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639B1 - 하수 악취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 악취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639B1
KR102631639B1 KR1020230113625A KR20230113625A KR102631639B1 KR 102631639 B1 KR102631639 B1 KR 102631639B1 KR 1020230113625 A KR1020230113625 A KR 1020230113625A KR 20230113625 A KR20230113625 A KR 20230113625A KR 102631639 B1 KR102631639 B1 KR 102631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wage
drain
size
clos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박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준 filed Critical 박성준
Priority to KR1020230113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악취 차단장치는, 양측에 경사면이 대칭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마다 제1 개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1 개구를 각각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며, 설치면의 크기에 맞게 가장자리가 부분 절개되도록 구비되는 크기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가에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되, 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마다 개폐 덮개부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빗물이나 오수 등의 유입시 개방되면서 하수구로 유입되게 하고, 그 후 자중에 의해 폐쇄되면서 하수의 악취나 가스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하수 범람시 일측 개폐 덮개부에 형성된 변형판이 변형되면서 하수가 몸체부로 역류하도록 하여 몸체부 상승에 따른 그레이팅이 연동되면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고, 크기 조절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홈을 배수구의 걸림턱 면적에 맞게 절개하여 배수구의 걸림턱 사이즈가 약간 차이가 나거나 제조사 별로 사이즈가 다를 수 있는 배수구의 크기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며, 몸체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배수구에 결합 또는 분리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 악취 차단장치 {SEWERAGE STINK BLOCK APPARATUS}
본 발명은 하수 악취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가에 형성된 배수구의 그레이팅 하부에 설치되어 하수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가나 일반 주택가의 인도가에는 빗물이나 각 가정 및 공장 등에서 나오는 오수가 배출되는 지하 하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하 하수로를 따라 지면상에는 일정간격으로 지하 하수로로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구에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한 이동과 각종 이물이 배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구 덮개('그레이팅' 이라 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 덮개의 하부에는 지하 하수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과 함께 각종 쓰레기들이 배수구를 통해 하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악취방지용 차단장치가 설치된다.
이렇게, 악취방지용 차단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6-0068164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하수의 유입이 없을 경우 자중에 의해 스윙작동판을 상승작동되면서 밀폐되므로 하수구가 범람할 때 부력에 의해 부상하는 악취방지용 차단장치에 의해 그레이팅이 상승하여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68164호(2016.06.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몸체부의 양측에 개폐 가능한 개폐 덮개부가 구비되면서 일측 개폐 덮개부에 하수구 범람시 개방되는 변형판에 의해 하수가 반대로 역류를 하도록 하여 그레이팅이 상승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 가능한 하수 악취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 악취 차단장치는, 양측에 경사면이 대칭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마다 제1 개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1 개구를 각각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며, 설치면의 크기에 맞게 가장자리가 부분 절개되도록 구비되는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크기 조절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면적이 다르도록 복수의 절개홈이 교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 함몰 형성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덮개부 중 적어도 일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개구의 일측에 수압이나 하수구 가스에 의해 개방되도록 변형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변형판은 상단이 상기 제2 개구의 상측에 고정되도록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가에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되, 몸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마다 개폐 덮개부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빗물이나 오수 등의 유입시 개방되면서 하수구로 유입되게 하고, 그 후 자중에 의해 폐쇄되면서 하수의 악취나 가스 등의 유입을 차단하고, 하수 범람시 일측 개폐 덮개부에 형성된 변형판이 변형되면서 하수가 몸체부로 역류하도록 하여 몸체부 상승에 따른 그레이팅이 연동되면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고, 크기 조절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홈을 배수구의 걸림턱 면적에 맞게 절개하여 배수구의 걸림턱 사이즈가 약간 차이가 나거나 제조사 별로 사이즈가 다를 수 있는 배수구의 크기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며, 몸체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배수구에 결합 또는 분리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에서 개폐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에서 변형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 악취 차단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에서 개폐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에서 변형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수 악취 차단장치(100)는 몸체부(110), 개폐 덮개부(120) 및 크기 조절부(130)를 포함하며, 도로의 배수구(10)에 설치되어 하수 또는 하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장치이다.
