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071B1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071B1
KR100311071B1 KR1019990023943A KR19990023943A KR100311071B1 KR 100311071 B1 KR100311071 B1 KR 100311071B1 KR 1019990023943 A KR1019990023943 A KR 1019990023943A KR 19990023943 A KR19990023943 A KR 19990023943A KR 100311071 B1 KR100311071 B1 KR 100311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ape
sprocket
pulley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586A (ko
Inventor
유동희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9002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1071B1/ko
Priority to US09/349,937 priority patent/US6318437B1/en
Priority to DE19932021A priority patent/DE19932021B4/de
Publication of KR2001000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3Actuating means linear magnetic, e.g. induction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가이드부와 스트리퍼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내지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의 동축선상에 설치되며, 부품 부착용 테이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치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슬롯을 가지는 스프로킷; 상기 기어열의 다른 한 기어에 설치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 걸린 벨트, 상기 벨트를 통해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와 동일축에 설치되는 권취릴을 가지는 커버 권취 기구 조립체; 상기 제 3 기어에 맞물린 액슬 기어, 상기 액슬 기어와 동축선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피일 롤러 및, 상기 피일 롤러와 접촉하여 회전될 수 있는 핀치 롤러를 구비하는 커버 인장 기구 조립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품이 흡착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검지하는 센서 및, 상기 스프로킷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통해 광을 발진시키거나 그 광을 검지하는 센서; 및, 래치트와 상기 래치트에 맞물리는 인덱싱 장치;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테이프 피더는 두께가 얇아지고 보다 많은 수의 부품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인덱싱의 정확성이 보장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Tape feeder for chip mounter}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덱싱 기능이 향상된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반도체 칩과 같은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위치에 실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이다. 이러한 부품 실장기에서는 소요되는 다종의 부품을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하고 이를 로보트에 의해 작동하는 흡착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부품의 공급 형태는 작업 환경 및 부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부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부품을 트레이에 적재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지만, 부품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부품을 트레이에 적재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다. 특히 크기가 매우 작은 부품에 대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부품이 작업중에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로 설계된 테이프 피더(tape feeder)를 이용한다.
테이프 피더는 미소한 크기의 부품을 테이프상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시켜서 형성된 테이프 롤을 이용하며, 이러한 롤로부터 테이프를 풀어냄과 동시에,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덮고 있던 커버를 벗겨내는 작용을 수행한다. 로보트의 흡착 노즐은 커버가 벗겨진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흡착하여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이탈시키고, 이를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위치로 이송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테이프 피더는 가이드 프레임(11)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11)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론트 커버(12)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11)의 배면을 덮는 백 커버(13)를 구비한다. 가이드 프레임(11)의 전면과 배면에는 테이프 피더의 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부품이 설치된다. 도 1에서는 가이드 프레임(11)의 일부를 절개하여 구동 모터(16)가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구동 모터(16)의 회전축에는 워엄 기어(17)가 설치된다. 또한 피일 롤러(18)와 핀치 롤러(19)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일 롤러(18)의 동축선상에 액슬 기어(23)가 설치되는데, 상기 액슬 기어(23)는 가이드 프레임(11)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프레임(11)의 배면에는 다수의 기어(17,27,28,29,23, 도 2)로 구성되는 기어열이 설치됨으로써 모터(16)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액슬 기어(23)에 전달한다.
가이드 프레임(11)의 전면에는 또한 권취 릴(24)이 설치된다. 권취 릴(24)도구동 모터(1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권취 릴(24)에는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를 덮고 있던 커버가 감기게 된다. 즉, 테이프에 부착되었던 커버가 테이프로부터 떼어진 이후에는 커버가 권취 릴(24)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 프레임(11)과 백 커버(13)의 사이에는 가이드 프레임(11)의 배면을 덮는 시일드(14)와 각종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15)이 개재된다.
가이드 프레임(11)에서 스트리퍼(20)의 상부(22)에는 센서가 설치된다. 센서는 부품이 흡착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게 되며, 이러한 검지 작용에 의해 흡착 노즐이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떼어서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스트리퍼(20)가 스태빌라이저 스프링(21)에 탄성적으로 지지지어 가이드 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압축 스프링(21')은 스트리퍼(20)의 측면에 일단이 지지되고, 압축 스프링(21')의 다른 일단은 가이드 프레임(11)에 형성된 보스에 삽입된다.
