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952B1 - 제진기 - Google Patents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952B1
KR101400952B1 KR1020130050976A KR20130050976A KR101400952B1 KR 101400952 B1 KR101400952 B1 KR 101400952B1 KR 1020130050976 A KR1020130050976 A KR 1020130050976A KR 20130050976 A KR20130050976 A KR 20130050976A KR 101400952 B1 KR101400952 B1 KR 10140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rake
chain
uni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우
Priority to KR102013005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제진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제진기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구비되어 유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스크린의 전방에 구비되는 인양부와,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하도록 인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인양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진기{DUST REMOVING MACHINE}
본 발명은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양물의 오버로드 및 상황발생시 경보 및 차단에 의해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제진기는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하수처리장, 관개용수로 및 댐 등의 수로에 설치하여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근래 들어 취수장 및 배수펌프장이 대형화되고 취수 및 배수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수류와 함께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제거하여 취수 및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로터리 제진기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로터리 제진기는 스크린부에 의해 걸러진 오물 등을 체인부의 양단부에 고정되되, 구동모터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면서 레이크에 의해 수거된다.
특히, 로터리 제진기는 프레임 내부 하측으로 다수의 스크린부가 설치되며, 수류와 함께 떠내려오는 부유물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과 프레임의 내측 상하단에 설치되며 체인이 권선된 스프로킷과, 스프로킷 및 체인에 연계되어 이들에 연속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프레임의 외측단 상부에 설치되며 스프로킷과의 연계를 통해 하중에 따른 체인의 인장력을 조절토록 한 테이크업 유니트를 포함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50022호(공고일:2011.07.11)에는 "로터리식 제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양물의 오버로드에 의한 레이크의 손상 및 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이크의 하중 모니터링 및 체인의 차하중의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상황발생시 경보 및 차단에 의해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유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구비되는 인양부와, 상기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하도록 상기 인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인양부의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스크린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인양프레임 및 상기 인양프레임에 구비되고, 일측에 인양갈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크린 사이와 대응되도록 인출갈퀴가 형성되는 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인양부가 상기 스크린을 따라 이동되도록 무한궤적 운동을 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테이크업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크업 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설치브라켓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켜 체인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캡스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의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설치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제어부는 상기 테이크업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에 의한 측정값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셀은 상기 체인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로드셀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체인의 차하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양부에는 인양되는 상기 협잡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인양부로부터 협잡물을 탈락시키는 탈락작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양프레임과 상기 레이크는 힌지 연결되고, 상기 탈락작동부는 상기 인양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레이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둘레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양부에 의해 인양되는 상기 협잡물을 탈수하는 탈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에 협잡물이 과적될 경우, 탈락작동부에 의해 레이크가 회동되어 협잡물을 탈락시킴으로써, 과적에 의한 레이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크의 하중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상황발생시 경보 및 차단이 가능하여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부의 탈락작동부를 탈착 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레이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레이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의 결합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테이크업 유니트 및 안전제어부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안전제어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진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레이크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레이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의 결합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 변형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탈락작동부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테이크업 유니트 및 안전제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안전제어부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00)는 프레임(110), 스크린(120), 인양부(130) 및 구동부(14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의 좌우측벽에 구비된다. 즉, 구조물의 좌우측벽에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어 스크린(120), 인양부(130) 및 구동부(140)를 지지한다.
스크린(120)은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유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낸다. 스크린(120)은 상호 이격되는 다수 개의 수직격벽(122)에 의해 구성되며, 수직격벽(122)들의 사이간격 보다 작은 협잡물은 스크린(120)을 지나쳐 유동되고, 사이간격 보다 큰 협잡물을 스크린(12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스크린(120)은 수압이나 협잡물에 의한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스크린(120)의 하단부에는 스크린(120)의 하단과 바닥 사이 공간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양부(130)의 일측에 협잡물이 수집되게 하는 전위스크린(125)이 구비된다.
