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196B1 -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 Google Patents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196B1
KR101605196B1 KR1020150160564A KR20150160564A KR101605196B1 KR 101605196 B1 KR101605196 B1 KR 101605196B1 KR 1020150160564 A KR1020150160564 A KR 1020150160564A KR 20150160564 A KR20150160564 A KR 20150160564A KR 101605196 B1 KR101605196 B1 KR 10160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ke
plate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우테크
Priority to KR102015016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유수부에서 양정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 및 유량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전위 스크린의 구조를 개선하고, 그 개선된 전위 스크린에 정위치 센서를 부착하여 레이크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멈추게 하여 양정부측으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개폐식 제진기를 대체할 수 있는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수부와 상기 유수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최하단에서 연장되는 양정부로 구성되는 펌프실에 설치되고, 전위스크린 및 레이크를 포함하는 통상의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위스크린(400)은 상기 유수부(115)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116)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스크린부(410) 및 상기 스크린부 말단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500)에 형성된 복수의 레이크바(520)는 상기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 사이를 교호하면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Facilitating the flow rate and flow-type dust removing machine}
본 발명은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유수부에서 양정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 및 유량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전위 스크린의 구조를 개선하고, 그 개선된 전위 스크린에 정위치 센서를 부착하여 레이크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멈추게 하여 양정부측으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개폐식 제진기를 대체할 수 있는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펌프장은 용도 별로 구분하면, 양수 펌프장(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 댐이나 저수지의 물을 높은 지역 또는 물 부족 지역으로 압송하는 펌프장), 빗물 펌프장(우천시 지반이 낮은 지역에서 자연유하되지 않는 우수를 방류지역으로 배제하는 펌프장), 중계 펌프장(하수도에서 관로 길이가 길 경우 관거의 매설 깊이가 깊어져 비경제적으로 되는 경우 유입구역의 오수를 다음 펌프장 또는 처리장으로 수송하는 목적을 가진 펌프장), 처리장 내 펌프장(유입 하수를 자연유하로 처리해서 항상 하천이나 해역으로 방류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펌프장)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양/배수 펌프장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펌프장(100) 내에는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실(102)과, 유입부에 설치되어 유체에 함유된 부유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장치(104)와, 실제로 물을 양수하는 장치인 주배수 펌프(106), 펌프 운전 중이나 정지 시에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 장치로서의 토출밸브(108)와, 유지관리용 권양장치로서의 천정 크레인(110)과, 상시에 자연유하로 수로에 흐르게 하고 우기시 하천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150)를 구비한 차단 수문 설비(112) 등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위의 5가지로 구분되는 설비를 갖추어야 원활한 펌프장(100)의 기능을 다하게 된다. 부호 114는 제방, 115는 유수부, 116은 경사부, 117은 양정부이다.
여기서 협잡물 제거장치(104, 이하 제진기라 칭함)는 펌프로 양수하기 위해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해야 펌프의 임펠러가 회전하는데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므로 이물질을 수집, 제거하기 위해 유입부 전단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975915 등에 나타나 있는 통상적인 제진기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도 2는 종래 로터리식 제진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식 제진기는 에이프런의 상면으로 경사지게 주 스크린이 장착되고, 상기 주 스크린의 전방 하부로 전위 스크린이 구비되며, 상기 주 스크린과 전위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다수개의 레이크가 구비되며, 상기 레이크의 양측으로 체인이 구비된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양수펌프장은 양흡입 횡축 펌프가 주로 사용되고, 배수펌프장은 입축 축류 또는 입축 사류펌프가 주로 사용되는데, 그 적용 구분은 전양정이 6미터 이하일 때는 축류, 그 이상일 때는 사류펌프가 적용되야 하므로 유수부(115)에 비해 양정부(117)의 깊이를 높게 유지해야 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일이다.
