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413B1 -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413B1
KR102589413B1 KR1020220171361A KR20220171361A KR102589413B1 KR 102589413 B1 KR102589413 B1 KR 102589413B1 KR 1020220171361 A KR1020220171361 A KR 1020220171361A KR 20220171361 A KR20220171361 A KR 20220171361A KR 102589413 B1 KR102589413 B1 KR 10258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installation
support
side wall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은 filed Critical 김정은
Priority to KR102022017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내 디바이스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 입구의 측벽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100); 및 상기 디바이스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0)는 일단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길이 조절구(120)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200)에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결합홈(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Auxiliary Equipment for Installing Device in Manhole}
본 발명은 악취 차단 장치 등을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맨홀 내에 설치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맨홀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인도에는 빗물 또는 오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지하에 하수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로를 따라 지면 상에는 빗물 또는 오수를 하수로로 보내기 위한 배수구가 설치된다. 배수구에는 보행자나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하수로 내로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 덮개(grating)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구 덮개의 하부에는 하수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해충이 배수구를 통해 지상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악취 방지용 덮개가 별도로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하수 악취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특허문헌 1 참조),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수부와 구별되는 별도의 역류부를 형성함으로써, 역류 발생시 효과적으로 역류를 배수구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악취 차단 장치가 시장에서 출시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악취 차단 장치는 배수구에 직접 설치된다.
하수로에는 일정 간격으로 작업자가 점검 등을 위하여 하수로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맨홀 구조물이 형성된다. 맨홀 구조물의 상단에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맨홀 입구(10)에는 맨홀 뚜껑(20)이 덮여서 지상에서 보행자 또는 차량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맨홀 입구(10)를 통해서도 하수도의 악취가 지상으로 올라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맨홀 뚜껑(20)은 차량 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하여 소정의 내구성을 가지도록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맨홀 뚜껑(20) 자체에 악취 차단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맨홀 뚜껑(20)으로 인하여 맨홀 내에 악취 차단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위치를 잡는 것이 쉽지 아니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75240호 (공고일: 2020.11.06.) 등록특허공보 제10-1291612호 (공고일: 2013.08.01.) 등록특허공보 제10-1289025호 (공고일: 2013.07.2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맨홀 입구 부분에 악취 차단 장치와 같은 디바이스를 손쉽게 설치 또는 탈거하여 작업자가 쉽게 맨홀 입구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맨홀 내 디바이스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 입구의 측벽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100); 및 상기 디바이스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0)는 일단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길이 조절구(120)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200)에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결합홈(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200)는 상기 디바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평판형의 설치부 몸체(210) 및 상기 설치부 몸체(210)의 외주변에 형성된 측벽부(25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의 종단에는 상기 맨홀 입구(10)의 측벽과 맞닿는 부착판(13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230)은 상기 측벽부(250)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수평홈(230a) 및 상기 수평홈(230a)과 연결된 수직홈(230b)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홈(230b)의 종단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 레그(110)가 상기 수직홈(23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부(2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 레그(110)가 상기 수평홈(230a)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설치부(200)와 상기 지지부(10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200)는 상기 측벽부(250)에 형성된 탄성림(2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림(240)은 상기 설치부 몸체(210)와 상기 맨홀 입구(10) 측벽 사이의 틈새를 막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악취 차단 장치(220)일 수 있다.
상기 수직홈(230b)은 상기 측벽부(250)의 하단과 연결되어 개방되되, 상기 지지부(100)를 상기 맨홀 입구의 측벽에 고정시킨 후, 상기 설치부(200)를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시킴으로써 디바이스를 맨홀 내에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수직홈(230b)은 상기 측벽부(250)의 상단과 연결되어 개방될 수 있되, 상기 설치부(200)를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시킨 후, 상기 지지부(100)를 상기 맨홀 입구의 측벽에 고정시킴으로써 디바이스를 맨홀 내에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평홈(230a)의 종단에는 안착부(230d)가 형성되되, 설치부(200)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지지 레그(110)는 수평홈(230a)을 따라서 가이드되다가, 수평홈(230a)의 종단에 이르게 되어 지지 레그(110)는 안착부(230d)에 안착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홈(230b)의 종단부에는 점점 폭이 커지는 확장부(230c)가 형성됨으로써, 지지 레그(110)를 결합홈(230)에 맞추어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 레그를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맨홀 입구에 대응하여 악취 차단 장치와 같은 디바이스의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설치부에는 수평홈과 수직홈을 포함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에 레그가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설치부는 상하 방향 모두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되어 하수의 범람 시에도 설치부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작업자가 맨홀 입구를 통하여 출입할 경우에 손쉽게 디바이스의 설치 및 탈거가 가능하다.
