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814A - 욕실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욕실 배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7814A KR20230037814A KR1020210120832A KR20210120832A KR20230037814A KR 20230037814 A KR20230037814 A KR 20230037814A KR 1020210120832 A KR1020210120832 A KR 1020210120832A KR 20210120832 A KR20210120832 A KR 20210120832A KR 20230037814 A KR20230037814 A KR 202300378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sewage
- bathroom
- trap housing
- drain trap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0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69 high impact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7 high-impact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욕실 배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욕실 배수장치는, 욕실 바닥에 매설되어 발생된 오수를 집수관으로 배수시키는 욕실 배수장치로서, 상기 집수관과 연통하도록 하부에 제1 배수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배수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배수리브가 돌출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형상의 배수트랩 하우징과, 상기 배수리브를 상측에서 덮도록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과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가 상기 제1 배수홀로 배수되도록 배수유로가 마련되는 배수캡을 포함하여 1차 봉수체로서 기능하는 제1 오수 드레인부;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오수가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제2 배수홀이 마련되는 배수트랩 커버와, 상기 제2 배수홀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추가적으로 봉수가 가능한 봉수부를 포함하여 2차 봉수체로서 기능하는 제2 오수 드레인부; 및 상기 제2 배수트랩의 상측에 결합되는 배수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봉수체를 마련하여 집수관으로부터 욕실 내부로 오수의 악취가 전달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고, 2개의 점검구를 마련하여 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훨씬 효율적이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개의 봉수체를 마련하여 집수관으로부터 욕실 내부로 오수의 악취가 전달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고, 2개의 점검구를 마련하여 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훨씬 효율적이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욕실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욕실용 바닥배수 트랩은 욕실 바닥에 모인 물을 하수관(집수관)과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주로 거름망 형태의 마감덮개, 봉수트랩 및 하수관 연결을 위한 배수관으로 구성되어 하수관과 연통되며 이물질들을 걸러 내면서 생활 오수를 배수하고, 하수관을 통해 실내로 올라오는 악취를 방지한다.
봉수트랩은 하수구의 악취를 실내로 유입되지 않기 위해 일정구간 물을 고여두는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봉수관과 봉수컵으로 구성되며, 이 두 부품이 모두 실내측으로 분해 조립되는 구조에 적용된다.
욕실용 바닥 배수트랩에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이 많이 유입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들의 상당수는 상부의 거름망에 걸리게 되며, 사용자는 대부분 상부의 거름망에 걸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청소를 한다.
그런데, 상부의 거름망을 통과한 머리카락 등의 일부 이물질들은 봉수트랩을 통과하여 하수관으로 유출되거나 배수트랩의 구조물에 끼게 되는데, 일반적인 봉수트랩의 구조에서는 머리카락은 하수관으로 유출되는 것보다는 배수트랩의 구조물에 끼어 잔류하는 비율이 휠씬 높다.
이와 같이, 봉수트랩 내부의 구조물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이 끼여 누적되면 배수되는 단면적이 좁아져 배수가 매우 느려진다. 사용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수트랩을 분해하여 끼여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을 제거하거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을 분해하는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녹여야 한다. 일부 사용자는 이러한 청소에 익숙하지 못하여 느린 배수를 참아가며 생활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 하나의 봉수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를 개선하여 2개의 봉수 구조를 적용하여 이물질이 하수관으로 유입되지 않고 2개의 봉수 구조에 최대한 걸려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2개의 봉수 구조를 모두 외측으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봉수체를 마련하여 집수관으로부터 욕실 내부로 오수의 악취가 전달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고, 2개의 점검구를 마련하여 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훨씬 효율적이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욕실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하나의 봉수 구조를 적용하는 경우를 개선하여 2개의 봉수 구조를 적용하여 이물질이 하수관으로 유입되지 않고 2개의 봉수 구조에 최대한 걸려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2개의 봉수를 모두 외측으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 확실한 악취의 실내공간 유입 방지와 더불어 이물질 제거작업을 더욱 용이하면서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욕실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욕실 바닥에 매설되어 발생된 오수를 집수관으로 배수시키는 욕실 배수장치로서, 상기 집수관과 연통하도록 하부에 제1 배수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배수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배수리브가 돌출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형상의 배수트랩 하우징과, 상기 배수리브를 상측에서 덮도록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과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가 상기 제1 