그런데 종래의 제진기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위 스크린(400)이 곡선부를 형성하며 유수부(115)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위 스크린에 쌓이는 협잡물로 인해 물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 상기 유수부(115)로부터 양정부(117)로 유입되는 유량이 적어지고 그 흐름에도 악영향을 주어 유속도 늦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9759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유수부에서 양정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속 및 유량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전위 스크린의 구조를 개선하고, 그 개선된 전위 스크린에 정위치 센서를 부착하여 레이크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멈추게 하여 양정부측으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개폐식 제진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유수부와 상기 유수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최하단에서 연장되는 양정부로 구성되는 펌프실에 설치되고, 전위스크린 및 레이크를 포함하는 통상의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위스크린은 상기 유수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 말단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에 형성된 복수의 레이크바는 상기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 사이를 교호하면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스크린 후면의 가이드레일에는 정위치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앤드리스체인의 체인플인레이트에는 상기 정위치센서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정위치더그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정위치센서와 정위치더그의 접촉에 의해 레이크바가 상기 협잡물 유도플레이트의 말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잡물 유도플레이트는 상향 만곡지게 형성하고, 스크린부에 힌지로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꺼, 협잡물 유도플레이트에 적재되는 협잡물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적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유수부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유수부연결브라켓과, 상기 유수부연결브라켓에서 직선형태로 상기 경사부에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바와, 상기 플레이트바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빔과, 상기 가로빔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경사부까지 연장된 지지봉과, 상기 플레이트바 말단에 연결된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바(412)는 상기 로프(418)를 이용하여 유수부 바닥에 형성된 바닥가이드레일(415)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상기 경사부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기존 개폐식 제진기가 갖는 유속 및 유량 촉진의 목적을 전위스크린의 구조를 수평형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수평형 전위스크린을 유수부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이를 통해 물은 빠져나가고, 협잡물은 전위스크린 말단에 적층되어 레이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유속 및 유량은 촉진되고, 협잡물은은 수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펌프장 모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 작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전위스크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요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회전,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기본적으로 통상의 제진기를 구성하는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는 수로의 양측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000),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0),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되며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주스크린(300), 상기 주스크린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어 주스크린과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전위스크린(400), 상기 전위스크린과 주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긁어 올리기 위한 레이크(500), 상기 협잡물이 걸러진 레이크를 후방으로 안내하여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한 에이프런(600),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레이크를 연속 회전시키기 위한 앤드리스체인(700), 상기 앤드리스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800) 및 상기 에이프런의 후방으로 떨어진 협잡물을 일측 방향으로 수거하여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S)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유수부(115)와 상기 유수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16) 및 상기 경사부의 최하단에서 연장되는 양정부(117)로 구성되는 펌프실에 설치된다.
상기 펌프실은 상류로부터 물이 펌프장 내로 유입되어 유수부(115)를 거쳐 양정부(117)에 설치된 배수펌프(106)를 통해 수문(112) 밖으로 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수부(115)에는 다량의 협잡물이 물과 함께 유입되므로 제진기를 통해 협잡물(A)을 제거해야 펌프가 작동하는 양정부(117)로 협잡물이 유입되지 않아 원활한 펌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는 상기 전위스크린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상기 경사부(116)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즉 이는 기존에 유수부에 설치되어 있던 제진기를 경사부측으로 이동 설치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제진기는 상기 유수부(115)에 설치되는 데 이것과 대비하여 보면 전위스크린을 제외한 모든 구성이 상기 경사부(116) 구간에 위치하는 것은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을 위하여, 본명에 따른 전위스크린(400)의 구조는 대폭적으로 변경되어야 하는데 앞으로 이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위스크린(400)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수부(115)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116)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스크린부(410) 및 상기 스크린부 말단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410)는 유수부(115)를 지난 물이 상기 경사부(116)를 향해 통과하는 곳으로서, 상기 유수부(115) 단부에 고정설치된 유수부 연결브라켓(411)와 상기 유수부 연결브라켓(411)로부터 상기 경사부(116)를 향해 길게 연장되어 서로 이격설치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바(412)를 포함하며, 물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빠져나간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바(412)의 말단에 각각 상향 만곡지게 형성된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를 상향 만곡지게 형성하고, 힌지(430)로 연결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후 자중에 의해 다시 원치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서,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에 적재되는 협잡물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적층되지 않도록 한다.
즉,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가 상승하는 레이크바(520)와의 접촉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레이크바와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되어 레이크(500)에 의해 회수되는 협잡물이 다음 레이크바의 도달 전에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에서 서로의 위치를 잡으면서 협잡물 유도플레이트 전 구간에 골고루 분포하도록 한다.
이로서, 유수에 의해 쓸려 내려오는 협잡물이 어느 일측으로 편중되게 분포하여 상승하는 레이크에 편심하중을 주어 기계적 부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협잡물 유도플레이트를 교호하는 레이크바는 협잡물 유도플레이트에 마찰력을 주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폭을 조절하거나, 또는 레이크바에 접철식 날개(도면 미도시)를 형성하여 협잡물 유도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의 힌지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는 유수부(115)를 따라 물과 함께 쓸려 내려온 부유협잡물이 걸러져 쌓이는 곳으로서, 상기 부유 협잡물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그 형상을 상향 만곡지게 형성하고, 그 길이를 상기 주스크린(300)에 도달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진기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 수류의 방향으로 인해 부유 협잡물은 상기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의 만곡부를 넘어 상기 주스크린(300)에 저지되어 쌓이게 되고, 수중으로 가라앉는 비중이 큰 협잡물 등은 플레이트바(412) 및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레이크바(520)가 지지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수부를 통과하는 물은 흐름의 방해 없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바(412) 간의 이격공간을 통과하면서 상기 경사부(116)를 향해 진행하게 된다.
