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063B1 - 관로청소장치 - Google Patents

관로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063B1
KR100536063B1 KR1020050090648A KR20050090648A KR100536063B1 KR 100536063 B1 KR100536063 B1 KR 100536063B1 KR 1020050090648 A KR1020050090648 A KR 1020050090648A KR 20050090648 A KR20050090648 A KR 20050090648A KR 100536063 B1 KR100536063 B1 KR 100536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ade
pipe
sewage
sewage pipe
garb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0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로내에서 오수 및 우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쓰레기와 수중쓰레기를 중간에서 걸러내어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관로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가이드채널(30)(32)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가이드채널(30)(32)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구름롤러(34)(36)에 의해 하수관로(20)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플로트바(40)의 양단을 지지하며, 그 플로트바(40)의 상측에 월류홈(42)을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월류홈(42)을 사이사이에 이물질걸림핀(44)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수직축(50)(52)을 좌우로 번갈아 설치하고, 토션스프링(54)(56)에 의해 항상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는 부채꼴모양의 쓰레기포획망(60)(62)을 상기 수직축(50)(52)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관로청소장치{Sewer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관로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로내에서 오수 및 우수와 함께 흐르는 부유쓰레기와 수중쓰레기를 중간에서 걸러내어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관로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로를 통해 흐르는 오수 및 우수에는 가벼운 비중을 갖는 부유쓰레기와 비교적 무거운 비중을 갖는 수중쓰레기 등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쓰레기가 하수관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갈수기 때 하수관로의 바닥에 산재하여 분포하기 때문에 쓰레기 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하수처리장에 이르기 전 관로를 막아 홍수피해를 유발시키고, 하수처리장의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수관로로 흐르는 부유쓰레기와 수중쓰레기를 걸러내어 한곳에 모아둠으로써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관로청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수관로의 좌우측 내측벽면에 가이드채널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가이드채널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구름롤러에 의해 하수관로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플로트바의 양단을 지지하며, 그 플로트바의 상측에 월류홈을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월류홈을 사이사이에 이물질걸림핀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하수관로의 좌우측 내측벽면에 수직축을 좌우로 번갈아 설치하고, 토션스프링에 의해 항상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는 부채꼴모양의 쓰레기포획망을 상기 수직축에 설치하여 관로청소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가이드채널(30)(32)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가이드채널(30)(32)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구름롤러(34)(36)에 의해 하수관로(20)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플로트바(40)의 양단을 지지하며, 그 플로트바(40)의 상측에 월류홈(42)을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월류홈(42)을 사이사이에 이물질걸림핀(44)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수직축(50)(52)을 좌우로 번갈아 설치하고, 토션스프링(54)(56)에 의해 항상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는 부채꼴모양의 쓰레기포획망(60)(62)을 상기 수직축(50)(52)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쓰레기포획망(60)(62)은 수직축(50)(52)에 끼워져 적층되는 회전링(66)(67)(67)에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을 각각 부채꼴모양으로 설치하고,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의 상하면과 후면을 그물망(69)으로 덮으며,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의 일측을 "L"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고정하고,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의 타측은 자유롭게 하여 수직축(50)(52)에 끼워진 토션스프링(54)(56)에 걸어서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한다.
또한, 수직축(50)(52)과 회전링(66)(67), 상부가동살(68), 하부가동살(64), 토션스프링(54)(56)은 모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레스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은 회전링(66)(67)에 용접하여 수직축(50)(52)을 중심으로 회동자재케 설치한다.
상기 플로트바(40)는 속이 빈 중공체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고, 하측에 추를 달아서 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름롤러(34)(36)는 세라믹 또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구성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20)를 통해 쓰레기와 각종 이물질로 오염된 오수 및 우수가 유입되어 흐르게 되면, 하수관로(20)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플로트바(40)가 흐르는 오수 및 우수에 의해 부력을 받아 수면위에 뜨게 된다.
즉, 하수관로(20)를 흐르는 오수 및 우수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바(40)의 높이가 변화되며, 플로트바(4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구름롤러(34)(36)는 플로트바(4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가이드채널(30)(32)을 타고 상하방향으로 구르면서 플로트바(40)가 좀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때 플로트바(4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이물질걸림핀(44)은 수면에 떠서 흘러가는 부유쓰레기를 포획하게 되며, 플로트바(40)의 중간 중간에 형성된 월류홈(42)은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하수관로(20)의 내측벽면(22)(24)에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포획망(60)(62)은 오수 및 우수의 하층부에 잔류하는 수중쓰레기를 포획하여 담아 두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오수 및 우수의 유속이 증대되어 토션스프링(54)(56)에 의해 쓰레기포획망(60)(62)에 작용하는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되면, 쓰레기포획망(60)(62)이 접히면서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게 된다.
즉, 쓰레기포획망(60)(62)을 구성하고 있는 회전링(66)(67)이 수직축(50)(52)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토션스프링(54)(56)에 의한 탄성력보다 하수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더 큰 경우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이 하수관로(20)의 내측벽면(22)(24)쪽으로 회동되면서 접히고 그물망(69)도 상부가동살(68) 및 하부가동살()과 함께 접혀서 하수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후 오수 및 우수의 유속이 떨어지면서 쓰레기포획망(60)(62)에 작용하는 힘이 떨어지게 되면, 쓰레기포획망(60)(62)이 토션스프링(54)(56)에 의해 다시 펼쳐지면서 하수에 포함된 수중쓰레기를 포획하게 된다.
한편, 갈수기 때 하수관로(20)를 흐르는 오수 및 우수의 양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되면, 하수관로(20)의 바닥에는 플로트바(40)에 의해 포획된 부유쓰레기가 쌓이게 되며, 쓰레기포획망(60)(62)의 내부에는 수중쓰레기가 담겨 있게 되는데, 이때 하수관로(20)의 내부로 진입한 작업자가 플로트바(40)의 앞에 쌓인 부유쓰레기와 쓰레기포획망(60)(62)에 담긴 수중쓰레기를 수거하게 되면, 하수관로()의 청소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수관로를 흐르는 오수 및 우수에 의해 떠내려가는 부유쓰레기는 플로트바와 이물질걸림핀에 의해 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중쓰레기는 쓰레기포획망에 의해 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수관로의 바닥에 쌓이는 쓰레기를 한곳에 모아둘 수 있기 때문에 하수관로의 청소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플로트바에 의해 수위변화에 자동으로 적응하여 부유쓰레기를 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유쓰레기의 수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유속이 빨라지면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쓰레기포획망에 의해 하수관로로 흐르는 오수 및 우수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오수 및 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청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청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청소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 하수관로 22,24 : 내측벽면
30,32 : 가이드채널 34,36 : 구름롤러
40 : 플로트바 42 : 월류홈
44 : 이물질걸림핀 50,52 : 수직축
54,56 : 토션스프링 60,62 : 쓰레기포획망
64 : 하부가동살 66,67 : 회전링
68 : 상부가동살 69 : 그물망