인양부(130)는 스크린(120)의 전방에 구비된다. 인양부(13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20)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인양프레임(132) 및 인양프레임(132)에 구비되고, 협잡물의 일측에 인양갈퀴(13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크린(120)의 수직격벽(122) 사이와 대응되도록 인출갈퀴(137)가 형성되는 레이크(135)를 포함한다.
인양갈퀴(136)는 스크린(12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스크린(120)의 전방에 수집되는 협잡물을 인양할 수 있으며, 인양되는 협잡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단부가 상부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인양갈퀴(136)의 선단은 전위스크린(125) 각각의 사이 틈새와 대응되어 전위스크린(125)에 수집된 협잡물을 인양한다.
그리고, 인출갈퀴(137)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20)의 수직격벽(122) 사이 틈새에 끼워져 이동되므로 수직격벽(122) 사이에 걸린 협잡물을 스크린(12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인양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스크린(12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하는 인양부(130)를 이동시킨다. 구동부(140)는 구동모터(142),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모터(14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144) 및 체인기어(144)에 연결되어 체인기어(144)의 회전에 의해 인양부(130)가 스크린(120)을 따라 이동되도록 무한궤적 운동을 하는 체인(146)을 포함한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프레임(132)은 스크린(120)의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복수개 구비되는데, 'ㄷ'자 형상의 찬넬로 이루어져 양측이 각각 체인(146)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42)의 구동에 의해 체인(146)을 따라 무한궤적운동을 한다.
이러한 인양프레임(132)의 무한궤적운동에 의해 인양프레임(132)에 구비되는 레이크(135)는 스크린(120)에 의해 수집된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할 수 있다.
레이크(135)에 의해 상부로 인양된 협잡물은 체인기어(144)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곡률부위에서 진행방향의 전환으로 인해 탈락되고, 탈락된 협잡물은 후술되는 탈수부(190)로 투입되어 탈수,압축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체인(146)은 테이크업 유니트(150)에 의해 인장력이 조절된다. 테이크업 유니트(150)는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설치브라켓(152)과, 설치브라켓(152)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체인기어(144)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샤프트(154)와, 샤프트(154)를 이동시켜 체인(146)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캡스턴(156)을 포함한다. 즉, 캡스턴(156)의 작동에 의해 샤프트(154)는 체인기어(144)의 회전축을 이동시킴으로써, 체인(146)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프레임(110)에는 체인기어(144)가 이동될 수 있도록 장홀이 형성된다.
샤프트(154) 상에는 설치브라켓(152)에 지지되어 체인(146)의 인장력을 완충하는 완충부(158)가 구비된다. 완충부(158)는 디스크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체인(146)의 일정 인장력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테이크업 유니트(150)는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체인(146)에 각각 구비되어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안전제어부(180)에 의해 체인(146)의 차하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탈락작동부(160)는 인양부(130)에 구비되며, 인양부(130)에 의해 인양되는 협잡물의 하중에 연동되어 인양부(130)로부터 협잡물을 탈락시킨다. 과도한 하중의 협잡물이 레이크(135)에 인양될 경우, 구동모터(142)의 과부하는 물론 레이크(135)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데, 탈락작동부(160)에 의해 이를 방지한다.
인양프레임(132)과 레이크(135)는 힌지부재(139)에 의해 상호 힌지 연결된다. 탈락작동부(16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프레임(132)으로부터 레이크(13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62) 및 탄성부재(162)의 둘레면을 커버하는 커버부(165)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62)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탈락작동부(160)는 인양부(130)의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레이크(135)는 인양프레임(132)에서 탄성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해 직각상태를 유지하고, 레이크(135)에 과도한 하중의 협잡물이 인양되면, 그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162)가 수축되면서 레이크(135)에 인양되는 협잡물을 탈락시킨다.