이때, 제진기가 가동되면, 부유 협잡물 및 가라앉은 협잡물은 상기 레이크(500)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 사이를 교호하면서 상승하는 복수의 레이크바(520)에 의해 에이프런의 후방으로 떨어져 상기 컨베이어(S)를 통해 일측 방향으로 수거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제진기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레이크(500)에 형성된 복수의 레이크바(520)가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 간의 간격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스크린 후면의 가이드레일(200) 저부에는 정위치센서(2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앤드리스체인(700)의 체인플인레이트(710)에는 상기 정위치센서(2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정위치더그(711)를 돌출형성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진기의 가동 정지보턴을 누르면, 상기 구동장치(800)는 구동을 즉시 멈추지 않고 계속 상기 앤드리스체인(700)을 가동시키면, 상기 앤드리스체인(700)에 설치된 정위치더그(711)가 이동하면서 정위치센서(210)에 접촉되고, 그 시점 이후로 설정된 시간 후에 구동장치(800)가 정지되면서 제진기의 가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제진기의 설정된 시간 이후의 정지는 상기 정위치더그(711)로부터 레이크(500)가 위치하는 거리를 미리 설정해 놓고 상기 구동장치(800)에 의한 앤드리스체인(700)의 이동속도를 계산하여 마이콤(ONE CHIP MICROPROCESSOR) 또는 아두이노(ARDUINO) 등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진기의 가동을 멈추게 하는 정지보턴 이외에 긴급상황을 대비하여 긴급정지보턴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가 위급한 상황에서 긴급정지보턴을 눌렀을 때는 상기 구동장치(800)의 즉각적 정치를 통해 제진기의 작동이 즉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정위치센서로서 접촉센서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정위치센서는 투광부 및 수광부를 갖는 광전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부(410)는 상기 플레이트바(412) 및 유수부연결브라켓(411) 이외에, 가로빔(413), 지지봉(415) 및 로프(4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수부(115)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유수부연결브라켓(411)와 상기 유수부 연결플레이트에서 직선형태로 상기 경사부(116)에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바(412), 상기 플레이트바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빔(413), 상기 가로빔(413)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경사부까지 연장된 지지봉(415)과, 상기 플레이트바(412) 말단에 연결된 로프(418)를 포함한다.
제진기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돌맹이와 같이 비중이 큰 협잡물은 유속에 의해 쓸려 내려와 상기 스크린부(410)에 위치하게 되어 물의 흐름을 막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부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특히,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협잡물은 유속에 의해 플레이트바(412)의 끝단부, 즉,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 근방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스크린부는 일종의 외팔보이므로 상기 유수부 연결브라켓(411)으로부터 거리가 먼 경사부 연결브라켓(414), 즉 상기 협잡물이 위치하는 곳에 모멘트가 최대가 되므로 파손의 매우 높아진다.
이를 위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바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빔(413)을 형성하고, 플레이트바 말단에 지지봉(415)을 경사부 측부까지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이 경사부 측부에 형성된 경사부 연결브라켓(414)에 지지됨으로서, 상기 모멘트에 반력을 제공하여 유수부연결브라켓(411) 또는 플레이트바(412)의 파단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부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바(412)는 유수부 바닥에 설치되는 바닥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은 상기 플레이트바(412)에 연결된 로프(418)을 통해 당겨져 달성된다.
