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311Y1 -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311Y1
KR200401311Y1 KR20-2005-0024965U KR20050024965U KR200401311Y1 KR 200401311 Y1 KR200401311 Y1 KR 200401311Y1 KR 20050024965 U KR20050024965 U KR 20050024965U KR 200401311 Y1 KR200401311 Y1 KR 200401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rake
vibration
signal
vibrat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화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화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화기공
Priority to KR20-2005-0024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먼지와 오염물질등과 같은 진개물을 제거하기위한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기타 수(水)처리 장치와 함께 작동이 제어되는 제진기에, 상기 제진기만을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별제어부를 더 구비함으로서, 제진기의 고장발생율이 저하되고, 제진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진기에는 제진기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조작수단을 더 구비시킴으로서, 상기 원격조작수단을 통해 원거리에서도 작동이 쉽게 제어될 수 있어 운용이 용이한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제진기의 정지 시 제진기의 레이크가 항상 지정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한 레이크 위치제어수단이 더 구비됨으로서, 부유물이 제진기의 스크린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발생하는 펌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진기 {Bar Screen}
일반적으로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등의 개수로에는 유입되는 물에 포함되어 부유하는 진개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어 원활한 수(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진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진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및 수중에 포함된 진개물을 걸러내기 위하여 바닥면과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메인스크린(2)과,
상기 메인스크린(2)의 하단에 설치되어 메인스크린(2)과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진개물을 거르기 위한 전위스크린(3)과,
상기 메인스크린(2) 및 전위스크린(3)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4)과,
상기 프레임(4)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5)과,
상기 가이드레일(5)을 따라 스프로킷(6)과 구동장치(7)에 의해 연속 회전하는 엔드리스체인(8)과,
상기 엔드리스체인(8)에 지지되어 엔드리스체인(8)을 따라 순환이동 함으로서 상기 메인스크린(2) 및 전위스크린(3)에 걸린 진개물을 제거하기 위한 레이크(9)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진기(1)에 의해 진개물이 제거되는 과정은,
먼저 유입되는 수류에 포함되어 떠내려오는 진개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진개물은 메인스크린(2) 및 전위스크린(3)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진개물이 스크린에 걸린 상태에서 구동장치(7)를 작동시키면 구동장치(7)에 연결된 스프로켓(6)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스프로켓(6)에 연결된 엔드리스체인(8)이 프레임(4)에 설치된 가이드레일(5)을 따라 일정 궤도를 이루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엔드리스체인(8)에 연결된 레이크(9)도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레이크(9)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린(2)(3)에 걸린 진개물은 레이크(9)에 의해 상부로 끌어올려져 배출된다.
이러한 제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 종래 제진기(1)는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와 수문(G) 및 수위감지센서(W)와 같이 수(水)처리에 사용되는 장치와 함께 중앙제어부(C)에 연결되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특히 다수대의 제진기가 구비된 경우에도 상기 중앙제어부(C)에 의해 각 제진기의 작동이 통합적으로 제어된다.
그런데 이처럼 중앙제어부(C)에 여러대의 제진기(1) 및 기타 수(水)처리장치가 함께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중앙제어부(C)와 각 장치(P)(G)(W)(1)간의 연결구조 및 제어방법이 상당히 복잡하게 이루질 수밖에 없다.
