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359B1 -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359B1
KR101208359B1 KR1020120115194A KR20120115194A KR101208359B1 KR 101208359 B1 KR101208359 B1 KR 101208359B1 KR 1020120115194 A KR1020120115194 A KR 1020120115194A KR 20120115194 A KR20120115194 A KR 20120115194A KR 101208359 B1 KR101208359 B1 KR 101208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wer
trough
inflow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진
김성환
양승열
안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원
Priority to KR102012011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에 우수가 유입될 때에 개방되어 우수를 배출하고 평상시에는 하수구를 막아 오염물이 투입되거나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에 매설된 배수관(1)과 연통되고 사각기둥 형상의 하수구 벽체(10); 상기 벽체(10) 내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직육면체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입된 빗물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벽체(10) 내측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11)에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제1가이드홈(11)을 따라 승강하는 한 쌍의 홈통(20); 일측면이 상기 홈통(20) 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면 단부 아래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기(31)가 형성되고, 돌기(31) 양단에 롤러(32)가 결합되며 홈통(20)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판(30), 및 상기 벽체(10) 내부 전면과 후면에 개폐판(30)의 롤러(3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가이드홈(13)이 일정 간격을 두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30)의 각 돌기(31)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16)와 중량추(15)가 연결되며, 한 쌍의 제2가이드홈(13) 사이에 아래로 중량추(15)가 승강하는 안내홈(14)이 형성된 승강안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구로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개폐판의 개폐량이 자동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하수구의 개폐판의 닫힌 상태가 되어 이물질이 무단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수구에서 발생된 악취가 하수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우수에 의하여 노면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때에는 개폐판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가 하수구로 흘러들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수구의 기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Apparatus for Interception Pollution Sources Inflow and Malodor Exhaust of Drainage}
본 발명은 하수구로 오염원이 무단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수구에서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에 우수가 유입될 때에 개방되어 우수를 배출하고 평상시에는 하수구를 막아 오염물이 투입되거나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구 또는 맨홀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배수설비의 하나로 도로 노면에서 흘러들어온 우수를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하수구나 맨홀은 통상 개방되어 있어 비가 오지 않을 때에 각종 이물질이 투입되어 쌓이게 되면 정작 비가 내릴 때에 하수구에 쌓인 이물질에 의하여 하수구 및 배수관이 막혀 빗물이나 오수를 정상적으로 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배수관의 오수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하수구로 하수구나 배수관에 정체된 오수로부터 악취가 발생되어 공기오염 등 환경적인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576호의 오물유입 및 악취를 방지하는 빗물받이는 하수를 도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제 1 및 제 2통로를 갖는 본체와; 하수가 제 1통로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제 1통로를 개방하고, 제 1통로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제 1통로를 폐쇄하는 제 1도어와; 하수가 제 2통로로 정방향으로 배수될 경우에는 제 2통로를 개방하고, 제 2통로로부터 역류할 경우에는 제 2통로를 폐쇄하는 제 2도어와; 제 1통로로 도입된 하수의 흐름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제 1통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제 1도어를 닫침위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과; 제 2통로를 통과하는 하수 속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제 2통로상에 설치되는 포집망을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포집망으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포집망에 이물질이 일정량으로 끼인 경우에는 오수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고 역류할 수 있는 문제와 더불어 별도로 포집망을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218호의 이단개폐식 맨홀악취차단장치는 다수개의 유입구가 천공된 상부덮개판과, 