프론트 커버(12)가 가이드 프레임(11)에 설치되었을 때 스트리퍼(20)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프론트 커버(12)의 상단 부분은 일부가 절개되어 있다. 프론트 커버(12)의 확대된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스트리퍼(20)가 분리된 하나의 부품으로서 제작되며, 스트리퍼(20)를 가이드 프레임(11)에 설치하기 위하여 프론트 커버(12)의 상부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태로 절단되어 있는 것이다.
도 2에는 가이드 프레임(11)의 배면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1)의 배면에는 풀리(25)가 설치되며, 또한 제 1 기어(27), 제 2 기어(28), 제 3 기어(29)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된다. 제 3 기어(29)는 액슬 기어(23)와 맞물린다. 도 1에서 설명된 모터(16)의 워엄 기어(17)는 제 1 기어(27)와 맞물린다. 제 1 기어(27)에는 벨트(26)가 걸리는 풀리(미도시)가 설치되며 벨트(26)는 또한 다른 풀리(25)에 걸리게 된다. 풀리(25)는 가이드 프레임(11)의 전면에 설치된 권취 릴(24)과 동축선상에 설치된다. 또한 액슬 기어(23)는 피일 롤러(18, 도 1)와 동축선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16)의 회전력은 제 1 기어(27), 벨트(26), 풀리(14)를 통해서 권취 릴(24)을 회전시키고, 제 1 기어(27)내지 제 3 기어(29)를 통해 액슬 기어(23)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일 롤러(18)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면 번호 31 로 지시된 것은 레버이다. 레버(31)는 스프링(33)에 의해 탄성적인 힘을 받으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31)의 하단부(31a)는 도시되지 아니한 칩 마운터의 장착부 홈에 끼워짐으로써, 부품 피이더 전체를 칩 마운터상에 정위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도 3 에 도시된 것은 제 1 내지 제 3 기어열과 스프로킷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3 기어(29)에는 스프로킷(32)이 동축선상에 설치된다. 스프로킷(32)의 형상은 도 4의 평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에 걸쳐서 톱니(41)와 함께 다수의 슬롯(42)이 형성된 것이다. 톱니(41)는 가이드 프레임(11)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서 가이드 프레임(11)의 전면에 나타나게 되며, 스프로킷(32)의 톱니(41)가 돌출되는 부분은 도 1 에 도시된 스트리퍼(20)의 하부에 해당한다. 스프로킷(32)의 톱니(41)는 테이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스프로킷(32)의 회전에 따라서 테이프가 소정 피치로 전진하게 된다. 즉,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에는 가장 자리를 따라서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러한 홈들이 스프로킷(32)의 톱니(41)에 걸리게 되며, 스프로킷(32)의 회전에 의해 소정 궤적을 따라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후에 설명될 광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로킷(32)의 슬롯(42)을 통해서 발광 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이 통과하게 된다. 즉, 발광 센서로부터 발진된 광이 슬롯(42)을 통과하거나 또는 슬롯 아닌 부분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수광 센서가 검지함으로써, 스프로킷(32)의 회전 피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위에 설명된 기어들과 센서들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워엄 기어(17)의 회전축 전방에는 엔코더(61)가 설치되며, 상기 엔코더(61)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72a)가 설치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스프로킷(32)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72b)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들은 워엄 기어(17) 및 스프로킷(32)의 회전을 검지하여 그 신호를 콘트롤러(63)로 전송하고, 콘트롤러(63)에서는 해당 신호에 따라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면 번호 64는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의 주행 경로의 일부를 나타내며, 도면 번호 65는 테이프로부터 벗겨진 커버로서, 상기 커버(65)는 권취 릴(24)에 감기게 된다. 부호 A 로 표시된 원내에 도시된 것은 엔코더(61)를 도 6의 우측으로부터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6에서,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는 테이프 피더의 소정 궤적을 따라 스트리퍼(20)가 설치된 부분까지 도달한다. 압축 스프링(21')과 상기 압축 스프링(21')이 접촉하는 경사면 사이에서 테이프가 가압된다. 스트리퍼(20)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러한 슬롯을 통해서 부품 공급용 테이프에서 부품을 덮고 있는 커버가 벗겨져 나오게 된다. 커버는 피일 롤러(18)와 핀치 롤러(19) 사이에 끼워지게 되며, 이들 롤러들로부터 제공되는 인장력에 의해 벗겨지게 되고, 다시 소정 궤적을 따라서 권취 릴(24)까지 이동하여 권취 릴(24)에 감기게 된다. 22 번으로 표시된 부위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는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이 소정 위치에 왔다는 것을 검지하며, 그에 따라서 부품 흡착 노즐이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흡착하여 이동하게 된다. 