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623B1 - 다중 녹조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녹조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623B1
KR102585623B1 KR1020230028346A KR20230028346A KR102585623B1 KR 102585623 B1 KR102585623 B1 KR 102585623B1 KR 1020230028346 A KR1020230028346 A KR 1020230028346A KR 20230028346 A KR20230028346 A KR 20230028346A KR 102585623 B1 KR102585623 B1 KR 10258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recovery
unit
wate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권
Original Assignee
씨엠스코 주식회사
안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스코 주식회사, 안동권 filed Critical 씨엠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28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집되는 녹조와 수면에 부상한 부유물을 동시에 포집한 후 복수로 형성되는 여과장치에서 물과 녹조를 각각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수면에 부양되는 부양부와 부양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녹조수와 부유물이 혼합되어 포집되는 포집부와 포집부와 연결되며, 녹조수에 함유된 녹조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녹조를 회수하는 회수부와 회수부에 연결되며, 부양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녹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중 녹조 회수장치{Recovery Apparatus of Multi Green Algae}
본 발명은 포집되는 녹조와 수면에 부상한 부유물을 동시에 포집한 후 복수로 형성되는 여과장치에서 물과 녹조를 각각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조류를 포함한 물인 녹조수가 유입되는 녹조수 유입구 및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정화수 배출관이 형성된 녹조수 용기,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이 녹조수 용기의 내부에 구비된 전기 응집 장치를 포함하는 응집 부상부; 상기 녹조수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녹조수 용기의 수면에 부상된 녹조 응집제를 걷어내는 스키머; 상기 스키머의 일측에 구비되며, 걷어낸 녹조 응집체를 탈수시키는 탈수부; 및 상기 탈수된 녹조 응집체가 수용되는 수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녹조를 효과적으로 응집 및 부상시킬 수 있고, 응집 및 부상된 녹조를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계가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높은 녹조 제거 효율을 갖는 녹조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강, 호수 등에서 수질을 측정하여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발생 초기에 남조류를 제거함으로써 녹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면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본체와, 상기 본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관부와, 상기 기관부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해당 수역에서 채취된 시료로 남조류의 개체수를 포함하는 수질을 측정하는 검사부와, 초음파 및 자외선을 이용하여 남조류를 제거하는 처리부와,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남조류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수질데이터를 관리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부유물과 녹조 알갱이의 제거가 가능한 녹조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소(Lake)를 따라 운행하는 선체; 선체에 설치되어, 수면에 부상한 각종 부유물과 녹조 알갱이를 물과 함께 운반하는 스크류 컨베이어; 및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운반된 물에 존재하는 각종 부유물과 녹조 알갱이를 필터링하여 제거하고, 부유물과 녹조 알갱이가 제거된 물을 다시 배출하는 여과통;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녹조 수역의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부유탱크와, 상기 부유탱크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설치대와, 상기 수평설치대의 상부에 복수 배치되어 녹조 수역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며, 전기분해를 통해 자체적으로 생성한 수소와 산소를 상부에 위치한 녹조층으로 공급하는 전기분해장치와, 상기 부유탱크의 내부로 녹조 수역의 물을 공급하여 부력을 조절함으로써 전기분해장치와 녹조층과의 거리(D)를 조절하는 부력조절펌프;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8-0029582 A (2018년03월21일) KR 10-2016-0031766 A (2016년03월23일) KR 10-1737033 B1 (2017년05월11일) KR 10-1982989 B1 (2019년05월21일)
본 발명은 포집되는 녹조와 수면에 부상한 부유물을 동시에 포집한 후 복수로 형성되는 여과장치에서 물과 녹조를 각각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수면에 부양되는 부양부(100); 상기 부양부(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녹조수(10)와 부유물이 혼합되어 포집되는 포집부(200); 상기 포집부(200)와 연결되며, 녹조수(10)에 함유된 녹조(20)를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공급부(3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녹조(20)를 회수하는 회수부(400); 상기 회수부(400)에 연결되며, 상기 부양부(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녹조(20)를 저장하는 저장부(700);를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포집부(200)에 형성되며, 내부로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포집용기(210); 상기 포집용기(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며, 포집된 부유물을 수거하는 수거장치(2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포집용기(210)에 형성되며, 수면의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3); 상기 포집용기(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포집되는 포집공간(214); 상기 포집공간(214)에 형성되며, 부유물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215);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수거장치(24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용기(210)와 상기 부양부(100)를 연결하는 제거용기(250); 상기 제거용기(25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용기(210)에 포집된 부유물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53); 상기 제거용기(250)의 단부에 형성되며, 이송된 부유물이 배출되는 배출장치(254);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00)에서 포집된 녹조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310); 상기 공급장치(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공급된 녹조수(10)가 저장되는 저장함체(320); 상기 저장함체(320)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수부(400)로 녹조수(10)를 공급하는 공급노즐(330);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회수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부양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410);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녹조수(10)를 이동시키는 여과장치(500); 상기 여과장치(500)의 중심에 형성되며, 녹조(20)가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장치(4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여과장치(500)에 형성되며, 녹조(20)를 이동시키는 회수레일(510); 상기 회수레일(510)의 중심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수레일(510)을 회전시키는 회수롤러(520); 상기 회수레일(510)의 일면에 형성되며, 녹조(20)를 흡입하는 회수장치(6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회수장치(600)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하강하는 녹조(20)가 투입되는 수거챔버(610); 상기 수거챔버(6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여과면에서 녹조(20)를 흡입하는 흡입장치(63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부양부(100); 포집부(200); 공급부(300); 회수부(400); 저장부(7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흡입장치(630)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입관(631); 상기 흡입관(631)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에 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녹조(20)가 유입되는 흡입홈(632); 상기 흡입홈(632)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631)에 등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유도홈(633);을 부가한다.
