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164B1 - 테이프피더 - Google Patents

테이프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164B1
KR101150164B1 KR1020100131337A KR20100131337A KR101150164B1 KR 101150164 B1 KR101150164 B1 KR 101150164B1 KR 1020100131337 A KR1020100131337 A KR 1020100131337A KR 20100131337 A KR20100131337 A KR 20100131337A KR 101150164 B1 KR101150164 B1 KR 10115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discharge passage
carrier tape
electronic component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배출통로로부터 제거되도록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제1연결공을 포함하는 테이프피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의해 픽업되지 못한 전자부품이 배출통로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리어테이프를 원활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피더{Tape Feeder}
본 발명은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피더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저항기, 스위치,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이하, '전자부품'이라 함)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자부품들을,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기판에 자동으로 실장하는 장비가 표면실장기이며, 마운터(Mounter)라고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표면실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표면실장기(10)는 기판(S)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및 기판(S)을 이송하는 이송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에 의해 기판(S)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기판(S)은 실장위치(A)에 위치된다.
상기 표면실장기(10)에는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피더(20)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는 상기 테이프피더(20)에서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상기 실장위치(A)로 이동한 후에, 픽업한 전자부품들을 상기 실장위치(A)에 위치된 기판(S)에 실장한다.
상기 테이프피더(20)는 캐리어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가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픽업위치에 전자부품을 공급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에는 전자부품들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서 수납되어 있고, 전자부품들의 상면 측에는 커버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피더(20)는 전자부품들이 상기 픽업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커버테이프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테이프가 부착된 캐리어테이프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상기 픽업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커버테이프가 분리된 상태로 상기 픽업위치를 지나게 된다. 상기 픽업위치를 지난 캐리어테이프는 상기 공급부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테이프피더(20)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테이프피더(20)는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상기 픽업위치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배출통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가 상기 픽업위치에 위치된 전자부품을 픽업하는데 실패한 경우, 상기 캐리어테이프는 전자부품이 수납된 상태로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는 상기 커버테이프가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캐리어테이프에 수납된 전자부품은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들이 상기 배출통로에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캐리어테이프가 상기 배출통로에 쌓인 전자부품들에 의해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픽업위치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작업, 상기 기판(S)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작업 또한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작업 시간에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의해 픽업되지 못한 전자부품이 배출통로에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테이프피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는 캐리어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수납부재로 이동하도록 상기 배출통로와 상기 수납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는 표면실장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베이스부재; 및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배출통로로부터 제거되도록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제1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의해 픽업되지 못한 전자부품이 배출통로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캐리어테이프를 원활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의해 픽업되지 못한 전자부품이 배출통로에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픽업위치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작업, 전자부품 이송장치가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작업 등이 수행됨에 있어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표면실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에서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I 선을 기준으로 한 B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공급부와 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에서 캐리어테이프와 커버테이프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I 선을 기준으로 한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표면실장기(미도시)에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표면실장기에 설치된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로부터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기판(S, 도 1에 도시됨)에 실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전자부품들이 수납된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가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픽업위치(PP, 도 2에 도시됨)로 전자부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부품이 수납된 제1면(T11)에 커버테이프(T2)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픽업위치(PP)를 향해 이동하다가, 상기 커버테이프(T2)가 분리된 후에 상기 픽업위치(PP)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픽업위치(PP)에서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에 수납된 전자부품들이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에 의해 픽업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T1)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3에서 점선 화살표가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베이스부재(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2)는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T1)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배출통로(21)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베이스부재(2)는 상기 배출통로(21)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1연결공(2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첫째, 표면실장기에 설치된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가 상기 픽업위치(PP)에 위치된 전자부품을 픽업하는데 실패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배출통로(21)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배출통로(21)에 전자부품들이 쌓임에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픽업위치(PP)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작업,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가 기판(S, 도 1에 도시됨)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작업 등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작업시간에 손실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배출통로(21)에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픽업위치(PP)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작업,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가 기판(S, 도 1에 도시됨)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작업 등이 수행됨에 있어 작업시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재(2), 상기 배출통로(21), 및 상기 제1연결공(22)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재(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상기 배출통로(21)와 상기 제1연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2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한 후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한다. 