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632B1 -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 Google Patents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632B1
KR100710632B1 KR1020060033054A KR20060033054A KR100710632B1 KR 100710632 B1 KR100710632 B1 KR 100710632B1 KR 1020060033054 A KR1020060033054 A KR 1020060033054A KR 20060033054 A KR20060033054 A KR 20060033054A KR 100710632 B1 KR100710632 B1 KR 100710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wage
plate
eccentric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김윤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김윤남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06003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개구부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에 편심개구판이 힌지에 의하여 개구부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오수유도체의 경사플랜지의 바깥쪽에서 편심개구판의 힌지가 유동가능하도록 하여, 편심개구판의 힌지로의 오수 유입을 막아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에 의한 편심개구판의 힌지의 부세 및 복원 작동의 방해 요인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편심개구판의 바깥쪽에 역류유도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오수의 역류시 편심개구판이 열려 오수의 역류를 유도할 수 있는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배수구의 개구부에 개폐판이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오수유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바깥쪽에 역류유도판(330)이 형성되고, 상기 역류유도판(330)의 안쪽의 수직면(310)에 대하여 둔각으로 경사진 구배면(320)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310)과 구배면(320)의 양쪽 끝단을 폐쇄하는 마구리(200)들이 일체로 형성된 편심개구판(300)을 형성하여,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120)에 상기 편심개구판(300)의 마구리(200)들이 힌지(400)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30)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120) 바깥쪽에 서로 대향하게 편심개구판(300)들의 마구리(200)들이 각 힌지(400)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30)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설치되어, 상 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심개구판(300)들의 구배면(320)에 연장하여 구배면끝단연장면(340)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는 편심개구판(300)이 상기 구배면끝단연장면(340)과 마구리(200)의 마구리수직면(210)들이 서로 맞닿아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심개구판(300)의 수직면(310)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경사플랜지(120) 바깥면에 접촉되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오수유도체, 편심개구판, 구배면, 역류유도판, 힌지, 구배면끝단연장면, 마구리수직면, 경사플랜지

Description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A soil waste induction machine of drain hall}
도 1 은 본 발명의 배수구, 오수유도체 및 그레이팅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오수유도체의 분리 사시도,
도 3a,b 는 본 발명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에 편심개구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a,b 는 본 발명의 경사진 배수구에 장착한 오수유도체에 편심개구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다른 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구 11 : 플랜지턱
20 : 그레이팅 100 : 오수유도체
110 : 고정플랜지 120 : 경사플랜지
140 : 힌지구멍 200 : 마구리
210 : 마구리수직면 220 : 마구리수평면
230 : 마구리구배면 240 : 힌지구멍
300 : 편심개구판 310 : 수직면
320 : 구배면 330 : 역류유도판
340 : 구배면끝단연장면 400 : 힌지
본 발명은 생활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통하는 배수구에 빗물 등의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개구부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에 편심개구판이 힌지에 의하여 개구부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오수유도체의 경사플랜지의 바깥쪽에서 편심개구판의 힌지가 유동가능하도록 하여, 편심개구판의 힌지로의 오수 유입을 막아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에 의한 편심개구판의 힌지의 부세 및 복원 작동의 방해 요인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편심개구판의 바깥쪽에 역류유도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오수의 역류시 편심개구판이 열려 오수의 역류를 유도할 수 있는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 등은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며, 하수관에는 빗물 등의 오수 및 건수가 유입될 수 있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생활하수와 빗물이 함께 배수관을 통하여 정수로 또는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수관에 배수구의 형성은 빗물 등의 건수가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 도록 설치하고 있는데,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생활하수는 오수이어서 악취가 심하며, 이 악취는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냄새가 역류하게 되어 배수구의 근처만 가도 악취가 심하다. 따라서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포대 등을 배수구의 그레이팅 위에 덮어씌우기도 하나, 갑자기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비닐포대가 빗물의 배수구를 막게되어 오히려 빗물의 배출을 방해하여 빗물로 인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의 배수구에 장착하여 악취발생과 빗물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오수유도체들이 제안되고 있다.
대체로, 배수구의 그레이팅의 아래에 빗물이 유입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개폐판이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 등의 건수가 배수구로 유입되면 개폐판이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낙하하여 개폐판이 열려 빗물 등의 건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빗물 등의 건수가 배수구로 유입되어 개폐판을 밀어내는 자연낙하의 운동에너지의 발생으로 개폐판을 개구시키는 것이어서 건수 등의 배출은 무리가 없다. 또한 건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 개폐판이 원래의 상태로 유지하여 배구수내의 악취 등이 외부로 배출될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건수 등의 자연낙하의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개폐되는 개폐판이 건수의 배출이 없는 경우, 개폐판이 개구부를 막아야 한다.