본 발명은 녹조수와 부유물을 동시에 포집하여 강이나 호수의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면에 떠 있거나 이동하는 녹조와 부유물을 물리적 처리 방법으로 대량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녹조를 공급한 후 회수하는 공급부와 회수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녹조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회수레일에 부착된 녹조를 고속으로 흡입함에 따라 녹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는 유도홈이 형성되어 회수레일이 녹조와 함꼐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절커버가 유도홈의 양측에 형성되어 흡입관으로 흡입되는 기체의 유속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포집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급부와 회수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급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수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녹조흡입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흡입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흡입장치의 유도홈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흡입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있어서, 수면에 부양되는 부양부(100); 상기 부양부(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녹조수(10)와 부유물이 혼합되어 포집되는 포집부(200); 상기 포집부(200)와 연결되며, 녹조수(10)에 함유된 녹조(20)를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공급부(3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녹조(20)를 회수하는 회수부(400); 상기 회수부(400)에 연결되며, 상기 부양부(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녹조(20)를 저장하는 저장부(700);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100)에 형성되며, 수면에서 이동을 조작하는 운전장치(110);를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부양부(100)를 이동시키는 추진장치(120);를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100)에 형성되며,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양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패널;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부양부(100)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0)와 상기 회수부(400)는 상기 부양부(1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0)와 상기 회수부(400)는 일체로 형성되는 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녹조수(10)에 혼합된 녹조(20)와 수면에 부상한 부유물을 분리하여 녹조(20)와 부유물을 동시에 회수할 수 있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강이나 호수에 녹조(20)류가 혼합된 물인 녹조수(10)의 녹조(20)와 녹조수(10)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을 분리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녹조수(10)를 순환시켜 녹조(20)를 물과 분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녹조(20)가 발생한 강이나 호수에 부양하여 이동함에 따라 녹조수(10)를 흡입하여 녹조(20)를 회수한다. 종래의 녹조(20)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은 녹조(20)를 제거하기 위하여 강이나 호수에 약품을 분사하는 것이다. 이는 약품을 수체에 직접 분사하여 녹조(20)류를 수면에 부유시켜 녹조(20)류를 제거하는 것으로 많은 양의 약품이 사용됨에도 작업 효율이 낮으며, 녹조(20)가 다시 가라앉는 등의 2차 오염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부양부(100)에 의하여 수면에 부양된 상태로 유지하며, 포집부(200)에서 녹조수(10)를 포집하여 순환시킴에 따라 다량의 녹조(20)를 물리적처리만으로 회수하는 것이다. 부양부(100)는 동력에 의하여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추진장치(120)가 결합되며, 추진장치(120)는 부양부(100)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부양부(100)의 이동 방향을 조절한다. 그리고 부양부(100)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추진장치(120)를 조작하는 운전장치(110)가 형성됨에 따라 수면을 이동하며, 녹조(20)가 많은 지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부양부(100)의 상부에 차양장치가 설치되어 다중 녹조 회수장치를 조작하는 운전자에게 태양광이 전달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녹조수(10)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양장치는 부양부(100)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기둥에 결합되며, 기둥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차양장치의 상부에는 태양광패널이 형성되며, 태양전지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전류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태양광패널에 의하여 생산되는 전력은 녹조수(10)를 흡입하거나 추진장치(12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부양부(100)는 운전자가 없이 자동으로 수면에 부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부양부(100)는 GPS 등의 위치측정장치가 형성되어 육지의 운전자가 다중 녹조 회수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양부(100)가 수면에서 이동하면 부양부(100)에 결합되는 포집부(200)에서 녹조수(10)와 부유물이 포집되고, 포집된 부유물은 포집부(200)에 수거되고 녹조수(10)는 공급부(300)를 통해 회수부(400)에 의하여 녹조(20)와 물을 분리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부(300)와 회수부(400)는 부양부(100)의 상부에 복수로 형성되며, 공급부(300)와 회수부(400)는 일체로 형성되는 모듈로 형성됨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공급부(300)와 회수부(4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공급부(300)는 서로 연결되어 포집부(200)와 근접한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녹조수(10)가 연속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녹조수(10)를 연속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녹조(20)가 발생한 강이나 호수의 녹조수(10)를 포집하여 부유물은 수거하고 녹조(20)는 효과적으로 회수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700)는 내부가 개방되어 녹조(20)가 저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700)는 상기 부양부(100)에서 사선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1-10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7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작업자 및 상기 회수부(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장부(7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저장부(700)는 회수부(400)에서 물과 분리된 녹조(20)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부(700)는 강이나 호수를 부양하는 부양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형성되며, 하단이 사선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부양부(100)가 효과적으로 부양할 수 있도록 균형을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700)는 회수부(400)에서 물과 분리된 녹조(20)가 저장되도록 내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부에 녹조(20)가 유입되는 관이 연결되도록 저장커버가 형성된다. 또한, 저장부(700)의 상부에는 작업자 및 회수부(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난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난간은 튜브로 형성되어 부양부(100)가 효과적으로 부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저장부(700)는 녹조(20)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계가 형성되며, 수위계에 의하여 확인한 녹조(20)는 지상으로 이동되어 약품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200)에 형성되며, 내부로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포집용기(210); 상기 포집용기(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며, 포집된 부유물을 수거하는 수거장치(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기(210)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기(21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211); 상기 포집용기(210)를 회전시키는 포집힌지(212);를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211)는 상기 포집용기(210)와 상기 수거장치(240)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집부(2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포집부(200)는 수면에 부양되는 부양부(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부양부(100)가 전진할 때 녹조수(10)가 내부로 포집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포집부(200)는 도 3을 참조하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의 함체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높으며,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포집부(200)는 부양부(100)의 이동에 따라 녹조수(10)를 흡입하는 포집용기(210)와 포집용기(210)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녹조수(10)를 포집용기(210)로 유도하도록 관, 봉, 판 등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된다. 