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407A -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407A
KR20180114407A KR1020170046103A KR20170046103A KR20180114407A KR 20180114407 A KR20180114407 A KR 20180114407A KR 1020170046103 A KR1020170046103 A KR 1020170046103A KR 20170046103 A KR20170046103 A KR 20170046103A KR 20180114407 A KR20180114407 A KR 20180114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water
locking
sewag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212B1 (ko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진 filed Critical 김명진
Priority to KR102017004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2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 하는 잠금부재가 일정 수위 상승시에는 해제되도록 작동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하수를 방류함으로써 침적된 침전물이나 오니를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류측 하수관거와 하류측 하수관거 사이에 형성된 맨홀에 고정결합 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부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수문과, 상기 수문 중 상류측 하수관거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홈 형태의 슬라이딩홈을 형성한 슬라이딩부와, 상기 걸림부의 걸림홈에 안착되어 결합하되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홈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부력체 축과 상기 부력체 축 사이에 형성되어 수위 상승시 부력에 의해 부유하는 부력체로 구성된 잠금부로 구성되어 있어, 수문에 수압이 발생하더라도 수문의 잠금 설정을 원활히 해제하여 오작동 없이 하수관거 내의 침전물이나 오니를 제거할 수 있고, 수문 개방 이후 수문이 최초 자리로 복귀시 수문의 잠금 설정이 쉽게 이루어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Apparatus for Washing of Sewger Sede Pipe}
본 발명은 수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 하는 잠금부재가 일정 수위 상승시에는 해제되도록 작동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하수를 방류함으로써 침전물 및 오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수를 처리함에 있어 하수배제방식의 결정이 중요하며, 이러한 배제방식의 종류로는 합류식 하수관거, 분류식 하수관거 등이 있다.
합류식 하수관거는 우수와 오수를 동일 관거 계통으로 배제하는 방식으로 우천시에는 차집관거로 일정 유량을 차집하여 처리장으로 유입시키고 그 이상은 월류시켜 방류하며 청전시에는 전량의 오수를 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분류식 하수관거는 오수와 우수를 분리하여 우수관거와 오수관거로 각각 유입시켜 배제하는 방법으로써 오수는 오수관거를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시켜 처리하고 우수는 우수관거에 의해 가까운 하천으로 방류한다.
합류식의 가장 큰 장점은 분류식보다 건설비가 적게 소요되는 반면, 우천시 월류수로 인해 하천의 수질오염이 심각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분류식은 합류식보다 건설비는 많이 소요되나 우천시에도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건설되는 신시가지, 택지개발지역 등에서는 분류식 하수관거가 채택된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시의 경우에는 합류식 하수관거에 의한 하수 배제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이러한 합류식 하수관거를 분류식 하수관거로 전환하고자 할 때는 시공여건 등이 고려되어야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도로 폭이 좁고, 차량 및 사람의 통행량이 많으며, 지하매설물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어 분류식 하수관거로의 전환시공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합류식 하수관거를 그대로 고수하고 그 대신 관거를 오수 및 우수를 원활히 배제할 수 있도록 정비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합류식 하수관거에 의한 오수 및 우수 배제방식은 1계통의 관거로 매설되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류식 하수관거보다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나, 우천시 유량을 배제할 수 있도록 설계(하수처리 용량의 3배)하기 때문에 청전시의 유량이 우천시의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청전시의 유속이 작아 슬러지 등 이물질이 관거 내에 침전하기 쉽고, 이러한 침전물은 관거 내부의 유속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관거 내부를 혐기화 하여 악취를 발생시키고, 황화수소 발생에 의한 관정부식이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류식 하수관거의 경우에도 오수관거, 우수관거의 유속저하로 인한 침전물 방지를 위한 이상적인 유속은 1.0m/s~1.8m/s이나, 현장 여건상 지표의 경사가 없어서 일정 유속 (침전방지를 위한 최저유속 : 오수 0.6m/s(계획시간 최대 오수량 기준), 우수 