그런데, 개폐판이 하향 이동한 상태에서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탄성복원 수단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그렇치 않으면 자연낙하 상태의 개폐판 을 복원되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것은 개폐판이 개구부를 긴밀하게 막지 못하여 배수구의 악취의 역류를 전혀 막을 수 없다.
따라서, 개폐판의 원상태로의 복원을 위하여 개폐판에 탄성 복원수단을 구비하는 데에 따르는 장치의 설계와 부품의 수용 등에 따르는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복원수단을 구비한다하여도 장기간사용으로 인한 탄성복원 수단의 부세력의 약화와 노화 등으로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판이 빗물 등의 건수에 의하여 하향 이동하도록 하고 빗물이 역류하는 경우에 반대로 개폐판이 개구부를 폐쇄하여 배수구의 그레이팅 위쪽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개폐판에 의하여 역류를 막는 것은 오히려 개폐판의 힌지부분에 무리한 피로를 주어 개폐판의 기능의 상실은 물론 훼손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오수유도체에 편심개구판의 형성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둔각의 구배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구배면의 양쪽 끝단을 마구리로 폐쇄하여, 상기 마구리가 오수유도체의 경사플랜지의 바깥쪽에서 힌지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편심개구판의 마구리의 힌지가 오수유도체의 경사플랜지에서 상기 편심개구판이 오수유도체의 개구부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여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는 편심위치에 설치함으로서, 오수 및 건수의 유입이 없을 때는 편심개구판이 오수유도체의 개구 부를 폐쇄하도록 하여, 하수구의 악취가 지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유도체의 경사플랜지의 바깥쪽에서 편심개구판의 힌지가 유동가능하도록 하여, 오수유도체의 편심개구판의 힌지부위로의 오수의 낙하를 최소화하여 오수의 이물질이 힌지부위에 끼여들어 편심개구판의 작동을 저해하는 요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수구의 개구부에 개폐판이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오수유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바깥쪽에 역류유도판이 형성되고, 상기 역류유도판의 안쪽의 수직면에 대하여 둔각으로 경사진 구배면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과 구배면의 양쪽 끝단을 폐쇄하는 마구리들이 일체로 형성된 편심개구판을 형성하여, 오수유도체의 개구부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에 상기 편심개구판의 마구리들이 힌지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오수유도체의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수유도체의 개구부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 바깥쪽에 서로 대향하게 편심개구판들의 마구리들이 각 힌지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오수유도체의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심개구판들의 구배면에 연장하여 구배면끝단연장면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는 편심개구판이 상기 구배면끝단연장면과 마구리의 마구리수직면들이 서로 맞닿아 상기 오수유도체의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심개구판의 수직면이 상기 오수유도체의 개구부 의 경사플랜지 바깥면에 접촉되어, 상기 오수유도체의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배수구, 오수유도체 및 그레이팅의 분리 사시도이고, 또한 도 2 는 본 발명의 오수유도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또한 도 3a,b 는 본 발명의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에 편심개구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또한 도 4a,b 는 본 발명의 경사진 배수구에 장착한 오수유도체에 편심개구판의 개폐예를 나타내는 다른 예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오수유도체는 배수구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되는데, 일정깊이의 배수구(10)내의 플랜지턱(11)에 오수유도체(100)가 얹히고 또한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위에 스틸그레이팅(20)이 얹여진다.