배수홀로 배수되도록 배수유로가 마련되는 배수캡을 포함하여 1차 봉수체로서 기능하는 제1 오수 드레인부;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오수가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제2 배수홀이 마련되는 배수트랩 커버와, 상기 제2 배수홀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추가적으로 봉수가 가능한 봉수부를 포함하여 2차 봉수체로서 기능하는 제2 오수 드레인부; 및 상기 제2 배수트랩의 상측에 결합되는 배수그릴을 포함하는 욕실 배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욕실 배수장치에 의하면, 2개의 봉수체를 마련하여 집수관으로부터 욕실 내부로 오수의 악취가 전달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할 수 있고, 2개의 점검구를 마련하여 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훨씬 효율적이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봉수 구조를 적용하여 이물질이 하수관으로 유입되지 않고 2개의 봉수 구조에 최대한 걸려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측에 있는 점검구를 개방하여 오픈한 후 하측에 배치된 봉수체 또한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확실한 악취의 실내공간 유입 방지와 더불어 이물질 제거 및 봉수체 세척작업을 더욱 용이하면서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배수그릴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봉수부 고정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봉수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제2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트랩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에서 배수트랩 하우징 내에 배수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배수캡의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배수캡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봉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봉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에서 배수트랩 하우징 내에 배수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저면도,
도 19는 도 17의 측방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에서 배수트랩 하우징 내에 배수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서 배수캡의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2의 저면도,
도 24는 도 22에서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배수그릴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봉수부 고정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봉수부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제2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트랩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에서 배수트랩 하우징 내에 배수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배수캡의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배수캡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봉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4의 봉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에서 배수트랩 하우징 내에 배수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7의 저면도,
도 19는 도 17의 측방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에서 배수트랩 하우징 내에 배수캡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서 배수캡의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의 배수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2의 저면도,
도 24는 도 22에서 제1 점검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는 욕실 내에서 발생한 오수가 배수되는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2단계의 봉수가 이루어져 악취의 욕실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립된 부품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는 욕실 바닥에 매설되어 욕실에서 발생된 오수를 집수관(10, 배수관)으로 배수시키는 것으로서, 제1 오수 드레인부(100), 제2 오수 드레인부(130) 및 배수그릴(170)을 포함한다.
먼저, 제1 오수 드레인부(100)는 본 욕실 배수장치에 있어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배수트랩 하우징(110) 및 배수캡(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1차 봉수체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트랩 하우징(110)은 집수관(10)과 연통하도록 하부에 제1 배수홀(111)이 마련되고, 제1 배수홀(1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배수리브(112)가 돌출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수트랩 하우징(110)은 욕실 바닥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타설전에 거푸집에 고정된 후 타설된 콘크리트 내에 매립 고정된다. 후술하는 제2 오수 드레인부(130)를 통해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오수는 제1 배수홀(111)을 경유한 후 집수관(10)으로 유입된다.
다음, 배수캡(120)은 배수리브(112)를 상측에서 덮도록 배수트랩 하우징(110)과 결합됨과 더불어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가 제1 배수홀(111)로 유입되도록 배수유로(12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배수캡(120)은 일 예로 링 형상의 제1 배수캡(122), 제1 배수캡(1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이 폐쇄되며 상기 제1 배수캡(122)의 내측 중앙홀과 연통하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제2 배수캡(123), 및 상기 제1 배수캡(122)과 제2 배수캡(123)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1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결바(124)의 사이 영역이 상기 배수유로(121)로서 기능한다.
관련 도면에서, 제1 배수캡(122)의 상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 가능한 제1 점검구(125)가 마련되며, 제1 점검구(125)과 분리됐을때 제2 배수캡(12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이 된다.