0.8m/s(계획우수량 기준)) 이상을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위의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시도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1679호(이하, '특허문헌 1'라 함)에서는 하수가 유출되는 하수관인 상류측 하수관과 하수가 유입되는 하류측 하수관 사이의 맨홀에 설치되는 몸체부 사이에 개폐부를 힌지결합 시켜 상기 개폐부의 돌기, 고정바와 부레 또는 고정바로 구성되는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잠금수단이 부력 또는 수압에 의해 해제되도록 함으로서 유입되는 하수관거로 부터의 하수의 유출을 상기 개폐부의 닫힘에 의해 저지하다가 상기 잠금수단의 해제로 개폐부가 열리도록 함으로서 유속에 의해 유출되는 하수관거에 침적된 슬러지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작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7104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맨홀 내에 부구와 결합한 게이트를 결합하여 수위 상승시 부구가 부력에 의해 부유할 때에 게이트를 개방하여 한번에 하류측 하수관거로 하수를 방류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허문헌 1) KR10-0731679 B1 하수관거 세척장치
(특허문헌 2) KR10-1007104 B1 무동력 하수관거 자동 세척장치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경우 맨홀 내에 설치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실용성이 낮다.
즉, 특허문헌 1은 수위 상승시 부레에 의해 개폐부의 돌기가 걸림해제 되는 방식으로 잠금 설정을 실시하게 되어 오작동이 발생할 여지가 다분하다.
또한, 회전모우멘트 형성을 위한 웨이트 역시 협소한 공간 내에 이를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워 특허문헌 1의 경우 실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특허문헌 1과는 다르게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특허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다만, 최초 수위 상승하게 되면 물막음을 하고 있는 게이트에는 하수에 의해 많은 하중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수위가 상승해 부구에 부력이 발생하였을 때에 부력보다 하수에서 발생하는 하중량이 더 클 경우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구의 크기가 커져야만 하는데 현실적으로 맨홀 내부가 좁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힘들고,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게이트의 크기를 줄이게 되면 물막음 되는 양이 적어 하류측의 하수관거 내의 이물질을 제대로 세척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는 계획된 수위에서 수문을 개방하여 하수관거의 내의 침전물 및 오니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되, 수문에 수압이 발생하더라도 수문의 잠금 설정을 원활히 해제하여 오작동 없이 하수관거 내의 침전물이나 오니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문 개방 이후 수문이 최초 자리로 복귀시 수문의 잠금 설정이 쉽게 이루어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류측 하수관거와 하류측 하수관거 사이에 배치되어 물막음을 통해 한번에 다량의 하수를 하류측 하수관거로 방류시켜 하수관거 내의 침전물이나 오니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하수관거를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수문을 이용한 물막음시 수압이 발생하더라도 수문을 잠금설정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오작동 없이 수문이 개방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수문의 개방 후 복귀시 수문을 잠금설정하기 위한 잠금부재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걸림부의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어 잠금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짐금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수문이 닫힌 상태였을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하수의 수위 상승시 잠금 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잠금부재의 잠금 해제 후 수문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수문이 최초의 자리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상류측 하수관거(1)에서 방류되는 하수를 일정량 모았다가 일정 수위가 되면 개방되어 하류측 하수관거(2)의 침전물이나 오니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하수가 방류되는 상류측 하수관거(1)와 상류측 하수관거(1)에서 방류된 하수가 이동하는 하류측 하수관거(2) 사이에 형성된 맨홀(3)에 배치된다.
우선, 몸체부(1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술한 맨홀(3) 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내측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몸체부(10)는 개구부(11)를 통해서만 상류측 하수관거(1)를 통해 하류측 하수관거(2)로 하수가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 족하다.
