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36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36Y1
KR200257136Y1 KR2020010018306U KR20010018306U KR200257136Y1 KR 200257136 Y1 KR200257136 Y1 KR 200257136Y1 KR 2020010018306 U KR2020010018306 U KR 2020010018306U KR 20010018306 U KR20010018306 U KR 20010018306U KR 200257136 Y1 KR200257136 Y1 KR 200257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guide groove
connecting pi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남수
설동인
Original Assignee
설남수
설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남수, 설동인 filed Critical 설남수
Priority to KR2020010018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3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중심 하부로 소정폭 연장되어 그 내측 양벽에 대향하게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안내홈이 구비되며, 안내홈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에 정지턱이 구비된 연결관을 구성하고, 상면 둘레에 안내홈과 대응하여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플렌지의 저면 내측 둘레에 결합홈을 구비하고, 결합홈 외측 둘레의 일정 각도 구획된 위치에 돌기를 구비한 배수안내부재를 구성하며, 연결관의 하부에서 물이 차 오르면 부력에 의해 상기 연결관의 안내홈을 따라 수직 상승하여 상기 배수안내부재의 출구를 폐쇄하고, 부력이 해제되면 연결관의 안내홈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일 측으로 회동하여 출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를 구성하여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배수관 내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기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배수량을 확대시킬 수 있고, 배수관으로 역류되는 하수가 옥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ing trap}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베란다 또는 욕실의 바닥에 배수관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배수되는 물에 섞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나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곡면에 회동돌기(111)를 돌출시키고, 상부 가장자리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감압돌기(112)를 형성한 배수캡(11)이 구성되고, 베이스(12)의 중심 하부에는 상기 배수캡(11)의 감압돌기(112)가 걸리도록 걸림돌기(121)를 구비한 수용부재(13)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감압돌기(112)가 걸림돌기(121)에 걸려 결합될 때 배수캡(11)의 상단 외주면 둘레와 수용부재(13)의 상부 내측 둘레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트랩(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D)의 입구에 수용부재(13)가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하고, 베이스(12)는 바닥의 설치면(S)에 표출되도록 콘크리트로 고정시키며, 베이스(12)의 상면에는 여과판(121)을 복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트랩은 배수캡(11)을 수용하는 수용부재(13)가 베이스(12)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배수관(D)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막힐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배수트랩(T) 전체를 콘크리트로 된 설치면(S)으로부터 해체한 후 배수관(D)을 뚫어야 한다. 따라서 배수트랩(T)이 손상되고, 이렇게 손상된 배수트랩(T)은 재사용이 불가능함으로서, 배수관을 막고 있는 오물을 제거한 후 새로운 배수트랩으로 재시공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관에서 발생한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14)이 배수캡(11)의 내측 상단과 수용부재(13)의 내측 사이에 개재됨으로서, 수용부재(13) 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수캡(11)을 이탈시킬 때 배수캡(11)으로부터 패킹(14)이 이탈할 우려가 있고, 밀폐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 용량이 작기 때문에 많은 량의 물이 한번에 배수될 때 이를 수용하지 못하여 배수트랩이 설치된 바닥에 물이 차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집중 폭우 등으로 인하여 하수가 역류될 경우 이를 차단하지 못함으로서, 하수가 배수트랩을 통해 실내로 넘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배수관 내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기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배수량을 확대시킬 수 있고, 배수관으로 역류되는 하수가 옥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배수트랩은, 배수관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중심 하부로 소정폭 연장되어 그 내측 양벽에 대향하게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안내홈이 구비되며, 안내홈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에 멈춤턱이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상면 둘레에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플렌지의 저면 내측 둘레에 결합홈을 구비한 배수안내부재와; 상기 연결관의 하부에서 물이 차 오르면 부력에 의해 안내홈을 따라 수직 상승하여 상기 배수안내부재(41)의 출구를 폐쇄하고, 부력이 해제되면 연결관의 안내홈을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일 측으로 회동하여 출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배수트랩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배수트랩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개폐부재의 동작 과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배수 진행상태이고,
b는 배수 정지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베이스 31: 연결관
32: 안내홈 33: 결합돌기
35: 멈춤턱 40: 배수트랩
41: 배수안내부재 411: 플렌지
412: 결합홈 42: 개폐부재
421: 몸체 422: 축핀
423: 멈춤돌기 424: 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배수트랩(40)은, 바닥에 매설된 배수관(D)의 입구에 연결되고, 그 상부에는 바닥의 설치면에 표출되도록 고정되고 상면에 여과판(33)이 복개된 베이스(30)가 안착되어 배수되는 물에 섞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나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트랩(40)에 있어 본 고안은, 배수관(D)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중심 하부로 소정폭 연장된 연결관(31)을 구성하고, 상기 연결관(31)의 상면 둘레에 대응하여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는 배수안내부재(41)를 구성하며, 상기 연결관(31)의 하부에서 물이 차 오르면 부력에 의해 상기 연결관(31)을 따라 수직 상승하여 상기 배수안내부재(41)의 출구를 폐쇄하고, 부력이 해제되면 연결관(31)을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일 측으로 회동하여 출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42)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관(31)은, 배수관(50)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중심 하부로 소정폭 연장되어 그 내측 양벽에 대향하게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안내홈(32)을 구비하고, 안내홈(32) 하단과 동일한 위치에 멈춤턱(35)을 구비하며, 가장자리 상면에는 환형으로 결합돌기(33)를 구비한다.