이때, 포집용기(210)와 가이드부재는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분리되어 형성되며, 가이드부재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포집용기(210)로 포집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부재는 포집용기(210)와 사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녹조수(10)의 포집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부양부(100)가 전진함에 따라 포집용기(210)로 녹조수(10)를 효과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포집용기(210)는 부양부(100)와 연결되며, 포집용기(210) 및 수거장치(24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장치(211)가 형성된다. 각도조절장치(211)는 실린더로 형성되어 포집부(200)의 하부가 수면에 잠기도록 형성된다. 이때, 포집용기(210)에는 포집힌지(212)가 형성되어 각도조절장치(211)에 의하여 포집용기(210)가 회전하는 것으로 부양부(100)가 이동만을 목적으로 할 때는 수압에 걸리지 않도록 포집용기(210)를 수면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각도조절장치(211)는 수거장치(240)도 포집용기(210)와 동일하게 포집힌지(212)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각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포집부(200)는 부양부(100)와 결합되어 부양부(100)의 이동에 따라 녹조수(10)를 포집한다.
따라서, 포집부(200)는 부양부(100)의 추진 방향에 결합되어 녹조수(10)를 포집할 수 있으며, 수면에 위치하도록 포집용기(210)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기(210)에 형성되며, 수면의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3); 상기 포집용기(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포집되는 포집공간(214); 상기 포집공간(214)에 형성되며, 부유물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215);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기(210)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215)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215)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포집공간(214)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녹조수(10)가 공급되는 공급용기(2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기(220)에 형성되며, 상기 녹조수(10)가 공급되는 복수의 공급홀(2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집용기(21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포집용기(210)는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며, 녹조수(10)와 부유물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집용기(210)는 도 2를 참조하면,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3)가 형성되며, 유입구(213)는 포집용기(210)의 상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213)는 포집용기(210)의 장변 방향으로 형성되며, 개방되어 형성되거나 복수의 유입홀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입구(213)는 일정 크기의 부유물은 녹조수(10)와 함께 유입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포집용기(210) 전면이 부유물에 의하여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포집용기(210)는 내부에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포집되는 포집공간(214)이 형성되며, 포집공간(214)에는 스크류 형상의 블레이드(215)가 형성된다. 블레이드(215)는 각도에 따라 부유물을 분쇄 및 이동시키는 방향이 결정되며, 부유물과 함께 유입된 녹조수(10)는 블레이드(215)와 포집용기(210)의 내측면 사이로 이동함에 따라 회수부(40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블레이드(215)는 포집용기(210)의 편심에 형성되며, 블레이드(215)와 포집용기(210)의 상부폭은 2mm 이상으로 형성되고, 하부폭은 20mm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블레이드(215)가 회전할 때 포집용기(210)에 접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녹조수(10)와 달리 녹조와 녹조수를 이동하지 못하고 부유물만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블레이드(215)는 중심에 회전축이 관통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축은 포집용기(2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속도 및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모터는 포집용기(2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블레이드(215)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포집용기(210)의 크기에 따라 포집용기(210)의 중심에서 양측면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215)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부유물을 양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모터는 블레이드(21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압으로 구동하는 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215)에 의하여 분쇄 및 이동하는 부유물은 포집용기(2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개방구에 의하여 수거장치(240)로 공급되어 수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부유물과 분리된 녹조수(10)는 포집용기(210)의 하부 또는 후면에 형성되는 공급용기(220)로 공급되며, 공급용기(220)는 포집용기(210)와 접하는 위치에 복수의 공급홀(221)이 형성되어 녹조수(10)는 공급되나 부유물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집용기(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녹조수(10)와 부유물을 분리하여 녹조수(10)를 회수부(400)로 공급하는 것이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공급용기(220)에 연결되며, 포집된 녹조수(10)를 상기 공급부(300)로 전달하는 전달장치(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230)에 형성되며, 녹조수(10)가 전달되는 전달관(231); 상기 전달관(231)의 단부에 형성되며, 녹조수(10)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전달관(231)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00)에 포집된 녹조수(10)를 흡입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달장치(2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포집부(200)에 포집된 녹조수(10)를 공급부(300)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달장치(230)는 포집용기(210)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급용기(220)와 연결됨에 따라 녹조수(10)를 전달하는 전달관(231)이 형성되며, 전달관(231)은 공급펌프에 의하여 녹조수(10)를 전달한다. 그리고 전달관(231)은 포집용기(210)와 공급부(300) 사이에 공급펌프가 형성되어 강이나 호수의 녹조수(10)가 흡입되어 공급부(300)로 공급된다. 전달관(231)과 회수부(400)에 접하는 위치에는 공급밸브가 형성되며, 공급밸브는 정량의 녹조수(10)가 공급부(300)로 공급되도록 개폐가 제어된다. 전달장치(230)에서 공급되는 녹조수(10)는 공급부(300)로 공급되며, 이와 같이 전달장치(230)에서 전달된 녹조수(10)가 공급부(300)에서 회수부(400)로 공급되어 회수됨에 따라 녹조(20)는 저장부(700)로 회수되고 물은 하부로 하강하여 배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포집용기(210)에 포집된 녹조수(10)를 전달하여 녹조(20)를 효과적으로 회수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수거장치(24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용기(210)와 상기 부양부(100)를 연결하는 제거용기(250); 상기 제거용기(25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용기(210)에 포집된 부유물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53); 상기 제거용기(250)의 단부에 형성되며, 이송된 부유물이 배출되는 배출장치(254);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거용기(2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포집용기(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거용기(250)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253)를 회전시키는 이송모터(251); 상기 이송스크류(253)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이송모터(251)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축(252);을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254)에 형성되며, 부유물을 저장하는 저장포대가 결합되는 결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거장치(24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수거장치(240)는 포집용기(210)에 의하여 분쇄 및 이송되는 부유물을 수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거장치(240)는 포집용기(210)에 유입되는 부유물을 수거하여 강이나 호수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에는 녹조수(10)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부유물이 부상하여 오염시킨다.