이 상태에서 만일 중앙제어부(C)에 연결된 장치 중 하나가 고장나거나 중앙제어부(C)와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된다면, 이로 인해 중앙제어부(C)에 연결된 모든 제진기(1)를 포함한 기타장치가 동시에 작동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이처럼 중앙제어부(C)만을 통해 작동이 제어되는 제진기(1)는 중앙제어부(C)의 고장이나 유지보수 시 작동이 불가능하여 수(水)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작업자가 특정 제진기(1)가 있는 곳에 위치한 상태에서 해당 제진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중앙제어부(C)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신속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종래 제진기는 작업자가 직접 제어버튼을 조작하는 등의 수동제어를 통해서만 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수동조작에 의해서만 작동되는 종래의 제진기는 제진기의 작동 중 부품이 파손되어 긴급하게 작동을 중지시켜야 할 경우나, 물의 유입양이 급격하게 늘어나 신속히 작동시켜야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해당 제진기(1) 또는 중앙제어부(C)로 이동하여 제진기(1)를 직접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처럼 제진기(1)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진기나 중앙제어부(C)로 작업자가 직접 이동하여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일반적인 제진기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스크린(2) 하단부와 전위스크린(3) 간에 일정거리의 틈새(S)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를 정지시키고 있는 경우, 일정량의 진개물이 메인스크린(2)에 걸려있게 되는데, 이때 수위가 수문을 통한 배수 또는 증발등에 의해 점차 낮아진다면 메인스크린에 걸려있는 잔류 진개물은 메인스크린의 경사면을 따라 밑으로 이동하여 결국 메인스크린(2) 하단부와 전위스크린(3)간에 형성된 틈새(S)사이로 끼어드는 현상이 발생된다.
물론 제진기(1)의 정지시 레이크(9)가 도면에 도시된 "A"부분에서 정지하게 되면 메인스크린에 걸려있는 진개물이 틈새(S)로 끼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만일 레이크(9)가 [도 2]의 "A"부분을 제외한 위치에 정지하게 되면 진개물들은 쉽게 틈새(S)로 끼어들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스크린에 의해 걸러져야 하는 크기의 진개물들이 메인스크린(2)과 전위스크린간(3)에 형성된 틈새(S)을 에 끼이게 되면 쉽게 빠지지 않고 운전 시 레이크(9)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일부 진개물은 틈새(S)의 아래쪽으로 통과하여 펌프(P)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펌프(P)를 가동하면 진개물이 펌프(P)로 빨려 들어가 펌프의 고장이나 파손을 유발하고 더 나아가서는 모든 수(水)처리 과정이 정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첫째, 중앙제어부와는 별도로 제진기의 작동만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부를 구비시킴으로서, 제진기와 제어부간의 연결구조를 간소화하여 고장발생률이 적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신속한 작동 제어가 가능한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제진기를 원거리에서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긴급상황 시 신속하게 작동이 가능하며 작동작업이 번거롭지 않은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제진기의 레이크를 지정된 위치에서만 정지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스크린에 걸린 진개물들이 메인스크린과 전위스크린 사이에 형성된 틈새(S)에 진개물이 끼이거나 틈새(S)를 통해 스크린의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여 제진기나 펌프의 고장을 방지하고 원활한 수(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제진기는,
수(水)처리 과정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되,
진개물이 걸러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스프로킷과 구동장치에 의해 연속 회전하는 엔드리스체인과,
상기 엔드리스체인에 결합되어 엔드리스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수(水)처리 과정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기본구성에서 상기 중앙제어부와는 별도로 상기 제진기만을 제어하기 위한 개별제어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진기의 정지 시 제진기의 레이크가 지정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이크 위치제어장치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진기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조작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진기(10)는 기본적으로 스크린부(12)와, 프레임(14), 엔드리스체인(16) 및 구동장치(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린부(12)는 제진기(10)에서 수류에 포함된 진개물을 걸러내기 위한 핵심 구성요소로서, 바닥면과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메인스크린(12a)과,