더 나아가, 맨홀 뚜껑이 제거된 상태의 맨홀 입구로 보행자가 추락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는 맨홀 입구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당 수준의 하중을 견디기 때문에, 맨홀에 빠진 보행자가 맨홀 바닥까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망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맨홀에 설치될 디바이스의 하나인 악취 차단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맨홀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지지부를, 도 4는 지지부가 맨홀 입구 부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설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지지부가 설치된 맨홀 입구 부분에 설치부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설치부와 고정부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결합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는 지지부(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부(100)는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가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6개의 지지 레그(110)가 서로 방사상으로 결합되었으나, 지지 레그(1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레그(110)의 종단에는 부착판(1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레그(110)가 맨홀 입구(10)의 내벽에 맞닿았을 때 접촉 면적을 넓혀주기 위한 요소이다. 바람직하게는, 부착판(130)에는 돌기 등이 형성되어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지지 레그(110)에는 지지 레그(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구(1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작업자는 길이 조절구(120)를 통하여 지지 레그(1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지부(100)가 맨홀 입구(10)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길이 조절구(120)로서 턴버클을 채용하였으나, 지지 레그(110)의 길이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할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설치부(200)를 도시한 것인데, 판상의 구조물에 디바이스가 고정 설치된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로 악취 차단 장치(220)가 적용되었으나, 디바이스의 종류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설치부(200)는 판상 형태의 구조물인 설치부 몸체(210)를 포함하는데, 설치부 몸체(210)의 소정 부분에 디바이스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몸체부(210)의 주변에는 수직의 측벽부(250)가 형성되되, 측벽부(250)에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결합홈(230)은 지지부(100)의 지지 레그(110)와 체결되는 요소로서, 수평홈(230a)와 수직홈(230b)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단이 개방된 “ㄱ” 또는 “T” 자 형태로 형성되며, 그 폭은 지지 레그(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레그의 폭(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230)의 개수는 지지 레그(11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하되, 일정 간격으로 측벽부(250)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설치부 몸체(210)에는 작업자가 설치부(200)를 쉽게 들 수 있도록 상면에 손잡이(26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맨홀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작업자는 맨홀 뚜껑(20)을 제거한 상태에서, 길이 조절구(120)를 이용하여 지지 레그(1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100)가 맨홀 입구(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설치부(200)를 지지부(100) 위로 하강시킨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부(200)를 지지부(100)에 근접시킬 때에는 설치부(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결합홈(230)이 지지부(100)의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 각각과 대응되도록 만든다. 구체적으로는 결합홈(230)의 수직홈(230b)의 하단을 통하여 지지 레그(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부(200)와 지지부(10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참고로 도 7은 지지 레그(110)가 결합홈(230)의 수직홈(230b)에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설치부(200)와 지지부(10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홈(230b) 내로 지지 레그(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부(2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지지 레그(110)가 수평홈(230a)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지지 레그(110)가 수평홈(230a)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 모두에 대하여 힘을 받을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맨홀 뚜껑(20)을 맨홀 입구(10)의 상단에 덮음으로써,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는 마무리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맨홀 내부로 진입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전술한 설치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게 된다. 