상하부가 개방된 호퍼형상으로 상단부가 상기 다수개의 유입구가 천공된 외곽부분의 상부덮개판 하부에 고정 부착된 유입호퍼와, 상하부가 개방된 직육면체형의 하부고정케이스가 구비되고 하부고정케이스는 유입호퍼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부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유입호퍼의 하부에 "∨"자 형상으로 배치된 한쌍의 가동판이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가동판은 전후양측 하면부에 각각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가이드 이동되는 구동롤러가 구비되고 구동롤러축은 서로 탄성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탄성 지지되면서 좌우양측으로 개폐 작동되어 맨홀로부터의 악취역류를 차단하는 악취차단부로 구성된 악취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동판(22a)(22b)은 유입물의 하중에 따라 이단개폐식으로 작동되는 상부개폐판(23a)(23b)과 하부개폐판(24a)(24b)으로 나뉘어져 있되, 상기 각 하부개폐판(24a)(24b)은 하면 상단부에 상향절곡부(33a)(33b)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향절곡부(33a)(33b)는 상부개폐판(23a)(23b)의 하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향절곡부(33a)(33b)에는 단속케이스(38a)(38b)의 내부에 지지핀(39a)(39b)과 상기 지지핀(39a)(39b)을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40a)(40b)으로 된 개폐단속수단(37a)(37b)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개폐단속수단(37a)(37b)에 의해 각 하부개폐판(24a)(24b)이 개폐 단속되면서 상부개폐판(23a)(23b)의 하부에서 힌지식으로 1차 개폐작동되고, 상기 각 상부개폐판(23a)(23b)은 하부개폐판(24a)(24b)의 배출하중을 초과하는 유입물의 유입시 하부개폐판(24a)(24b)과 함께 상부개폐판(23a)(23b)이 좌우양측으로 벌어지면서 2차 개폐작동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구동롤러에서 탄성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V자형 가동판이 상부덮개판 아래에 설치되어 우수나 오수를 방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가동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의 오작동이나 망실이 염려되고 가동판 사이에 이물질이 개입되었을 때에 가동판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아 악취가 배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6420호의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는 지중 매설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바닥면(66)의 단턱(65)에 조립되면서 고정되는 관통구(53)가 형성되는 안전망(52)을 조립하여 주고, 상기 바닥면(66)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수구(51)의 배수공간의 상측부에 고정되는 고리(62)가 형성되는 배수구(51)에 있어서, 상기 고리(62)에 걸어주는 걸이(63)로 고정하는 용기(55)를 조립하고, 상기 용기(55)의 하측에다 보조배출구(61)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걸이(63) 사이로 배수구(68)를 형성하여 주고, 상기 용기(55)의 내측공간에 삽설되는 부기(54)를 안치하되, 상측방향으로 돌기봉(58)이 형성된 고정봉(57)을 상기 설명되는 안전망(52)의 관통구(53)를 통과되면서 차단판(56)으로 고정하여서, 안전망(52)의 관통구(53)을 덮어 주도록 구성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차단판이 안전망에 완전히 덮이지 않아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새어나올 수 있고, 부구가 일정 높이로 부유하는 동안 부구의 간섭으로 빗물이나 하수가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0094호의 배수 박스 격자망은 배수 박스의 상부의 상호 대향하는 "L" 자형 단턱에 길이 방향으로 안착되는 배수 박스 격자망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용접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격자 구조체와, 상기 사각 프레임 내측에 용접되어 상기 격자 구조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종횡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사각 프레임 저면에 안착되며, 그 사각 중앙홀을 반분(半分)하는 좌우 개폐판이 탄성 결합되는 링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사각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편스프링에 좌우 개폐판이 결합되어 빗물의 배출은 용이하고 역류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편스프링의 피로도가 가중되는 경우에 좌우 개폐판을 완전히 밀폐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772호의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는 맨홀프레임(1)과 뚜껑(2)으로 구성된 통상의 맨홀에 있어서, 맨홀프레임(1)과 뚜껑(2)사이에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3)를 설치하되, 상기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3)는 동체(31)를 상광하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양측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되게 구성하고, 동체(1)의 상단 양측에는 맨홀프레임(1)의 내측 플렌지(11)부분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걸림부(32)를 형성하며, 또, 동체(31) 양측의 내측벽면(33)(33')에는 여과망 삽입부(34)(34')를 형성하여 이곳에 망체로 구성된 여과망(35)을 삽입설치하고, 상기 내측벽면(33)(33')중 여과망 삽입부(34)(34')바깥쪽 상측에 힌지구멍(36)을, 그리고 하측에는 상기 힌지구멍(36)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스톱돌부(39)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구멍(36)에 악취방지용 게이트(37)의 상단 힌지축(37')이 삽입되어 너트 등의 