커버부(165)는 인양프레임(132)에 결합되는 제1벤딩파이프(166) 및 레이크(135)에 결합되는 제2벤딩파이프(167)를 포함한다. 레이크(135)의 회동 시 제1,2벤딩파이프(166)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벤딩파이프(167)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레이크(135)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2벤딩파이프(167)가 제1벤딩파이프(166)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제1,2벤딩파이프(166,167)의 곡률은 힌지부재(139)의 중심축의 중심으로 한 원주와 동일한다.
제1벤딩파이프(166)와 제2벤딩파이프(167)는 각각의 인양프레임(132)과 레이크(135)에 각각 착탈부(170)에 의해 착탈된다. 착탈부(170)는 제1벤딩파이프(166)와 제2벤딩파이프(167)의 단부에 구비되는 플랜지(172) 및 플랜지(172)가 끼워지도록 인양프레임(132)과 레이크(135)에 구비되는 수용플레이트(174)를 포함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플레이트(174)는 각각의 인양프레임(132)과 레이크(135)로부터 이격되어 플랜지(17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벤딩파이프(166,167)가 수용되도록 'U'자 홀이 형성된다. 플랜지(172)는 수용플레이트(174)에 억지끼움된다.
플랜지(172)가 삽입되는 각각의 수용플레이트(174)의 입구부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플랜지(172)가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된다.
한편, 도 8과 도 9는 인양부의 변형예로서, 도 8은 인양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인양부의 단면도이다. 변형예에 따른 인양부(230)는 스크린(120)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인양프레임(232) 및 인양프레임(232)에 구비되는 레이크(235)를 포함하고, 레이크(235)는 인양프레임(232)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37) 및 지지프레임(237)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스크린(120)측으로 인양갈퀴(236a)가 형성되는 레이크플레이트(236)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37)과 인양프레임(232)은 힌지부재(239)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지지프레임(237)은 레이크플레이트(236)를 지지한다. 이때, 인양프레임(232)의 하부에는 굴곡되어 지지프레임(237)의 회동 시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232a)가 형성되고, 지지프레임(237)의 단부는 하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지지강성이 향상된다. 스톱퍼(232a)는 레이크(235)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어 탈락작동부(160)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크플레이트(236)는 지지프레임(237)에 체결부재(238)에 의해 결합된다. 체결부재(238)는 나사 또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이는 레이크플레이트(236)의 파손 시 신속히 교체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때, 체결부재(238)의 상단은 레이크플레이트(236)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변형예에 따른 레이크(235)는 더블체인형 제진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레이크플레이트(236)의 인양갈퀴(236a)는 스크린(120)측으로 연장되어 수직격벽(122)에 걸린 협잡물을 인양한다. 이때, 스크린(120)의 수직격벽(122)은 조밀하게 형성되고, 미세한 협잡물도 걸리게 되고, 인양갈퀴(236a) 또한 이와 대응되도록 조밀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레이크(235)에 탈락작동부(160)가 적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락작동부(160)는 인양프레임(232)과, 지지프레임(237) 사이에 구비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한 착탈부(17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탈락작동부(160)의 구성과 결합관계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것으로 대신한다.
본 실시예는 인양부(130)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안전제어부(180)가 구비된다.
안전제어부(1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크업 유니트(150)에 구비되어 체인(146)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로드셀(182) 및 로드셀(182)에 의한 측정값에 의해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84)를 포함한다. 제어부(184)는 로드셀(182)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5)에 의해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로드셀(182)의 측정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보부(186)에 의해 경보가 가능하다. 경보부(186)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또는 경보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드셀(182)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테이크업 유니트(150)에 구비되어 각각의 체인(146)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84)로 측정값을 전달함으로써, 각각의 체인(146)에 부여되는 인장력을 비교할 수 있어 체인(146)의 차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인양부(130)에 의해 상부로 인양된 협잡물은 탈수부(190)로 투입되어 탈수, 압축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탈수부(190)는 도 2 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오 같이 인양부(130)에 의해 인양된 협잡물이 투입되는 하우징(192)과, 하우징(192) 내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일측으로 압축하여 이송하는 이송스크류(194)와 이송스크류(194)를 구동시키는 탈수모터(196) 및 이송스크류(194)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을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98)를 포함한다.