몸체부(1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배수구(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양측에 경사면(112)이 대칭 형성되고, 경사면(112)의 상부에 함몰에 의한 손잡이(114)가 형성되며, 측방향인 경사면(112)의 하부마다 제1 개구(116)가 각각 형성된다.
경사면(112)은 물이나 오수 등의 유입 방향을 안내한다.
손잡이(114)는 작업자가 하수 악취 차단장치(100)를 배수구(10)에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개구(116)의 양측 상단에 결속고리(118)가 형성되어 결속고리(118)에 개폐 덮개부(120)의 상측 양단에 형성된 결속돌기(122)가 결속된다. 이렇게, 결속고리(118)에 결속돌기(122)가 결속되면서 개폐 덮개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몸체부(110)는 측면에서 봤을 때 제1 개구(116)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자중에 의한 개폐 덮개부(120)의 폐쇄 방향인 하방향 회전시 내면이 제1 개구(116)에 밀착된다.
개폐 덮개부(1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제1 개구(116)를 각각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단 양측에 결속돌기(122)가 형성되고, 일측에 제2 개구(124)가 형성된다. 이때, 제2 개구(124)는 양측 개폐 덮개부(120) 중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 덮개부(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타측 개폐 덮개부(120)에도 형성 가능하다.
더욱이, 개폐 덮개부(120)는 상단이 제1 개구(116)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몸체부(110)에 물이나 오수 등이 유입되면 상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개구(116)가 개방되어 배수구(10) 내부로 이동되게 하고, 물이나 오수 등의 유입이 종료되면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개구(116)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개폐 덮개부(120)는 제2 개구(124)를 개폐하도록 수압이나 하수구 가스에 의해 개방되도록 변형판(128)이 구비된다. 즉, 변형판(128)은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구비되며, 제2 개구(124)의 상측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126a) 및 복수의 돌기(126a)의 사이에 형성된 체결돌기(126b)에 고정되도록 복수의 체결홀(128a)과 복수의 체결홀(128a)의 사이에 형성된 나사 체결홀(128b)을 포함한다.
이때, 체결돌기(126b)는 중심에 나선홀이 형성되어 변형판(128)의 나사 체결홀(128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S)로 체결하여 변형판(128)의 상단을 제1 개구(116) 상측에 고정 가능하다.
크기 조절부(1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몸체부(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설치면인 배수구(1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1) 크기에 맞게 가장자리가 부분 절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크기 조절부(130)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 등으로 형성된다.
즉, 크기 조절부(130)는 가장자리를 따라 면적이 다르도록 복수의 절개홈(132)이 다단의 수직방향과 다단의 수평방향으로 교차 형성되어, 걸림턱(11)의 면적에 맞게 절개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걸림턱(11)의 면적이 작은 경우 절개홈(132)을 통해 가장자리를 네 변 또는 일부 변을 절개하여 걸림턱(11)의 면적에 맞추게 된다.
더욱이, 크기 조절부(130)는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홈(134)이 형성되어 홈(134)에 몸체부(110)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단부(111)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악취 차단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빗물이나 오수 등이 도로의 배수구(10)에 설치된 몸체부(110)의 내부로 유입되면 양측의 개폐 덮개부(120)가 개방되면서 하수구로 유입되며, 유입 완료 시 개폐 덮개부(120)가 자중에 의해 폐쇄되므로 하수도의 악취나 발생가스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몸체부(1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개구(116)의 상측 결속고리(118)에 개폐 덮개부(120)의 상측 양단에 형성된 결속돌기(122)가 결속되면서 개폐 덮개부(12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하수 악취 차단장치(100)의 설치시 배수구(10)의 걸림턱(11)의 면적이 작은 경우 크기 조절부(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개홈(132)을 걸림턱(11)의 면적에 맞게 절개하여 사이즈가 약간 차이가 나거나 제조사 별로 사이즈가 다를 수 있는 배수구(10)의 크기에 맞게 능동적으로 대체 가능하다.
