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500Y1 -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500Y1
KR200426500Y1 KR2020060016086U KR20060016086U KR200426500Y1 KR 200426500 Y1 KR200426500 Y1 KR 200426500Y1 KR 2020060016086 U KR2020060016086 U KR 2020060016086U KR 20060016086 U KR20060016086 U KR 20060016086U KR 200426500 Y1 KR200426500 Y1 KR 2004265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outer cylinder
filtering device
cap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채영
Original Assignee
홍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채영 filed Critical 홍채영
Priority to KR2020060016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5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5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5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에 설치되는 이물질 거름장치로서, 특히 세면대의 배수관에 부착되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고 여과된 이물질을 용이할 수 있는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 하부가 개방형성된 외통(110);
상기 외통(110)의 개방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21)을 통해 세면대 배수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상부캡(120);
상기 외통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통의 내측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배수관(B)을 통해 내통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거름통(130);
상기 외통의 개방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관통홀(141)이 형성된 하부캡(140); 및
일단은 상기 하부캡의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고 타단은 옥외로 연결되는 하수관(C)에 체결된 상태에서 자체 변형을 통해 트랩을 형성시키는 자바라호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제거, 이물질 거름, 여과

Description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Device filtering alien substance of draining pipe for a washbowl}
도 1은 종래의 세면대 배수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거름장치 110...외통
111...지지턱 120...상부캡
121,141...관통홀 130...거름통
131...환턱 132...배출공
133...회동손잡이 140...하부캡
150...자바라호스 160...실링부재
A...세면대 B...배수관
C...하수관
본 고안은 세면대에 설치되는 이물질 거름장치로서, 특히 세면대의 배수관에 부착되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고 여과된 이물질을 용이할 수 있는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의 배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A)의 하부에 체결되며, 레버의 작동에 의해서 상/하로 유동되어 오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배수마개가 내장된 배수관(B)과, 이 배수관(B)의 하단에 연결되는 트랩관(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B)의 하단에는 트랩관(D)의 상단에 체결되어 배수관(B)과 트랩관(D)을 연결시키는 제1회전너트(10)가 체결되고, 상기 트랩관(D)의 하단에는 하수구로 연장되는 하수관(C)과 체결되는 제2회전너트(20)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세면대 배수관(B)은 세면대(A)로부터 배출되는 오수 및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수관(B)이 막히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럴 경우, 배수관(B)을 분해하여 이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하거나 화학용약품을 사용하여 이물질을 녹여 이물질을 간접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배수관(B)을 분해하여 이물질을 직접 제거하는 방법은 상기 제1회전너트(10)와 제2회전너트(20)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풀어낸 뒤 배수관(B) 및 트랩관(D) 내부의 이물질 등을 긁어 내가면서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웠다. 또한, 상기 회전너트들(10,20)을 일일이 풀 고 조이면서 배수관(B)과 트랩관(D)을 분해 조립하여야 하므로 가정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이물질로부터 악취와 세균으로 인해 사용자가 불결한 환경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아울러, 화학약품을 이용하는 방법은 수질을 오염시킨다는 이유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제안된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구조"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71036호에 개시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개폐구조는 배수마개의 머리부와 본체를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나사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되 머리부와 본체의 사이에 망체로 구성되는 거름망을 위치시켜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배수구의 개폐와 동시에 이물질의 여과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 제거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개폐구조에 있어서는 이물질 제거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거름망이 세면대 상단에 위치된 배수마개의 인접한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심한 악취와 함께 거름망에 걸러진 이물질이 외부로 드러나 보일 수도 있어 외관상 취약한 문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구조는 배수관에 연결된 트랩관의 형상이 다른 세면대에는 그 장착이 불가능하므로 적용범위가 한정되고 이에 따라 트랩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악취발생이 적고 걸러진 이물질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면서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걸러진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트랩관의 형상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한 세면대 트랩관 이물질 거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 하부가 개방형성된 외통; 상기 외통의 개방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세면대 배수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외통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통의 