부품이 떼어진 테이프(64)는 다시 소정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테이프 피더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테이프(64)는 소정의 인덱스 기능에 따라서 소정 궤적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것은 도 6에 도시된 엔코더(61), 스프로킷(32) 및, 센서(72a,72b)들의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스프로킷(32)의 홈(42)을 통해 투과되는 광 신호를 제 2 센서(72b)가 감지함으로써 인덱싱 피치를 결정하면, 제 1 센서(72a)는 엔코더(61)에 의해 감지되는 광신호를 계산하여 구동 모터(16)를 정지시킴으로써 인덱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위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테이프 피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스프로킷(32)의 최소 회전 이송 피치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테이프에 많은 수의 부품을 부착시킬 수 없다. 스프로킷(32)의 인덱싱 피치는스프로킷(32)에 형성된 슬롯(42)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러한 슬롯(42)의 간격이 너무 넓어서 회전 피치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부착될 수 있는 부품의 수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인쇄 회로 기판(15)에는 일측면에만 부품이 실장될 수 있으므로, 테이프 피더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터워지게 된다. 즉, 인쇄 회로 기판(15)에는 시일드(14)를 향하는 면의 반대편에만 부품이 실장되므로, 부품 설치 공간의 제약이 따르며, 테이프 피더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스트리퍼(20)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수가 증가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리퍼(20)는 가이드 프레임(11)에 설치되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스트리퍼(20)는 테이프로부터 커버를 벗겨냄과 동시에 부품이 테이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그런데, 스트리퍼(20)가 플라스틱 재료의 별도 부품으로 제작되므로 내구성이 약하고 부품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다른 문제점으로서, 압축 스프링(21')을 조립하기가 곤란하다. 즉, 압축 스프링(21')의 일단부는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는 반면에 다른 단부는 스트리퍼(20)에 걸리게 되므로, 압축 스프링(21')의 조립이 스트리퍼(20)의 조립과 병행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곤란성이 있었다.
한편, 또다른 문제점으로서, 구동 모터의 인덱싱 작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구동 모터(16)는 단지 콘트롤러(63)의 신호에 따라 전기적으로 제어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는 구동 모터(16)의 작동부 자체가 가지는 관성을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에 있어서는 인덱싱 반복회수가 많아질수록 인덱싱의 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정된 공간내에 설치되어 보다 많은 수의 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덱싱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피더에서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기어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도 2에 표시된 스프로킷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표시된 프론트 커버와 스트리퍼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테이프 피더 일부에 대한 발췌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은 도 6에서 원 A 로 표시된 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피더에 설치되는 스프로킷에 대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일부에 대한 발췌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피더의 인덱싱 장치의 예들에 대한 발췌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61. 가이드 프레임 12. 72. 프론트 커버
13. 백 커버 14. 시일드
15. 기판 16. 모터
17. 워엄 기어 18. 피일 롤러
19. 핀치 롤러 22. 센서
23. 액슬 기어 27. 제 1 기어
28. 제 2 기어 29. 제 3 기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로부터 커버를 떼어내고 테이프상의 부품을 흡착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스트리퍼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 결합된 기어열; 상기 기어열 안에 있는 하나의 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부품 부착용 테이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치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가지는 스프로킷; 상기 기어열의 다른 한 기어에 설치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 걸린 벨트, 상기 벨트를 통해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와 동일축에 설치되는 권취릴을 가지는 커버 권취 기구 조립체; 상기 기어열에 맞물린 액슬 기어, 상기 액슬 기어와 동축선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피일 롤러 및, 상기 피일 롤러와 접촉하여 회전될 수 있는 핀치 롤러를 구비하는 커버 인장 기구 조립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품이 흡착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검지하는 센서 및 상기 스프로킷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에 대응하는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되는 시일드 및, 부품이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양측면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도록 상기 시일드와 상기 프레임의 소정 부위가 절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의 최소 이송 피치가 2 mm 일 수 있도록 상기 스프로킷의 슬롯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는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가 