그리고 폭우 등에 의해 하수가 범람하게 되면 일측에 구비된 개폐 덮개부(120)에 형성된 변형판(128)의 변형에 의해 제2 개구(124)가 일부 개방되면서 하수가 몸체부(110)로 역류하도록 하여 수면 높이 상승에 의한 부력에 의해 몸체부(110)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그레이팅(20)의 상승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다. 그 후, 하수의 범람 중지시 변형판(128)이 복원력에 의해 제2 개구(124)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하수 악취 차단장치(100)의 유지보수 등의 이유로 배수구(10)의 걸림턱(11)에서 분리하거나 재장착하는 경우 작업자가 몸체부(110)의 경사면(112)에 형성된 손잡이(114)를 잡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상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들은 서로 간에 명백하게 구현의 측면에서 배척되는 조합이 아닌 이상 위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기타 가능한 다양한 변경조합의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10: 배수구 11: 걸림턱
100: 하수 악취 차단장치 110: 몸체부
120: 개폐 덮개부 130: 크기 조절부

Claims (5)

  1. 양측에 경사면이 대칭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하부마다 제1 개구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1 개구를 각각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며, 설치면의 크기에 맞게 가장자리가 부분 절개되도록 구비되는 크기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기 조절부는 가장자리를 따라 면적이 다르도록 복수의 절개홈이 교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 차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함몰 형성된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덮개부 중 적어도 일측에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2 개구의 일측에 수압이나 하수구 가스에 의해 개방되도록 변형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 차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판은 상단이 상기 제2 개구의 상측에 고정되도록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악취 차단장치.
KR1020230113625A 2023-08-29 2023-08-29 하수 악취 차단장치 KR102631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625A KR102631639B1 (ko) 2023-08-29 2023-08-29 하수 악취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625A KR102631639B1 (ko) 2023-08-29 2023-08-29 하수 악취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639B1 true KR102631639B1 (ko) 2024-01-30

Family

ID=8971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625A KR102631639B1 (ko) 2023-08-29 2023-08-29 하수 악취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6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79B1 (ko) * 2013-04-11 2013-09-25 (주)맵시전자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160068164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기산 하수악취 차단장치
KR20170060748A (ko) * 2015-11-25 2017-06-02 이광현 악취차단 및 오물 거름 기능이 구비된 맨홀커버
KR102474996B1 (ko) * 2022-04-15 2022-12-06 손봉만 악취 차단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379B1 (ko) * 2013-04-11 2013-09-25 (주)맵시전자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160068164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기산 하수악취 차단장치
KR20170060748A (ko) * 2015-11-25 2017-06-02 이광현 악취차단 및 오물 거름 기능이 구비된 맨홀커버
KR102474996B1 (ko) * 2022-04-15 2022-12-06 손봉만 악취 차단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6316A1 (en) Manhole with Locking Device
US9290968B2 (en) Locking mechanism for a cover
KR20080046086A (ko) S자형상의 힌지결합구조를 갖는 맨홀 조립체
KR101998353B1 (ko) 오물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102262405B1 (ko) 우수 배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0500132B1 (ko) 악취방지용 위생덮개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KR102631639B1 (ko) 하수 악취 차단장치
KR100761560B1 (ko) 하수구 맨홀용 악취차단 부재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715225B1 (ko) 도로의 역류방지용 배수박스
KR101215995B1 (ko) 오수 및 우수의 배수시스템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050081903A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399178Y1 (ko) 맨홀의 높이조절링
KR100807073B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구
KR100675583B1 (ko) 하수 역류 방지장치
KR100710632B1 (ko) 배수구의 편심개구판을 가지는 오수유도체
KR102067555B1 (ko)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함이 구비된 냄새차단이 가능한 그레이팅
KR20100010988U (ko) 맨홀 악취차단 및 역류허용 장치
KR101758362B1 (ko) 하수도관의 친환경 악취제거 장치
KR100556297B1 (ko) 조립형 프레임을 이용한 맨홀 장치
KR102578893B1 (ko) 배수구용 보조 덮개 및 주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