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 및 장치를 활용하나 녹조(20)를 동시에 제거하지 못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부유물과 녹조수(10)를 동시에 유입하여 부유물은 수거장치(240)에서 수거함에 따라 녹조(20)를 제거함과 동시에 부유물도 함께 제거하는 것이다. 수거장치(240)는 도 1을 참조하면, 포집용기(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제거용기(250)가 형성되며, 제거용기(250)는 포집용기(210)의 블레이드(215)의 수량 및 회전방향에 따라 위치 및 수량이 선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거용기(25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이송스크류(253)가 형성되어 이송스크류(253)가 제거용기(250)의 일측에 형성되는 이송모터(251)에 의하여 이송축(252)을 회전시키면 이송축(252)이 중심에 형성되는 이송스크류(253)가 회전하는 것이다. 이때, 이송모터(251)는 블레이드(215)의 회전모터와 동일하게 유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스크류(253)는 배출장치(254) 방면으로 부유물을 이송시키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나 부유물에 의하여 압력이 높아지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유물의 끼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스크류(253)에 의하여 이송되는 부유물은 배출장치(254)로 이송되며, 배출장치(254)에 결합된 저장포대에 저장되어 육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장치(254)에는 저장포대가 결합되는 결합체가 형성되며, 결합체는 저장포대의 단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도록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거장치(240)는 포집용기(210)에서 녹조수(10)와 분리되어 분쇄 및 이송되는 부유물을 수거하여 강이나 호수의 환경을 개선하는 특징을 가진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00)에서 포집된 녹조수(10)를 공급하는 공급장치(310); 상기 공급장치(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공급된 녹조수(10)가 저장되는 저장함체(320); 상기 저장함체(320)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수부(400)로 녹조수(10)를 공급하는 공급노즐(33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급장치(31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00)와 연결되는 공급관(311); 상기 공급관(31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311)을 상기 저장함체(3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312);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311)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저장함체(320)와 연결되는 연결관(313);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저장함체(320)는 상기 회수부(40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저장함체(320)의 하단에 형성되며, 녹조수(10)의 와류를 방지하는 와류방지판(321);을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330)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함체(32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관(331); 상기 연장관(3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되어 녹조수(10)가 공급되는 녹조수배출관(332);을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331)에 형성되며, 녹조수(10)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3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급부(3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공급부(300)는 회수부(4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포집부(200)에서 포집된 녹조수(10)가 회수부(400)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부(300)는 포집부(200)에서 포집되어 전달되는 녹조수(10)가 이동하는 공급장치(310)가 형성되며, 공급장치(310)는 부양부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회수부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때, 공급장치(310)는 포집부의 전달장치와 연결되는 공급관(311)이 형성되며, 공급관(311)은 복수의 회수부 사이에 형성되어 포집된 녹조수(10)가 회수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공급관(311)은 회수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녹조수(10)를 자유 낙하로 공급하기 위하여 부양부에 형성되는 지지대(312)의 상부에 안착된다. 또한, 공급관(311)은 원형 또는 사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수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저장함체(320)로 녹조수(10)를 공급한다. 그리고 공급관(311)에서 저장함체(320)로 녹조수(10)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연결관(313)은 회수부와 저장함체(320)의 수량에 따라 결정되며, 연결관(313)은 주름관 또는 곡선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녹조수(10)가 저장함체(320)로 자유낙하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관(313)에는 밸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에 의하여 선택된 저장함체(320)로 녹조수(10)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함체(320)는 부양부(10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수부(400)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저장함체(320)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금속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회수부(40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함체(320)는 공급관(311)에서 연장되는 연결관(313)의 단부가 삽입 또는 결합되는 것이며, 녹조수(10)가 일정한 속도로 공급노즐(330)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녹조수(10)가 자유낙하하여 효과적으로 회수부(4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저장함체(320)의 하단에는 녹조수(10)를 회수부(400)로 전달하는 공급노즐(330)이 형성되며, 공급노즐(330)과 저장함체(320)가 접하는 위치에는 녹조수(10)가 와류를 발생하며 하강하지 않도록 ‘+’자 형태의 와류방지판(321)이 형성된다. 또한, 공급노즐(330)은 저장함체(320)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연장관(331)이 형성되며, 연장관(331)에는 녹조수(10)의 개도율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3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관(331)의 하단에는 연장관(331)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녹조수배출관(332)이 형성된다. 녹조수배출관(332)의 하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달홀을 통해 녹조수(10)가 회수부(400)로 전달되며, 전달홀은 연장관(331)에서 외측으로 직경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회수부(400)에 전체적으로 녹조수(10)가 공급되도록 한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부양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410);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녹조수(10)를 이동시키는 여과장치(500); 상기 여과장치(5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녹조(20)가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장치(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0)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20);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500)는 상기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녹조수(10)가 하강하도록 일단이 사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6-3에 있어서, 상기 배수장치(430)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장치(500)를 관통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관; 상기 저장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수부(4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회수부(400)는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녹조수(10)를 순환시킴에 따라 녹조(20)는 회수하고 여과된 물은 배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수부(400)는 도 6을 참조하면, 강이나 호수 또는 포집된 녹조수(10)를 회수하여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부(3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부양부(100)에 고정되는 케이스(410)가 형성된다. 