제1 점검구(125)는 제2 배수캡(123)의 상측 개구에 하측 방향으로 강제 압입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나사산 등을 통한 회전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1 점검구(125)의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마련하고 제2 배수캡(123)의 내주면에 상기 걸림돌기가 회전하도록 회전경로를 마련하고, 제2 배수캡(123)의 상측에 일차 가결합한 제1 점검구(125)를 일정이상 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가 회전경로의 내측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점검구(125)과 제2 배수캡(123)에 결합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점검구(125)의 외주면에는 제2 배수캡(123)의 내주면과의 밀착을 위해 고무링(126) 등이 마련되며, 이러한 고무링(126)에 의해 집수관 내의 오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제1 점검구(125)와 제2 배수캡(123)의 사이 틈을 통해 욕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점검구(125)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제2 점검구(136)를 분리하고 이어서 제1 점검구(125)를 분리하여 제2 배수캡(123)의 내면과 배수리브(112)에 부착될 수 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점검구(125)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에는 오수가 배수리브(112)의 상단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항시 채워져 있는 상태를 가지므로 집수관의 악취는 배수유로(121) 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며, 또한 제2 배수캡(123)가 그 상부가 폐쇄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제1 점검구(125)가 있더라도 제1 점검구(125)의 밀폐 구조(고무링 등)에 의해 집수관의 악취는 제2 배수캡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전달되지도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수트랩 하우징(110)과 배수캡(120)을 포함하는 제1 오수 드레인부(100)는 1차 봉수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제1 배수캡(122)의 링 형상과 대응하도록 링 형상의 삽입홈(113)이 마련되어 있고, 배수캡(120), 즉 제1 배수캡(122)은 삽입홈(11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배수캡(122)과 배수트랩 하우징(110)과의 결합에 있어 다양한 결합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일 예로 걸림돌기와 걸림홈, 걸림후크와 걸림고리, 나사 결합, 강제압입 고정결합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은 제1 배수캡(122)과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내측 바닥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형성되는 위치는 서로간에 변경 가능하다. 걸림후크와 걸림고리 또한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수캡(120)은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에 항시 잔재하는 오수에 대해 부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즉 배수캡(120)의 하단이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항시 접촉하는 상태를 갖도록 배수캡(120)은 일정 이상의 비중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배수캡(120)이 사출물로 적용되는 경우 배수캡(120)은 일정 이상의 비중을 갖는 AB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BS 레진은 PP, HIPS 등의 레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재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캡(120)이 부력에 의해 배수트랩 하우징(110)과 분리되어 배수트랩 하우징(110)에 항시 고여있는 오수의 수면 상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오수 드레인부(130)는 본 욕실 배수장치에 있어 제1 오수 드레인부(100)의 상측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배수트랩 커버(131), 제2 점검구(136), 봉수부(140) 및 봉수부 고정커버(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2차 봉수체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배수트랩 커버(131)는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상측 개구부에 결합되며 관통홀을 갖는 제1 배수트랩 커버(132)와, 제1 배수트랩 커버(132)의 상측에 결합되며 욕실의 오수가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제2 배수홀(134)이 마련되는 제2 배수트랩 커버(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배수트랩 커버(133)는 제1 배수트랩 커버(132)에 대해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욕실 바닥 타일 시공환경(타일 위치 등)에 따라 제2 배수트랩 커버(133)를 적절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배수트랩 커버(133)의 위치조절 결합구조는 공지의 기술인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점검구(136)는 배수트랩 커버(131)의 제2 배수홀(134) 내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중앙에는 오수 배수를 위해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점검구(136)의 외주면에는 제2 배수홀(134)의 내면과의 밀착, 즉 제2 점검구(136)와 제2 배수홀(134)의 사이틈 발생을 방지하여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에 항시 고여있는 오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욕실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고무링(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점검구(136)는 배수트랩 커버(13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분리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이 제2 배수홀(134) 측으로 진입하여 제1 점검구(125)를 추가적으로 개방한 후 하측의 이물질 제거작업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수캡(120)의 직경(외곽 사이즈)은 제2 점검구(136)를 제거했을때 제2 배수홀(13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후술하는 봉수부(140)와 제2 점검구(136)를 분리하고, 이어서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손을 집어 넣은 후 배수캡(120)을 손으로 잡고 위로 들어올려 제2 배수홀(134)을 통해 외측으로 빼낼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작업과 더불어 배수캡(120) 등의 완벽한 세척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수부(140)는 제2 배수홀(134)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추가적으로 봉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2 점검구(136)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걸림턱(137)에 걸림된 상태로 배치된다.
