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114A - 테이프피더 - Google Patents
테이프피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7114A KR20110087114A KR1020100006588A KR20100006588A KR20110087114A KR 20110087114 A KR20110087114 A KR 20110087114A KR 1020100006588 A KR1020100006588 A KR 1020100006588A KR 20100006588 A KR20100006588 A KR 20100006588A KR 20110087114 A KR20110087114 A KR 201100871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moving
- recovery
- tape
- cover t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테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수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으로 회수되는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커버테이프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피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테이프가 수납공간에 효율적으로 적층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테이프 회수작업에 대한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부품 공급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테이프가 수납공간에 효율적으로 적층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테이프 회수작업에 대한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부품 공급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에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피더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저항기, 스위치 등(이하, '전자부품'이라 함)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과 같은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자부품들을,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기판에 자동으로 실장하는 장비가 표면실장기이며, 마운터(Mounter)라고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표면실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표면실장기(10)는 기판(S)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전자부품 이송장치(11), 및 기판(S)을 이송하는 이송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에 의해 기판(S)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기판(S)은 실장위치(A)에 위치된다.
상기 표면실장기(10)에는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테이프피더(20)가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는 상기 테이프피더(20)에서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상기 실장위치(A)로 이동된 후에, 픽업한 전자부품들을 상기 실장위치(A)에 위치된 기판(S)에 실장한다.
상기 테이프피더(20)는 캐리어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부품 이송장치(11)가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픽업위치에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테이프에는 전자부품들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서 수납되어 있고, 전자부품들의 상면 측에 커버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피더(20)는 전자부품들이 상기 픽업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캐리어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커버테이프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커버테이프를 회수하기 위해 상기 커버테이프를 이동시키는 회수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피더(20)에는 상기 회수된 커버테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테이프는 중력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 부분에서 아래 부분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에 적층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피더(20)는 상기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에 적층 수납되도록 하기 위해 중력만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상기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의 외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중간 부분에서 걸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의 아래 부분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 부분에 계속하여 적층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피더(20)는 상기 수납공간을 전체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에 채워지면, 상기 회수유닛이 상기 커버테이프를 회수하는 작업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픽업위치에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작업, 상기 기판(S)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작업 또한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작업 시간의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수유닛이 계속하여 상기 커버테이프를 이동시키면, 상기 수납공간에 채워진 커버테이프로 인해 상기 커버테이프가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회수유닛에 끼임이 발생되는 등 회수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피더(20)가 상기 수납공간을 전체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더욱 심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테이프가 수납공간에 효율적으로 적층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테이프피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는 커버테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수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으로 회수되는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커버테이프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는 커버테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회수기어 및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회수기어에 전달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회수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으로부터 회수되는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풀리, 상기 벨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연결기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테이프가 수납공간에 효율적으로 적층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커버테이프 회수작업에 대한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부품 공급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표면실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닛의 작동관계에 관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에 대한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피더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닛의 작동관계에 관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에 대한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피더의 개략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의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닛의 작동관계에 관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유닛에 대한 도 2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테이프피더의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베이스부재(2) 및 회수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공간(21)에는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되는 커버테이프(T2)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1)은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측방향(D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중력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1)은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일정량 수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회수부(100)는 회수유닛(3) 및 이동유닛(4)을 포함한다.