체결부재(38)로서 체결 고정되게 하되, 스톱돌부(39)에 의해 악취방지용 게이트(37)가 힌지구멍(36)을 중심으로 약간 바깥쪽으로 비스듬하게 설치되는데다가 악취방지용 게이트(37)의 하단이동체(1) 바닥면 위에 안착되게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뚜껑 아래에 대략 사다리꼴의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양측에 악취방지용 게이트가 힌지 결합되어 있어 악취 방지에 대한 효과가 있을 지라도 오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진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157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21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642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009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77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 노면에서 하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오수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종 오염원의 투입을 차단시키며 하수로부터 발생된 악취가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구로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개폐판의 개폐량이 자동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지하에 매설된 배수관과 연통되고 사각기둥 형상의 하수구 벽체; 상기 벽체 내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직육면체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입된 빗물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벽체 내측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에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제1가이드홈을 따라 승강하는 한 쌍의 홈통; 일측면이 상기 홈통 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면 단부 아래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 양단에 롤러가 결합되며 홈통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판, 및 상기 벽체 내부 전면과 후면에 개폐판의 롤러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가이드홈이 일정 간격을 두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의 각 돌기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와 중량추가 연결되며, 한 쌍의 제2가이드홈 사이에 아래로 중량추가 승강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승강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격자 모양으로 상기 벽체 상단에 삽입되어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크기의 하중을 견디는 강성을 갖는 격자망, 및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상기 격자망 아래에 적층되고, 가장자리에서 통공을 향하여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통공 내측면에 솔이 결합된 마감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홈통 바닥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개폐판이 면접하는 단부에 요철(30a)이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판은 홈통 측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에 의하여 저면이 지지되어 홈통과 직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판은 개폐판끼리 면접하는 단부로부터 홈통에 힌지 결합되는 단부까지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가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구로 빗물이나 오수의 유입량에 따라 개폐판의 개폐량이 자동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하수구의 개폐판의 닫힌 상태가 되어 이물질이 무단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하수구에서 발생된 악취가 하수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우수에 의하여 노면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될 때에는 개폐판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가 하수구로 흘러들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하수구의 기능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차도나 보도 또는 골목길 등의 도로 이면이나 가장자리에 매설된 배수관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하수구에 있어서, 하수구 내측에 비점오염원이 무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관으로부터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하수구 벽체(10)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지하에 매설된 배수관(1)과 연통된다. 벽체(10)는 통상 콘크리트나 벽돌 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홈통(20)은 벽체(10) 내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직육면체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입된 빗물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이다. 홈통(20)은 공간부로 유입된 빗물의 중량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하강 또는 승강되는 것으로, 벽체(10) 내측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11)에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돌기(22)가 제1가이드홈(11)을 따라 승강된다. 