상기 배수안내부재(41)는, 연결관(31)의 상면 둘레에 형성된 결합돌기(33)와 대응하여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플렌지(411)의 저면 내측 둘레에 환형으로 결합홈(412)을 구비하고, 플랜지(411) 내측 절반이 폐쇄되 나머지가 상광하협 형으로 하향 연장된 배출관(413)을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재(42)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접시형 몸체(421)를 구비하고, 이 몸체(421) 양측 외벽의 편심된 위치에 상기 연결관(31)의 안내홈(32)을 따라 승강하고 안내홈(32)의 폐쇄된 하단에 지지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축핀(422)을 구비하며, 양 축핀(422)사이의 일측 중심에 몸체(421)가 수평이 되었을 때 멈춤턱(35)에 걸리는 멈춤돌기(423)를 구비하고, 이 멈춤돌기(423)의 직하부 바닥에는 배수동작이 정지되었을 때 몸체(421)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소정 중량의 추(424)를 구비한다.
다음은 상기와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과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배수관(D)의 입구에 연결관(31)을 삽입하여 연결한 후 베이스(30)를 바닥으로 표출되도록 설치면에 콘크리트로 고정하여 안착시킨다.
이어서 개폐부재(42)의 개방된 위치가 상부를 향하고 축핀(422)이 연결관(31)의 안내홈(32) 상부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한다. 이때 개폐부재(42)는 추(424)가 설치된 무게 중심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서, 멈춤돌기(423)는 멈춤턱(35)에 걸려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부재(42)가 설치되면 배수안내부재(41)의 배출관(413) 하부를 개폐부재(42)의 멈춤돌기(423) 반대측, 즉 폄심으로 설치된 축핀(422)의 외측 상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플랜지(411)에 형성된 결합홈(412)을 연결관(31)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돌기(33)와 끼워 맞춤식으로 형합한다.
이렇게 연결관(31)의 상면에 안착된 배수안내부재(41)는 결합홈(412)과 결합돌기(33)에 의해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됨으로서, 배수트랩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배수가 이루어지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안내부재(41)의 일측에 하향으로 연장된 배출관(413)을 경유하여 오수가 배출되고, 배출관(413)을 통과한 오수의 배출압력에 의해 개폐부재(42)는 축핀(422)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동하여 수직 상태를 이루면서 배출관(413)의 직하부를 완전히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수안내부재(41)의 배출관(413) 하부가 완전히 개방되면 많은 량의 오수가 빠른 속도로 배수된다. 이렇게 배수가 종료되면 무게중심이 실린추(424)가 설치된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부재(42)는 수평 상태로 전환되어 배수안내부재(41)의 배출관(413) 단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개폐부재(42)의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C)을 제거하기 위해 배수트랩(40)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커버(34)를 개방한 후 배수안내부재(41)를 잡고 상향으로 힘주어 당기게 되면 고정된 결합돌기(33)로부터 결합홈(412)이 이탈하여 배수안내부재(41)는 분리된다.
이렇게 배수안내부재(41)가 분리되면 개폐부재(42)를 상향으로 잡아당겨 안내홈(32)을 따라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연결관(31)으로부터 분리한다. 외부로 분리된 개폐부재(42)에 낀 이물질은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제거하고, 이물질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분리 과정과 역순으로 개폐부재(42)와 배수안내부재(41)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마지막으로 커버(34)로 복개한다.
