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864B1 - 이물질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864B1
KR101268864B1 KR1020130009654A KR20130009654A KR101268864B1 KR 101268864 B1 KR101268864 B1 KR 101268864B1 KR 1020130009654 A KR1020130009654 A KR 1020130009654A KR 20130009654 A KR20130009654 A KR 20130009654A KR 101268864 B1 KR101268864 B1 KR 10126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outlet
water pipe
inlet
p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피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피테크
Priority to KR102013000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는 수도관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내부에 상기 수도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는 침전공간부와, 상기 침전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침전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수도관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되고 와류를 방지하는 경사판과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흐르는 상기 물의 유속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침전공간부로 모이도록 상기 경사판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 배출장치{a scale exha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물질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관에 포함되어 배관을 따라 흐르는 각종 이물질이 포집되어 침전되도록 한 이물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은 각종 가정 등지에서 식수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하천을 흐르는 물이 정수장에서 정수처리를 거쳐 식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정수한 후 배관을 통해 가정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도관은 교체되지 않은 노후된 수도관의 비율이 높아 관내의 부식, 관석 발생, 이물질 발생 및 피복이 벗겨짐 등으로 인해 수도관에 의한 수질 오염을 야기시키고 있어 식수 등 안전을 위협하는 저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수도관의 수질이 오염기준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즉시 판단하기 어렵고 이미 각 가정으로 공급된 후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각종 장비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질 오염상태와 세척 및 보수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인력 투입 및 작업에 따른 경제성 저하는 물론 작업의 어려움을 초래하고, 또한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로 인한 단수 및 교통 흐름의 차단으로 생활의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도관의 내부를 처리하기 위하여 배관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이나 녹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과 수단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상하수도관의 청소유지 비용이 저렴하고 청소방법이 피그에 의한 스케일 제거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그를 이용하여 관내부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관을 절단한 후 피그를 삽입하고 다시 연결하는 작업을 하여야하므로 청소를 위한 사전 작업이 매우 힘들고 그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 배출장치가 수도관에 포함되어 배관을 따라 흐르는 각종 이물질이 포집되어 침전되도록 한 이물질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수도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는 수도관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내부에 상기 수도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는 침전공간부와, 상기 침전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침전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수도관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되고 와류를 방지하는 경사판과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흐르는 상기 물의 유속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침전공간부로 모이도록 상기 경사판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스크린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스크린 중에서 가장 높이가 높은 스크린의 상단부 높이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의 중앙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경사판은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유입구 방면으로 경사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스크린은 복수개의 통공을 가지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스크린의 통공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배출구을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침전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가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을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수도관 내부로 투입되는 피그가 배출되는 피그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피그가 상기 피그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에 의하면,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이 침전공간부로 침전되면 이물질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수도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도관 내부에 피그를 투입하여 피그에 의하여 수도관 내부에 침전되어 있는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장치로 유도하여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피그배출구를 통하여 간단한게 피그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배출장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그배출구를 설치한 이물질 배출장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그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수도관(30)에 쌓인 이물질(20)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140)가 형성된 하우징(1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상수 및 공업용 수도관(30)에서 생성되는 이물질(20)을 배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수도관(30)에 침전된 이물질(20)이 이물질 배출장치(10)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수도관(30)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0)와, 이물질(20)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의 외측으로는 통상의 밸브를 결합하여 수도 배관의 물의 흐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우징(100)을 배관에서 별도로 분리할 때에도 수도의 누출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구(110)와 상기 배출구(120)는 물이 진입하는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배출구(140)는 수도관(30)에 침전된 이물질(20)이 이동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로 이동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에 이물질(20)이 침전된 경우 상기 이물질(20)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20)배출밸브를 개방하는 것 만으로도 간편하게 이물질(20)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배출구(140)의 단부에는 상기 