상기 스틸그레이팅은 대략 장,정방형상의 사각형의 스틸그레이팅의 내측에 다수의 아이바들에 크로스바들이 용접되어 고정하도록 되고, 또한 아이바 및 크로스바의 마구리부분에 마구리바 등이 용접되어 하나의 스틸그레이팅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오수유도체(100)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의 플랜지턱(11)에 얹혀 고정되는 고정플랜지(11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아래쪽 사방으로 경사진 경사플랜지(120)와 수직플랜지(121)가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오수유도체(100)의 중앙에 장방형상의 개구부(130)를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플랜지(121)의 바깥에 본 발명의 편심개구판(300)이 힌지(400)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오수유도체(100)의 편심개구판(300)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바깥쪽에 일정폭을 가지는 역류유도판(330)이 형성되고, 상기 역류유도판(330)의 안쪽의 수직면(310)에 대하여 둔각으로 경사진 구배면(320)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310)과 구배면(320)의 양쪽 끝단을 폐쇄하는 마구리(200)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마구리(200)는 수직방향으로 마구리수직면(21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마구리수직면(210)에 대하여 직각으로 마구리수평면(22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마구리수직면(210)과 마구리수평면(220)의 사이에 상기 구배면(320)과 같은 구배의 마구리구배면(230)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개구판(300)의 마구리(200)는 그레이팅(20)으로부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로 유입되는 오수나 건수를 오수유도체(100)의 경사플랜지(120) 안쪽으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편심개구판(300)의 마구리(200)들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수직플랜지(121)에 힌지(400)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마구리(200)들에 힌지구멍(240)들이 뚫려 있고, 또한 오수유도체(100)의 수직플랜지(121)에 힌지구멍(140)을 뚫어 상기 힌지구멍(140,240)들에 힌지(400)가 관통되어 유지하도록 하여, 결국 편심개구판(300)이 오수유도체(100)의 수직플랜지(121)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힌지(400)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수직플랜지(121)에서 편심개구판(300)이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직면(310)에 대하여 둔각으로 경사진 구배면(3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편심개구판(300)의 양쪽 마구리(200)가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경사플랜지(120)의 바깥쪽에서 힌지(400)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30)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장착되어, 도 3a 및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편심개구판(300)의 양쪽 마구리(200)가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경사플랜지(120)의 바깥쪽에서 각각의 힌지(400)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개구판(300)내로 유입되는 오수나 건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힌지에 끼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도 3a 및 도 4a와 같이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120) 바깥쪽에 서로 대향하게 편심개구판(300)들의 마구리(200)들이 각 힌지(400)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30)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편심개구판(300)의 양쪽 마구리(200)가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경사플랜지(120)의 바깥쪽에서 힌지(400)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서의 편심개구판(300)의 역류유도판(330), 구배면(320) 및 마구리(200)들의 무게 중심을 감안하여 편심개구판(300)들이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하는 방향, 즉 개구부의 중심방향으로 부세하는 위치에, 편심개구판(300)이 오수유도체(100)의 경사플랜지(120)의 바깥쪽에서 힌지(400)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장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수직플랜지(121)에 편심개구판(300)들의 마구리수평면(220)이 접촉되고, 또한 상기 개구부(130)의 경사플랜지(120)에 편심개구판(300)들의 수직면(310)이 접촉되어, 결국 편심개구판(300)들이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빗물 등의 건수가 개구부(130)에 유입되게 되면, 개구부(130)에서 편심개구판(300)들의 구배면(320)에 낙하하며, 구배면(320)의 빗물 등의 오수의 량이 많아지면, 앞서 설명한 편심개구판(300)들의 부세력을 이겨서 도 3b와 같이 편심개구판(300)들을 힌지(400)를 중심으로 회동시키어 오수유도체(100)에 유입된 빗물이나 건수를 배수구(10)로 배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편심개구판(300)들을 통하여 빗물 등의 오수가 빠져나간 후에는 편심개구판(300)들은 복원 부세력에 의하여 도 3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편심개구판(300)들의 구배면(320)에 연장하여 구배면끝단연장면(340)이 형성되어, 도 3a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편심개구판(300)이 상기 구배면끝단연장면(340)과 마구리(200)의 마구리수직면(210)들이 서로 맞닿아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편심개구판(300)의 위쪽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개구판(300)의 수직면(310)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경사플랜지(120) 바깥면에 접촉되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배면끝단연장면(340)의 형성은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편심개구판(300)들이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수직플랜지(121)에 힌지(400)에 의하여 유동가능하게 대향되게 형성되어, 편심개구판(300)들의 구배면(320)의 구배면끝단연장면(340)들과 마구리수직면(210)들이 서로 맞닿아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에서 배수구(10)가 경사져 내설되더라도, 편심개구판(300)들의 구배면끝단연장면(340)들에 의하여 상호 접촉면을 보상하여 편심개구판(300)간의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여 하수구의 악취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개구판(300)의 바깥에 일정폭의 역류유도판(3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장마철과 같이 오수 및 건수가 배수구(10)의 위로 넘쳐흐르는 경우, 역류유도판(330)쪽이 들어올려져 편심개구판(300)들을 열어 물을 밖으로 역류하도록 유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수구에 장착되는 오수유도체의 개구부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에 편심개구판이 힌지에 의하여 개구부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오수유도체의 경사플랜지의 바깥쪽에서 편심개구판의 힌지가 유동가능하도록 하여, 편심개구판의 힌지로의 오수 유입을 막아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에 의한 편심개구판의 힌지의 부세 및 복원 작동의 방해 요인들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편심개구판의 바깥쪽에 역류유도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배수구의 오수의 역류시 편심개구판이 열려 오수의 역류를 유도할 수 있다.