즉, 상기 배출통로(21)는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한 후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통로(21)는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T1)가 상기 배출통로(2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픽업위치(PP)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21)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의 제1면(T11)이 지면 방향(C 화살표 방향)을 향하면서 이동하는 제1통로(211), 및 상기 픽업위치(PP)와 상기 제1통로(211)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2통로(212)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T1)는 상기 제2통로(212)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1통로(211)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상기 픽업위치(PP)에서 상기 제1면(T11)이 지면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C 화살표 반대 방향)을 향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상기 제2통로(212)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면(T11)이 지면 방향(C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점차적으로 뒤집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뒤집히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가 상기 픽업위치(PP)에서 픽업하는데 실패한 전자부품은 중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T1)가 상기 제2통로(212)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통로(212)는 상기 픽업위치(PP)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통로(2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곡률을 갖는 곡선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연결공(22)은 상기 베이스부재(2)에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공(22)은 상기 배출통로(2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전자부품이 분리되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22)은 상기 제2통로(212)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상기 제2통로(212)를 따라 이동하면서 뒤집히는 과정에서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전자부품이 분리되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중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을 별도의 기구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제1연결공(2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간결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가 상기 픽업위치(PP)에서 픽업하는데 실패한 전자부품이 상기 배출통로(21)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22)은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자부품이 유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22)은 수직 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배출구(23, 도 4에 도시됨)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는 상기 배출구(23)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23)는 상기 베이스부재(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21)는 일측이 상기 픽업위치(PP)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구(23)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공(22)은 상기 픽업위치(PP)와 상기 배출구(23) 사이에서 상기 배출통로(21)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통로(21)가 상기 제1통로(211)와 상기 제2통로(212)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통로(212)가 상기 픽업위치(PP)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통로(211)가 상기 배출구(23)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상기 픽업위치(PP), 상기 제2통로(212), 상기 제1통로(211), 및 상기 배출구(23)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제2연결공(24,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됨)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공(24)은 상기 베이스부재(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공(24)은 상기 제1연결공(22)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과한 전자부품은 상기 제2연결공(24)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된 전자부품이 상기 베이스부재(2) 내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연결공(22)이 상기 베이스부재(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해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공(24)은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자부품이 유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공(24)은 수직 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연결공(22)과 상기 제2연결공(24)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상기 제1연결공(22), 상기 수용홈, 상기 제2연결공(24)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소정 개수의 전자부품이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상기 베이스부재(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2)는 커버부재(3,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됨)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3)는 상기 제2연결공(24)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연결공(24)을 폐쇄(閉鎖)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상기 커버부재(3)에 의해 상기 제2연결공(24)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커버부재(3)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2)는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된 전자부품들이 상기 베이스부재(2) 내부에 보관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2)로부터 상기 커버부재(3)가 분리됨에 따라 상기 배출통로(21)로부터 제거된 전자부품들이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2)는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도 1에 도시됨)가 상기 픽업위치(PP)에서 픽업하는데 실패한 전자부품들이 수거되어 재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들이 사용되는 제품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는 끼워맞춤 방식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는 상기 제2연결공(24)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재(31)는 상기 제2연결공(24)과 대략 일치하거나 상기 제2연결공(24)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1)가 상기 제2연결공(24)에 끼워맞춤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3)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31)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재(3)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되는 덮개기구(4, 도 2에 도시됨)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기구(4)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배출통로(21) 및 상기 제1연결공(22)을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덮개기구(4)는 상기 배출통로(21), 상기 제1연결공(22), 및 상기 제2연결공(24)을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기구(4)는 식별부재(41,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기구(4)가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식별부재(41)는 상기 커버부재(3)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2) 내부에 쌓인 전자부품들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식별부재(4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투명 플라스틱,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식별부재(41)를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2) 내부에 쌓여 있는 전자부품들의 양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2)로부터 상기 커버부재(3)를 분리하여 상기 베이스부재(2) 내부에 쌓여 있는 전자부품들을 수거해야 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식별부재(4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부재(2) 내부에 쌓인 전자부품들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형태이면 타원 형태, 원 형태 등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연결공(22)과 상기 제2연결공(24) 사이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 경우, 상기 식별부재(41)는 상기 수용홈에 수납된 전자부품들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수납부재(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재(5)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설치된다. 