상기 회수유닛(3)은 상기 수납공간(21)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2)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 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수유닛(3)에 의해,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닛(3)은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회수기어(31) 및 동력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회수기어(31)에 전달하는 연결기구(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수기어(31)는 상기 연결기구(32)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기어(3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회수기어(31)에 형성된 기어이(gear tooth)와 상기 관통공의 결합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수유닛(3)은 제2회수기어(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기어(33)는 상기 제1회수기어(31)에 치합되고,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기어(33)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제1회수기어(31)와 상기 제2회수기어(33)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상기 제1회수기어(31)와 상기 제2회수기어(3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기어(33)는 상기 제1회수기어(31)에 형성된 기어이에 치합될 수 있는 기어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32)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회수기어(31)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32)는 구동연결기어(321) 및 회수연결기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기어(32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동력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동력원에는 상기 구동연결기어(32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력원은 모터일 수 있고, 상기 모터가 상기 구동기어(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30)에 치합된 상기 구동연결기어(321)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기어(321) 및 상기 구동기어(30)에는 각각 서로 치합될 수 있는 기어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연결기어(322)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구동연결기어(32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수연결기어(322)는 상기 제1회수기어(31)에 형성된 기어이에 치합될 수 있는 기어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연결기어(322)가 회전되면,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수연결기어(322)는 일측이 상기 구동연결기어(321)에 치합될 수 있고, 타측이 상기 제1회수기어(31)에 치합될 수 있다.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가 직접 치합되기에 어려운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결기구(32)는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를 연결하는 체인,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32)는 체인, 벨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연결기어(32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연결기구(32)는 중간연결기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결기어(323)는 상기 구동연결기어(32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연결기어(323)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기구(32)는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가 서로 이격된 거리,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어야 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중간연결기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 쪽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기구(32)는 동력원에 결합된 구동기어(3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를 치합에 의해 연결할 수 있는 개수의 중간연결기어(3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연결기구(32)가 2개의 중간연결기어(3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연결기구(32)는 1개의 중간연결기구(323)를 포함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중간연결기어(3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기구(32)가 2개 이상의 중간연결기어(32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간연결기어(323)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연결기어(321)에 치합되고, 상기 중간연결기어(323)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에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연결기어(323)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가 치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가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것에 비교할 때,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가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 미끄러짐 등에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데,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와 상기 구동연결기어(321)가 치합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베이스부재(2)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수납공간(21)으로 회수되는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의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피더는 커버테이프가 수납공간의 외면에 접촉됨에 따라 수납공간의 중간 부분에서 걸리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납공간을 전체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이동유닛(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1)을 이루는 베이스부재(2)에 커버테이프(T2)가 접촉된 경우,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베이스부재(2)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수납공간(21)의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이동유닛(4)과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의 타측에서부터 차례로 적층 수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에 효율적으로 적층 수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41)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과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위치 및 제2위치 간에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는 것에 비교할 때 상기 수납공간(21) 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이동부재(41)에 밀려서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과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 중간 부분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수납공간(21)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에 의해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이동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22)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22)에 의해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이동부재(41)에 밀려서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과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거리를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 중간 부분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수납공간(21)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수납공간(21)의 입구 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회전되는 것에 연동(連動)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연결기구(32)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이동부재(41)에 전달하는 연동기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42)에 의해,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 간에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이동부재(41)를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연동기구(42)는 상기 연결기구(32)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연동기어(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어(42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동기어(421)는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에 치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회수연결기어(322)가 회전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수연결기어(322)는 서로 치합된 2개의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기어가 상기 제1회수기어(31)와 치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기어가 상기 연동기어(421)와 