홈통(20) 바닥에는 복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1)은 홈통(20)에 유입되어 채워진 빗물이 천천히 배출되는 구멍이다. 따라서 홈통(20)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홈통(20)에 유입된 빗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된다. 홈통(20)의 높이 길이 및 폭은 하수구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개폐판(30)은 일측면이 홈통(20) 측면에 각각 힌지(33)로 결합되고, 개폐판(30) 타측면 단부 아래에 각각 전후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돌기(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기(31) 양단에는 각각 롤러(32)가 결합되어 있다. 개폐판(30)은 홈통(20)의 승강에 따라 승강되면서 개폐된다. 즉 홈통(20)이 하강하면 홈통(20) 일측에 힌지(33) 결합된 개폐판(30)은 홈통(20)을 따라 하강하면서 개방되고, 홈통(20)이 상승하면 개폐판을 홈통(20)을 따라 상승하면서 폐쇄된다. 한 쌍의 개폐판(30)이 면접하는 단부에는 요철(30a)이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철(30a)은 서로 면접하는 개폐판(30) 사이가 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톱니모양이나 나사산모양으로 상호 치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개폐판(30)은 홈통(20) 측면에 단턱과 같이 돌출 형성된 스토퍼(23)에 의하여 저면이 지지되어 홈통(20)과 직각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개폐판(30)이 닫힌 상태에서는 스토퍼(23)가 개폐판(30) 저면에 밀착되어 개폐판(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개폐판(30)이 수평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개폐판(30)은 개폐판(30)끼리 면접하는 단부로부터 홈통(20)에 힌지 결합되는 단부까지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는 개폐판(30)이 닫힌 상태에서 개폐판(30) 위로 유입된 빗물이 홈통(20)으로 용이하게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승강안내부(12)는 개폐판(30)의 개폐를 위한 것으로, 홈통(20)과 힌지 결합된 개폐판(30)이 개폐되면서 승강안내부(12)를 따라 승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승강안내부(12)는 하수구 벽체(10) 내부 전면과 후면, 즉 하수구 벽체(10) 내부 좌측면과 우측면과 각각 대략 직각으로 인접하는 면에 개폐판(30)의 롤러(3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가이드홈(13)이 일정 간격을 두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2가이드홈(13)은 벽체(10) 내부 전면과 후면의 대략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경사져 내리다가 어느 위치에서 벽체(10) 내부 아래쪽으로 직하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판(30)에 형성된 각 돌기(31) 일측에 와이어(16)가 결합되고, 와이어(16)는 중량추(15)와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제2가이드홈(13) 사이에 아래쪽으로 중량추(15)가 승강하는 안내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승강안내부(12)의 제2가이드홈(13)에는 개폐판(30)의 돌기(31)에 돌출 형성된 롤러(32)가 삽입 지지되고, 개폐판(30)의 돌기(31)에 와이어로 연결된 중량추(15)가 안내홈(14) 내에서 승강된다. 상기 와이어(16)는 지지구(17)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구(17)는 벽체(1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중량추(15)는 비어 있는 한 쌍의 홈통(20)보다는 큰 중량이지만, 빗물 등 유체가 홈통(20)에 채워진 경우보다는 작은 중량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중량추(15)의 중량이 홈통(20)보다 커 개폐판(30)이 닫힌 상태가 되지만, 홈통(20)에 유체로 채워진 경우에는 홈통(20)이 중량추(15)의 중량보다 커져 중량추(15)를 당겨 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홈통(20)과 개폐판(30)이 결합된 하수구 벽체(10) 위로는 격자망(50)이 설치되고, 격자망(50) 아래에는 마감뚜껑(40)이 적층되어 결합된다. 격자망(50)은 격자 모양으로 상기 벽체(10) 상단에 삽입되어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크기의 하중을 견디는 강성을 갖는 것이 좋다. 마감뚜껑(40)은 내측에 통공(41)이 형성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상기 격자망(50) 아래에 적층되고, 가장자리에서 통공(41)을 향하여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통공(41) 내측면에 홈통(20)으로 빗물이외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솔(42)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에 관한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하수구 벽체(10)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 홈통(20)의 각각 내측으로 힌지(33)로 결합된 개폐판(30)이 수평상태로 하수구를 막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우수 등에 의하여 노면에 물을 포함한 유체가 흘러 하수구로 유입된다. 유체는 노면에서 흘러 들어오면서 각종 이물질과 같이 하수구 상단에 위치된 격자망(50)를 거쳐 유입된다. 격자망(50)의 격자 모양보다 큰 비점오염원은 격자망(50)에 1차적으로 걸러지고, 격자망(50)을 통과한 유체는 마감뚜껑(40)의 통공(41)을 통해 유입되고, 유체에 포함된 다소 입자가 큰 비점오염원은 마감뚜껑(40)의 솔(42)에 의하여 걸러진 후에 하수구 벽체(10) 좌측과 우측에 설치된 홈통(20)으로 유입된다.
홈통(20)에 유체가 흘러 들어가면 홈통(20)은 유체에 의하여 일정의 중량이 형성된다. 이때, 홈통(20)은 개폐판(30)을 거쳐 개폐판(30)에 연결된 와이어(16)를 잡아 당겨 중량추(15)를 상승시킨다. 개폐판(30)은 각 홈통(20)의 중량에 의하여 홈통(20)이 제1가이드홈(11)을 따라 내려가면 개폐판(30)의 돌기(31)에 돌출 형성된 롤러(32)가 제2가이드홈(13)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간다.