상기 메인스크린(12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스크린(12a)과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진개물을 걸러내기 위한 전위스크린(12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스크린부(12)는 별도의 프레임(1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4)은 상기 스크린부(12)의 양측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프레임(14)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되 하단부는 U형으로 굽어져 있는 가이드레일(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4) 내부의 상단부에는 스프로킷(15)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로킷(15)은 구동장치(18)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17)과 연결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스프로킷(15)과 상기 가이드레일(14a)의 U형부에는 각각 엔드리스체인(16)의 양단부가 걸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로킷(15)의 회전에 의해 엔드리스체인(16)이 가이드레일(14a)을 따라 연속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처럼 상기 스크린부(12)의 양측에 위치한 엔드리스체인(16) 사이에는 스크린부(12)에 걸린 진개물을 수거하기 위한 레이크(11)가 설치되는데, 상기 레이크는 스크린부(12)를 폭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위치되고 그 양단부는 상기 엔드리스체인(16)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진기(1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수(水)처리에 필요한 모든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부(20)에 연결되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제진기(10)에는 상기 중앙제어부(20)와는 별도로 상기 제진기(10)의 작동만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개별제어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개별제어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진기(10)의 작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32)와,
상기 신호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출력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32)는 일반적인 조작버튼형태이고, 상기 연산출력부(34)는 신호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작동신호를 구동장치(18)의 제어가 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진기(10)의 작동은 구동장치(18)의 구동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개별제어부(30)는 제진기(10)의 구동장치와 연결되되, 이처럼 상기 구동장치(18)의 구동 및 정지여부만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개별제어부(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진기(10)가 여러대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각각의 제진기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제진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각 개별제어부(30)에는 각각 개별수위감지센서(62)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개별수위감지센서(62)는 중앙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수위감지센서(W)와 는 별도로 각 개별제어부(30)를 통해 각각의 제진기(10)에만 연결됨으로서, 해당 제진기(10)가 위치한 수로 및 집수정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에 따라 해당 제진기(10)만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 집수정에 설치되는 펌프(P)도 상기 개별제어부(30)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펌프(P)는 상기 개별수위감지센서(62)와도 연결됨으로서, 각각의 제진기(10)에 대응되는 집수정의 수위를 상기 개별수위감지센서(62)가 감지하고 그 감지여부에 따라 해당 펌프(P) 및 제진기(10)만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처럼 개별제어부(30)가 구비되어 중앙제어부(20)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개별제어부(30)에 의해 독립적으로도 작동의 제어가 가능한 제진기(10)에는 레이크(11)가 항상 지정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이크 위치제어장치(40)가 더 부가되는데,
상기 레이크 위치제어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1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감지센서(42)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42)는 광신호를 출력하는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출력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 형태이다.
위치감지센서(42)는 이러한 광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여러 방식의 센서 중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42)에 의해 레이크(11)는 엔드리스체인(16)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위치감지센서(42)가 설치된 곳에 위치됨과 동시에 위치감지센서(42)에서 발생되는 광신호를 통해 그 존재가 감지되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42)는 상기 개별제어부(3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감지된 레이크(11)의 위치신호는 개별제어부(30)의 연산출력부(34)로 보내지고, 연산출력부(34)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장치(18)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들은 모두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서, 결국 레이크(11)는 상기 위치감지센서(42)에 감지되는 순간 위치감지센서(42)가 위치한 곳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감지센서(42)는 제진기(10)의 프레임(14)에 설치되되, 메인스크린(12a)과 전위스크린(12b)간에 형성된 틈새(S)를 막을 수 있는 위치, 즉 [도 2]의 "A"부분에 설치된다.