치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수연결기어(322)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연동기어(42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41)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4)은 링크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3)는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타측이 상기 연동기어(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3)는 상기 연동기어(421)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동기어(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43)는 상기 연동기어(42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2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수납공간(21)에 가까워지게 이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43)가 상기 수납공간(21)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43)가 상기 수납공간(21)에 가까워지게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이동부재(41)와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의 타측에서부터 차례로 적층 수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에 효율적으로 적층 수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자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유닛(4)은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기구(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기구(5)는 제1안내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부재(5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부재(41)에 형성된 안내공(4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안내공(411)은 상기 이동부재(41)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안내부재(51)와 상기 안내공(411)이 상기 이동부재(41)가 이동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제1방향(E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F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부재(41)는 상기 안내공(411)과 상기 안내공(411)에 삽입된 상기 제1안내부재(51)에 의해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부재(5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내공(411)은 상기 이동부재(41)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타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부재(51)는 상기 안내공(411)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41)가 상기 베이스부재(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내기구(5)는 제2안내부재(52) 및 제3안내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부재(52)는 상기 이동부재(41)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일면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3안내부재(53)는 상기 이동부재(41)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안내부재(52) 및 상기 제3안내부재(53)는 상기 이동부재(41)의 서로 반대되는 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41)가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안내부재(52)는 상기 이동부재(41)의 저면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3안내부재(53)는 상기 이동부재(4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부재(52) 및 상기 제3안내부재(53)는 상기 이동부재(41)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회수부(100)는 개폐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페유닛(6)은 상기 수납공간(21)의 타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1)은 상기 개폐유닛(6)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채워진 커버테이프(T2)가 용이하게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6)은 개폐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축(6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1)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일정량 이상 채워지게 되면, 상기 커버테이프(T2)가 갖는 무게로 인해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2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61)는 돌출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상기 돌출부재(612)에 접촉되는 걸림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612)가 상기 걸림부재(23)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61)는 상기 수납공간(21)을 폐쇄시키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23)가 상기 돌출부재(612)를 지지하는 지지력보다, 상기 수납공간(21)에 채워진 커버테이프(T2)의 무게가 커지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61)는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2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21)이 개방되면, 상기 수납공간(21)에 채워져 있던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수납공간(2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커버테이프(T2)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회수유닛(3)에 의해 계속하여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됨에 따라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1)는 상기 이동유닛(4)에 의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이동유닛(4)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21)의 타측에서부터 차례로 적층 수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이프피더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 중간 부분에서 걸리게 되면, 상기 수납공간(21)에 상기 개폐부재(61)를 개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커버테이프(T2)가 수납될 수 없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이동유닛(4)에 의해 상기 커버테이프(T2)가 상기 수납공간(21)에 적층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21)에 일정량 이상의 커버테이프(T2)가 수납되면 상기 개폐부재(61)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개폐유닛(6)은 다음과 같은 개폐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1)는 삽입부재(6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상기 삽입부재(613)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유닛(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유닛(24)은 제1홀딩기구(241) 및 제2홀딩기구(24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삽입부재(613)가 상기 제1홀딩기구(241) 및 제2홀딩기구(24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61)를 홀딩할 수 있다.
상기 제1홀딩기구(241) 및 상기 제2홀딩기구(242)는 각각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613)에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가압부재는 전체적으로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613)가 상기 가압부재들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들이 상기 삽입부재(613)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61)는 상기 수납공간(21)을 폐쇄시키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들이 상기 가압부재에 제공하는 탄성력보다 상기 수납공간(21)에 채워진 커버테이프(T2)의 무게가 커지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들이 상기 삽입부재(613)가 이동되는 것에 의해 압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613)가 상기 가압부재들 사이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61)가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21)을 개방시킬 수 있고, 상기 수납공간(21)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21)에 채워져 있던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수납공간(2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유닛(6)은 상기 개폐부재(61)에 결합되는 제1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상기 제1자성체에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제2자성체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가 결합되는 자력보다 상기 수납공간(21)에 채워진 커버테이프(T2)의 무게가 커지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61)가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수납공간(21)을 개방시킬 수도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4)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4)은 벨트(44), 구동풀리(45), 및 종동풀리(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44)는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벨트(44)에 접촉되어 상기 벨트(44)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벨트(44)는 상기 구동풀리(45)와 상기 종동풀리(46)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구동풀리(45)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상기 벨트(44)는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다.