이로서, 펌프장에 물의 유입을 차단한 후, 작업자가 상기 로프(418)를 잡아당겨서 상기 플레이트바(412)를 바닥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경사부는 완전 개방상태에 이르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프(418)를 인력으로 잡아당기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전동기(417)를 이용하여 인건비를 절약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바를 상기 유수부에 위치시킨 후 수리를 마치게 되면 상기 로프(418)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의 동작의 역순으로 상기 플레이트바는 경사부 상에 위치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상 장마철과 같이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유입되는 물의 유량 및 유속이 빠른 경우에 큰 바위와 같이 비중이 큰 협잡물이 유수부를 통해 경사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 때 상기 협잡물이 유속에 의해 주스크린(300)을 타격하게 되면 고가의 제진기가 작동 능력을 상실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협잡물이 상기 주스크린에 다다르기 전에 상기 기립된 플리에트바가 사전에 걸려주는 스크린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상기 고가의 주스크린은 보호받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비중이 큰 상기 협잡물 등은 유수부의 바닥면, 즉 플레이트바의 저부에 쌓이게 되므로 상기 플레이트바들 간의 간격을 통해 물은 계속적으로 경사부를 향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상기 플리에트바가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바를 유수부 또는 경사부 측으로 회전시켜 위치한 후 용접 등의 보수를 통해 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5: 유수부 116: 경사부
200: 가이드레일 210: 정위치 센서 300: 주스크린
400: 전위스크린 410: 스크린부 430: 힌지
450: 협잡물 유도플레이트 500: 레이크 520:레이크바
600: 에이프런 700: 앤드리스체인 710: 체인플인레이트
800: 구동장치

Claims (4)

  1. 유수부와 상기 유수부의 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최하단에서 연장되는 양정부로 구성되는 펌프실에 설치되고,주스크린, 전위스크린, 레이크 및 앤드리스체인을 포함하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전위스크린(400)은 상기 유수부(115)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부(116)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스크린부(410) 및 상기 스크린부 말단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크(500)는 상기 경사부(116)에 위치하고, 레이크에 형성된 복수의 레이크바(520)는 상기 복수의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 사이를 교호하면서 통과하되,
    상기 주스크린 후면의 가이드레일(200)에는 정위치센서(210)가 설치되고,
    상기 앤드리스체인의 체인플인레이트(710)에는 상기 정위치센서(2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정위치더그(711)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정위치센서(210)와 정위치더그(711)의 접촉에 의해 레이크바(520)가 상기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의 말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부(410)는 상기 유수부(115) 단부에 형성된 유수부연결브라켓(411)과, 상기 유수부연결브라켓에서 직선형태로 상기 경사부(116)에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플레이트바(412)와, 상기 플레이트바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빔(413)과, 경사부 측부에 형성된 경사부 연결브라켓(414)과, 상기 플레이트바 들을 서로연결하고 경사부 연결브라켓(414)에 지지되는 지지봉(4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바(412) 말단에는 로프(418)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바(412)는 로프(418)를 통해 유수부 바닥에 형성된 바닥가이드레일(416)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유도플레이트(450)는 각각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어 스크린부 말단에 힌지(430)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4. 삭제
KR1020150160564A 2015-11-16 2015-11-16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KR101605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64A KR101605196B1 (ko) 2015-11-16 2015-11-16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564A KR101605196B1 (ko) 2015-11-16 2015-11-16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196B1 true KR101605196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564A KR101605196B1 (ko) 2015-11-16 2015-11-16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035B1 (ko) * 2017-06-19 2018-03-22 신신이앤지(주) 유지관리용 수문 일체형 로터리식 제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11Y1 (ko) * 2005-08-30 2005-11-1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KR101236773B1 (ko) * 2013-01-14 2013-02-25 주식회사삼영이앤티 로터리 제진기
KR101548688B1 (ko) * 2014-01-10 2015-09-11 (주) 산내들이엔씨 로터리 제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11Y1 (ko) * 2005-08-30 2005-11-1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KR101236773B1 (ko) * 2013-01-14 2013-02-25 주식회사삼영이앤티 로터리 제진기
KR101548688B1 (ko) * 2014-01-10 2015-09-11 (주) 산내들이엔씨 로터리 제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035B1 (ko) * 2017-06-19 2018-03-22 신신이앤지(주) 유지관리용 수문 일체형 로터리식 제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US201303412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tering and Capturing Waterway Wastes
CN113718922A (zh) 市政地下排水管道自清洁防堵塞装置
JP2010248785A (ja) 河川浮遊塵自動回収装置
KR100893393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104975648B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101331968B1 (ko) 커터장치가 설치된 로타리 제진기
CN208455587U (zh) 一种具有水域垃圾清理功能的水坝
JPH09209434A (ja) 越流雨水の除塵装置
KR101605196B1 (ko)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JP5356023B2 (ja) 廃水処理システムと方法
KR101827506B1 (ko) 취수장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CN204753798U (zh) 合流制地下初期雨水调蓄池
KR20150106717A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KR20100115969A (ko) 협잡물 제거용 수직 스크린 장치
CN113006243B (zh) 一种市政排水用的雨水井
KR102516599B1 (ko) 인양이 용이한 이동식 제진기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200406021Y1 (ko) 개폐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