사용양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품 실장기에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피더를 장착한다.
그 다음, 피딩부재(16)의 피딩커버(50)에 체결되어 있는 클램프부(18)의 버튼(54)을 눌러 클램프부(18)와 피딩커버(50)의 체결을 해제한 뒤 피딩커버(50)를 개방시켜 그 내부로 권취휠(미도시)에 감겨져 있는 캐리어 테이프(2)를 삽입하여 설치한 후 클램프부(18)를 피딩커버(50)에 체결시켜 상기 피딩커버(50)를 고정시킨다.
그 다음, 구동부재(14)의 모터(20)를 작동시켜 모터(20)에 연결설치된 웜기어(24)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20) 및 웜기어(24) 사이에 기어박스(22)를 설치하여 모터(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웜기어(24)의 회전에 따라 웜기어(24)에 치합된 웜휠기어(28)가 회전하고, 상기 웜휠기어(28)의 회전에 따라 웜휠기어(28)와 타임벨트(36)로 연결설치된 스프라켓(32)이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타임벨트(36)는 웜휠기어(28)의 웜휠기어 폴리(30) 및 스프라켓(32)의 스프라켓 폴리(34)에 연결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 다음, 상기 스프라켓(32)의 회전에 따라 스프라켓(32)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톱니(40)가 회전하면, 상기 톱니(40)에 연결설치되는 캐리어 테이프(2)의 이송공(12)이 이동되면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2)가 일정 피치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라켓(32)과 이웃하게 스프라켓(32)에 구비된 스프라켓 홀(38)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42)가 구비되어 스프라켓(32)의 회전 정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정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센서(42)의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20) 또는 기어박스(22)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스프라켓(3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캐리어 테이프(2)가 일정 피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딩부재(16)의 일측에 구비된 분리수단(48)으로 캐리어 테이프(2)의 커버 비닐(10)을 베이스 테이프(4)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상기 피딩부재(16)에 분리수단(48)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초기 캐리어 테이프(2)를 피딩부재(16)에 설치할 때, 상기 캐리어 테이프(2)를 구성하는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10)을 서로 완전 분리하여 커버 비닐(10)을 부품 실장기의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베이스 테이프(4)는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 다음, 실장기 헤드가 픽업 위치에서 전자부품(8)을 픽업하여 실장기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장기의 기기 오작동 등에 의해 픽업되는 전자부품(8)의 픽업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오류로 인해 픽업되지 못한 전자부품(8)은 부품 배출구(7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 다음, 전자부품(8)이 픽업된 캐리어 테이프(2)는 피딩부재(16)의 형태에 따라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10)이 별도의 경로, 예를 들면 베이스 테이프(4)는 부품 실장기의 전방으로 배출되고, 커버 비닐(10)은 부품 실장기의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거나, 베이스 테이프(4)와 커버 비닐(10)이 일체로 테이프 피더 전방(실장기 헤드 방향)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2)의 베이스 테이프(4)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전방으로 배출되고, 커버 비닐(10)이 후방으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커버 비닐(10)은 커버 비닐(10)이 삽입되어 이동되는 제 1 무빙롤러(44) 및 제 2 무빙롤러(46)를 통과하여 커버 비닐(10)을 저장하는 스택박스(70)로 이송 배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다.
도 1a는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1b는 부품 실장기용 캐리어 테이프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일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재의 스프라켓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를 일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피딩부재에 구비된 스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캐리어 테이프 4 : 베이스 테이프
6 : 수납공간 8 : 전자부품
10 : 커버 비닐 12 : 이송공
14 : 구동부재 16 : 피딩부재
18 : 클램프부 20 : 모터
22 : 기어박스 24 : 웜기어
26 : 톱니 28 : 웜휠기어
30 : 웜휠기어 폴리 32 : 스프라켓
34 : 스프라켓 폴리 36 : 타임벨트
38 : 스프라켓 홀 40 : 톱니
42 : 센서 44: 제 1 무빙롤러
46: 제 2 무빙롤러 48: 분리수단
50 : 피딩커버 52 : 체결수단
54 : 버튼 56 : 걸림홈
58 : 힌지 60 : 회전축
62, 82 : 토션 스프링 64, 80 : 압축 스프링
66 : 몸체 68 : 가이드 수단
70 : 스택박스 72 : 부품 배출구
74 : 스위치 76 : 스위치 보호구
78 : 개방수단 80 : 디스플레이 수단

Claims (15)

