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891B1 -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891B1
KR101091891B1 KR1020040045387A KR20040045387A KR101091891B1 KR 101091891 B1 KR101091891 B1 KR 101091891B1 KR 1020040045387 A KR1020040045387 A KR 1020040045387A KR 20040045387 A KR20040045387 A KR 20040045387A KR 101091891 B1 KR101091891 B1 KR 10109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rame
tape
coupling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147A (ko
Inventor
장태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891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폭의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리어테이프에서 테이프가 벗겨진 상태로 이송된 캐리어가 지지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 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의 폭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캐리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The structure of the frame for a carrier-tape }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프레임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가 구비된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캐리어테이프 피이더를 다른 방향에서 취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결합부재를 뒤집어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프레임 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캐리어테이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캐리어 3 : 테이프
4 : 캐리어테이프 100 : 캐리어테이프 피이더
105 : 집적회로칩 110 : 집적회로칩 이탈방지수단
140 : 테이프 배출 수단 150 : 테이프 감음부
160 : 프레임 165 : 지지수단
168 : 제1돌출부 169 : 제2돌출부
170 : 결합부재 171 : 제1관통홀
172 : 제2관통홀 180 : 캐리어 이송수단
190 : 나사
본 발명은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폭의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반도체 칩과 같은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위치에 실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이다. 이러한 부품 실장기에서는, 소요되는 다종의 전자 부품을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하고, 이를 로보트에 의해 작동하는 흡착 노즐을 이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하게 된다. 부품의 공급 형태는 작업 환경 및 부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부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부품을 트레이에 적재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지만, 부품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부품을 트레이에 적재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크기가 매우 작은 부품에 대하여 실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부품이 공급 및, 실장 작업중에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로 설계된 테이프 피이더(tape feeder)를 이용한다.
테이프 피이더는 미소한 크기의 부품을 테이프상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시켜서 형성된 테이프 롤을 이용하며, 이러한 테이프 롤(tape roll)로부터 테이프를 풀어냄과 동시에,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덮고 있던 커버를 벗겨내는 작용을 수행한다. 로보트의 흡착 노즐은 커버가 벗겨진 테이프에 부착된 부품을 흡착하여 테이프로부터 부품을 이탈시키고, 이를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위치로 이송시킨다. 테이프 피이더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테이프 피이더의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공급 방식에 있어서 구동 모터 또는 구동 액튜에이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또한 동력 전달 방식에 있어서도 기어 트레인을 이용하는 방식과 링크를 이용하는 방식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에서, 캐리어테이프를 가이드하는 부분이 프레임에 형성된다. 이렇게 가이드 부분에서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는데, 그 폭에 있어서도 다양하다. 종래에는 상이한 폭의 캐리어테이프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테이프가 안착되는 가이드 면들(11)(21)의 폭(W1)(W2)에 대응하도록 상이한 프레임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테이프 피이더의 경우, 캐리어테이프의 폭에 따 라 별도의 프레임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프레임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테이프가 안착되는 가이드 면들(31)(41)의 양측을 분리된 프레임들(51)(52)을 이용하여 지지하고, 그 사이에 스페이서(32)(42)를 이용하여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폭(W3)(W4)을 갖는 캐리어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의 경우에도, 각 캐리어테이프에 대응하는 다수의 스페이서들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조립하는 공정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폭의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리어테이프에서 테이프가 벗겨진 상태로 이송된 캐리어가 지지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 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의 폭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캐리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의 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에 서,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캐리어테이프의 폭에 대응하는 돌출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보다 큰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상기 결합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에는 2개의 상이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 부재가 정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돌출부들 중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갖는 돌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 부재가 뒤집어져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큰 높이를 갖는 돌출부를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갖는 돌출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돌출부들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나사홈을 통하여 삽입되는 나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여 캐리어테이프(4)를 간단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집적회로칩(105)과 같은 제품은 먼지 등의 이물에 취약한 점을 극복하고 그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2)에 상호 격리되어 형성된 수납공간(2a)에 일렬로 격리 수납되어 유통된다. 수납공간(2a)은 테이프(3)에 의해 밀봉되며, 캐리어(2)의 양 측부에는 캐리어의 이송을 위하여 소 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이송공(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캐리어테이프(4)는 권취된 상태에서 유통되며, 집적회로칩(105)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테이프(3)를 벗겨내어 집적회로칩을 별도의 픽업(pick-up)수단 등에 의하여 픽업하여야 한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구비하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100)가 도시되어 있다.