우선, 작업자는 맨홀 뚜껑(20)을 맨홀 입구(10)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설치부(2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설치부(20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지지 레그(110)가 수평홈(230a)을 따라서 움직이다가 수직홈(230b)을 만나는 순간 설치부(200)의 회전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때 설치부(20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서 설치부(200)를 지지부(1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부(100)의 길이 조절구(120)를 조절하여 지지 레그(110)를 짧게 만들게 되면 지지부(100)는 맨홀 입구(10)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인데, 설치부(200)의 측벽판(250)에 탄성림(240)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림(240)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져서, 설치부 몸체(210)와 맨홀 입구(10) 측벽 사이의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위 구성을 통하여, 하수도 내의 악취가 설치부(200)와 맨홀 입구(10) 측벽 사이의 빈틈을 통하여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턴버클 형태의 길이 조절구(120)가 사용된데 반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나사 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는 기둥형 구조물의 길이 조절구(120)가 사용된다. 이 때 지지 레그(110)의 일단에는 나사산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산부(111)가 길이 조절구(120)의 나사 구멍(1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나사산부(111)가 나사 구멍(121)에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 레그(110)의 길이, 정확하게는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의 방사상 결합 중심에서 부착판(130)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나사 결합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지지 레그(110)의 소정 부분에 회전용 손잡이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측벽부(250의 상단에 결합홈(23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홈(230)의 수직홈(230b)의 종단이 상단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00)를 먼저 맨홀 입구(10)의 측벽에 고정 시킨 후 설치부(200)를 지지부(100)에 결합하게 되나, 제4 실시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100)에 설치부(200)를 결합한 다음에, 길이 조절구(120)를 이용하여 지지부(100)를 맨홀 일부(10)의 내벽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설치부(200)의 하단에 지지부(100)가 위치하므로, 지지부(100)가 악취 차단 장치(220)의 작동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벽부(250)의 폭을 크게 만들 필요가 있다. 반면, 제4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00)가 설치부(200)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지지부(100)가 악취 차단 장치(220)의 작동과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으므로, 측벽부(250)의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 수 있다.
도 13은 결합홈(23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3(a)는 제4 실시예에서의 결합홈(230)을, 도 13(b)는 제1 실시예에서의 결합홈(230)을 도시한 것이다. 결합홈(230)은 수평홈(230a) 및 이와 일단이 연결된 수직홈(230b)을 포함하며, 수직홈(230b)의 종단은 개방되어 외부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홈(230a)의 종단에는 안착부(230d)가 형성되어 있는데, 작업자가 설치부(200)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지지 레그(110)는 수평홈(230a)을 따라서 가이드되다가, 수평홈(230a)의 종단에 이르게 되어 작업자가 설치부(200)에서 손을 떼면 지지 레그(110)는 안착부(230d)에 안착하게되고, 설치부(200)가 지지 레그(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직홈(230b)의 종단부에는 점점 폭이 커지는 확장부(230c)가 형성됨으로써, 지지 레그(110)를 결합홈(230)에 맞추어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들끼리 직접 결합되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환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지지림(150)에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가 방사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00)와 설치부(200)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100)는 설치부(2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렇지만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5 실시예에서는 악취 차단 장치(220)의 하부에 지지림(150)에 의한 빈 공간이 확보되고, 그로 인하여 작동 과정에서 악취 자단 장치(220)가 지지 레그(110)와 간섭을 일으키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10: 맨홀 입구 20: 맨홀 뚜껑
100: 지지부 110: 지지 레그
111: 나사산부 112: 회전용 손잡이
120: 길이 조절구 150: 지지림
121: 나사 구멍 130: 부착판
200: 설치부 210: 설치부 몸체
220: 악취 차단 장치 230: 결합홈
230a: 수평홈 230b: 수직홈
230c: 확장부 230d: 안착부
240: 탄성림 250: 측벽부
260: 손잡이

Claims (8)

  1. 맨홀 내 디바이스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 입구(10)의 측벽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100); 및
    상기 디바이스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0)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길이 조절구(120)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200)에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결합홈(230)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00) 및 상기 설치부(200)가 상기 맨홀 입구(10)에 설치된 다음에는, 상기 맨홀 입구의 상단에 맨홀 뚜껑(20)을 덮어서 보행자 또는 차량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설치부(200)는 상기 디바이스를 고정시킬 수 있는 평판형의 설치부 몸체(210) 및 상기 설치부 몸체(210)의 외주변에 형성된 측벽부(25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지지 레그(110)의 종단에는 상기 맨홀 입구(10)의 측벽과 맞닿는 부착판(130)이 형성되어 지지 레그(110)와 맨홀 입구(10) 내벽의 접촉 면적을 넓혀주며,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230)은 상기 측벽부(250)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수평홈(230a) 및 상기 수평홈(230a)과 연결된 수직홈(230b)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홈(230b)의 종단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 레그(110)가 상기 수직홈(23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부(20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 레그(110)가 상기 수평홈(230a)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설치부(200)와 상기 지지부(10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200)는 상기 측벽부(250)에 형성된 탄성림(2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림(240)은 상기 설치부 몸체(210)와 상기 맨홀 입구(10) 측벽 사이의 틈새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악취 차단 장치(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230b)은 상기 측벽부(250)의 하단과 연결되어 개방되되,