따라서 도 4에서, 개폐판(30)은 벽체(10) 내측면에 형성된 제2가이드홈(13)을 따라 내려가면서 서서히 개방된다. 제2가이드홈(13)의 대략 수평 상태의 경사면을 따라 롤러(32)가 내려가면서 개폐판(30)을 점점 더 개방된다.
도 5에서, 개폐판(30)에 결합된 롤러(32)가 벽체(10) 내측면에 대략 수직 상태의 제2가이드홈(13)을 따라 내려가면 개폐판(30)은 최대한 개방된다. 아울러, 홈통(20)으로 유입되어 저수된 유체는 관통공(21)을 통해 지속적으로 하수구 벽체(10) 내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노면에서 하수구로 흘러 들어온 유체가 줄어들기 시작하면, 홈통(20)으로도 유체의 유입이 줄어들게 되는 반면에 홈통(20)에 저수된 유체는 관통공(21)을 통해 빠져나가므로 홈통(20)의 중량은 줄어들기 시작한다. 홈통(20)의 중량이 줄어들어 와이어(16)로 연결된 중량추(15)보다 중량이 작아지면 중량추(15)가 와이어(16)를 하부로 끌어당기게 되어 개폐판(30)의 롤러(32)가 제2가이드홈(13)을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개폐판(30)은 점점 폐쇄된다. 그리고 홈통(20)에 저수된 물의 완전히 배출되면 중량추(15)가 안내홈(14)을 따라 더욱 하강하게 되고 개폐판(30)은 상승하여 닫히게 된다. 이는 중량추(15), 와이어(16), 롤러(32), 개폐판(30) 및 홈통(20)의 작용이 도 5에서 도 4와 도 3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와 같이 우수의 강하로 노면에서 흘러 들어온 유체가 홈통(20)에 유입되면 홈통(20)의 중량이 중량추(15)를 상승시켜 개폐판(30)이 개방되도록 하고, 홈통(20)에 저수된 유체가 관통공(21)을 통해 배출되면 중량추(15)가 개폐판(30)을 닫히도록 홈통(20)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노면에서 유체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는 하수구로 이물질이 무단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개폐판(30)이 닫힌 상태가 되지만, 우수 등의 강하로 노면에서 유체가 유입될 때에는 개폐판(30)이 열리도록 하여 하수구로 비점오염원의 유입을 차단하고 하수구에서 발생된 악취는 하수구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배수관 10: 벽체 11, 13: 가이드홈 12: 승강안내부 14: 안내홈 15: 중량추 16: 와이어 17: 지지구 20: 홈통 21: 관통공 22: 가이드돌기 23: 스토퍼 30: 개폐판 30a: 요철 31: 돌기 32: 롤러 33: 힌지 40: 마감뚜껑 41: 통공 42: 솔 50: 격자망

Claims (7)

  1.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지하에 매설된 배수관(1)과 연통되고 사각기둥 형상의 하수구 벽체(10);
    상기 벽체(10) 내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직육면체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입된 빗물을 수용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벽체(10) 내측면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11)에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 제1가이드홈(11)을 따라 승강하는 한 쌍의 홈통(20);
    일측면이 상기 홈통(20) 측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타측면 단부 아래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돌기(31)가 형성되고, 돌기(31) 양단에 롤러(32)가 결합되며 홈통(20)의 승강에 따라 개폐되는 한 쌍의 개폐판(30), 및
    상기 벽체(10) 내부 전면과 후면에 개폐판(30)의 롤러(3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가이드홈(13)이 일정 간격을 두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30)의 각 돌기(31) 일측에 결합된 와이어(16)와 중량추(15)가 연결되며, 한 쌍의 제2가이드홈(13) 사이에 아래로 중량추(15)가 승강하는 안내홈(14)이 형성된 승강안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격자 모양으로 상기 벽체(10) 상단에 삽입되어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크기의 하중을 견디는 강성을 갖는 격자망(50), 및 내측에 통공(41)이 형성된 사각의 틀 형상으로 상기 격자망(50) 아래에 적층되고, 가장자리에서 통공(41)을 향하여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통공(41) 내측면에 솔(42)이 결합된 마감뚜껑(40)을 더 포함하는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20) 바닥에 복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된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개폐판(30)이 면접하는 단부에 요철(30a)이 형성되어 맞물리도록 형성된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은 홈통(20) 측면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23)에 의하여 저면이 지지되어 홈통(20)과 직각이 형성되는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은 개폐판(30)끼리 면접하는 단부로부터 홈통(20)에 힌지 결합되는 단부까지 그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17)가 벽체(10)에 고정된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KR1020120115194A 2012-10-17 2012-10-17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KR101208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94A KR101208359B1 (ko) 2012-10-17 2012-10-17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94A KR101208359B1 (ko) 2012-10-17 2012-10-17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359B1 true KR101208359B1 (ko) 2012-12-05

Family