이송될 수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압축 스프링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보스에 양 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프로킷과 동일축상에 설치된 래치트 및, 상기 래치트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정지 포올을 가지는 인덱싱 장치;를 더 구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덱싱 장치의 상기 정지 포올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 탄성 편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덱싱 장치의 상기 정지 포올은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왕복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개략적인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반적인 테이프 피더의 구성과 유사하며,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써 표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이프 피더는 가이드 프레임(71)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71)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론트 커버(72)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71)의 배면을 덮는 백 커버(13)를 구비한다. 가이드 프레임(71)의 일부를 절개하여 구동 모터(15)가 설치되며, 구동 모터(15)의 회전축에는 워엄 기어(17)가 설치된다. 또한 피일 롤러(18)와 핀치 롤러(19)가 상호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프레임(71)의 배면에서, 피일 롤러(18)의 동축선상에 액슬 기어(23)가 설치된다. 가이드 프레임(71)의 배면에는 기어열이 설치됨으로써 모터(16)의 구동력을 상기 액슬 기어(23)에 전달한다. 가이드 프레임(71)의 전면에는 또한 권취 릴(24)이 설치된다. 권취 릴(24)도 구동 모터(1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가이드 프레임(71)과 백 커버(13)의 사이에는 가이드 프레임(71)의 배면을 덮는 시일드(14)와 각종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인쇄 회로 기판(15)이 개재된다. 프론트 커버(72)의 상부(72')에는 센서가 설치된다. 센서는 부품이 흡착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
도 7에는 가이드 프레임(71)의 배면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71)의 배면에는 풀리(25)가 설치되며, 또한 제 1 기어(27), 제 2 기어(28), 제 3 기어(29)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된다. 제 3 기어(29)는 액슬 기어(23)와 맞물린다. 제 1 기어(27)에는 벨트(26)가 걸리는풀리가 설치되며 벨트(26)는 또한 풀리(25)에 걸리게 된다. 풀리(25)는 가이드 프레임(11)의 전면에 설치된 권취 릴(24)과 동축선상에 설치된다. 또한 액슬 기어(23)는 피일 롤러(18)와 동축선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16)의 회전력은 제 1 기어(27), 벨트(26), 풀리(14)를 통해서 권취 릴(24)을 회전시키고, 제 1 기어(27)내지 제 3 기어(29)를 통해 액슬 기어(23)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일 롤러(18)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면 번호 31 로 지시된 것은 레버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제 3 기어(29)와 동축선상에 설치되는 스프로킷은 그 회전 이송 피치가 종래에 비해서 작게 형성된다. 스프로킷은 도 10의 평면도에 도면 번호 102 로 표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04)의 간격이 조밀하게 형성된다. 이를 도 4 에 도시한 일반적인 테이프 피더의 스프로킷(32)과 비교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테이프의 최소 이송 피치가 4 mm 이었던데 반해서, 본 발명에서는 테이프의 최소 이송 피치가 2 mm 로 감소되었다. 이처럼 테이프의 최소 이송 피치가 절반으로 감소되는 것은 슬롯(104)의 형성 간격을 종래에서 보다 50% 로 감소시켰기 때문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판(15)의 양면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도록, 시일드(14)에 절개부(14a)를 형성하고, 가이드 프레임(71)에도 절개부(71a)를 형성한다. 즉, 회로 기판(15)의 표면에 실장된 부품이 상기 절개부(14a,71a)를 통해서 수용됨으로써, 보다 많은 수의 부품이 기판(15)의 양쪽 표면에 실장될 수 있고, 전체적인 테이프 피더의 두께도 줄어들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를 안내하고 테이프로부터 커버를 떼어내는 기능을 가진 스트리퍼가 가이드 프레임(71)에 일체화되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도 6에서 원 A 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 9에 잘 나타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71)의 상단부에는 제 1 가이드부(91), 제 2 가이드부(92) 및, 제 3 가이드부(93)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가이드부(9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은 평탄하며, 하부 표면은 중심이 볼록한 소정 형태의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이드부(92)는 상면이 소정 곡률의 만곡면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은 가이드 프레임(72)을 절개한 부분(101)에 면하고 있다. 가이드 프레임(72)의 절개부(101)를 통해서 노출되는 스프로킷(102, 도 10)의 치(103)는 테이프(미도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으로써 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92)의 상부에 형성된 만곡면은 제 1 가이드부(91)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한 만곡면과의 사이에 테이프가 진행하는 간극을 형성한다.
