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501B1 -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501B1
KR102063501B1 KR1020190092512A KR20190092512A KR102063501B1 KR 102063501 B1 KR102063501 B1 KR 102063501B1 KR 1020190092512 A KR1020190092512 A KR 1020190092512A KR 20190092512 A KR20190092512 A KR 20190092512A KR 102063501 B1 KR102063501 B1 KR 10206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unit
drain
spac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9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이 제공된다. 제공된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은 배수구의 상단에 안착되며, 내측에 다수의 메인배수홀이 격벽을 통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들 중 어느 한 일측 격벽에 연결홀을 갖는 제1 연결클립이 마련되고, 상기 어느 한 일측 격벽과 직각을 이루는 격벽에 "T"형홈이 형성된 몸체유닛; 상기 각 메인배수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메인배수홀들의 일측 상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다수의 서브배수홀이 형성되고, 일면에 결속홀을 갖는 제2 연결클립이 마련된 발판유닛; 상기 발판유닛이 직립되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곡진 호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제1 연결클립의 연결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클립의 결속홀에 고정된 탄성유닛; 상기 발판유닛이 힌지회전하여 상기 메인배수홀의 상단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발판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유닛의 "T"형홈에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T"형홈에 삽입되는 "T"형연결구가 마련되고, 타단에 지지편이 돌출형성된 받침유닛 및 상기 몸체유닛을 통해 대형운송수단이 통과시 상기 배수구와 몸체유닛 및 몸체유닛과 몸체유닛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와 몸체유닛 사이에 연결된 완충유닛을 하여 작은 바퀴의 운송수단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내어 배수구 막힘 및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하며, 대형운송수단 통과시 마찰음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생활공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그레이팅{Architectural grat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 및 손수레 등과 같이 작은 바퀴를 갖는 운송수단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형운송수단(차량)의 통과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여 쾌적한 생활공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는 도로의 빗물 등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수구는 하수관과 연결되어 도로의 빗물 등이 하수구를 통해 하천 등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구의 상측 개방부에는 빗물 등에 의해 함께 쓸려오는 주위의 나뭇잎이나 비닐지 등의 비교적 큰 협잡물의 유입을 막고, 차량이나 통행인이 집수부로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한 그릴 형태의 그레이팅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레이팅에 대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5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46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8359호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그레이팅은 배수구 측으로 빗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로 개구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유모차 및 손수레 등과 같은 작은 바퀴를 갖는 이동수단은 바퀴가 상기 그레이팅의 개구된 공간에 걸리기 때문에 그레이팅이 설치된 구간을 피해다니거나 그레이팅이 설치된 구간에서는 이동수단을 힘들게 들고 옮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과 같은 대형 운송수단 통과시 그레이팅이 배수구와 부딪치며 발생하는 소음이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5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461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835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작은 바퀴를 갖는 운송수단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수구 측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오염물에 의한 배수구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레이팅 외면에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대형운송수단(차량)이 그레이팅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배수구의 상단에 안착되며, 내측에 다수의 메인배수홀이 격벽을 통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들 중 어느 한 일측 격벽에 연결홀을 갖는 제1 연결클립이 마련되고, 상기 어느 한 일측 격벽과 직각을 이루는 격벽에 "T"형홈이 형성된 몸체유닛;
상기 각 메인배수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메인배수홀들의 일측 상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다수의 서브배수홀이 형성되고, 일면에 결속홀을 갖는 제2 연결클립이 마련된 발판유닛;
상기 발판유닛이 직립되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곡진 호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제1 연결클립의 연결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클립의 결속홀에 고정된 탄성유닛;
상기 발판유닛이 힌지회전하여 상기 메인배수홀의 상단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발판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유닛의 "T"형홈에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T"형홈에 삽입되는 "T"형연결구가 마련되고, 타단에 지지편이 돌출형성된 받침유닛 및