봉수부(140)는 상기 걸림턱(137)에 걸림 가능하고 측방으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오수 배출유로(141)가 마련되고 하측에는 일정이상 오수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오수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제1 봉수부(142)와, 제1 봉수부(142)의 중앙에 걸쳐진 상태로 결합되며 오수 배수를 위한 오수 배수홀(145)이 마련되는 제2 봉수부(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점검구(136)의 내주면과 제1 봉수부(142)의 외주면 사이의 밀착을 가능하도록, 즉 제2 점검구의 내주면과 제1 봉수부의 외주면 사이틈을 통해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에 항시 고여있는 오수의 악취가 욕실 내부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봉수부(142)의 외주면에는 밀착부재(미도시), 예를 들면 고무링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봉수부(142)의 하부에는 항시 일정 높이이상 오수가 채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에 항시 고여있는 오수의 악취가 제2 봉수부(143)의 오수 배수홀(145)을 통해 욕실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2차 봉수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다음, 봉수부 고정커버(150)는 봉수부(140)가 상측으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점검구(136)에 결합되며, 일 예로 봉수부 고정커버(150)의 외주면과 제2 점검구(136)의 내주면에 각각 걸림돌기와 걸림홈 구조 등을 적용하여 봉수부 고정커버(150)를 제2 점검구(136)에 대해 회전결합방식을 통해 고정 결합할 수 있으며, 필요시 분리 가능하다.
다음,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그릴(170)은 다수의 통공을 가지며 물에 부식되지 않는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 오수 드레인부(13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배수캡 형상 및 구조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배수캡(220)은 배수리브(112)를 상측에서 덮도록 배수트랩 하우징(110)과 결합됨과 더불어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가 제1 배수홀(111)로 유입되도록 배수유로(22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캡(220)은 일 예로 링 형상의 제1 배수캡(222), 제1 배수캡(22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이 폐쇄되며 상기 제1 배수캡(222)의 내측 중앙홀(226)과 연통하도록 내부 공간을 갖는 제2 배수캡(223), 및 상기 제1 배수캡(222)과 제2 배수캡(223)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2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결바(224)의 사이 영역이 상기 배수유로(221)로서 기능한다.
관련 도면에서, 제1 배수캡(222)의 상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 가능한 제1 점검구(225)가 마련되며, 제1 점검구(225)가 분리됐을때 제2 배수캡(22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이 된다. 제2 배수캡(223)에 대한 제1 점검구(225)의 결합 방식 및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제2 배수캡(223)과 제1 점검구(225) 사이의 밀폐 구조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점검구(225)는 생략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수캡(222)의 외경은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수캡(220)을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제1 배수캡(222)의 외주면은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제1 배수캡의 외주면과 배수트랩 하우징의 내주면 간의 접촉 구조에 의해 배수캡(220)은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욕실 배수장치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배수캡 형상 및 구조가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와 상이하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배수캡(320)은 배수리브(112)를 상측에서 덮도록 배수트랩 하우징(110)과 결합됨과 더불어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가 제1 배수홀(111)로 유입되도록 배수유로(321)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캡(320)은 일 예로 내측에 상하 관통 영역이 마련되는 링 형상의 제1 배수캡(322), 제1 배수캡(322)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하 관통 영역이 마련되는 링 형상의 제2 배수캡(323), 및 제1 배수캡(322)의 내주면과 제2 배수캡(323)의 외주면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연결바(3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연결바(324)의 사이 영역이 상기 배수유로(321)로서 기능하며,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는 복수의 연결바(324) 사이의 배수유로(321)를 통과하여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바닥면 측으로 유동된다.