이처럼 위치감지센서(42)를 [도 2]의 "A"부분에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만일 위치감지센서(42)를 상기"A"부분을 제외한 곳, 예를들어 메인스크린(12a)의 중간위치에 설치할 경우 제진기(10)의 정지 시 레이크(11)또한 위치감지센서(42)가 위치한 곳, 즉 메인스크린(12a)의 중간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스크린(12a)에 걸린 진개물 중 레이크(11)의 위쪽에 위치한 진개물은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레이크(11)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메인스크린(12a)과 전위스크린(12b)간의 틈새(S)로 끼이는 것이 방지되는 반면에, 레이크(11)의 아래쪽에 위치한 진개물은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메인스크린(12a)과 전위스크린(12b)간의 틈새(S)로 들어가 끼이거나 틈새를(S)통해 스크린의 후방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앞에 설명한 것처럼 위치감지센서(42)를 틈새(S)를 벗어나지 않는 "A"부분에 설치한다면 레이크(11)또한 진개물이 틈새(S)로 유입되는 자체를 막을 수 있는 위치에 정지됨으로서 진개물의 차단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이크 위치제어장치(40)는 상기 개별제어부(30)뿐만 아니라 중앙제어부(20)와도 연결되도록 하여 레이크(11)의 위치제어가 개별제어부(30)와 중앙제어부(20)에 의해 동시에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개별제어부(30) 및 레이크 위치제어장치(40)가 구비된 제진기(10)에는 제진기(10)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조작수단(5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원격조작수단(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진기의 작동을 위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52)와,
상기 무선송신부(52)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54)및
상기 무선수신부(54)로 수신된 무선신호를 제어부로 입력하기 위한 디코더(5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무선송신부(52)는 조작키(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일반적인 리모컨(remote control)형태이고, 상기 디코더(56)는 상기 무선수신부(54)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상기 개별제어부(30)의 연산출력부(34)에서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연산출력부(34)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개벌제어부(30)의 연산출력부(34)로 입력된 데이터는 제진기의 구동장치(18)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 형태로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원격조작수단(50)는 상기 개별제어부(30)뿐만 아니라 중앙제어부(20)에도 연결되도록 하여 어느 한쪽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도 원활한 무선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앞에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진기의 스크린부(12)에 진개물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중앙제어부(20)로부터 제진기(10)에 제어신호가 주어지면 구동장치(18)가 구동되고, 구동장치(18)가 구동됨에 따라 스프로킷(15) 및 엔드리스체인(16)이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엔드리스체인(16)에 연결된 레이크(11)도 이동되어 메인스크린(12a)과 전위스크린(12b)에 걸려있는 진개물을 상부로 끌어올려 배출함으로서 진개물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만일 중앙제어부(20)의 고장 또는 작업자가 작동을 필요로 하는 제진기 근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해당 제진기(10)에 연결된 개별제어부(30)를 통해 해당 제진기만을 작동시키게 되는데, 개별제어부(30)의 신호입력부(32)를 통해 작동신호를 입력하면 연산출력부(34)에서는 그 신호를 구동장치(18)의 작동제어 가능한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장치(18)로 출력한다. 이렇게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장치(18)는 작동되고, 앞의 과정과 동일한 제진기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각 개별제어부(30)마다 개별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각 집수정에 설치된 개별수위감지센서(62)가 해당 집수정의 수위를 감지하여 기준수위와 일정범위 이상으로 차이가 날 경우에는, 해당 펌프(P)를 작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해당 제진기(10)만이 별도로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해당 제진기(10)만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별제어부(30)를 구비시킴으로서, 개별제어부(30)와 제진기(10)간의 연결구조가 간단해지고 중앙제어부(20)의 고장 등에 의해 제진기(10)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항시 제진기(1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신속하게 제진기(10)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종래 중앙제어부(20)에 의해서만 제진기(10)가 작동되는 방식에서 나타났던 중앙제어부(20)와 제진기(10)간의 연결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 중앙제어부(20)의 상태에 따라 제진기의 작동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 및 제진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항시 작업자가 중앙제어부(20)로 이동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제진기(10)를 정지시키기 위해 신호입력부(32)를 통해 정지신호를 입력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출력부(34)는 먼저 제진기(10)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4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여부신호를 지속적으로 연산하여, 위치감지센서(42)에 레이크(11)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레이크(11)의 위치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신호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정지신호는 연산출력부(34)에서 그 처리가 보류되도록 함으로서, 제진기(10)의 작동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레이크(11)가 위치감지센서(42)에 감지되었다는 감지신호가 연산출력부(34)에 입력되면 연산출력부(34)는 보류 해두었던 제진기의 정지신호를 연산 출력하여 구동장치(18)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레이크(11)는 항시 위치감지센서(42)가 위치한 곳에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42)는 [도 2]의 "A"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레이크(11)도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결국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메인스크린(12a)과 전위스크린(12b)간에 형성된 틈새(S)로 진개물이 끼이거나 틈새(S)를 통해 스크린의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레이크 위치제어장치(40)에 의해 레이크(11)가 항상 지정된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진개물이 메인스크린(12a)과 전위스크린(12b)간의 틈새(S)에 끼이거나 틈새(S)를 통해 제진기(10)를 통과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진개물에 의한 제진기(10)와 펌프(P)의 고장발생을 방지하고 원활한 수(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다.