Claims (4)

  1. 배수구의 개구부에 개폐판이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는 오수유도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바깥쪽에 역류유도판(330)이 형성되고, 상기 역류유도판(330)의 안쪽의 수직면(310)에 대하여 둔각으로 경사진 구배면(320)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310)과 구배면(320)의 양쪽 끝단을 폐쇄하는 마구리(200)들이 일체로 형성된 편심개구판(300)을 형성하여,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120)에 상기 편심개구판(300)의 마구리(200)들이 힌지(400)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30)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설치하여서,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 수직방향의 경사플랜지(120) 바깥쪽에 서로 대향하게 편심개구판(300)들의 마구리(200)들이 각 힌지(400)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30)의 중심축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개구판(300)들의 구배면(320)에 연장하여 구배면끝단연장면(340)이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는 편심개구판(300)이 상기 구배면끝단연장면(340)과 마구리(200)의 마구리수직면(210)들이 서로 맞닿아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개구판(300)의 수직면(310)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의 경사플랜지(120) 바깥면에 접촉되어, 상기 오수유도체(100)의 개구부(130)를 폐쇄 유지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KR1020060033054A 2006-04-12 2006-04-12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KR100710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54A KR100710632B1 (ko) 2006-04-12 2006-04-12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54A KR100710632B1 (ko) 2006-04-12 2006-04-12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632B1 true KR100710632B1 (ko) 2007-04-24

Family

ID=3818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054A KR100710632B1 (ko) 2006-04-12 2006-04-12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3044A (zh) * 2015-04-16 2015-07-08 刁庆方 一种应用于流体横向排放系统的密封器及其横排水地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704A (ja) 2000-10-25 2002-07-19 Sokun Imoto 排水桝
JP2003268868A (ja) 2002-03-19 2003-09-25 Sokun Imoto 排水管の防虫防臭装置
KR200372205Y1 (ko) 2004-09-16 2005-01-10 김성찬 악취 역류방지 장치
KR100562712B1 (ko) 2005-12-09 2006-03-23 김동영 악취방지용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704A (ja) 2000-10-25 2002-07-19 Sokun Imoto 排水桝
JP2003268868A (ja) 2002-03-19 2003-09-25 Sokun Imoto 排水管の防虫防臭装置
KR200372205Y1 (ko) 2004-09-16 2005-01-10 김성찬 악취 역류방지 장치
KR100562712B1 (ko) 2005-12-09 2006-03-23 김동영 악취방지용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3044A (zh) * 2015-04-16 2015-07-08 刁庆方 一种应用于流体横向排放系统的密封器及其横排水地漏
CN104763044B (zh) * 2015-04-16 2016-10-26 刁庆方 一种应用于流体横向排放系统的密封器及其横排水地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873B1 (ko)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101295818B1 (ko) 잡물 유입방지용 맨홀덮개
KR20130045091A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200398817Y1 (ko) 배수구의 오수유도체의 구조
KR100710632B1 (ko)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KR101067610B1 (ko) 힌지형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0741695B1 (ko) 하수도 집수정의 악취차단장치
KR20080006537U (ko)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KR20120090625A (ko) 맨홀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110025595A (ko) 개폐식 배수구 덮개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130024339A (ko) 우수 맨홀 커버
KR100801979B1 (ko) 그레이팅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0166989Y1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JP2004150171A (ja) 排水トラップ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20120003412U (ko) 배수 트랩
KR100994472B1 (ko) 개방상태가 조절되는 트렌치커버
KR101758362B1 (ko) 하수도관의 친환경 악취제거 장치
KR102067555B1 (ko)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함이 구비된 냄새차단이 가능한 그레이팅
KR100826869B1 (ko) 역류시 동작 가능한 배수구 개폐장치
KR102631639B1 (ko) 하수 악취 차단장치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