상기 몸체유닛을 통해 대형운송수단이 통과시 상기 배수구와 몸체유닛 및 몸체유닛과 몸체유닛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와 몸체유닛 사이에 연결된 완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측면과 하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바닥에 도로 빗물의 배수를 위한 절개홀이 마련되며, 외면에 다수의 제1 이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내면에 다수의 제2 이격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이격돌부와 제2 이격돌부를 통해 상기 배수구와 몸체유닛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제1 이격돌부와 제2 이격돌부를 갖는 측벽의 내측에 수용홈이 마련된 탄성력을 소재로 이루어진 틀체 및
상기 제1 이격돌부와 제2 이격돌부가 상기 배수구와 몸체유닛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이격돌부와 제2 이격돌부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에 삽입, 연결된 금속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은 그 구조 개선을 통해 작은 바퀴를 갖는 운송수단이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며, 구조적으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걸러내어 오염물에 의한 배수구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레이팅 외면에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대형운송수단(차량)이 그레이팅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소음 및 이를 통한 쾌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완충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발판유닛, 탄성유닛 및 받침유닛과 몸체유닛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발판유닛, 탄성유닛 및 받침유닛과 몸체유닛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발판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완충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발판유닛, 탄성유닛 및 받침유닛과 몸체유닛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그레이팅(100)은 도로의 빗물을 하수구로 유도하는 배수구(10) 상단에 안착되는 몸체유닛(110); 상기 몸체유닛(110)에 다수가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발판유닛(120); 상기 발판유닛(1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유닛(110); 발판유닛(120) 사이에 설치된 탄성유닛(130); 상기 몸체유닛(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유닛(110)에 연결된 받침유닛(140) 및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에 연결된 완충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유닛(110)은, 상기 배수구(10) 측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몸체유닛(110)은 배수구(10)의 상단에 안착되며, 내측에 다수의 메인배수홀(111)이 격벽(113)을 통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격벽(113)들 중 어느 한 일측 격벽(113)에는 제1 연결클립(117)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연결클립(117)은 그 내측에 연결홀(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한 일측 격벽(113)과 직각을 이루는 격벽(113)에 "T"형홈(119)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발판유닛(120)은 운송수단의 바퀴가 몸체유닛(110)을 통과시 상기 바퀴가 몸체유닛(110)의 메인배수홀(111)에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발판유닛(120)은 상기 각 메인배수홀(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메인배수홀(111)들의 일측 상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발판유닛(120)은 그 내측에 다수의 서브배수홀(121)이 형성되고, 일면에 제2 연결클립(125)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클립(125)은 그 내측에 결속홀(1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탄성유닛(130)은 상기 발판유닛(120)이 직립되게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탄성유닛(130)은 만곡진 호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제1 연결클립(117)의 연결홀(115)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클립(125)의 결속홀(123)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받침유닛(140)은 상기 발판유닛(120)이 힌지회전하여 상기 메인배수홀(111)의 상단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발판유닛(120)을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받침유닛(140)은 그 일단에 "T"형연결구(141)가 마련되고,그 타단에 지지편(143)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T"형연결구(141)는 상기 몸체유닛(110)의 "T"형홈(119)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완충유닛(150)은 상기 몸체유닛(110)을 통해 대형운송수단이 통과시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및 몸체유닛(110)과 몸체유닛(11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완충유닛(150)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몸체유닛(110)을 감싸는 틀체(151)와 금속편(1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틀체(151)는 상기 몸체유닛(110)의 측면과 하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2)의 바닥에 도로 빗물의 배수를 위한 절개홀(15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틀체(151)는 그 외면에 다수의 제1 이격돌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2)의 내면에 다수의 제2 이격돌부(155)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를 통해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를 갖는 측벽(156)의 내측에 수용홈(157)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금속편(158)은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가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57)에 삽입, 연결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은 작은 바퀴를 갖는 운송수단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형운송수단(차량)이 그레이팅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 및 작용효과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발판유닛, 탄성유닛 및 받침유닛과 몸체유닛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중 발판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틀체(151)의 삽입홈(152)에 금속편(158)을 삽입, 연결한다.