이물질배출구(140)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1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14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배출구(140)를 개폐하기 쉽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에 별도의 밸브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상기 이물질배출구(140)의 반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에 침전된 이물질(20)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50)는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의 하부에 침전되어 이물질(20)의 양을 측정하기 어려울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50)에는 제어부(142)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150)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에 이물질(20)의 양이 많다고 감지되면 제어부(142)에 의하여 개폐밸브(141)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설치되는 상황에 따라 감지센서(150)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의 내부에 이물질(20)의 양을 확인하여 수동으로 개폐밸브(141)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의 상부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작업구(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구(160)는 내부가 보이는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등으로 이물질 배출장치(10)와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물질 배출장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수도관(30)에 결합되어 이물질(20)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14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서 상기 수도관(30)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되고 와류를 방지하는 경사판(200)과 상기 유입구(110)에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120)로 흐르는 상기 물의 유속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다수개의 스크린(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수도관(30)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20)와, 내부에 상기 수도관(3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20)이 침전되는 침전공간부(130)와, 상기 침전공간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침전공간부(130)에 쌓인 이물질(20)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전공간부(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10)와 배출구(120)보다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도관(30)과 연결되는 유입구(110)에 의하여 수도관(30)의 이물질(20)이 이동하였을 때 상기 이물질(20)이 하부로 하락하여 침전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침전공간부(130)는 상기 경사판(20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침전공간부(130)에 침전된 이물질(20)이 상부로 상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공간부(130)에는 상기 침전공간부(130)에 침전된 이물질(20)의 양을 측정하는 감지센서(15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150)의 반대 측면에는 상기 침전공간부(130)에 침전된 이물질(20)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구(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배출구(140)는 상기 침전공간부(130)에 모인 이물질(2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물질배출구(140)에 개폐밸브(141)를 결합함으로써, 침전공간부(130)에 많은 양의 이물질(20)이 침전된 경우 개폐밸브(141)를 개방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이물질(20)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150)가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20)을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개폐밸브(141)를 개방하는 제어부(1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00)은 하우징(100)의 몸체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와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00)은 원형으로 형성된 몸통의 내부에 부착되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판(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몸체 일측면과 상기 배출구(120) 하부에 형성된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200)은 물이 유입되는 수압 또는 상기 하우징(1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10)의 하부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하우징(100)의 몸체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00)은 상기 유입구(110)의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에 유입되는 수도관(30)의 이물질(20)이 유입구(110)를 통과하면서 하부로 침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300)은 상기 유입구(110)에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120)로 흐르는 상기 물의 유속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20)이 상기 침전공간부(130)로 모이도록 상기 경사판(200)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300)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110)에서 상기 배출구(120)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스크린(300) 중에서 가장 높이가 높은 스크린(300)의 상단부 높이는 상기 유입구(110) 및 배출구(120)의 중앙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는 이물질(20)이 유속에 의하여 침전공간부(130)로 침전되지 않고 경사판(200)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구(120)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크린(300)에 의하여 하부로 침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크린(300)이 상기 배출구(120)의 상부와 동일한 크기이면 배출구(120)로 이동하는 물이 스크린(300)에 의하여 유속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스크린(300)의 높이는 중앙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300)의 높이는 상황에 따라 배출구(120) 하부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스크린(300)은 복수개의 통공(310)을 각각 가지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스크린(300)의 통공(310)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구(110) 방면에 있는 스크린(300)을 제 1스크린(300a), 제 1스크린(300a)과 이웃하는 스크린(300)을 제 2스크린(300b), 제 2스크린(300b)과 이웃하는 스크린(300)은 제 3스크린(300c)이라고 하면 경사판(200)이 배출구(120)에서 유입구(110) 방면으로 경사가 낮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 1스크린(300a)과 제 2스크린(300b)의 통공(310)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스크린(300b)과 제 3스크린(300c)의 통공(310)도 경사판(200)의 경사에 의하여 통공(310)이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스크린(300a), 제 2스크린(300b), 제 3스크린(300c)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20)이 통공(310)에 의하여 배출구(120)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스크린(300) 하부에는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상기 침전공간부(130)로 침전되지 않은 이물질(20)이 다수개의 스크린(300)에 걸려 경사판(200) 상부로 침전된 이물질(20)이 하부로 흘러내려 침전공간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수도관(30)의 이물질(20)이 상기 하우징(100)으로 유입되면 대부분의 이물질(20)은 하부로 침전되어 상기 침전공간부(130)로 침전되는 반면에 무게가 가볍거나 물의 유속에 의하여 상기 침전공간부(130)로 침전되지 못하고 상기 경사판(200)의 상부 방면으로 이동하는 이물질(20)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200)의 상부로 상승하는 이물질(20)은 상기 경사판(200) 상부에 형성된 상기 스크린(300)에 걸려 상기 경사판(200) 상부로 침전될 수 있는데 상기 경사판(200)이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20)에서 유입구(110) 방면으로 경사가 낮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0) 방면으로 이동을 하려고 한다. 