하우징(192)은 원통형으로 내부에는 타공홀이 형성되어 탈수 시 발생되는 물의 배출이 용이하다. 그리고, 배출부(198)는 하우징(192)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부로 굴절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이송스크류(194)에 의해 이송되는 협잡물의 하중에 의해 배출부(198) 내에서 압축되므로 협잡물의 압축률이 향상되며, 협잡물은 뒤따르는 협잡물에 의해 밀려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19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협잡물은 콘테이너에 저장될 수도 있고, 별도의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00)는 스크린의 종류에 따라 더블체인형, 밴드형, 로터리형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탈수부(190)은 이에 관계없이 설비구성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로의 유수를 따라 떠내려오는 협잡물은 수로의 양측 구조물의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스크린(120)에 의해 걸리게 되고, 스크린(120)에 걸린 협잡물은 인양부(130)에 의해 상부로 인양되어 탈수부(190)에 투입되며, 탈수부(190)에 의해 탈수, 압축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탈수부(190)의 하우징(192)에 투입된 협잡물은 이송스크류(194)의 작동에 의해 탈수, 압축된다. 하우징(192)은 메쉬타입으로 이루어져 탈수,압축에 의해 발생되는 물은 하부로 유출되며, 협잡물은 배출부(19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배출부(198)는 상부로 굴절되게 형성되어 협잡물의 하중에 의해 압축력이 향상되며,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협잡물에 의해 밀려 외부로 배출된다.
프레임(110)에 일체로 탈수부(190)가 구비되어 제진기(100)를 소규모 현장에 컴펙트하게 구성하여 운영할 수 있다.
스크린(120)은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수직격벽(122)으로 이루어져 유수를 따라 떠내려오는 협잡물은 스크린(120)에 걸리게 된다. 이때, 스크린(120)의 하단부에는 스크린(120)의 하단과 바닥 사이 공간으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양부(130)의 일측에 협잡물이 수집되게 하는 전위스크린(125)이 구비된다.
이후, 구동모터(142)의 작동에 의해 체인기어(144)가 회전되고, 체인기어(144)의 회전에 의해 체인(146)이 무한궤적운동을 하게 되면, 체인(146)에 양단이 결합된 레이크(135) 또한 체인(146)을 따라 무한궤적운동을 하게 된다.
레이크(135)의 일측에는 인양갈퀴(13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수직격벽(122)의 사이 틈새로 삽입되는 인출갈퀴(137)가 형성되므로, 레이크(135)의 이동에 의해 수직격벽(122) 사이에 끼인 협잡물은 인출갈퀴(137)에 의해 인출되고, 스크린(120)에 의해 수집된 협잡물은 인양갈퀴(136)에 의해 상부로 인양된다.
이때, 인양되는 협잡물의 하중에 연동되어 레이크(135)는 협잡물을 탈락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탈락작동부(160) 의해 가능하다.
탈락작동부(160)는 인양프레임(132)으로부터 레이크(135)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62)와 탄성부재(162)의 둘레를 감싸는 커버부(165)로 이루어지는데, 레이크(135)의 상부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되면, 탄성부재(162)가 수축되면서 인양프레임(132)으로부터 레이크(135)가 회동되어 인양되는 협잡물을 탈락시킨다. 이후, 탄성부재(162)는 레이크(135)의 상부에 협잡물이 제거되면 복원되어 레이크(135)의 최초상태를 유지시킨다.