캐리어테이프 피이더(100)는 프레임(160), 프레임(160)에 장착되어 캐리어(2)를 이송하는 캐리어 이송수단(180), 캐리어(2)로부터 벗겨진 테이프(3)를 외부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수단(140), 캐리어 이송수단(180) 및 테이프 이송수단(140)을 구동하는 구동수단(미도시), 테이프(3)가 벗겨진 상태에서 캐리어(2)에 수납된 집적회로칩(105)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적회로칩(105)의 노출을 방지하고 픽업수단(미도시)에 의하여 픽업될 때만 집적회로칩(105)을 노출시키는 집적회로칩 이탈방지수단(110)을 구비한다.
유입부(107)로부터 이송된 캐리어테이프(4)에서 테이프(3)가 벗겨진다. 테이프(3)가 벗겨진 캐리어(2)는, 집적회로칩 이탈방지수단(110) 내에서 안내된 후에, 집적회로칩 이탈방지수단(110)의 노출된 부분(110a)에서, 집적회로칩(105)이 픽업수단에 의하여 흡착 등의 방법으로 픽업되어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벗겨진 테이프(3)는 테이프 배출 수단(140)에 의하여 캐리어테이프 피이더(10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테이프 감음부(15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감기게 된다. 여기에서 테이프 배출 수단(140)은 캐리어 이송수단(180)으로부터 이격되어 프레임(16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테이프 배출 수단(140)과 테이프 감음부(150)의 선택적인 사용은 레버(155)의 조작에 의하여 수행된다.
캐리어 이송수단(180)은 프레임(160)의 타 측에 장착되어 캐리어(2)를 이송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캐리어(2)의 이송공(2b)에 끼워지는 치(齒)를 구비한 스프로킷(185)을 구비한다. 스프로킷(155)은 캐리어(2)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집적회로칩 이탈방지수단(110)은 테이프(3)가 벗겨진 상태에서 캐리어(2)에 수납된 집적회로칩(105)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적회로칩(105)의 노출을 방지하고 픽업수단에 의하여 픽업될 때만 집적회로칩(105)을 노출시킨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집적회로칩 이탈방지수단(110)은 셔터(115)를 구비한다.
셔터(115)는 캐리어 이송수단(180)이 캐리어(2)를 이송시킨 후에 후진하여 집적회로칩을 노출시키고, 픽업수단이 집적회로칩을 픽업한 후에는 다시 전진하여 다음 집적회로칩이 도달할 때까지 집적회로칩을 밀폐시킴으로써, 캐리어 이송수단(180)의 작동에 따른 진동 때문에 집적회로칩이 수납공간(2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프레임(160)은 캐리어테이프 피이더(100)의 프레임 외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프레임(160) 외의 구성요소들은 프레임(16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60)에는 다양한 폭을 가지는 캐리어(2)가 지지되어 가이드 되는 가이드 면(165)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면(165)과 캐리어(2) 사이에는 높이 보정을 위한 지지부재(163)가 구비될 수 있다.
캐리어(2)를 사이에 두고 실질적으로 프레임(160)에 평행하도록 플레이트 형상의 결합부재(17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60)에서 결합부재(170)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2개의 상이한 높이(H1)(H2)를 갖는 제1,2돌출부들(168)(169)이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168)들의 높이(H1)는 12.3㎜이고, 제2돌출부(169)들의 높이(H2)는 8.3㎜이다. 제1,2돌출부들(168)(169)의 상부면은 편평하게 형성되며, 제1,2돌출부들(168)(169)의 높이는 이송되는 캐리어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2돌출부들(168)(169)은 전체적으로 4각형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대각으로 마주보는 꼭지점들에 쌍을 이루는 돌출부들이 각각 배치된다.