케이스(410)는 지지프레임(420)에 의하여 부양부(100)에서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410)는 녹조수(10)가 누수되지 않도록 내측에 방수 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접하는 접합면은 실링재를 설치한다. 그리고 케이스(41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나 착탈 가능하도록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410)의 내부에는 여과장치(500)가 형성되며, 여과장치(500)는 케이스(410)의 내부에서 공급부(300)의 방면에서 타방면으로 경사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공급부(300)를 통해 공급되는 녹조수(10)가 원활히 하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여과장치(500)에서 여과되는 녹조(20)는 이동하고 녹조(20)가 여과된 물은 배수장치(430)에 의하여 강이나 호수로 순환되어 배수된다. 이때, 배수장치(430)는 여과장치(500)를 관통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관이 형성되며, 저장관은 케이스(410)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여과장치(500)의 중심에 형성된다. 그리고 저장관의 일측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강이나 호수로 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500)에 형성되며, 녹조(20)를 이동시키는 회수레일(510); 상기 회수레일(510)의 중심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수레일(510)을회전시키는 회수롤러(520); 상기 회수레일(510)의 일면에 형성되며, 녹조(20)를 흡입하는 회수장치(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회수레일(510)은 녹조(20)는 여과하며, 물은 관통하는 메쉬 및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회수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노즐에서 공급되는 녹조수를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부재(511);를 포함한다.
(실시예 7-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회수롤러(520)는 상기 회수레일(510)의 하단에 복수로 형성되는 이동롤러(521);, 상기 회수롤러(5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을 회전시키는 구동롤러(522);를 포함한다.
(실시예 7-5)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73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522)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롤러(523); 상기 회수레일(510)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롤러(524);를 포함한다.
(실시예 7-6)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7-5에 있어서, 상기 처짐방지롤러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과 이격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격부재(523a);를 포함한다.
(실시예 7-7)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7-5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524)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텐션에 따라 상하로 상기 텐션롤러(524)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7-8)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롤러(520)를 회전시키는 회수모터(5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과장치(5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케이스(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녹조수(10)를 순환시켜 녹조(20)를 회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장치(500)는 도 6을 참조하면, 공급부(300)에서 녹조수(10)가 공급되면 녹조수(10)를 이동시키며, 녹조(20)는 관통하지 않고 물은 관통하도록 메쉬 및 부직포로 형성되는 회수레일(510)이 형성된다. 이때, 회수레일(510)의 상부에는 공급노즐(330)에서 낙하하는 녹조수(10)가 회수레일(510)에 충돌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도부재(511)가 형성된다. 유도부재(511)에 의하여 녹조수(10)가 사선으로 형성되는 회수레일(510)에 원활히 전달되며, 유도부재(511)는 공급노즐(330)의 후면과 양측면이 막힘 구조로 형성되나 전면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회수레일(510)은 복수가 서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거나 20 μm 이상의 미세조류 입자까지 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순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회수레일(510)은 메쉬필터, 섬유직물 필터, 부직포 필터 등 다양한 종류로 형성되나 부직포 필터가 공기 역세척이 가능함에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 필터가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수레일(510)은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녹조(20)가 회수장치(600)로 하강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회수레일(510)은 회수롤러(520)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이며, 회수롤러(520)는 회수레일(510)의 하단에 복수로 형성되는 이동롤러(521)와 회수롤러(52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구동롤러(52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동롤러(522)는 별도의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며, 구동롤러(522)의 회전에 의하여 회수레일(510)이 순환할 때 이동롤러(521)가 복수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 회수레일(5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롤러(522)는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폭이 다르게 형성되며, 하부에 설치된 구동롤러(522)가 상부에 설치된 구동롤러(522)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수레일(510)에 의하여 이동한 녹조(20)가 회수장치(600)로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구동롤러(522)는 회수레일(510)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롤러(523)가 형성되며, 처짐방지롤러(523)는 일단 상부에서 타단 하부로 회수레일(510)의 각도가 가변되는 상단에 형성되어 회수레일(510)의 처짐을 방지한다. 이때, 처짐방지롤러(523)는 회수레일(510)이 처지거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회수레일(510)과 처짐방지롤러(523)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회수레일(510)에 부착된 녹조가 처짐방지롤러(523)에 의하여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부재(523a)가 처짐방지롤러(523)의 중심과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격부재(523a)와 접하도록 회수레일(510)은 접합부재가 형성되어 처짐방지롤러(523)와 회수레일(5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롤러는 텐션롤러(524)가 형성되어 회수레일(510)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으로 텐션롤러(524)는 회수레일(510)의 텐션에 따라 좌우로 텐션롤러(524)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형성된다. 이동장치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하여 회수레일(510)의 텐션이 낮거나 높다고 판단되면 텐션롤러(524)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장치는 케이스(410)에 형성되는 이동홈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스크류 또는 실린더에 의하여 텐션롤러(524)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텐션롤러(524)는 회수레일(510)의 후면에 사선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수레일(51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수롤러(520)는 케이스(4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회수모터(512)에 의하여 회전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600)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하강하는 녹조(20)가 투입되는 수거챔버(610); 상기 수거챔버(6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여과면에서 녹조(20)를 흡입하는 흡입장치(630);를 포함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수거챔버(610)에 형성되며, 회전함에 따라 녹조(20)를 상기 저장부(700)로 배출시키는 배출스크류(611);를 포함한다.