이에, 상기 삽입홈(152)에 금속편(158)을 삽입, 연결하면, 상기 틀체(151)의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가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에 지지력을 갖게 된다.
이후, 상기 삽입홈(152)에 몸체유닛(110)을 삽입한다.
이에, 상기 삽입홈(152)에 몸체유닛(110)을 삽입하면, 상기 완충유닛(150)은 상기 몸체유닛(110)의 측면과 하부를 마감한다.
이후, 상기 몸체유닛(110)을 상기 배수구(10) 상단에 안착시키면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및 몸체유닛(110)과 몸체유닛(110) 사이에 완충유닛(150)이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다수의 제1 이격돌부(154)와 다수의 제2 이격돌부(155)가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킨다.
이에 결과적으로 상기 완충유닛(150)은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킴은 물론, 이를 통해 쾌적한 생활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몸체유닛(110)의 상부로 운송수단이 통과하면, 상기 운송수단의 작은 바퀴가 미는 힘은 상기 발판유닛(120)을 가압하여 상기 발판유닛(120)이 힌지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판유닛(120)가 힌지회전하는 과정에서 직각을 이루면, 상기 받침유닛(140)의 지지편(143)은 상기 발판유닛(120)을 지지하여 상기 발판유닛(120)이 더 이상 더 이상 힌지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몸체유닛(110)의 메인배수홀(111) 상단을 마감하는 발판유닛(120)들에 의해 운송수단의 작은 바퀴가 용이하게 몸체유닛(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발판유닛(120)에는 다수의 서브배수홀(1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서브배수홀(121)은 본 발명의 그레이팅(100)으로 하수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레이팅(10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상기 배수구(10)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유닛(130)은 몸체유닛(110)에 마련된 제1 연결클립(117)과 발판유닛(120)에 마련된 제2 연결클립(125) 사이에 고정된다.
이에, 상기 탄성유닛(130)은 상기 직각으로 힌지회전한 발판유닛(120)에 바퀴에 의한 외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발판유닛(120)이 직립되게 원상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그레이팅은 그 구조 개선을 통해 작은 바퀴를 갖는 운송수단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배수구 측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오염물에 의한 배수구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그레이팅 외면에 완충유닛을 구비하여 대형운송수단(차량)이 그레이팅을 통과하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10 : 배수구 110 : 몸체유닛
111 : 메인배수홀 113 : 격벽
115 : 연결홀 117 : 제1 연결클립
119 : "T"형홈 120 : 발판유닛
121 : 서브배수홀 123 : 결속홀
125 : 제2 연결클립 130 : 탄성유닛
140 : 받침유닛 141 : "T"형연결구
143 : 지지편 150 : 완충유닛
151 : 틀체 152 : 삽입홈
153 : 절개홀 154 : 제1 이격돌부
155 : 제2 이격돌부 156 : 측벽
157 : 수용홈 158 : 금속편

Claims (2)

  1. 배수구(10)의 상단에 안착되며, 내측에 다수의 메인배수홀(111)이 격벽(113)을 통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격벽(113)들 중 어느 한 일측 격벽(113)에 연결홀(115)을 갖는 제1 연결클립(117)이 마련되고, 상기 어느 한 일측 격벽(113)과 직각을 이루는 격벽(113)에 "T"형홈(119)이 형성된 몸체유닛(110);
    상기 각 메인배수홀(111)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메인배수홀(111)들의 일측 상부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다수의 서브배수홀(121)이 형성되고, 일면에 결속홀(123)을 갖는 제2 연결클립(125)이 마련된 발판유닛(120);
    상기 발판유닛(120)이 직립되게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곡진 호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제1 연결클립(117)의 연결홀(115)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클립(125)의 결속홀(123)에 고정된 탄성유닛(130);
    상기 발판유닛(120)이 힌지회전하여 상기 메인배수홀(111)의 상단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발판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유닛(110)의 "T"형홈(119)에 연결되며, 일단에 상기 "T"형홈(119)에 삽입되는 "T"형연결구(141)가 마련되고, 타단에 지지편(143)이 돌출형성된 받침유닛(140) 및
    상기 몸체유닛(110)을 통해 대형운송수단이 통과시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및 몸체유닛(110)과 몸체유닛(11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에 연결된 완충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유닛(150)은,