이상 앞에서 설명한 제진기(10)의 작동을 원거리에서 무선으로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격조작수단(50)의 무선송신부(52)를 통해 작동신호를 송출하면 무선수신부(54)에서 이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더(56)로 전달한다. 디코더(56)는 이러한 작동신호를 개별제어부(30)또는 중앙제어부(20)의 연산출력부(34)에서 연산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출력부(34)로 출력하게 된다. 연산출력부(34)는 이 신호를 연산하여 구동장치(18)로 출력함으로서 구동장치(18)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원격조작수단(50)를 통해 제진기(10)의 작동을 원거리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긴급상황에 의해 제진기(10)의 신속한 제어가 필요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제진기(10)의 작동을 위해 작업자가 개별제어부(20)나 중앙제어부(30)까지 이동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중앙제어부와는 별도로 해당 제진기의 작동만을 제어하기 위한 개별제어부를 제진기에 구비시킴으로서, 제진기의 작동이 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진기의 신속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진기를 원거리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수단을 구비시킴으로서, 긴급상황 시 제진기의 신속한 작동이 가능하며, 작동작업이 손쉬은 장점이 있다.
셋째, 제진기의 레이크를 지정된 위치에서만 정지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레이크 위치제어장치를 구비시킴으로서, 스크린에 걸린 진개물들이 스크린부에 형성되는 틈새(S)에 끼이거나 틈새(S)를 통해 제진기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여 펌프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활한 수(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제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중앙제어부만에 의해 각 수(水)처리장치 및 제진기가 제어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3 은 본 고안에서 각 제진기에 개별제어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본 고안에서 레이크위치감지수단에 의해 레이크를 지정된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에서 지정된 곳에 레이크가 정지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본 고안에서 무선송신부가 더 구비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진기 12 : 스크린부 14 : 프레임
16 : 엔드리스체인 18 : 구동장치 20 : 중앙제어부
30 : 개별제어부 32 : 신호입력부 34 : 연산출력부
40 : 레이크 위치제어장치 42 : 위치감지센서 50 : 원격조작수단
52 : 무선송신부 54 : 무선수신부 56 : 디코더
62 : 개별수위감지센서

Claims (4)

  1. 수(水)처리 과정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되,
    진개물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스프로킷과 구동장치에 의해 연속회전하는 엔드리스체인과,
    상기 엔드리스체인에 결합되어 엔드리스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에는 제진기의 작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연산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별제어부가 더 부가되되,
    상기 개별제어부와 연결된 제진기는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제어부와 중앙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제진기의 작동을 원격제어하기 위한 원격조작수단이 연결되되,
    상기 원격조작수단은 제진기의 작동을 위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송신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신호를 제어부의 연산출력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연산출력부로 출력하는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개별제어부와 중앙제어부 중 적어도 한쪽 이상과 연결되고 제어부의 레이크 위치를 감지하여 지정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위치감지센서로 이루어진 레이크 위치제어장치가 더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위치제어장치에 의한 레이크 정지위치의 제어는, 상기 신호입력부로부터 상기 연산출력부에 정지신호가 입력되면, 연산출력부는 레이크가 위치감지센서에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감지여부에 따라 정지신호를 연산 출력하여 구동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서 레이크가 정해진 위치에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KR20-2005-0024965U 2005-08-30 2005-08-30 제진기 KR200401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65U KR200401311Y1 (ko) 2005-08-30 2005-08-30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65U KR200401311Y1 (ko) 2005-08-30 2005-08-30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311Y1 true KR200401311Y1 (ko) 2005-11-15