제 3 가이드부(93)는 가이드 프레임(71)의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가이드부(92)의 상부 만곡면을 대향하는 오목한 만곡면을 형성한다. 제 3 가이드부(93)의 만곡면과 제 2 가이드부(92)의 만곡면 사이에도 테이프가 진행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가이드 프레임(71)의 상부에는 스트리퍼(95)가 형성되며, 이것은 얇고 평탄한 판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 프레임(71)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스트리퍼(95)는 제 1 가이드부(91)의 상부 평탄부의 끝부분에 중첩됨으로써, 스트리퍼(95)의 하부 표면과 제 1 가이드부(91)의 상부 평탄면 사이에도 간극이 형성된다.
보스(99,99')에는 압축 스프링(100)의 말려있는 양 단부가 결합된다. 즉, 종래에는 압축 스프링의 일 단부는 보스에 설치되고 다른 단부는 스트리퍼에 지지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압축 스프링(100)의 양 단부 모두가 보스(99,99')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 방식은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압축 스프링(100)과 경사면(71c) 사이를 통해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가 진행하게 되며, 압축 스프링(100)의 탄성력으로써 테이프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테이프가 스프로킷(102)에 걸려서 이동할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면 번호 97 로 표시된 부분은 핀치 롤러(19)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홀이며, 도면 번호 98 로 표시된 부분은 피일 롤러(18, 도 6)의 회전축이 통과하는 홀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가이드 프레임에서 부품이 부착된 상태의 테이프는 제 1 가이드부(91)와 제 2 가이드부(92)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서 진행하고, 다시 제 2 가이드부(92)의 상부 표면(96)을 따라 진행한다. 이후에 제 2 가이드부(92)의 상부 표면과 제 3 가이드(93)의 하부 표면 사이를 진행한다.
한편, 위와 같은 테이프의 진행중에, 테이프로부터 커버를 떼어내는 작용은 스트리퍼(95)와 제 1 가이드부(91) 사이에 수행된다. 즉, 커버를 스트리퍼(95)의 하부 표면과 제 1 가이드부(91)의 상부 표면을 통해 통과시키고, 이전에 설명된 핀치 롤러(19)와 피일 롤러(18)에 의해 제공되는 인장력으로 잡아당기면 커버가 테이프로부터 벗겨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프로부터 떼어진 커버는 도 6 에 도시된 권취 리일(24)에 감기게 된다.