다음으로, 걸림부(20)는 상기 몸체부(10)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측면에 결합되며, 내측에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부(20)는 개구부(11)의 양 측면에 각 1개소씩 한쌍이 한조를 이루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수문(30)은 몸체부(10) 상단부에 힌지(H)를 형성해 이 힌지(H)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몸체부(10)의 개구부(11)를 막음처리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수문(30)은 상류측 하수관거(1)에서 방류되는 하수에 의해 개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힌지(H)를 하류측 하수관거(2)와 마주하는 면의 몸체부(10) 상단에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술한 수문(30)은 몸체부(10)의 개구부(11)의 막음처리시 상류측 하수관거(1)에서 방류되는 방향을 거스르지 않고 개방하기 위해 개구부(11) 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수문(30)은 맨홀(3)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를 유지할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 몸체부(10)의 개구부(11)를 개방하였다가 맨홀(3) 내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에는 다시 개구부(11)를 막음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절한 중량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슬라이딩부(40)는 상술한 수문(30)에 결합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홈 형태의 슬라이딩홈(4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부(40)는 상류측 하수관거(1)와 마주하는 면의 수문(30)에 결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술한 슬라이딩부(40) 설치시에는 슬라이딩홈(41)의 하측면과 걸림부(20)의 걸림홈(21)이 같은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잠금부재(50)는 상술한 걸림부(20) 및 슬라이딩부(40)에 결합하여 수문(30)의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부재(50)는 걸림부(20)에 형성된 걸림홈(21)과 슬라이딩부(40)의 슬라이딩홈(41) 중 하단부에 배치되는 부력체 축(51)이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수위상승시 부력을 형성할 수 있는 부력체(52)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맨홀(2) 내의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 잠금부재(50)의 부력체(52)에 부력이 발생하여 수문(30)의 잠금설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걸림부(20)의 일측에는 수문(30)의 개방 이후 최초 자리 복귀시 잠금부재(50)의 부력부 축(51)이 걸림부(20)의 걸림홈(21)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걸림부(20)의 걸림홈(21)은 도면에서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잠금부재(50)의 부력체 축(51) 결합 후 수압에 의해 수문(30)이 힘을 받는 상황에서 보다 수월하게 걸림홈(21)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반원호 형상,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걸림홈(21)의 크기를 부력체 축(51)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수문(30)이 수압을 받더라도 부력에 의해 잠금부재(50)가 부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잠금부재(50)는 도 4에서와같이 중공형태로 이루어진 부력체(52)의 양 측면에 나사홈을 형성한 후 부력체 축(51) 일측에 탭가공을 통해 볼트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럴 경우, 나사결합 부분을 통해 부력체(52) 내부로 하수 일부가 유입되어 일정 수위 도달시에 부력체(52)에 부력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50)의 부력체(52)에는 하나 이상의 드레인홀(52a)이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술한 드레인홀(52a)이 항상 하측방향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드레인홀(52a)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 웨이트(42b)가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잠금부재(50)를 통해 일정 수위 도달시 수문(30)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몸체부(10)의 개구부(11)를 막음처리하는 수문(30)은 수위가 낮은 상태에서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맨홀(3) 내부에 하수가 일정 수위까지 채워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문(30) 또는 수문(30)과 맞닿는 몸체부(10) 중 어느 하나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실링재가 더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상술한 몸체부(10)에 수문(30) 배치시 수문(10)과 맞닿는 면이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직각 또는 예각을 형성할 경우 수문(30)과 몸체부(10)가 맞닿지 않게 되어 맨홀(3)에 하수가 채워지지 않고 흐르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수문(30)과 맞닿는 몸체부(10)에는 경사부(12)를 더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100)는 상류측 하수관서(1)에서 하류측 하수관거(2)로 하수가 흐를 때에 이를 맨홀(3)에서 물막음 하기 위해 설치된다.
우선, 상기와 같이 맨홀(3) 내에 설치된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몸체부(10)의 개구부(11)를 수문(30)이 막음으로써 상류측 하수관거(1)와 하류측 하수관거(2)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때에, 상기 수문(30)은 잠금부재(50)에 의해 몸체부(10)에 고정되어 거동이 제한되어 있다.