(실시예 8-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8-2에 있어서, 상기 수거챔버(610)는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8-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8-3에 있어서, 상기 수거챔버(6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전면에 흡착된 녹조(20)를 제거하는 제거판(6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수장치(60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회수장치(600)는 회수레일(510)에 의하여 이송되는 녹조(20)를 흡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수장치(600)는 도 7을 참조하면, 회수레일(510)에 의하여 물은 여과되고 일단부로 이송되는 녹조(20)가 수용되는 것으로 회수레일(510)의 단부에서 자유낙하하여 하강하는 녹조(20)가 흡입되는 수거챔버(6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수거챔버(610)는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됨에 따라 녹조(20)가 투입된다. 또한, 수거챔버(610)의 상부 양측에는 회수레일(510)의 전면에 흡착되어 낙하되지 않은 녹조(20)를 제거하는 제거판(620)이 형성되며, 제거판(620)에 의하여 수거챔버(610)에 투입된 녹조(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수거챔버(610)의 내부에는 투입된 녹조(20)를 저장부(700)로 전달하기 위한 배출스크류(611)가 형성된다. 배출스크류(611)는 케이스(410)의 외측 또는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배출축과 배출축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배출판이 형성된다.
또한, 수거챔버(6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회수레일(510)의 여과면에 형성되는 흡입장치(630)가 형성된다. 이때, 흡입장치(630)는 고속 기류로 흡입하여 회수레일(510)에 흡착된 녹조(20)를 제거하는 것이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다중 녹조 회수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630)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입관(631); 상기 흡입관(631)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에 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녹조(20)가 유입되는 흡입홈(632); 상기 흡입홈(632)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631)에 등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유도홈(633);을 포함한다.
(실시예 9-2)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631)에 연결되며, 녹조(20)를 흡입하는 흡입터보팬(650); 상기 흡입터보팬(650)에 연결되며, 녹조(20)에 함유된 녹조(20)를 분리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9-3)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9-2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631)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터보팬(650)으로 녹조(20)를 공급하는 이동관(640);을 포함한다.
(실시예 9-4)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9-3에 있어서, 상기 유도홈(633)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홈(6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유도홈(633a); 상기 흡입홈(632)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유도홈(633a)과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유도홈(633b);를 포함한다.
(실시예 9-5)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유도홈(633)은 상기 흡입관(631)의 길이 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9-6) 본 발명의 다중 녹조 회수장치는 실시예 9-1에 있어서, 상기 유도홈(633)의 양측에 형성되며, 유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조절커버(6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흡입장치(630)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흡입장치(630)는 순환하는 회수레일(510)의 여과면을 흡수하여 회수레일(510)을 연속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흡입장치(630)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회수롤러(520)에 의하여 순환하는 회수레일(510)에 부착된 녹조(20)를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고속 기류를 형성하여 흡입한다. 이때, 흡입장치(630)는 회수레일(510)의 폭 방향으로 흡입관(631)이 형성되며, 흡입관(631)은 고정됨에 따라 순환하는 회수레일(510)에 부착된 녹조(20)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관(631)은 회수레일(510)과 접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흡입홈(632)이 형성되며, 흡입홈(632)에 의하여 녹조(20)가 원활히 유입되도록 흡입관(631)의 양측으로 이동관(640)이 각각 연장되며, 이동관(640)은 케이스(410)의 후면에 형성되는 흡입터보팬(650)으로 연결된다. 또한, 흡입관(631)은 흡입터보팬(650)에 의하여 흡입관(631) 내부의 압력이 조절되며, 흡입터보팬(650)은 흡입유량이 1,710㎥/h ~ 4,020㎥/h로 형성되고, 흡입압력은 215mmAq ~ 4380mmAq 로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터보팬(650)은 흡입관(631) 및 이동관(640)의 위치 및 길이에 따라 압력 및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터보팬(650)에 의하여 녹조(20)와 물을 분리하는 분리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전달관이 연결됨에 따라 흡입관(631)에서 흡입한 녹조(20) 및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녹조(20) 및 물은 흡입터보팬(650)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류에 의하여 사이클론을 발생시켜 녹조(20)나 물의 분리 및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홈(632)의 양측에는 회수레일(51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일정시간 고속흡입기류가 형성되도록 유도홈(633)이 형성되며, 유도홈(633)은 고속으로 흡입관(631)에서 회수레일(510)의 녹조(20)를 흡입할 때 회수레일(510)의 이동방향과 흡입관(631)이 직각을 이루고 있어 회수레일(510)이 기류 방향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홈(633)은 직각, 반원, 사선 등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흡입홈(632)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유도홈(63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유도홈(633a)과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흡입홈(632)의 타측에서 제 1유도홈(633a)과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유도홈(633b)이 형성된다. 