    상기 지지부(100)를 상기 맨홀 입구의 측벽에 고정시킨 후, 상기 설치부(200)를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시킴으로써 디바이스를 맨홀 내에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230b)은 상기 측벽부(250)의 상단과 연결되어 개방되되,
    상기 설치부(200)를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시킨 후, 상기 지지부(100)를 상기 맨홀 입구의 측벽에 고정시킴으로써 디바이스를 맨홀 내에 설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홈(230a)의 종단에는 안착부(230d)가 형성되되, 설치부(200)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지지 레그(110)는 수평홈(230a)을 따라서 가이드되다가, 수평홈(230a)의 종단에 이르게 되어 지지 레그(110)는 안착부(230d)에 안착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230b)의 종단부에는 점점 폭이 커지는 확장부(230c)가 형성됨으로써, 지지 레그(110)를 결합홈(230)에 맞추어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KR1020220171361A 2022-12-09 2022-12-09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KR10258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361A KR102589413B1 (ko) 2022-12-09 2022-12-09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1361A KR102589413B1 (ko) 2022-12-09 2022-12-09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413B1 true KR102589413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1361A KR102589413B1 (ko) 2022-12-09 2022-12-09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4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74Y1 (ko) * 2008-04-15 2011-01-14 조윤익 강관말뚝 추락방지 안전장치
KR101289025B1 (ko) 2013-04-11 2013-07-23 (주)맵시전자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101291612B1 (ko) 2011-09-19 2013-08-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1309571B1 (ko) * 2011-11-21 2013-09-17 광주환경공단 맨홀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장치
KR20180121279A (ko) * 2017-04-29 2018-11-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충격에 의한 갱폼의 분리 차단 장치
KR102175240B1 (ko) 2020-08-03 2020-11-06 김정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74Y1 (ko) * 2008-04-15 2011-01-14 조윤익 강관말뚝 추락방지 안전장치
KR101291612B1 (ko) 2011-09-19 2013-08-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1309571B1 (ko) * 2011-11-21 2013-09-17 광주환경공단 맨홀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장치
KR101289025B1 (ko) 2013-04-11 2013-07-23 (주)맵시전자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20180121279A (ko) * 2017-04-29 2018-11-07 주식회사 근하기공 충격에 의한 갱폼의 분리 차단 장치
KR102175240B1 (ko) 2020-08-03 2020-11-06 김정은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73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manholes
US20070081857A1 (en) Four parts manhole enabling an easy install and height adjustment
KR10068446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덮개의 고정이 용이한 맨홀
US9127447B2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100588297B1 (ko) 하수도관의 역류방지 장치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1156757B1 (ko)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KR100612088B1 (ko)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KR102589413B1 (ko) 맨홀 내 디바이스 설치 보조 장치
US8360679B2 (en) Inflow and infiltration cap and seal barrier
KR101660400B1 (ko) 덮개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및 그 시공방법
KR100807660B1 (ko) 절연성 맨홀구조
KR102134641B1 (ko) 맨홀뚜껑 인상용 링
KR101309571B1 (ko) 맨홀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장치
KR101988507B1 (ko) 수위확인 기능을 구비한 맨홀장치
KR200403742Y1 (ko) 절연성 맨홀구조
KR20160029260A (ko) 맨홀의 빗물 역류시 실족 방지장치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DK2076630T3 (en) Manhole with retractable road layout
KR100768157B1 (ko) 역류방지수단을 갖는 맨홀 보호덮개
GB2207164A (en) An extension ring for a manhole frame
KR102541418B1 (ko) 하수 역류 방지 및 추락 방지 구조가 구비된 맨홀 시스템
JP4420758B2 (ja) 油水分離槽
KR100916951B1 (ko) 맨홀 뚜껑의 이탈제한 및 복원을 위한 맨홀 구조
KR101350472B1 (ko) 잠금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뚜껑 및 맨홀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