커버가 테이프로 떼어지면 부품이 노출된다. 노출된 부품은 제 2가이드부(92)의 만곡면(96)상에서 흡착 노즐에 의해 흡착되어 테이프로부터 이탈된다. 커버가 벗겨지고, 부품이 이탈된 테이프는 다시 제 2 가이드부(92)와 제 3 가이드부(9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진행하며, 결국 테이프 피더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테이프 피더의 인덱싱 작용은 모터의 구동을 콘트롤러로 제어하는 것과 동시에 기구적으로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구적 제어 방식은 인덱싱 작용이 반복되더라도 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인덱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 6 과 유사하며, 동일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3 기어(29)에는 스프로킷(104)과 동축선상에 래치트(115)가 결합된다. 래치트(115)는 제 3 기어(29)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래치트(115)는 스프링 편향된 정지 포올(112)과 맞물리거나 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왕복될 수 있는 정지 포올(131, 도 13)과 맞물리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은 도 11의 래치트와 정지 포올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트(115)의 치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정지 포올(112)이 맞물려 있다. 포올(112)은 회전축(11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113)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탄성을 받고 있다. 따라서, 래치트(115)는 회전시에 정지 포올(112)에 의한 규제를 받으므로, 관성에 의하여 인덱싱 피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3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인덱싱 장치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정지 포올(131)은 솔레노이드(132)에 의해서 제어 가능하게 왕복 운동하게 된다. 정지 포올(131)이 래치트(115)와 맞물리면 래치트(115)의 회전이 정지된다. 솔레노이드(132)는 도 11에 도시된 솔레노이드(63)에 의해서 제어된다.
위에 설명된 기구적인 인덱싱 피치 제어 방식은 구동 모터(16)에 대한 전자적 제어 방식과 병행되어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일부 언급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품이 부착되어 있는 테이프는 커버가 씌어진 상태로 테이프 피더에 형성된 안내 슬롯을 통하여, 그리고 압축 스프링(100)과 경사면(71c) 사이에서 가압을 받으면서 제 1 가이드부(91)와 제 2 가이드부(92) 사이로 진입한다. 테이프의 이송은 테이프에 형성된 홈에 스프로킷(102)의 치(103)가 삽입되고, 스프로킷(102)이 모터(16)의 구동력을 워엄 기어(17), 제 1 기어(27), 제 2 기어(28) 및, 제 3 기어(29)를 통해 전달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로부터 커버를 떼어내는 작용은 커버를 제 1 가이드부(91)의 상부 표면과 스트리퍼(95) 사이를 통과시켜서 피일 롤러(18)와 핀치 롤러(19)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떼어낸 커버는 권취 리일(24)에 감긴다. 피일 롤러(18)는 모터(16)의 회전력을 워엄 기어(17), 제 1 기어(27), 제 2 기어(28), 제 3 기어(29) 및, 액슬 기어(23)를 통해서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권취 리일(24)은 제 1 기어(27)와 함께 회전하는 풀리에 감긴벨트(26)의 회전을 풀리(25)를 통해 전달받음으로써 이루어진다.
커버가 벗겨진 테이프가 제 2 가이드부(92)의 만곡면(96)에 도달하면 프론트 커버(72)의 상부(72')에 설치된 센서는 부품이 흡착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다. 센서에서 검지된 바에 따라 흡착 노즐(미도시)이 만곡면(96)의 상부인 흡착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떼어내게 된다. 부품과 커버가 모두 제거된 빈 테이프는 다시 제 2 가이드부(92)와 제 3 가이드부(9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서 테이프 피더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는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품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으면서도 다수의 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스프로킷의 최소 회전 피치가 감소됨으로써 많은 수의 부푸을 부착하여 공급할 수 있고, 커버를 제거하는 스트리퍼 및 그에 따른 안내부가 일체화됨으로써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인쇄 기판의 양측 표면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으므로 두께가 얇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축 스프링의 양 단부가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보스에 결합됨으로써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인덱싱 피치의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부품이 부착된 테이프로부터 커버를 떼어내고 테이프상의 부품을 흡착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스트리퍼가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및 구동 모터에 결합된 기어열;
    상기 기어열 안에 있는 하나의 기어와 동축상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부품 부착용 테이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치와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슬롯을 가지는 스프로킷;
    상기 기어열의 다른 한 기어에 설치된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에 걸린 벨트, 상기 벨트를 통해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2 풀리와 동일축에 설치되는 권취릴을 가지는 커버 권취 기구 조립체;
    상기 기어열에 맞물린 액슬 기어, 상기 액슬 기어와 동축선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피일 롤러 및, 상기 피일 롤러와 접촉하여 회전될 수 있는 핀치 롤러를 구비하는 커버 인장 기구 조립체;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품이 흡착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검지하는 센서 및 상기 스프로킷에 형성된 다수의 슬롯에 대응하는 감지 센서; 및,