이때, 제 1유도홈(633a)과 제 2유도홈(633b)은 흡입관(631)의 길이 방향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회수레일(510)이 흡입관(631)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유도홈(633)의 폭은 10 mm ~ 40 mm로 형성되고 깊이는 2 mm ~ 8 mm로 형성되나 유도홈(633) 깊이는 흡입구 측 절삭 높이와 대응한다. 예를 들어 절삭 높이 3mm 일 때는 20.3mm, 절삭 높이 4mm 일 때는 25.1mm, 절삭 높이 5mm 일 때는 29.3mm, 절삭 높이 6mm 일 때는 33.1mm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도홈(633)은 이동하는 회수레일(5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양쪽에서 흡입홈(632)을 향해 고속 흡입기류가 회수레일(510)의 표면에서 직선을 유지하고, 일정 시간 체류하도록 함으로써 회수레일(510) 표면에서 녹조(20)와 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1유도홈(633a)과 제 2유도홈(633b)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흡입관(631)에 각도조절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에 따라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조절커버(634)는 각도조절힌지에 의하여 회수레일(510)과 개방되는 면적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절커버(634)가 회수레일(510)과 이격 거리가 좁아지면 유도홈(633)에 의하여 유도되는 기류의 양이 적어져 흡입관(631)에서 흡입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이는 회수레일(510)과 조절커버(634) 사이로 기류가 통과되는 면적을 줄여 유속을 올리기 위함이다. 이때, 조절커버(634)와 회수레일(510)의 이격 거리는 2mm ~ 6mm 로 형성되며, 간격이 2mm 보다 작을 경우에는 조절커버(634)가 스크래퍼 역할로 이물질이 쌓여 유입되는 공기 통로를 막을 수 있고, 4mm 보다 클 경우에는 유입 공기량이 많아져 흡입 기류 유속이 부족해 회수레일(510) 표면의 흡입 제거 기능의 약화와 함께 흡입구의 진공도도 낮아져 관통 공기에 의한 역세척 기능이 약해질 수 있다. 그리고 4m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관통기류에 의한 역세척은 발생하지 않고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0: 녹조수 20: 녹조
100: 부양부 110: 운전장치
120: 추진장치 200: 포집부
210: 포집용기 211: 각도조절장치
212: 포집힌지 213: 유입구
214: 포집공간 215: 블레이드
220: 공급용기 221: 공급홀
230: 전달장치 231: 전달관
240: 수거장치 250: 제거용기
251: 이송모터 252: 이송축
253: 이송스크류 254: 배출장치
300: 공급부 310: 공급장치
311: 공급관 312: 지지대
313: 연결관 320: 저장함체
321: 와류방지판 330: 공급노즐
331: 연장관 332: 녹조수배출관
333: 조절밸브 400: 회수부
410: 케이스 420: 지지프레임
430: 배수장치 500: 회수장치
510: 회수레일 511: 유도부재
512: 회수모터 520: 회수롤러
521: 이동롤러 522: 구동롤러
523: 처짐방지롤러 523a: 이격부재
524: 텐션롤러 525: 이동장치
600: 회수장치 610: 수거챔버
611: 배출스크류 620: 제거판
630: 흡입장치 631: 흡입관
632: 흡입홈 633: 유도홈
633a: 제 1유도홈 633b: 제 2유도홈
634: 조절커버 640: 이동관
650: 흡입터보팬 700: 저장부

Claims (9)

  1. 수면에 부양되는 부양부(100);
    상기 부양부(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녹조수(10)와 부유물이 혼합되어 포집되는 포집부(200);
    상기 포집부(200)와 연결되며, 녹조수(10)에 함유된 녹조(20)를 공급하는 공급부(300);
    상기 공급부(300)의 하단에 형성되며, 녹조(20)를 회수하는 회수부(400);
    상기 회수부(400)에 연결되며, 상기 부양부(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녹조(20)를 저장하는 저장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00)에서 포집된 녹조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310);
    상기 공급장치(3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공급된 녹조수(10)가 저장되는 저장함체(320);
    상기 저장함체(320)의 하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수부(400)로 녹조수(10)를 공급하는 공급노즐(33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장치(31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200)와 연결되는 공급관(311); 상기 공급관(311)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311)을 상기 저장함체(3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31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311)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저장함체(320)와 연결되는 연결관(313);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함체(320)의 하단에 형성되며, 녹조수(10)의 와류를 방지하는 와류방지판(321);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노즐(330)에 형성되며, 상기 저장함체(32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관(331); 상기 연장관(331)의 하단에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되어 녹조수(10)가 공급되는 녹조수배출관(332);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관(331)에 형성되며, 녹조수(10)의 개도율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33);를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200)에 형성되며, 내부로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포집용기(210);
    상기 포집용기(2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하며, 포집된 부유물을 수거하는 수거장치(240);를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기(210)에 형성되며, 수면의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3);
    상기 포집용기(2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녹조수(10) 및 부유물이 포집되는 포집공간(214);
    상기 포집공간(214)에 형성되며, 부유물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215);를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거장치(240)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용기(210)와 상기 부양부(100)를 연결하는 제거용기(250);