그리고 배수관(D)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이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배수안내부재(41)와 개폐부재(42)를 분리하여 배수관(50)을 개방시킨 후 이물질 제거용 공구를 연결관(31)을 통해 배수관(D)으로 직접 삽입하여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배수관(50)으로 하수가 역류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2)는 부력에 의해 연결관(31) 내벽의 안내홈(32)을 따라 상승하여 개폐부재(42)의 바닥면이 배수안내부재(41)의 배출관(413)에 밀착되어 폐쇄됨으로서 하수가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관의 하부에서 물이 차 오르면 부력에 의해 상기 연결관의 안내홈을 따라 수직 상승하여 배수안내부재의 출구를 폐쇄하고, 부력이 해제되면 연결관의 안내홈을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일 측으로 회동하여 출구를 개방시키도록 개폐부재를 구성하여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배수관 내부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기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배수량을 확대시킬 수 있고, 배수관으로 역류되는 하수가 옥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배수관(D)의 입구에 연결되고, 그 상부에는 바닥의 설치면에 표출되도록 고정되고 상면에 여과판(33)이 복개된 베이스(30)가 안착되어 배수되는 물에 섞인 이물질을 여과함과 동시에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나오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배수관(D)의 입구에 연결되도록 중심 하부로 소정폭 연장되어 상면 둘레에 결합돌기(33)가 구비되고, 내측 양벽에 대향하게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안내홈(32)이 구비되며, 안내홈(32)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에 멈춤턱(35)이 구비된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의 상면 둘레에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플랜지(411)의 저면 내측 둘레에 결합홈(412)을 구비한 배수안내부재(41)와;
    상기 연결관(31)의 하부에서 물이 차 오르면 부력에 의해 안내홈(32)을 따라 수직 상승하여 상기 배수안내부재(41)의 출구를 폐쇄하고, 부력이 해제되면 연결관(31)의 안내홈(32)을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일 측으로 회동하여 출구를 개방시키는 개폐부재(4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안내부재(41)는,
    상기 연결관(31)의 결합돌기(33)와 대응하여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플렌지(411)의 저면 내측 둘레에 환형으로 결합홈(412)을 구비하고, 플랜지(411) 내측 절반이 폐쇄되고 나머지가 상광하협형으로 하향 연장된 배출관(4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개폐부재(42)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접시형 몸체(421)를 구비하고, 이 몸체(421) 양측 외벽의 편심된 위치에 상기 연결관(31)의 안내홈(32)을 따라 승강하고 안내홈(32)의 폐쇄된 하단에 지지되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축핀(422)을 구비하며, 양 축핀(422) 사이의 일측 중심에 멈춤돌기(423)를 구비하고, 멈춤돌기(423)의 직하부 바닥에 배수동작이 정지되었을 때 몸체(421)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도록 소정 중량의 추(4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10018306U 2001-06-19 2001-06-19 배수트랩 KR200257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06U KR200257136Y1 (ko) 2001-06-19 2001-06-19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06U KR200257136Y1 (ko) 2001-06-19 2001-06-19 배수트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768A Division KR100435079B1 (ko) 2001-06-19 2001-06-19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36Y1 true KR200257136Y1 (ko) 2001-12-24

Family

ID=7310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306U KR200257136Y1 (ko) 2001-06-19 2001-06-19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87B1 (ko) * 2002-07-11 2005-11-02 (주)대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및 도로용 개폐식 배수구
KR101890071B1 (ko) 2017-09-29 2018-09-20 대림바토스 주식회사 욕실용 바닥배수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187B1 (ko) * 2002-07-11 2005-11-02 (주)대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및 도로용 개폐식 배수구
KR101890071B1 (ko) 2017-09-29 2018-09-20 대림바토스 주식회사 욕실용 바닥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24674A (ja) 下水溝の逆流防止装置
US4198717A (en) Modular assembly for drain trap
KR101086813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US3909415A (en) Anti-siphon valve for swimming pool lint pot
KR200257136Y1 (ko) 배수트랩
KR200298925Y1 (ko) 배수트랩
KR200250163Y1 (ko) 배수트랩
KR100435079B1 (ko) 배수트랩
KR200265974Y1 (ko) 배수트랩
KR101281612B1 (ko) 배수 트랩
KR20010086955A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0235707Y1 (ko) 배수트랩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20010044775A (ko) 배수트랩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10172249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KR200234505Y1 (ko) 배수트랩
KR200334325Y1 (ko)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KR100360456B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CN214061886U (zh) 一种地漏
KR101681070B1 (ko) 세면대 배수장치
KR200207108Y1 (ko) 배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20230037814A (ko) 욕실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