Claims (2)

  1.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가이드채널(30)(32)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가이드채널(30)(32)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구름롤러(34)(36)에 의해 하수관로(20)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플로트바(40)의 양단을 지지하며, 그 플로트바(40)의 상측에 월류홈(42)을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월류홈(42)을 사이사이에 이물질걸림핀(44)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수직축(50)(52)을 좌우로 번갈아 설치하고, 토션스프링(54)(56)에 의해 항상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는 부채꼴모양의 쓰레기포획망(60)(62)을 상기 수직축(50)(52)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청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포획망(60)(62)은 수직축(50)(52)에 끼워져 적층되는 회전링(66)(67)(67)에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을 각각 부채꼴모양으로 설치하고,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의 상하면과 후면을 그물망(69)으로 덮으며,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의 일측을 절곡하여 하수관로(20)의 좌우측 내측벽면(22)(24)에 고정하고, 상부가동살(68)과 하부가동살(64)의 타측은 자유롭게 하여 수직축(50)(52)에 끼워진 토션스프링(54)(56)에 걸어서 탄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청소장치.
KR1020050090648A 2005-09-28 2005-09-28 관로청소장치 KR100536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648A KR100536063B1 (ko) 2005-09-28 2005-09-28 관로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0648A KR100536063B1 (ko) 2005-09-28 2005-09-28 관로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063B1 true KR100536063B1 (ko) 2005-12-12

Family

ID=3730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648A KR100536063B1 (ko) 2005-09-28 2005-09-28 관로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22B1 (ko) * 2007-02-07 2007-08-31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US11753929B2 (en) 2021-01-04 2023-09-12 Russell Nd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in-line leak detection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22B1 (ko) * 2007-02-07 2007-08-31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오수 합류식 하수관로 구조
US11753929B2 (en) 2021-01-04 2023-09-12 Russell Nd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trieving in-line leak detection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KR102055884B1 (ko) 배수 막힘 방지장치
KR20130049310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KR101574644B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CN112012320B (zh) 绳索格栅式市政自清洁排水装置
KR100536063B1 (ko) 관로청소장치
CN208578136U (zh) 一种初期雨水分离装置
CN108625451B (zh) 一种海绵城市雨水渗排结构及循环装置
CN106894500B (zh) 一种可自动净化污水清理垃圾的下水道
KR101772474B1 (ko) 하수구 맨홀 장치
KR101253329B1 (ko) 초기우수처리구조
JP7133152B2 (ja) 排水溝のゴミ収集排除装置
CN217517768U (zh) 一种市政工程排水结构
AU2005202156B1 (en) Filtration System
KR101783315B1 (ko) 초기빗물을 배제한 빗물 집수 시스템
AU2015101957A4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1218770B1 (ko)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AU2006203090A1 (en) A filtration device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KR101352456B1 (ko) 하수 차집관거용 오리피스 조절 장치
US20180112384A1 (en) Drainage treatment system
WO2020049583A1 (en) A system for removing floating debris in an open water channel
CN112012319B (zh) 转辊分拨式自清洁防堵市政排水装置
CN219848414U (zh) 用于道路污水管道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