커버부(165)는 제1,2벤딩파이프(166,167)로 이루어져 제1벤딩파이프(166)가 제2벤딩파이프(167)에 삽입되는 구조에 의해 탄성부재(162)의 수축,팽창을 안내하며, 외부 이물질이 탄성부재(162)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과도한 하중의 협잡물을 레이크(135)로부터 탈락시킴으로써, 구동모터(142)의 과부하로 인한 손상 및 레이크(13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벤딩파이프(166,167)는 착탈부(170)에 의해 교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착탈부(170)는 수용플레이트(174)와 제1,2벤딩파이프(166,167)에 형성되는 플랜지(172)로 이루어지며,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구조에 의해 탈락작동부(160)를 탈부착이 용이하여 고장발생 시 해당부품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235)는 지지프레임(237)과 레이크플레이트(236)로 이루어지고, 레이크플레이트(236)가 지지프레임(237)으로부터 착탈가능하여 레이크플레이트(237)의 파손 시 신속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100)는 안전제어부(180)에 의해 현장상황을 수시로 모니터링함은 물론, 상황발생 시 경보 및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스크린(120)에 협잡물의 끼임으로 인해 레이크(135)에 이동불능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체인(146)에 과부하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체인(146) 또는 구동모터(142)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안전제어부(180)에 의해 구동모터(142)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안전제어부(18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크업 유니트(150)와 연동되어 작동된다. 먼저, 테이크업 유니트(150)는 체인(146)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캡스턴(156)의 작동에 의해 체인기어(144)의 회전축을 이동시킴으로써, 체인(146)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120)에 끼인 협잡물에 의해 체인(146)의 무한궤적운동이 정지되면, 샤프트(154)에 구비되는 완충부(158)에 의해 체인(146)에 발생된 충격은 완충된다. 또한, 완충부(158)와 캡스턴(156) 사이에는 로드셀(182)이 구비되고, 로드셀(182)은 체인(146)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84)로 전달한다. 제어부(184)에서는 로드셀(182)의 측정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이면 경보부(186)에 의해 경보하고, 구동모터(14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경보는 시각적인 경보램프의 작동 또는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에 의해 가능하고, 로드셀(182)의 측정값은 디스플레이부(185)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테이크업 유니트(150)는 각각의 체인(146)에 구비되고, 각각의 테이크업 유니트(150)에는 로드셀(182)이 구비되므로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체인(146)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제어부(184)에 의해 체인(146)에 부여되는 차하중을 측정할 수 있어 체인(146)의 균일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작동 정지 및 경보가 가능하여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기에 의하면,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에 협잡물이 과적될 경우, 협잡물을 탈락시킬 수 있어 레이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이크의 하중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상황발생 시 경보 및 차단이 가능하여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제진기 110 : 프레임
120 : 스크린 122 : 수직격벽
125 : 전위스크린 130 : 인양부
132 : 인양프레임 135 : 레이크
136 : 인양갈퀴 137 : 인출갈퀴
139 : 힌지부재 140 : 구동부
142 : 구동모터 144 : 체인기어
146 : 체인 150 : 테이크업 유니트
152 : 설치브라켓 154 : 샤프트
156 : 캡스턴 158 : 완충부
160 : 탈락작동부 162 : 탄성부재
165 : 커버부 166 : 제1벤딩파이프
167 : 제2벤딩파이프 170 : 착탈부
172 : 플랜지 174 : 수용플레이트
180 : 안전제어부 182 : 로드셀
184 : 제어부 185 : 디스플레이부
186 : 경보부 190 : 탈수부
192 : 하우징 194 : 이송스크류
196 : 탈수모터 198 : 배출부
230 : 인양부 232 : 인양프레임
232a : 스톱퍼 235 : 레이크
236 : 레이크플레이트 236a : 인양갈퀴
237 : 지지프레임 238 : 체결부재

Claims (1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유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구비되는 인양부와, 상기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하도록 상기 인양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인양부의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안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양부는 상기 스크린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인양프레임; 및
    상기 인양프레임에 구비되고, 일측에 인양갈퀴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크린 사이와 대응되도록 인출갈퀴가 형성되는 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부에는 인양되는 상기 협잡물의 하중에 따라 상기 인양부로부터 협잡물을 탈락시키는 탈락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인양프레임과 상기 레이크는 힌지 연결되며;
    상기 탈락작동부는 상기 인양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레이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둘레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인양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벤딩파이프; 및
    상기 레이크에 결합되는 제2벤딩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의 회동 시 상기 제1,2벤딩파이프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벤딩파이프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팽창을 안내하고;
    상기 제1벤딩파이프와 상기 제2벤딩파이프는 각각의 상기 인양프레임과 상기 레이크에 각각 착탈부에 의해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체인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인양부가 상기 스크린을 따라 이동되도록 무한궤적 운동을 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테이크업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업 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설치브라켓;
    상기 설치브라켓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켜 체인의 인장력을 조절하는 캡스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인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설치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제어부는 상기 테이크업 유니트에 구비되어 상기 체인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로드셀; 및
    상기 로드셀에 의한 측정값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은 상기 체인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로드셀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체인의 차하중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에 의해 인양되는 상기 협잡물을 탈수하는 탈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기.