상기 제1연결공(22, 도 6에 도시됨)은 상기 배출통로(21)와 상기 수납부재(5)를 연결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해 상기 수납부재(5)로 이동하여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5)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연결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전자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상기 수납부재(5)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홈은 상기 수납부재(5)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5)는 수납홈(51), 입구(52), 및 출구(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수납홈(51)에는 전자부품이 수납된다. 상기 수납홈(51)은 상기 수납부재(5) 내부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전자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홈(51)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52)는 상기 수납홈(51)과 상기 제1연결공(22)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통로(21)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은 상기 제1연결공(22)과 상기 입구(52)를 통과하여 상기 수납홈(5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출구(53)는 상기 수납홈(51)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납홈(51)에 수납된 전자부품은 상기 출구(53)를 통해 상기 수납홈(5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출구(53)와 상기 입구(52)는 상기 수납부재(5)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공(24)은 상기 출구(53)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출구(53)를 통해 상기 수납홈(51)으로부터 배출되는 전자부품은 상기 제2연결공(24)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피더(1)가 상기 수납부재(5)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재(3)는 상기 제2연결공(24)에 삽입되게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납부재(5)로부터 전자부품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덮개기구(4, 도 2에 도시됨)가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식별부재(41,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수납부재(5)에 수납된 전자부품들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작업자는 상기 식별부재(41)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5)에 수납된 전자부품들의 양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재(2)로부터 상기 커버부재(3)를 분리하여 상기 수납부재(5)에 수납된 전자부품들을 수거해야 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가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키기 위해 포함하는 구성들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공급부와 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설치된다.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상기 픽업위치(PP)로 이동한 후, 상기 픽업위치(PP)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통로(21, 도 3에 도시됨)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부재(2)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킨다. 상기 공급부(100)는 공급기어(110) 및 전달기어(1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어(110)는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원에는 구동기어(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동력원은 모터일 수 있고, 상기 모터가 상기 구동기어(30)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공급기어(110)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공급기어(110)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킨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관통공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어(110)는 복수개의 기어이(Gear Tooth)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기어(1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기어이들이 상기 관통공들에 차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리어테이프(T1)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20)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공급기어(11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공급기어(110)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전달기어(120)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달기어(120)는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공급기어(110)에 치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30)가 회전하면 상기 전달기어(120)가 회전하고, 상기 전달기어(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급기어(1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급부(100)는 상기 전달기어(120)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달기어(120)들은 서로 치합되고, 상기 전달기어(120)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기어(30)에 치합되며, 상기 전달기어(120)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급기어(110)에 치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급부(100)는 체인, 벨트 등과 공급연결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전달기어(12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상기 공급연결수단은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전달기어(12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3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전달기어(1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달기어(120)와 상기 공급기어(11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상기 공급연결수단은 상기 전달기어(120)와 상기 공급기어(11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달기어(1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공급기어(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급연결수단은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공급기어(11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달기어(120)를 대신하여 상기 구동기어(3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공급기어(110)에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테이프릴(40)이 결합되는 결합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릴(40)에는 전자부품들이 수납된 캐리어테이프(T1)가 감겨져 있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에는 상기 커버테이프(T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200)에는 상기 테이프릴(4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공급기어(1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재(2)에 설치된 분리부재(50)에 지지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커버테이프(T2)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부(300)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설치된다. 상기 회수부(300)는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커버테이프(T2)를 상기 베이스부재(2)에 형성된 수납공간(25)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분리부재(50)에 의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회수부(300)에 의해 상기 캐리어테이프(T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공간(25)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300)는 회수기어(310) 및 연결기어(3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기어(310)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수기어(310)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수기어(310)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이동시킨다. 