관련 도면에서, 제2 배수캡(323)의 내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 가능한 제1 점검구(325)가 마련되며, 제1 점검구(325)과 분리됐을때 제2 배수캡(32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이 된다. 제2 배수캡(323)에 대한 제1 점검구(325)의 결합 방식 및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제2 배수캡(323)과 제1 점검구(325) 사이의 밀폐 구조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점검구(325)는 생략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수캡(322)의 외경은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수캡(320)을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제1 배수캡(322)의 외주면은 배수트랩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접촉하게 되며, 이와 같은 제1 배수캡의 외주면과 배수트랩 하우징의 내주면 간의 접촉 구조에 의해 배수캡(320)은 배수트랩 하우징(110) 내측에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집수관
100: 제1 오수 드레인부
110: 배수트랩 하우징 112: 배수리브
113: 삽입홈 120: 배수캡
121: 배수유로 122: 제1 배수캡
123: 제2 배수캡 124: 연결바
125: 제1 점검구 130: 제2 오수 드레인부
131: 배스트랩 커버 132: 제1 배수트랩 커버
133: 제2 배수트랩 커버 134: 제2 배수홀
136: 제2 점검구 140: 봉수부
170: 배수그릴 220,320: 배수캡
221,321: 배수유로 222,322: 제1 배수캡
223,323: 제2 배수캡 224,324: 연결바
225,325: 제1 점검구
110: 배수트랩 하우징 112: 배수리브
113: 삽입홈 120: 배수캡
121: 배수유로 122: 제1 배수캡
123: 제2 배수캡 124: 연결바
125: 제1 점검구 130: 제2 오수 드레인부
131: 배스트랩 커버 132: 제1 배수트랩 커버
133: 제2 배수트랩 커버 134: 제2 배수홀
136: 제2 점검구 140: 봉수부
170: 배수그릴 220,320: 배수캡
221,321: 배수유로 222,322: 제1 배수캡
223,323: 제2 배수캡 224,324: 연결바
225,325: 제1 점검구
Claims (1)
- 욕실 바닥에 매설되어 발생된 오수를 집수관으로 배수시키는 욕실 배수장치로서,
상기 집수관과 연통하도록 하부에 제1 배수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배수홀의 둘레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배수리브가 돌출되며,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형상의 배수트랩 하우징과, 상기 배수리브를 상측에서 덮도록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과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된 오수가 상기 제1 배수홀로 배수되도록 배수유로가 마련되는 배수캡을 포함하여 1차 봉수체로서 기능하는 제1 오수 드레인부;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오수가 상기 배수트랩 하우징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제2 배수홀이 마련되는 배수트랩 커버와, 상기 제2 배수홀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추가적으로 봉수가 가능한 봉수부를 포함하여 2차 봉수체로서 기능하는 제2 오수 드레인부; 및
상기 제2 배수트랩의 상측에 결합되는 배수그릴을 포함하는 욕실 배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0832A KR20230037814A (ko) | 2021-09-10 | 2021-09-10 | 욕실 배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0832A KR20230037814A (ko) | 2021-09-10 | 2021-09-10 | 욕실 배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7814A true KR20230037814A (ko) | 2023-03-17 |
Family
ID=8587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0832A KR20230037814A (ko) | 2021-09-10 | 2021-09-10 | 욕실 배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3781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522Y1 (ko) | 2004-10-12 | 2005-01-15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
-
2021
- 2021-09-10 KR KR1020210120832A patent/KR20230037814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2522Y1 (ko) | 2004-10-12 | 2005-01-15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아파트 욕실의 오수 배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8852Y1 (ko) |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 |
KR101354072B1 (ko) | 배수 트랩 | |
KR101699850B1 (ko) | 욕조용 배수트랩 | |
KR20160081728A (ko) | 배수트랩 | |
KR101686959B1 (ko) | 트랩 착탈식 오수받이 | |
KR20230037814A (ko) | 욕실 배수장치 | |
KR101674159B1 (ko) | 욕조 배수장치 | |
KR200368837Y1 (ko) |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 |
KR200426500Y1 (ko) |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 |
JP2562115B2 (ja) |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 |
KR102319324B1 (ko) | 배수구 개폐 장치 | |
KR200298925Y1 (ko) | 배수트랩 | |
KR20090106677A (ko) | 세면대 배수관 막힘 방지용 필터링 기구 | |
KR200327344Y1 (ko) | 착탈식 배수트랩 | |
KR20140005630A (ko) | 세면기 트랩 여과장치 | |
KR200482345Y1 (ko) |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 |
KR200262197Y1 (ko) | 하수구트랩 | |
KR100360456B1 (ko) |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 |
KR200334325Y1 (ko) | 임시 배수구를 갖는 배수홈통용 임시커버 | |
JP2008240239A (ja) |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 |
KR102075758B1 (ko) |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용 연결 장치 | |
JP3569317B2 (ja) |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 |
KR20180122109A (ko) |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 |
KR19990009443U (ko) |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 |
KR200169068Y1 (ko) | 욕실용 배수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