Family

ID=4370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965U KR200401311Y1 (ko) 2005-08-30 2005-08-30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311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816B1 (ko) 2005-11-04 2006-11-10 (주)정봉 스크린장치
KR101025168B1 (ko) 2010-09-20 2011-03-31 (주)효성엔바이로 평면 스크린 장치
KR101373531B1 (ko) 2012-08-08 2014-03-13 권이황 협잡물 찌꺼기 자동제거유닛을 갖는 로터리식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400952B1 (ko) * 2013-05-06 2014-05-28 주식회사성우 제진기
KR101605196B1 (ko) * 2015-11-16 2016-03-22 주식회사 건우테크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KR101759790B1 (ko) * 2015-09-02 2017-07-31 주식회사 대진산업 제진기
KR101759789B1 (ko) * 2015-09-02 2017-07-31 주식회사 대진산업 전위 스크린의 구조를 개선한 제진기
KR20180096269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KR20180110371A (ko) * 2017-03-29 2018-10-10 이선호 바둑판형 제진기
KR20180110572A (ko) * 2017-12-13 2018-10-10 이선호 바둑판형 제진기
KR101932087B1 (ko) * 2018-02-14 2018-12-24 홍석범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KR102332351B1 (ko) 2021-07-27 2021-12-0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제진기의 레이크스토퍼장치
KR102392835B1 (ko) * 2021-11-08 2022-04-28 정명숙 휴지시 이물질의 진입을 차단하는 로타리 제진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816B1 (ko) 2005-11-04 2006-11-10 (주)정봉 스크린장치
KR101025168B1 (ko) 2010-09-20 2011-03-31 (주)효성엔바이로 평면 스크린 장치
KR101373531B1 (ko) 2012-08-08 2014-03-13 권이황 협잡물 찌꺼기 자동제거유닛을 갖는 로터리식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400952B1 (ko) * 2013-05-06 2014-05-28 주식회사성우 제진기
KR101759790B1 (ko) * 2015-09-02 2017-07-31 주식회사 대진산업 제진기
KR101759789B1 (ko) * 2015-09-02 2017-07-31 주식회사 대진산업 전위 스크린의 구조를 개선한 제진기
KR101605196B1 (ko) * 2015-11-16 2016-03-22 주식회사 건우테크 유속 및 유량 촉진형 제진기
KR101976008B1 (ko) * 2017-02-21 2019-05-07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KR20180096269A (ko) *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KR20180110371A (ko) * 2017-03-29 2018-10-10 이선호 바둑판형 제진기
KR101953461B1 (ko) * 2017-03-29 2019-02-28 이선호 바둑판형 제진기
KR101967560B1 (ko) * 2017-12-13 2019-04-09 이선호 바둑판형 제진기
KR20180110572A (ko) * 2017-12-13 2018-10-10 이선호 바둑판형 제진기
KR101932087B1 (ko) * 2018-02-14 2018-12-24 홍석범 협잡물 제거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KR102332351B1 (ko) 2021-07-27 2021-12-01 주식회사 신정기공 제진기의 레이크스토퍼장치
KR102392835B1 (ko) * 2021-11-08 2022-04-28 정명숙 휴지시 이물질의 진입을 차단하는 로타리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311Y1 (ko) 제진기
KR100951623B1 (ko) 제진기의 협잡물 감지장치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1005893B1 (ko) 개폐식 제진기
KR101170663B1 (ko) 감지기를 이용한 전동식 유입유량 조절장치
KR101695462B1 (ko) 끼인 협잡물의 자가제거가 가능한 로터리식 제진기
KR101268864B1 (ko) 이물질 배출장치
JP2018161688A (ja) チップコンベアおよび工作機械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39025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02516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439225B1 (ko) 수로 개폐형 협잡물 제진장치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1427980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850137B1 (ko) 지능형 스마트 제어 평면 스크린
KR101085460B1 (ko) 배수장용 락크바식 자동 제진기
KR20180116852A (ko)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673320B1 (ko) 탄성지지력 및 감지 중량 조절 기술이 적용된 평면 스크린 장치
KR200271609Y1 (ko) 제진기의 레이크 정지장치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20230018708A (ko) 로터리 제진기 장치
KR20140124939A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KR101427981B1 (ko) 협잡물 감지기능을 갖는 제진기
JP2007186958A (ja) 除塵機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