상기 회수기어(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수기어(301)가 갖는 기어이들이 상기 커버테이프(T2)에 형성된 관통공들(미도시)에 차례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수부(300)는 2개의 회수기어(310)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회수기어(310)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수기어(310)들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어(320)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수기어(31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회수기어(310)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기어(320)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기어(320)는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회수기어(310)에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30)가 회전하면 상기 연결기어(320)가 회전하고, 상기 연결기어(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수기어(310)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수부(300)는 상기 연결기어(320)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320)들은 서로 치합되고, 상기 연결기어(320)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기어(30)에 치합되며, 상기 연결기어(320)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수기어(310)에 치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수부(300)는 체인, 벨트 등과 회수연결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연결기어(32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상기 회수연결수단은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연결기어(32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3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연결기어(3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어(320)와 상기 회수기어(310)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 상기 회수연결수단은 상기 연결기어(320)와 상기 회수기어(31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3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수기어(3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수연결수단은 상기 구동기어(30)와 상기 회수기어(31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기어(320)를 대신하여 상기 구동기어(3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수기어(310)에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테이프피더 2 : 베이스부재 3 : 커버부재 4 : 덮개기구
5 : 수납부재 21 : 배출통로 22 : 제1연결공 23 : 배출구
24 : 제2연결공 31 : 삽입부재 41 : 식별부재 51 : 수납홈
52 : 입구 53 : 출구 30 : 구동기어 40 : 테이프릴 50 : 분리부재
100 : 공급부 200 : 결합부재 300 : 회수부
T1 : 캐리어테이프 T2 : 커버테이프

Claims (13)

  1. 캐리어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캐리어테이프가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캐리어테이프를 이동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수납부재로 이동하도록 상기 배출통로와 상기 수납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는 일측이 표면실장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픽업위치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는 캐리어테이프가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제1면이 지면 방향을 향하면서 이동하는 제1통로, 및 표면실장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와 상기 제1통로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제2통로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재는
    전자부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수납홈에 수납되도록 상기 제1연결공과 상기 수납홈에 연결되게 형성된 입구; 및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전자부품이 상기 수납홈으로부터 배출되기 위한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출구와 연결되게 형성된 제2연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공은 상기 수납홈에 수납된 전자부품이 상기 베이스부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덮개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기구는 상기 수납부재에 수납된 전자부품들을 확인하기 위한 식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7. 표면실장기가 전자부품을 픽업하기 위한 픽업위치를 통과한 캐리어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이동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베이스부재;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된 전자부품이 상기 배출통로로부터 제거되도록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제1연결공;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캐리어테이프가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캐리어테이프를 이동시키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테이프피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테이프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는 일측이 상기 픽업위치에 연결되게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픽업위치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서 상기 배출통로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는 캐리어테이프가 전자부품이 수납되는 제1면이 지면 방향을 향하면서 이동하는 제1통로, 및 상기 픽업위치와 상기 제1통로에 연결되게 형성된 제2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공은 상기 제2통로에 연결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공을 통과한 전자부품이 상기 베이스부재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된 제2연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11. 제5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공에 삽입되기 위한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덮개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기구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 내부에 쌓인 전자부품들을 확인하기 위한 식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13. 삭제
KR1020100131337A 2010-12-21 2010-12-21 테이프피더 KR101150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37A KR101150164B1 (ko) 2010-12-21 2010-12-21 테이프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337A KR101150164B1 (ko) 2010-12-21 2010-12-21 테이프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164B1 true KR101150164B1 (ko) 2012-05-25

Family

ID=4627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337A KR101150164B1 (ko) 2010-12-21 2010-12-21 테이프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985A (ko) 2021-09-23 2023-03-30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스택 이송 방식의 트레이 공급 시스템
KR20230042960A (ko) 2021-09-23 2023-03-30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스택 트레이 공급용 피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627A (ja) * 2007-05-01 2008-11-13 Juki Corp 部品実装装置
KR20100058036A (ko) * 2008-11-24 2010-06-03 황영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627A (ja) * 2007-05-01 2008-11-13 Juki Corp 部品実装装置
KR20100058036A (ko) * 2008-11-24 2010-06-03 황영수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985A (ko) 2021-09-23 2023-03-30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스택 이송 방식의 트레이 공급 시스템
KR20230042960A (ko) 2021-09-23 2023-03-30 에스티에스 주식회사 스택 트레이 공급용 피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6619B2 (en) Electronic circuit component mounter
KR101804379B1 (ko)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캐리어 테이프 공급방법
KR101150164B1 (ko) 테이프피더
CN102143678A (zh) 用于供应电子元件的设备
KR101143835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080082071A (ko) 테이프 피더
KR101034116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097043B1 (ko)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
KR101499637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TWI419625B (zh) 發光元件分類裝置以及發光元件檢測分選機
CN112042287B (zh) 元件安装机、元件用尽判定方法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101215434B1 (ko) 테이프피더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실장방법
JP5912625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KR101027918B1 (ko) 전자부품 자동 공급장치
TWI424798B (zh) 饋入電子元件之設備
KR20110087114A (ko) 테이프피더
JP6335299B2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実装機
JP5982167B2 (ja) 基板搬送装置
KR20120033221A (ko) 캐리어 테이프 공급장치
KR20160044088A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JP6263413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10045291A (ja) 表面実装機
KR101091891B1 (ko)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KR20160004814A (ko) 테이프 실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