상기 구동풀리(45)는 상기 벨트(44)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종동풀리(46)는 상기 벨트(44)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풀리(45)와 상기 종동풀리(46)는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서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42)는 상기 연결기구(32)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구동풀리(45)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42)는 상기 회수연결기어(322)에 치합되는 연동기어(421) 및 상기 연동기어(421)와 상기 구동풀리(45)를 연결하는 벨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풀리(45)는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회전되는 것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벨트(44)는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재(2)에는 손잡이공(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공(25)은 상기 베이스부재(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는 상기 손잡이공(25)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8에는 상기 손잡이공(25)이 상기 수납공간(21)이 형성된 부분의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픽업위치(PP)에 전자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업위치(PP)는 전자부품 이송장치가 전자부품을 픽업할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공급부(200)는 공급기구(7) 및 전달기구(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기구(7)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급기구(7)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급기어(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기어(71)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급기어(71)에 형성된 기어이와 상기 관통공의 결합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구(8)는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공급기구(7)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공급기어(71)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캐리어테이프(T1)는 전자부품들이 상기 픽업위치(PP)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구(8)는 상기 구동기어(30)에 치합되는 구동전달기어(8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급부(200) 및 상기 회수부(100)는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상기 공급부(200) 및 상기 회수부(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동력원은 모터일 수 있다.
또한,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테이프(T2)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설치된 분리부재(40)에 지지되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되는데, 상기 공급부(200) 및 상기 회수부(100)가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작동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하나의 동력원을 구동시킴으로써 전자부품을 상기 픽업위치(PP)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상기 커버테이프(T2)를 분리시킨 후 상기 캐리어테이프(T1)로부터 분리된 커버테이프(T2)를 상기 수납공간(2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전달기어(81)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구동기어(30)에 치합될 수 있는 기어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전달기어(81)는 일측이 상기 구동기어(30)에 치합되고, 타측이 상기 공급기어(71)에 치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달기구(8)는 중간전달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중간전달기어는 상기 구동전달기어(81)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공급기어(7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중간전달기어는 상기 베이스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달기구(8)는 구동전달기어(81)와 상기 공급기어(71)가 서로 이격된 거리, 상기 공급기어(71)가 전자부품을 상기 픽업위치(PP)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회전되어야 하는 방향 등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중간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픽업위치(PP)에 순차적으로 위치되기 위해서는,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공급기어(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구(8)는 동력원에 결합된 구동기어(3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공급기어(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공급기어(71)와 상기 구동전달기어(81)를 치합에 의해 연결할 수 있는 개수의 중간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기구(8)가 2개 이상의 중간전달기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중간전달기어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전달기어(81)에 치합되고, 상기 중간전달기어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공급기어(71)에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기구(8)는 상기 제1회수기어(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공급기어(7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개수의 중간전달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부(200)는 전자부품이 상기 픽업위치(PP)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캐리어테이프(T1)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수부(100)는 상기 커버테이프(T2)를 수납공간(2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캐리어테이프릴(50)이 결합되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테이프릴(50)은 전자부품들이 수납된 캐리어테이프(T1)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테이프(T1)에는 상기 커버테이프(T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상기 캐리어테이프릴(5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픽업위치(PP)를 향하는 방향(X 화살표 방향, 도 8에 도시됨)으로 경사지게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재(300)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베이스부재(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픽업위치(PP)에 근접하게 위치된 구성에서 오작동이 발생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해당 구성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피더(1)는 표면실장기로부터 분리되지 않고도 오작동이 발생된 부분에 대한 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테이프피더 2 : 베이스부재 100 : 회수부 200 : 공급부
3 : 회수유닛 4 : 이동유닛 5 : 안내기구 6 : 개폐유닛
7 : 공급기구 8 : 전달기구
3 : 회수유닛 4 : 이동유닛 5 : 안내기구 6 : 개폐유닛
7 : 공급기구 8 : 전달기구
Claims (13)