  1. 부품 실장기에 장착되어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칩을 인출하여 부품 실장기로 공급하기 위해 캐리어 테이프의 장착 및 이송을 안내하는 피딩부재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이송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가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웜휠기어 폴리가 구비된 웜휠기어; 상기 웜휠기어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연결설치되되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원판 형상의 스프라켓 폴리가 구비된 스프라켓; 상기 웜휠기어의 웜휠기어 폴리와 스프라켓의 스프라켓 폴리에 서로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의 회전력을 스프라켓에 전달하는 타임벨트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2. 제 1항에 있어서,
    모터와 윔기어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기어박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이 판상의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이 톱니가 형성된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내측 위치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스프라켓 홀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 홀과 이웃하도록 구비되어 스프라켓 홀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재가 캐리어 테이프가 유입되는 피딩커버; 및 상기 피딩커버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커버 비닐이 캐리어 테이프의 유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회전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재와 이웃하도록 구비되어 가이드 수단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의 유입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 회전한 커버 비닐이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제 1 무빙롤러 및 제 2 무빙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빙롤러가 구동부재의 웜휠기어와 벨트로 연결설치되어 웜휠기어(28)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재와 이웃하도록 구비되어 분리된 커버 비닐이 이동되어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스택박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재가 캐리어 테이프가 유입되는 피딩커버; 상기 피딩커버 내부 일측에 캐리어 테이프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연결설치되되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 비닐과 베이스 테이프을 접촉면을 분리하도록 구비된 분리수단; 및 상기 분리수단과 이웃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베이스 커버로부터 분리된 커버 비닐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11. 제 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커버의 종단 일측에 하부로 만곡된 걸림홈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홈에 체결 또는 해제되며 피딩커버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클램프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가 상기 피딩커버의 걸림홈에 체결 또는 해제되며 피딩커버가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및 상기 힌지에 대향되는 타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체결수단; 상기 체결수단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체결수단에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 상기 체결수단에 연결설치되어 체결수단이 피딩커버의 걸림홈에 체결 또는 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13. 제 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재의 피딩커버 일측에 힌지로 연결설치되되, 상기 힌지 연결설치된 부분을 축으로하여 피딩커버를 개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구비된 개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14. 제 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재의 상단 일측에 피딩부재로 이송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이송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의 외주면을 따라 스위치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된 스위치 보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픽업하여 인출하는 위치의 하단으로 픽업시 오류로 픽업되지 않은 부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를 관통하는 부품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20080116697A 2008-11-24 2008-11-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034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697A KR101034116B1 (ko) 2008-11-24 2008-11-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697A KR101034116B1 (ko) 2008-11-24 2008-11-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36A KR20100058036A (ko) 2010-06-03
KR101034116B1 true KR101034116B1 (ko) 2011-05-13

Family

ID=4235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697A KR101034116B1 (ko) 2008-11-24 2008-11-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164B1 (ko) * 2010-12-21 2012-05-25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이프피더
CN105682371A (zh) * 2016-03-12 2016-06-15 中山市鸿程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贴片机入料端结构
CN112499357B (zh) * 2020-11-10 2024-03-05 昆山展亮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载带专用顶升型分割器传动机组
CN113780512A (zh) * 2021-09-17 2021-12-10 杭州捷配信息科技有限公司 点料机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586A (ko) * 1999-06-24 2001-01-15 이중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010033904A (ko) * 1998-01-07 2001-04-25 칼 하인쯔 슐츠 표면-코팅된 비산화물계 세라믹
KR20080041864A (ko) * 2006-11-08 2008-05-1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테이프 피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904A (ko) * 1998-01-07 2001-04-25 칼 하인쯔 슐츠 표면-코팅된 비산화물계 세라믹
KR20010003586A (ko) * 1999-06-24 2001-01-15 이중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080041864A (ko) * 2006-11-08 2008-05-1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스프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테이프 피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036A (ko)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7091A1 (ja) フィーダ装置
KR10103411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627067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EP3270675B1 (en) Feeder
JP6445676B2 (ja) フィーダ
JP5650428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US20020108984A1 (en) Multiple-pitch tape feeder with multiple peel positions
KR101143835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2011155182A (ja) フィーダ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JP4714256B2 (ja) 部品供給装置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311071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88952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110023982A (ko) 테이프 피더
JP4307194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051596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028667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EP3806601B1 (en) Tape feeder
KR101150164B1 (ko) 테이프피더
WO2021014503A1 (ja) テープガイド、部品供給装置、及びテープガイドの使用方法
KR100276482B1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
JP2009290047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面実装機
KR101889167B1 (ko) Smt 부품 실장을 위한 소형 멀티 피딩장치
JP6780898B2 (ja) フィーダ装置
KR20000002951A (ko)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