ID=47906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194A KR101208359B1 (ko) 2012-10-17 2012-10-17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359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97Y1 (ko) 2018-04-05 2018-08-20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487316Y1 (ko) 2018-04-05 2018-09-04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988367B1 (ko) * 2019-03-19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승하강개폐도어부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1988371B1 (ko) * 2019-03-18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원형 배치타입의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200489455Y1 (ko) 2018-09-28 2019-06-19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994791B1 (ko) * 2019-03-18 2019-07-01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이송케이싱
KR102016628B1 (ko) 2019-04-30 2019-08-30 주식회사 더온써브 악취역류차단기능 및 오물거름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빗물받이
KR200489947Y1 (ko) 2019-05-02 2019-08-30 주식회사 더온써브 악취역류차단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빗물받이
KR102028075B1 (ko) 2019-04-12 2019-10-02 이명진 건축용 그레이팅
KR102063501B1 (ko) 2019-07-30 2020-02-11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CN112359944A (zh) * 2020-11-01 2021-02-12 张艳 一种具有面源垃圾过滤功能的市政排水结构
KR102229246B1 (ko) 2020-09-07 2021-03-18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83A (ja) 2005-03-29 2006-10-12 Max Co Ltd 可搬型簡易トイ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83A (ja) 2005-03-29 2006-10-12 Max Co Ltd 可搬型簡易トイ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197Y1 (ko) 2018-04-05 2018-08-20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487316Y1 (ko) 2018-04-05 2018-09-04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200489455Y1 (ko) 2018-09-28 2019-06-19 주식회사 더온써브 하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988371B1 (ko) * 2019-03-18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원형 배치타입의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1994791B1 (ko) * 2019-03-18 2019-07-01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용 이송케이싱
KR101988367B1 (ko) * 2019-03-19 2019-06-12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지그 승하강시 열손실 감소를 유도하는 승하강개폐도어부를 가지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2028075B1 (ko) 2019-04-12 2019-10-02 이명진 건축용 그레이팅
KR102016628B1 (ko) 2019-04-30 2019-08-30 주식회사 더온써브 악취역류차단기능 및 오물거름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빗물받이
KR200489947Y1 (ko) 2019-05-02 2019-08-30 주식회사 더온써브 악취역류차단기능을 구비한 하수구 빗물받이
KR102063501B1 (ko) 2019-07-30 2020-02-11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KR102229246B1 (ko) 2020-09-07 2021-03-18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배수로 덮개
CN112359944A (zh) * 2020-11-01 2021-02-12 张艳 一种具有面源垃圾过滤功能的市政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359B1 (ko)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US5849181A (en) Catch basin
KR101683365B1 (ko)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US11186980B2 (en) Storm water drai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use
KR20090083884A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1326602B1 (ko) 도로용 우수 배수장치
KR100588297B1 (ko)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JP2011202472A (ja) 道路側溝用集水桝およびそれを備えた雨水流出抑制施設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EP2685016A1 (en) Shut-off device and drain with such a device
KR101047570B1 (ko) 맨홀
WO2008099182A1 (en) Surface water drainage
EP4198217A1 (en) Waste collection device for drain
KR101305971B1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1878321B1 (ko) 건축물 지하 주차장 배수 시설
CA2206338C (en) Improved catch basin
CN210459485U (zh) 一种井盖
KR20160068164A (ko) 하수악취 차단장치
KR101697043B1 (ko) 접이식 유량조절장치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090008698A (ko)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1646902B1 (ko) 건축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