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592B1 -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592B1
KR101068592B1 KR1020110002831A KR20110002831A KR101068592B1 KR 101068592 B1 KR101068592 B1 KR 101068592B1 KR 1020110002831 A KR1020110002831 A KR 1020110002831A KR 20110002831 A KR20110002831 A KR 20110002831A KR 101068592 B1 KR101068592 B1 KR 10106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sewage
main body
rain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순
박우찬
Original Assignee
박우찬
박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찬, 박경순 filed Critical 박우찬
Priority to KR102011000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비교적 가벼운 돌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차단판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면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 차단판이 쉽게 개방되도록 하여 우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는, 상부에 그레이팅이 장착되며 도로 또는 노상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유입되는 공간과 하수로 내의 공간을 차단시켜주며 배수구조물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측에서 바닥면을 향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결합구가 연장형성되는 연장편과; 일단부에 동일선상으로 연장형성되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연장편의 결합구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단부 걸려 경사각을 갖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집수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차단판이 개방되지 않도록 지탱하거나 상기 차단판이 개방되도록 기여하는 복원부재;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차단판에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며 내부에 통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통로부에 수용되며, 상기 차단판의 상,하방향 회동에 의해 하우징의 통로부를 왕복이동하면서 회전축과 가까워질 경우 상기 차단판의 복원력이 줄어들도록 하여 개방면적을 증가시키고, 회전축과 멀어질 경우 차단판의 복원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카운터 웨이트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Drainage Reverse Flow Preventing and Bad Smell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우수가 없는 경우에 닫혀있는 차단판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비교적 가벼운 돌멩이나 이물질로부터 차단판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하며, 우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차단판의 개방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또는 노상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물이 설치된다. 배수구조물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과 연결되어 집수된 빗물이나 오수를 하수처리장 또는 하천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배수구조물의 트인 상부에는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이라고도 불리는 격자 구조물이 설치되어 크고 거친 이물질을 걸러준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구조물은 집중호우 또는 장마시에 많은 비가 내려 하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하수의 역류를 허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역류된 하수를 도로상에 그대로 방출시켜 도로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수구조물은 내부를 따라 흐르는 오수의 악취를 그대로 역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역류된 악취는 대기 중에 방출되어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구조물의 내부에 하수 및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하수 및 악취차단장치가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하수 및 악취차단장치의 구성은 대부분 배수구조물의 입구측에 차단판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하수가 배출될 시에 하수의 흐름에 의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회전하면서 통로를 개방하도록하고, 도어에는 복귀수단을 더 설치하여 통로로 하수의 배출이 중단될 경우 도어들을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하여 하수 및 악취를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차단판이 집수되는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쉽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경우 우수가 유입되지 않더라도 비교적 가벼운 돌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차단판이 쉽게 개방되어져서 하수 및 악취가 역류된다. 이와 반대로, 차단판의 개방을 어렵게 하면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더라도 차단판의 개방면적이 크지 않아서 우수를 원활히 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비교적 가벼운 돌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차단판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면서 유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 차단판이 쉽게 개방되도록 하여 우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하수 및 악취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상부에 그레이팅이 장착되며 도로 또는 노상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유입되는 공간과 하수로 내의 공간을 차단시켜주며, 배수구조물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측에서 바닥면을 향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단부에 결합구가 연장형성되는 연장편과; 일단부에 동일선상으로 연장형성되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연장편의 결합구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의 하단부 걸려 경사각을 갖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집수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차단판이 개방되지 않도록 지탱하거나 상기 차단판이 개방되도록 기여하는 복원부재;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차단판에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며 내부에 통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통로부에 수용되며, 상기 차단판의 상,하방향 회동에 의해 하우징의 통로부를 왕복이동하면서 회전축과 가까워질 경우 상기 차단판의 복원력이 줄어들도록 하여 개방면적을 증가시키고, 회전축과 멀어질 경우 차단판의 복원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카운터 웨이트부;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는 차단판이 닫혀있거나 개방각도가 작을 경우에는 카운터 웨이트부가 회전축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멀리 위치하게 되어 차단판에 비교적 가벼운 돌멩이나 이물질 등이 떨어지더라도 차단판이 쉽게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차단할 수 있는 반면에, 본체의 내부에 유입되어 배출되는 우수의 양이 늘어나는 경우에는 카운터 웨이트부가 회전축과 가까워지면서 차단판의 개방면적이 급격하게 증가하도록 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우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적용된 차단판이 닫혀있는 경우에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의 매설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적용된 차단판이 열리는 경우에 카운터 웨이트부가 움직이는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적용된 차단판이 닫혀있는 경우에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의 매설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적용된 차단판이 열리는 경우에 카운터 웨이트부가 움직이는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는 배수구조물(50)의 내부 입구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연장편(20)과, 상기 연장편(20)에 설치되는 차단판(30) 및 상기 차단판(30)에 설치되는 복원부재(4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도로, 택지, 산업단지, 하수처리장 내에 매설되는 배수구조물(50)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연장편(20) 및 차단판(30)과 더불어 노상부분과 배수구조물(50)의 내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도로 또는 노상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나 하수가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상부 입구측에는 그레이팅(G)이 장착된다.
상기 연장편(20)은 상기 본체(10)의 입구측에서 바닥면을 향해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되며, 그 단부에 중공형상의 결합구(21)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차단판(30)은 평평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에 동일선상으로 연장형성되는 회전축(31)이 상기 연장편(20)의 결합구(21)에 축결합되므로 인해 상기 차단판(30)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타단부는 본체(10)의 하단부에 걸려 경사각을 갖는다.
상기한 차단판(30)은 그레이팅(G) 및 본체(10)의 입구측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일정량 집수됨에 따라 본체(10)의 바닥면으로 회동되어 우수를 배출하고, 우수가 배출되면 복원부재(40)를 통해 원래의 위치로 회동복원되어 악취 또는 하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복원부재(40)는 차단판(3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 연장편(20) 및 차단판(30)에 둘러싸인 공간에 집수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차단판(30)이 개방되지 않도록 강한 힘으로 지탱하거나 차단판(30)이 최대한 큰 각도로 개방되도록 기여하며, 이러한 복원부재(40)는 하우징(41)과, 카운터 웨이트부(43)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은 내부에 카운터 웨이터부(43)가 수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로부(42)가 형성된다.
상기한 하우징(41)은 차단판(30)의 일단부에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하우징(41)이 차단판(30)의 일단부에 결합되면 대략 'ㅅ'자 형상이 되고, 차단판(3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차단판(30)이 우수에 의해 본체(10)의 바닥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하우징(41)의 바닥측은 본체(10)의 입구측으로 회동되고, 이와 반대로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차단판(30)이 원래의 위치로 회동복원되면 상기 하우징(41)의 바닥측은 본체(10)의 바닥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카운터 웨이터부(43)는 상기 차단판(30)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하우징(41)의 통로부(42)를 왕복이동하는데, 만약, 차단판(30)이 닫혀있는 경우 비교적 가벼운 돌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본체(10)의 내부로 우수가 지속적으로 집수되면 차단판(30)이 쉽게 개방되도록 기여하여 우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의 작동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부(43)는 차단판(30)이 닫혀있거나 개방각도가 작을 경우에는 회전축(31)으로 부터 간격을 두고 멀리 위치되어 차단판(30)을 강한 힘으로 지탱하므로서 차단판(30)의 복원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차단판(30)에 비교적 가벼운 돌멩이나 이물질 등이 떨어지더라도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 및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G)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우수가 지속적으로 집수됨에 따라 차단판(30)의 개방각도가 점차 커질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부(43)는 통로부(42)를 따라 하우징(41)의 천정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31)과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부(43)는 차단판(30)의 복원력이 줄어들도록 하여 차단판(30)의 개방면적이 급격히 넓어지게 하므로서, 우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우수가 점차 배출되면 상기 카운터 웨이트(43)는 통로부(42)를 따라 다시 하우징(41)의 바닥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31)과 멀어지게되어 상기 차단판(30)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 지탱한다.
10 : 본체 20 : 연장편
21 : 결합구 30 : 차단판
31 : 회전축 40 : 복원부재
41 : 하우징 42 : 통로부
43 : 카운터 웨이트부 50 : 배수구조물