이 때, 상기 스크린(300) 하부에 관통홀(320)이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이물질(20)들이 상기 스크린(300)의 하부에 걸려 쌓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크린(300)의 하부에는 관통홀(320)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300)에 걸려 하부로 침전되는 이물질(20)이 상기 경사판(200)의 경사에 의하여 관통홀(320)을 관통하여 상기 침전공간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그배출구를 설치한 이물질 배출장치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그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배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10)는 수도관(30)의 이물질(20)을 이동시키는 피그(400)와 상기 피그(400)를 상기 수도관(30) 외부로 방출시키는 피그배출구(500)와 상기 피그배출구(500) 측으로 피그(400)가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그(400)는 수도관(30) 내부의 이물질(20)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수도관(3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피그(400)는 수도관(30) 내부에 흐르는 물에 의하여 수도관(30) 내부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그(400)는 수도관(30)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도관(30)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그(400)의 크기가 수도관(30)의 관경보다 많이 작으면 상기 피그(400)가 상기 수도관(30)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20)을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피그(400)의 크기는 수도관(30)과 같거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도관(30)과 피그(400)의 크기가 같으면 상기 피그(400)가 이동할 때 마찰에 의한 방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피그(400)의 크기는 상기 수도관(30)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그(400)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고 전방이 돌출되어 있어 수도관(30)에서 유속에 의하여 회전하며 전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속에 의하여 피그(400)가 수도관(30)을 이동할 때는 와류가 발생하여 피그(400)가 회전을 하며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피그(400)에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피그(400)가 유속에 의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그(400)의 전방을 돌출시켜 상기 피그(400)가 상기 수도관(30)을 이동할 때 전방에 중심을 잡고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그배출구(500)는 상기 피그(400)를 상기 수도관(30)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피그배출구(500)는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작업구(160)를 열면 이물질 배출장치(1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00)는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의 작업구(160)에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00)는 상기 피그배출구(50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600)는 상기 수도관(30)을 통해 유입구(110)로 이동하는 상기 피그(400)를 피그배출구(500)로 방출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단부가 상기 유입구(110) 방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0)에서 이동하는 상기 피그(400)가 상기 가이드(600)를 타고 상부의 피그배출구(500)로 방향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600)는 상기 경사판(200) 상부에 형성된 상기 스크린(300) 위에 형성되어 상기 피그(400)가 상기 스크린(300)에 의하여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피그(400)를 이용하여 상기 수도관(30)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20)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이물질(20)을 제거하려는 수도관(30)의 단부에서 피그(400)를 투입하면 상기 수도관(30)의 유속에 의하여 상기 피그(400)가 회전을 하며 전진할 수 있다. 상기 수도관(30)을 이동하는 피그(400)는 수도관(30)에 침전된 이물질(20)을 제거하며 전진하여 수도관(30)의 단부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장치(10)로 이물질(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그(400)가 이물질(20)과 함께 상기 이물질 배출장치(10)의 유입구(110)로 유입되면 상기 피그(400)에 의하여 유입된 이물질(20)은 상기 하우징(100)의 침전공간부(130)로 하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그(400)는 상기 피그(400)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업구(160)에 설치한 상기 가이드(600)에 의하여 상부로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피그배출구(50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침전공간부(130)에 침전된 이물질(20)의 양에 따라 감지센서(150) 또는 피그배출구(500)를 통하여 이물질배출구(140)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41)를 열어 이물질배출구(140)를 통해 이물질(20)을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이물질 배출장치 20: 이물질
30: 수도관 100: 하우징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30: 침전공간부 140: 이물질배출구
150: 감지센서 160: 작업구
200: 경사판 300: 스크린
400: 피그 500: 피그배출구
600: 가이드

Claims (7)

  1. 수도관에 결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내부에 상기 수도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는 침전공간부와, 상기 침전공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침전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수도관의 하단보다 낮게 설치되고 와류를 방지하는 경사판; 및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흐르는 상기 물의 유속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침전공간부로 모이도록 상기 경사판에 소정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물질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유입구 방면으로 경사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의 높이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중에서 가장 높이가 높은 스크린의 상단부 높이는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의 중앙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크린은 복수개의 통공을 가지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스크린의 통공은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침전공간부에 쌓인 이물질의 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가 일정량 이상의 이물질을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수도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수도관 내부로 투입되는 피그가 배출되는 피그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피그가 상기 피그배출구 측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장치.