즉, 상술한 잠금부재(50)는 부력이 발생하는 부력체(52)의 양 단에 부력체 축(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부력체 축(51)은 슬라이딩부(40)의 슬라이딩홈(41)의 하단부와 걸림부(20)의 걸림홈(2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잠금부재(50)가 수문(30)의 거동을 제한하는, 다시 말해, 잠금설정이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류측 하수관거(1)와 하류측 하수관거(2) 사이의 하수 흐름을 상기와 같이 제한하게 되면 맨홀(3) 내에 하수가 정체되어 수위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잠금부재(50)는 상류측 하수관거(1)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맨홀(3) 내의 하수 수위가 상승하게 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잠금부재(50)의 부력체(52)를 부유시킬 수 있을 정도로 하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부력체(52)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한 부력체(52)에 의해 걸림부(20)의 걸림홈(21)에 안착되었던 잠금부재(50)의 부력체 축(51)이 이탈하면서 수문(30)은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이때에, 상기 잠금부재(50)는 수문(30)에 형성된 슬라이딩부(4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41)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범위 내에서만 부력에 의해 가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잠금부재(30)가 부유하여 수문(30)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 7에서와 같이 맨홀(3) 내에 있던 하수의 수압에 의해 수문(30)은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몸체부(10)의 개구부(11)가 개방된다.
그러면, 맨홀(3) 내에 있던 하수가 한번에 하류측 하수관거(2)로 이동하면서 관 내의 침전물 및 오니가 하수의 수압에 의해 제거되어 하수관거의 세척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맨홀(3) 내의 하수가 한번에 하류측 하수관거(2)로 방류가 되면 수문(30)은 자중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몸체부(10)의 개구부(11)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구부(11)를 막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문(30)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부(40)의 슬라이딩홈(41)에 의해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잠금부재(50)는 맨홀(3) 내의 하수 수위 상승시에는 하수의 수위에 의해 상단부로 이동하였지만 수문(30)이 힌지(H)에 의해 회전하여 개구부(11)를 개방하는 순간 중력에 의해 다시 슬라이딩홈(41) 중 하단부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문(30)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여 개구부(11)를 막음처리 하도록 이동하는 과정에서 잠금부재(50)의 부력부 축(51)이 걸림부(20)의 걸림홈(21)으로 삽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20)의 측면에 가이드부(22)를 더 형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상술한 가이드부(22)는 걸림부(20)의 측면에 사선방향으로 절곡된 판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 걸림홈(21)과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문(30)이 중력에 의해 개구부(11) 방향으로 이동하면 수문(30)에 발생하는 운동에너지에 의해 잠금부재(50)의 부력부 축(51)이 가이드부(22)를 타고 이동하여 걸림홈(21)으로 원활히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오작동 없이 수문(30)의 개폐가 이루어져 한번에 많은 양의 하수를 방류하는 방식으로 하수관거 내의 침전물이나 오니를 제거하는 관을 세척할 수 있다.
특히, 하수 차단을 위한 수문(30)의 잠금을 부력체를 이용하되 수문(30)에 수압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안하여 수위 상승시에도 잠금부재(50)가 부유할 수 있도록 걸림부(20)를 구성고, 수문(30)이 최초의 자리 복귀시에도 잠금부재(50)가 수문(30)을 원활히 잠금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여 오작동 없는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임을 명시한다.