Claims (2)

  1. 상부에 그레이팅(G)이 장착되며 도로 또는 노상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유입되는 공간과 하수로 내의 공간을 차단시켜주며, 배수구조물(50)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입구측에서 바닥면을 향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단부에 결합구(21)가 연장형성되는 연장편(20)과;
    일단부에 동일선상으로 연장형성되는 회전축(31)을 통해 상기 연장편(20)의 결합구(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10)의 하단부 걸려 경사각을 갖는 차단판(30)과;
    상기 차단판(3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에 집수되는 우수의 양에 따라 상기 차단판(30)이 개방되지 않도록 지탱하거나 상기 차단판이 개방되도록 기여하는 복원부재(40);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40)는,
    일단부가 상기 차단판(30)에 경사각을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차단판(30)의 회동과 연동되어 회동되며 내부에 통로부(42)가 형성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의 통로부(42)에 수용되며, 상기 차단판(30)의 상,하방향 회동에 의해 하우징(41)의 통로부(42)를 왕복이동하면서 회전축(31)과 가까워질 경우 상기 차단판(30)의 복원력이 줄어들도록 하여 개방면적을 증가시키고, 회전축(31)과 멀어질 경우 차단판(30)의 복원력이 증가되도록 하여 개방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카운터 웨이트부(43);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2. 삭제
KR1020110002831A 2011-01-11 2011-01-11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KR10106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831A KR101068592B1 (ko) 2011-01-11 2011-01-11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831A KR101068592B1 (ko) 2011-01-11 2011-01-11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592B1 true KR101068592B1 (ko) 2011-09-30

Family

ID=4495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831A KR101068592B1 (ko) 2011-01-11 2011-01-11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6548A (zh) * 2013-03-29 2013-07-1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排屑防水装置和具有它的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809A (ja) * 2002-07-05 2004-02-05 Kurimoto Ltd 逆止弁装置
KR100949852B1 (ko) * 2009-07-30 2010-03-2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맨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809A (ja) * 2002-07-05 2004-02-05 Kurimoto Ltd 逆止弁装置
KR100949852B1 (ko) * 2009-07-30 2010-03-2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맨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6548A (zh) * 2013-03-29 2013-07-1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排屑防水装置和具有它的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9242B2 (en) Drain grate system and method
KR20120003026U (ko) 맨홀 악취방지 덮개
KR101111091B1 (ko) 하수구 악취방지장치
CN109082965A (zh) 一种环保型市政道路及其施工方法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20090083884A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CN103835363B (zh) 电动合流制管网截流井
KR20110111996A (ko)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CN104763037B (zh) 初期雨水弃流雨水口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1068592B1 (ko) 하수 및 악취 차단장치
KR100976348B1 (ko) 토사 침투 방지용 회전 갑문을 갖는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189539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0895422B1 (ko) 하수구의 이물진입방지 및 악취 배출방지용 맨홀덮개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50103147A (ko) 보 차도용 하수도 빗물받이
KR20180091160A (ko) 역류 방지 배수 그레이트
KR200416048Y1 (ko) 자동개폐수단을 갖는 맨홀뚜껑
KR20160050465A (ko) 도로 측대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429801Y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장치
KR100520288B1 (ko) 무게 균형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61559Y1 (ko)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