    상기 몸체유닛(110)의 측면과 하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내측에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홈(15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2)의 바닥에 도로 빗물의 배수를 위한 절개홀(153)이 마련되며, 외면에 다수의 제1 이격돌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52)의 내면에 다수의 제2 이격돌부(155)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를 통해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를 갖는 측벽(156)의 내측에 수용홈(157)이 마련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틀체(151) 및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가 상기 배수구(10)와 몸체유닛(110)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이격돌부(154)와 제2 이격돌부(155)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157)에 삽입, 연결된 금속편(15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KR1020190092512A 2019-07-30 2019-07-30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KR10206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2A KR102063501B1 (ko) 2019-07-30 2019-07-30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2A KR102063501B1 (ko) 2019-07-30 2019-07-30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501B1 true KR102063501B1 (ko) 2020-02-11

Family

ID=69568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12A KR102063501B1 (ko) 2019-07-30 2019-07-30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50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14Y1 (ko) 2004-06-23 2004-09-13 임동택 하수구의 방취·방충장치
KR100734610B1 (ko) 2006-11-29 2007-07-02 광주광역시 남구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110017198A (ko) * 2009-08-13 2011-02-21 (주)마이즈텍 그레이팅 프레임
KR101124407B1 (ko) * 2011-07-01 2012-03-21 (주)삼정스틸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1208359B1 (ko) 2012-10-17 2012-12-05 주식회사 장원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KR20170055123A (ko) * 2015-11-11 2017-05-1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월류 방지와 차량 보호를 위한 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14Y1 (ko) 2004-06-23 2004-09-13 임동택 하수구의 방취·방충장치
KR100734610B1 (ko) 2006-11-29 2007-07-02 광주광역시 남구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110017198A (ko) * 2009-08-13 2011-02-21 (주)마이즈텍 그레이팅 프레임
KR101124407B1 (ko) * 2011-07-01 2012-03-21 (주)삼정스틸 배수로용 그레이팅
KR101208359B1 (ko) 2012-10-17 2012-12-05 주식회사 장원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KR20170055123A (ko) * 2015-11-11 2017-05-1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월류 방지와 차량 보호를 위한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820B1 (en) Curb opening filter
US8277645B2 (en) Automatic retractable screen system for storm drain inlets
KR101860890B1 (ko) 그레이팅의 이물질 유입방지 및 악취 차단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2064201B1 (ko) 건축용 그레이팅
US20180304177A1 (en) Connector pipe screen
KR102057994B1 (ko) 도로용 배수구 트랩
KR102063501B1 (ko) 공동주택용 그레이팅
KR20170075036A (ko) 분진제거기능 패널을 결합한 형상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01318B1 (ko)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US20040163342A1 (en) Drain system for screen enclosures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US20080035570A1 (en) Catch basin insert
KR102028075B1 (ko) 건축용 그레이팅
KR100623426B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부재가 설치된 도로 배수로
KR101627561B1 (ko) 다기능 하수구 뚜껑
KR100614912B1 (ko) 하수도용 커버
KR20110025595A (ko) 개폐식 배수구 덮개
KR101103331B1 (ko) 집수구의 배수트랩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2136488B1 (ko) 무게추 보호실이 구비된 악취차단 그레이팅
KR101841998B1 (ko) 악취 역류 방지판이 구비된 그레이팅 구조체
KR20210026717A (ko) 그레이팅에 설치되는 복합형 이물질 수거 장치
KR200399238Y1 (ko) 빗물배수용 우수전
WO2002095150A2 (en) Drainag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