    상기 제거용기(25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포집용기(210)에 포집된 부유물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253);
    상기 제거용기(250)의 단부에 형성되며, 이송된 부유물이 배출되는 배출장치(254);를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부양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410);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녹조수(10)를 이동시키는 여과장치(500);
    상기 여과장치(500)의 중심에 형성되며, 녹조(20)가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배수장치(430);를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500)에 형성되며, 녹조(20)를 이동시키는 회수레일(510);
    상기 회수레일(510)의 중심에 형성되며, 동력에 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수레일(510)을 회전시키는 회수롤러(520);
    상기 회수레일(510)의 일면에 형성되며, 녹조(20)를 흡입하는 회수장치(600);를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수장치(600)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하강하는 녹조(20)가 투입되는 수거챔버(610);
    상기 수거챔버(6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여과면에서 녹조(20)를 흡입하는 흡입장치(630);를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630)에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입관(631);
    상기 흡입관(631)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수레일(510)에 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녹조(20)가 유입되는 흡입홈(632);
    상기 흡입홈(632)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관(631)에 등간격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유도홈(633);을 포함하는 다중 녹조 회수장치.
KR1020230028346A 2023-03-03 2023-03-03 다중 녹조 회수장치 KR10258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46A KR102585623B1 (ko) 2023-03-03 2023-03-03 다중 녹조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346A KR102585623B1 (ko) 2023-03-03 2023-03-03 다중 녹조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623B1 true KR102585623B1 (ko) 2023-10-06

Family

ID=8829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346A KR102585623B1 (ko) 2023-03-03 2023-03-03 다중 녹조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6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608B1 (ko) * 2015-09-08 2016-01-13 박병대 조류제거장치
KR20160031766A (ko) 2014-09-15 2016-03-23 주식회사 국토해양환경기술단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KR101737033B1 (ko) 2016-12-09 2017-05-18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부유물과 녹조 알갱이의 제거가 가능한 녹조제거장치
KR20180029582A (ko) 2016-09-13 2018-03-21 한국기계연구원 녹조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982989B1 (ko) 2018-12-13 2019-05-27 김석이 수면부상식 녹조제거 장치
CN114195240A (zh) * 2021-12-16 2022-03-18 高庆泽 近海赤潮清理装置及船
KR102418093B1 (ko) * 2021-06-02 2022-07-07 씨엠스코 주식회사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766A (ko) 2014-09-15 2016-03-23 주식회사 국토해양환경기술단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KR101584608B1 (ko) * 2015-09-08 2016-01-13 박병대 조류제거장치
KR20180029582A (ko) 2016-09-13 2018-03-21 한국기계연구원 녹조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737033B1 (ko) 2016-12-09 2017-05-18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부유물과 녹조 알갱이의 제거가 가능한 녹조제거장치
KR101982989B1 (ko) 2018-12-13 2019-05-27 김석이 수면부상식 녹조제거 장치
KR102418093B1 (ko) * 2021-06-02 2022-07-07 씨엠스코 주식회사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CN114195240A (zh) * 2021-12-16 2022-03-18 高庆泽 近海赤潮清理装置及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093B1 (ko)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KR101479179B1 (ko) 수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및 부유물 제거방법
KR102293872B1 (ko) 녹조회수장치
JP2012007524A5 (ko)
KR102207360B1 (ko) 관리형 하천, 호수 등에서 발생하는 수초나 오니혼탁물을 함께 제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수중발생 오염물의 재활용 방법 및 오염물여과장치
KR100944399B1 (ko) 부상수문이 구비된 청항선
CN111676928A (zh) 一种水域水藻清理装置
CN112746601A (zh) 一种基于三级分子离心分离的水面油污全自动清理装置
CN112551615B (zh) 河道治理进水池及一体化污水处理系统
CN207566929U (zh) 一种基于污水处理的气浮装置
US202202748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n contaminants from a liquid
KR102585623B1 (ko) 다중 녹조 회수장치
CN212612370U (zh) 一种水域水藻清理装置
AU2020102348A4 (en) Water cleaning device
CN113526712A (zh) 一种污水处理设备及处理方法
KR100922231B1 (ko) 협잡물 처리기의 유분 제거장치
CN210712795U (zh) 浮动式水面漂浮物清理装置
KR102009621B1 (ko) 수중오염물 제거용 드론
CN216379719U (zh) 水利清淤装置
CN216336734U (zh) 一种餐饮废水处理用高效水油分离装置
KR20230148477A (ko) 수중 오염물의 신속분리를 위한 고액분리장치 및 그 이용방법
KR102272151B1 (ko) 녹조 유도 정화장치
KR102573240B1 (ko) 녹조 흡입기 및 이를 활용한 녹조 회수장치
JP2003080243A (ja) 浮遊物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CN211472444U (zh) 一种基于三级分子离心分离的水面油污全自动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