결합부재(170)에는 제1,2관통홀들(171)(172)이 형성되어 있다. 제1,2관통홀들(171)(172)은 프레임(160)에 형성된 제1,2돌출부들(168)(169)이 배치되는 것과 동일하게, 4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지름의 크기가 같은 2개의 관통홀들이 쌍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4각형의 대각으로 마주보는 꼭지점들에 동일한 지름을 갖는 관통홀들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2관통홀들(171)(172)은 프레임(160)에 결합부재(170)가 배치될 때, 서로 포개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돌출부(168)들과 제1관통홀(171)들이 대응하고, 제2돌출부(169)들과 제2관통홀(172)들이 대응된다. 그런데, 제1관통홀(171)들은 제1돌출부(168)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1돌출부(168)들이 제1관통홀(171)들에 관통되어 삽입된다. 하지만, 제2관통홀(172)들은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제2돌출부(169)들이 관통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가 프레임(160)에 결합부재(170)를 결합할 때, 제2돌출부(169)들의 상부면과 결합부재(170)의 하측면이 서로 맞닿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프레임(160)과 결합부재(170) 사이의 이격거리(H3)가 제2돌출부(169)의 높이(H2)인 8.3㎜가 된다. 따라서, 8.3㎜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캐리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돌출부(169)들이 결합부재(170)와 맞닿는 부분에는 나사홈(169a)들이 형성되어 있고, 제2관통홀(172)들의 안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나사(190)를 이용하여 결합부재(170)를 프레임(16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결합부재(170)를 뒤집어서 프레임(160)과 결합할 경우, 제2관통홀(172)들과 제1돌출부(168)들이 대응하고, 제1관통홀(171)들에 제2돌출부(169)들이 대응하게 된다. 이 때 제1돌출부(168)들의 지름이 제2관통홀(172)들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에, 제1돌출부(168)들이 제2관통홀(172)들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돌출부(168)들의 상부면과 결합부재(170)의 하측면이 맞닿게 된다. 이로부터 프레임(160)과 결합부재(170) 사이의 이격거리(H4)는, 제1돌출부의 높이(H1)인 12.3㎜이 된다. 따라서, 12.3㎜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캐리어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1돌출부(168)들이 결합부재(170)와 맞닿는 부분에는 나사홈(168a)들이 형성되어 있고, 제2관통홀(172)들의 안쪽에는 나사산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나사(190)들을 이용하여 결합부재(170)를 프레임(16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의 돌출부의 개수, 관통홀의 개수 및 이들의 배치 구조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는 구성요소의 변동없이 다양한 폭을 갖는 캐리어 및 캐리어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단순해지고, 비용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캐리어테이프에서 테이프가 벗겨진 상태로 이송된 캐리어가 지지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 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의 폭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캐리어를 가이드하며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 제2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제1돌출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정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돌출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가 뒤집어져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에 고정되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나사홈에 삽입되는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플레이트로 형성된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KR1020040045387A 2004-06-18 2004-06-18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KR10109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387A KR101091891B1 (ko) 2004-06-18 2004-06-18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387A KR101091891B1 (ko) 2004-06-18 2004-06-18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147A KR20050120147A (ko) 2005-12-22
KR101091891B1 true KR101091891B1 (ko) 2011-12-12

Family

ID=3729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387A KR101091891B1 (ko) 2004-06-18 2004-06-18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283B1 (ko) 2009-04-01 2015-12-1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가변식 테이프 피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147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5381B2 (en) Circuit board fixing table, circuit board fixing method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4887240B2 (ja) 部品供給装置
KR101143835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KR20080082071A (ko) 테이프 피더
KR101091891B1 (ko) 캐리어테이프 피이더용 프레임 구조
US6705376B2 (en) Device for supplying electronic components to a pick-up position
US6230394B1 (en) X-Y table shield for component placement device
JP2000252684A (ja) トレイフィーダー部が設置された表面実装機
KR100963270B1 (ko)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 피더
US5956925A (en) Carrier tape and method for washing of components in carrier tape
JP7232980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4627643B2 (ja) 実装用電子部品の供給装置
KR100987836B1 (ko) 캐리어 테이프 로딩장치
JP4524161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3596271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パーツフィーダの装着構造
KR200328632Y1 (ko) 캐리어테이프 이송부재
KR100562402B1 (ko) 테이프 피이더
KR101070896B1 (ko) 캐리어테이프 피더
JPH104287A (ja) 部品供給装置
KR200281930Y1 (ko) 표면실장장치의 릴 자재 보관함
JP2022086450A (ja) フィーダ及びキャリアテープの搬送方法
JP6004879B2 (ja) 切削装置
KR20000056918A (ko) 트레이 피더부가 설치된 표면실장기
KR20090096891A (ko)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구비한 부품실장기
JPH10120076A (ja) 部品担持テープとこれを用いた部品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