KR1020130050976A 2013-05-06 2013-05-06 제진기 KR10140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976A KR101400952B1 (ko) 2013-05-06 2013-05-06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976A KR101400952B1 (ko) 2013-05-06 2013-05-06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952B1 true KR101400952B1 (ko) 2014-05-28

Family

ID=5089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976A KR101400952B1 (ko) 2013-05-06 2013-05-06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203B1 (ko) * 2017-07-12 2018-10-04 이붕용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CN109372093A (zh) * 2018-11-26 2019-02-22 张敏 一种城市下水道垃圾收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371A (ja) * 1996-01-22 1997-07-29 Kubota Corp 下水中継ポンプ場の運転方法
KR200401311Y1 (ko) * 2005-08-30 2005-11-1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KR200408835Y1 (ko) * 2005-11-18 2006-02-17 주식회사성우 제진기
KR101147031B1 (ko) * 2011-12-26 2012-05-17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레이크의 양방향 탄성기울임이 가능한 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371A (ja) * 1996-01-22 1997-07-29 Kubota Corp 下水中継ポンプ場の運転方法
KR200401311Y1 (ko) * 2005-08-30 2005-11-15 주식회사신화기공 제진기
KR200408835Y1 (ko) * 2005-11-18 2006-02-17 주식회사성우 제진기
KR101147031B1 (ko) * 2011-12-26 2012-05-17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레이크의 양방향 탄성기울임이 가능한 제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203B1 (ko) * 2017-07-12 2018-10-04 이붕용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CN109372093A (zh) * 2018-11-26 2019-02-22 张敏 一种城市下水道垃圾收集装置
CN109372093B (zh) * 2018-11-26 2020-06-23 嘉兴德基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城市下水道垃圾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370B1 (ko) 제진기
KR101019404B1 (ko) 체인 인장 감지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수집기
KR101283731B1 (ko) 버켓타입 관로 준설로봇
US10060116B2 (en) Self-cleaning filter device adaptable to the volume of rainwater and a method for its use
KR101002416B1 (ko) 섬유사 여과장치
KR101400952B1 (ko)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114887709B (zh) 一种建筑垃圾破碎装置
KR100796370B1 (ko) 자동 텐션 조절 및 체인 파단 검출이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
KR101307158B1 (ko) 저동력 드럼식 원심 농축기
KR101599504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599999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160026817A (ko) 에너지 사용 감소를 위해 구획식으로 확장가능한 회전 벨트 필터
CN201216895Y (zh) 沟渠用过滤装置
CN117427888A (zh) 一种农产品检测设备及检测方法
JP2021087939A (ja) 廃棄物及び従量制袋破袋機
KR101192472B1 (ko) 침전 분리식 압축 탈수 진공흡입차
US3018893A (en) Mechanical trash rake
JP2013111567A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ろ布収縮検知方法並びに検知装置
KR101978601B1 (ko)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101539377B1 (ko) 슬러지 수집장치
CN110152383B (zh) 一种污水池的处理设备
CN208561042U (zh) 一种钢板仓粉粒状物料清库机
CN218458741U (zh) 一种火电厂脱硫脱硝用污泥清理装置
CN207745584U (zh) 一种内进流格栅拼装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