- 커버테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수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으로 회수되는 커버테이프가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커버테이프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회수기어, 및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회수기어에 전달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제1회수기어가 회전되는 것에 연동(連動)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기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이동부재에 전달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연결기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연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연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연동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연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기구는 상기 이동부재에 삽입되는 제1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제1안내부재가 삽입되는 안내공을 포함하되, 상기 안내공은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안내기구는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일면에 접촉되는 제2안내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타면에 접촉되는 제3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테이프가 위치되기 위한 이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커버테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 베이스부재;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 쪽으로 이동시키는 제1회수기어 및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1회수기어에 전달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회수유닛; 및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으로부터 회수되는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유닛은 커버테이프를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벨트, 상기 벨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동풀리, 상기 벨트의 타측에 결합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연결기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구동풀리에 전달하는 연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에는 구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연결기어 및 상기 제1회수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구동연결기어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수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회수연결기어에 치합되는 연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8항에서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는 상기 구동연결기어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상기 회수연결기어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8항에 있어서,
픽업위치에 전자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캐리어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급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전달기어를 갖는 전달기구, 및 상기 전달기구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캐리어테이프를 이동시키는 공급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픽업위치에 전자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캐리어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 및 캐리어테이프릴이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픽업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타측에 위치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開閉)시키기 위한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수납공간에 채워지는 커버테이프가 갖는 무게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피더.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588A KR20110087114A (ko) | 2010-01-25 | 2010-01-25 | 테이프피더 |
CN201110009267.3A CN102137587B (zh) | 2010-01-25 | 2011-01-17 | 盖带送料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6588A KR20110087114A (ko) | 2010-01-25 | 2010-01-25 | 테이프피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7114A true KR20110087114A (ko) | 2011-08-02 |
Family
ID=4429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6588A KR20110087114A (ko) | 2010-01-25 | 2010-01-25 | 테이프피더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87114A (ko) |
CN (1) | CN10213758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5369B1 (ko) * | 2012-09-12 | 2019-09-25 |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 부품 장착 장비용 테이프 공급 장치 및 테이프 공급 방법 |
US10667450B2 (en) * | 2012-08-06 | 2020-05-26 | Hanwha Precision Machinery Co., Ltd. | Carrier tape feeding device, chip mounting system, and chip mount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1711B1 (ko) * | 2006-08-09 | 2012-05-0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테이프 배출장치 및 테이프 배출방법 |
-
2010
- 2010-01-25 KR KR1020100006588A patent/KR2011008711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
- 2011-01-17 CN CN201110009267.3A patent/CN102137587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137587A (zh) | 2011-07-27 |
CN102137587B (zh) | 201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33131B2 (en) | Transferring mechanism | |
JP6730925B2 (ja) | 部品供給装置 | |
KR100627067B1 (ko)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이더 및 이의 테이프 초기위치자동 셋팅 방법 | |
US9642294B2 (en) | Tape feeder and method for moving a carrier tape towards a picking position in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 |
CN101296610B (zh) | 用于芯片安装机的带供给器 | |
KR20110087114A (ko) | 테이프피더 | |
JP5384309B2 (ja) | フィーダ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 |
KR101034116B1 (ko)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
JPH09307283A (ja) | 部品供給装置 | |
KR101150164B1 (ko) | 테이프피더 | |
KR100889520B1 (ko)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
KR100276482B1 (ko) |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 | |
CN1972589A (zh) | 带式送料器及表面安装机 | |
WO2019239474A1 (ja) | 交換装置 | |
KR20130108907A (ko) | 부품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
JP4870628B2 (ja) | 実装機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 |
KR20090114611A (ko)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
KR20000002951A (ko) | 표면실장기의 테이프 릴 피딩장치 | |
KR101779024B1 (ko) | 칩마운터의 헤드 어셈블리 | |
KR100627058B1 (ko) | 테이프 피이더 | |
KR101028667B1 (ko) |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 |
KR101215434B1 (ko) | 테이프피더 및 이를 이용한 전자부품 실장방법 | |
CN220156234U (zh) | 储能柜 | |
KR20110100962A (ko) | 테이프 피더 및 이를 구비하는 부품 실장 장치 | |
JP7373765B2 (ja) | 部品実装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品実装基板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