    상기 스프로킷과 동일축상에 설치된 래치트 및, 상기 래치트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정지 포올을 가지는 인덱싱 장치;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장치의 상기 정지 포올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 탄성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장치의 상기 정지 포올은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왕복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9990023943A 1998-07-09 1999-06-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311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943A KR100311071B1 (ko) 1999-06-24 1999-06-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US09/349,937 US6318437B1 (en) 1998-07-09 1999-07-08 Tape feeder for component part mounter
DE19932021A DE19932021B4 (de) 1998-07-09 1999-07-09 Bandförderer für eine Vorrichtung zum Montieren von Bauteil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943A KR100311071B1 (ko) 1999-06-24 1999-06-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586A KR20010003586A (ko) 2001-01-15
KR100311071B1 true KR100311071B1 (ko) 2001-10-17

Family

ID=1959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943A KR100311071B1 (ko) 1998-07-09 1999-06-24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10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04B1 (ko) 2006-05-25 2012-04-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플립 칩 본더의 박막 테이프 정렬 방법
KR20120051310A (ko) * 2010-11-12 2012-05-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및 그 제조방법
WO2018079993A1 (ko) * 2016-10-31 2018-05-03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KR101934081B1 (ko) * 2016-11-14 2018-12-3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KR101934083B1 (ko) 2016-10-31 2018-12-3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483B1 (ko) * 2002-10-22 2009-06-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KR100900482B1 (ko) * 2002-10-22 2009-06-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034116B1 (ko) * 2008-11-24 2011-05-13 최완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4318A (ja) * 1987-05-18 1988-12-01 Nitto Electric Ind Co Ltd 貼合せ装置
JPH07252009A (ja) * 1994-03-10 1995-10-03 Toyota Motor Corp 帯状パッド貼付装置
KR19990016421A (ko) * 1997-08-14 1999-03-05 황인길 반도체패키지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의 리드프레임 피더
KR19990052139A (ko) * 1997-12-22 1999-07-05 구본준 리드 프레임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4318A (ja) * 1987-05-18 1988-12-01 Nitto Electric Ind Co Ltd 貼合せ装置
JPH07252009A (ja) * 1994-03-10 1995-10-03 Toyota Motor Corp 帯状パッド貼付装置
KR19990016421A (ko) * 1997-08-14 1999-03-05 황인길 반도체패키지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의 리드프레임 피더
KR19990052139A (ko) * 1997-12-22 1999-07-05 구본준 리드 프레임 적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04B1 (ko) 2006-05-25 2012-04-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플립 칩 본더의 박막 테이프 정렬 방법
KR20120051310A (ko) * 2010-11-12 2012-05-2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및 그 제조방법
KR101659299B1 (ko) 2010-11-12 2016-09-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및 그 제조방법
WO2018079993A1 (ko) * 2016-10-31 2018-05-03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KR101934083B1 (ko) 2016-10-31 2018-12-3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KR101934081B1 (ko) * 2016-11-14 2018-12-3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586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01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electronic component out of carrier tape
US8276267B2 (en) Method for mounting a component on a circuit board
KR100311071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US6318437B1 (en) Tape feeder for component part mounter
US4915770A (en) Electronic chip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US5695309A (en) Electronic-component supplying cartridge and electronic-component supplying and pick-up apparatus
KR100979135B1 (ko) 테이프 공급장치
US20020108984A1 (en) Multiple-pitch tape feeder with multiple peel positions
KR10051596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0763957B1 (ko) 테이프 피더의 커버 테이프 포밍 방법 및, 커버 테이프 포밍 기구
KR10103411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JP7470475B2 (ja) 部品実装機
US6705376B2 (en) Device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pick-up position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0133904Y1 (ko) 칩 마운터 테이프의 피더
JP4016941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S645916Y2 (ko)
JP2005093670A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0493184B1 (ko) 캐리어테이프 피더
WO2016006059A1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機
JP3301830B2 (ja) 部品供給装置
JPH10326995A (ja) 装着装置用の供給手段
JPH07106793A (ja) 部品供給装置
KR100557827B1 (ko) 테이프 피더의 피딩모터
US7216790B2 (en) Component fee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