KR1020130009654A 2013-01-29 2013-01-29 이물질 배출장치 KR10126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654A KR101268864B1 (ko) 2013-01-29 2013-01-29 이물질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654A KR101268864B1 (ko) 2013-01-29 2013-01-29 이물질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864B1 true KR101268864B1 (ko) 2013-05-29

Family

ID=4866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654A KR101268864B1 (ko) 2013-01-29 2013-01-29 이물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86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70B1 (ko) 2013-10-15 2014-01-16 (주)에이치엔피테크 이물질배출장치
KR101446876B1 (ko) * 2013-07-02 2014-10-06 조용현 터널 배수로 취수 소수력 발전 시스템
KR101446875B1 (ko) * 2013-07-02 2014-11-03 조용현 여수로 취수 소수력 발전 시스템
KR101511212B1 (ko) * 2014-02-05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라인 고형물 분리 장치
KR102253367B1 (ko) * 2020-11-20 2021-05-18 (주)에이치엔피테크 부단수 이물질 포집 배출기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463725A (zh) * 2021-07-21 2021-10-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生活供水系统及邮轮
KR102547993B1 (ko) * 2023-03-23 2023-06-26 한국산업철강(주) 점검구 및 배관의 연결구조
KR102547991B1 (ko) * 2023-03-23 2023-06-26 한국산업철강(주)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점검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73B1 (ko) 2009-06-04 2010-05-24 장현성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KR101038806B1 (ko) 2008-11-19 2011-06-03 이병관 오수용 맨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06B1 (ko) 2008-11-19 2011-06-03 이병관 오수용 맨홀
KR100959373B1 (ko) 2009-06-04 2010-05-24 장현성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76B1 (ko) * 2013-07-02 2014-10-06 조용현 터널 배수로 취수 소수력 발전 시스템
KR101446875B1 (ko) * 2013-07-02 2014-11-03 조용현 여수로 취수 소수력 발전 시스템
KR101352770B1 (ko) 2013-10-15 2014-01-16 (주)에이치엔피테크 이물질배출장치
KR101511212B1 (ko) * 2014-02-05 2015-04-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저 파이프라인 고형물 분리 장치
KR102253367B1 (ko) * 2020-11-20 2021-05-18 (주)에이치엔피테크 부단수 이물질 포집 배출기 및 그의 시공방법
CN113463725A (zh) * 2021-07-21 2021-10-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生活供水系统及邮轮
KR102547993B1 (ko) * 2023-03-23 2023-06-26 한국산업철강(주) 점검구 및 배관의 연결구조
KR102547991B1 (ko) * 2023-03-23 2023-06-26 한국산업철강(주)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864B1 (ko) 이물질 배출장치
US6951619B2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KR101721439B1 (ko) 하수여과스크린
US20130228527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06554100A (zh) 油污水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KR100959373B1 (ko)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US71380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solids and floatables from a wastewater stream
KR100784496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CN108643325B (zh) 一种市政排水系统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2154227B1 (ko) 수질 모니터링을 이용한 상수도 수질 관리 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053674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77586B1 (ko) 관체형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529143B1 (ko) 협작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218283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KR102123229B1 (ko)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22187B1 (ko) 스트레이너 장치
KR200435988Y1 (ko) 협잡물 및 침사물 종합처리기의 스프링식 스크린장치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CN208267068U (zh) 一种初期雨水收集装置
RU176480U1 (ru) Устройство локальной очистки ливневых стоков от примесей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взвешенных части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