1 : 상류측 하수관거 2 : 하류측 하수관거 3 : 맨홀
10 : 몸체부
11 : 개구부 H : 힌지 12 : 경사부
20 : 걸림부
21 : 걸림홈 22 : 가이드부
30 : 수문
40 : 슬라이딩부
41 : 슬라이딩홈
50 : 잠금부재
51 : 부력체 축 52 : 부력체 52a : 드레인홀 52b : 웨이트
100 :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Claims (5)

  1. 상류측 하수관거(1)와 하류측 하수관거(2) 사이에 형성된 맨홀(3)에 고정결합 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있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부(11)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걸림부(20);
    상기 몸체부(10)의 상단부의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부(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수문(30);
    상기 수문(30) 중 상류측 하수관거(1)와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며 내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홈 형태의 슬라이딩홈(41)을 형성한 슬라이딩부(40);
    상기 걸림부(20)의 걸림홈(21)에 안착되어 결합하되 슬라이딩부(40)의 슬라이딩홈(41) 내에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부력체 축(51)과 상기 부력체 축(51) 사이에 형성되어 수위 상승시 부력에 의해 부유하는 부력체(52)로 구성된 잠금부(50);로 이루어져 있어,
    평상시에는 걸림부(20)의 걸림홈(21)에 잠금부(50)의 부력체 축(51)이 결합되어 수문(30)의 거동을 제한하다가 상류측 하수관거(1)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에 의해 맨홀(3)의 수위가 상승할 때에 잠금부재(50)가 상승하여 수문(30)의 거동 제한을 해제해 상류측 하수관거(1)에서 유입되는 하수에 의해 수문(30)이 개방되어 한번에 많은 양의 하수가 하류측 하수관거(2)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 중 수문(30)과 맞닿는 면은 중력에 의해 수문(30)이 전도된 상태일 때에 몸체부(1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사부(12)를 형성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0)에는 수문(30)의 개방 이후 몸체부(10)의 개구부(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잠금부재(50)가 걸림부(20)의 걸림홈(2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잠금부재(50)의 부력체 축(51)을 유도하는 가이드부(22)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50)의 부력체(52)에는 하나 이상의 드레인홀(52a)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50)의 부력체(52)에는 드레인홀(52a)이 항상 하측방향에 배치되도록 드레인홀(52a)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 웨이트(42b)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KR1020170046103A 2017-04-10 2017-04-10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KR10196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03A KR101969212B1 (ko) 2017-04-10 2017-04-10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103A KR101969212B1 (ko) 2017-04-10 2017-04-10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07A true KR20180114407A (ko) 2018-10-18
KR101969212B1 KR101969212B1 (ko) 2019-04-15

Family

ID=6413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03A KR101969212B1 (ko) 2017-04-10 2017-04-10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2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679B1 (ko) * 2006-09-14 2007-06-22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하수관거 세척장치
KR20080107831A (ko) * 2007-06-08 2008-12-11 김성혜 수로 수문
KR101224119B1 (ko) * 2012-07-27 2013-01-21 (주)조화엔지니어링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679B1 (ko) * 2006-09-14 2007-06-22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하수관거 세척장치
KR20080107831A (ko) * 2007-06-08 2008-12-11 김성혜 수로 수문
KR101224119B1 (ko) * 2012-07-27 2013-01-21 (주)조화엔지니어링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212B1 (ko) 201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2887A (ko) 무동력 역류 방지장치
CN103835363B (zh) 电动合流制管网截流井
KR102035183B1 (ko)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US6955756B2 (en) Storm drain movable baffle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CN108505614A (zh) 一种下水管道自动清洗装置
KR101224119B1 (ko) 무동력으로 작동하는 암거 수문
JP6132141B2 (ja) 下水・雨水切換型貯留施設
KR101969212B1 (ko) 하수관거의 침전물 및 오니 세척장치
KR101007019B1 (ko)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속여과장치
KR20120040805A (ko) 맨홀의 하수역류 방지장치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CN109113169A (zh) 排水管道自动冲洗装置
KR200166989Y1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CN210482518U (zh) 一种预制式截流闸
KR100731679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CN209686557U (zh) 一种具有拦渣功能的截流井
KR200218278Y1 (ko)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WO1988008471A1 (en) Back flow blocker in sloping pipes
JP5514481B2 (ja) 逆流防止構造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200427611Y1 (ko) 자동비를 갖는 상하수도용 수문장치
KR101380889B1 (ko) 월류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