내측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내통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거름통; 상기 외통의 개방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캡; 및 일단은 상기 하부캡의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고 타단은 옥외로 연결되는 하수관에 체결된 상태에서 자체 변형을 통해 트랩을 형성시키는 자바라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름통의 표면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통의 상단 내주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통의 상단에는 거름통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턱에 걸리는 환턱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거름통의 상단에는 거름통의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양단이 거름통 의 상단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는 회동손잡이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의 하단에는 실링부재가 밀착되게 끼워져 상부캡과 배수관과의 수밀을 유지하면서 배수관과의 표면마찰력을 통해 상부캡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는 상, 하부가 개방형성된 외통(110)과, 상기 외통(110)의 개방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21)을 통해 세면대 배수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상부캡(120)과, 상기 외통(110)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통(110)의 내측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배수관(B)을 통해 내통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거름통(130)과, 상기 외통(110)의 개방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관통홀(141)이 형성된 하부캡(140)과, 일단은 상기 하부캡(140)의 관통홀(141)을 통해 체결되고 타단은 옥외로 연결되는 하수관(C)에 체결 된 상태에서 자체 변형을 통해 트랩을 형성시키는 자바라호스(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통(110)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물에 썩지 않으면서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이 적당하다. 상기 외통(110)은 상단에 체결되는 상부캡(120)을 통해 세면대(A)의 하수관(C)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캡(120)은 세면대(A)의 배수관(B)이 관통하도록 중앙에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통(110)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통(1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부캡(120)과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캡(120)이 외통(110)의 상단에 체결되기 외통(110)의 개방상단을 통해서 거름통(130)이 장착된다. 상기 거름통(130)은 표면에 다수의 배출공(132)이 균일하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외통(110)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통(110)의 내측에 삽입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통(110)의 상단 내주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된 지지턱(11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거름통(130)의 상단에는 상기 지지턱(111)에 걸리는 환턱(131)이 거름통(13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세면대(A)의 배수관(B)을 통해 외통(110)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전부 상기 거름통(13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진다. 유입된 오수는 상기 배출공(132)을 통해 거름통(130)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오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 등은 배출공(132)을 통과하지 못하고 거름통(130) 내부에 남게 된다.
한편, 상기 거름통(130)의 상단에는 거름통(130)의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양단이 거름통(130)의 상단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는 회동손잡이(133)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거름통(130)을 외통(1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차후에 거름통(130)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들의 처리가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관(B)의 하단에는 상부캡(120)의 관통홀(121)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실링부재(160)가 밀착되게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링부재(160)는 상부캡(120)과 배수관(B)과의 수밀을 유지하면서 배수관(B)과의 표면마찰력을 발생시켜 상부캡(120)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부캡(120)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부캡(120)과 배수관(B)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상부캡(120)과 배수관(B)의 일측에 나사산을 가공하고 타측에 회전너트를 설치하는 등의 체결수단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체결용 공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수관(B)과의 연결구조가 간단해지고 가정에서도 상부캡(120)과 배수관(B)과의 연결작업을 매우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통(110)의 하부에는 하부캡(140)이 체결된다. 이 하부캡(140)은 상부캡(120)과 마찬가지로 하부캡(140)에 나선체결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중앙에는 외통(110)으로 유입된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관통홀(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40)의 관통홀(141)을 통해 자바라호스(150)가 연결된다. 상기 자라바호스(150)의 일단은 상기 하부캡(140)의 관통홀(141)에 나선체결되고 타단은 옥외로 연결되는 하수관(C)에 설치된 회전너트를 통해 나선체결된다. 이때, 상기 자바라호스(150)의 중앙부는 자체 변형을 통해 트랩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자바라호스(150)가 트랩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별도의 트랩관을 구비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기존에 설치되던 트랩관으로 인해 하수관(C)의 연결방향이 다를 경우에도 자바라호스(150)를 하수관(C)의 연결방향과 일치되도록 자유롭게 자체변형시키면 모든 세면대(A)에 무리 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부캡(120)을 배수관(B) 하부에 끼운 상태에서 배수관(B)의 하단을 통해 실링부재(160)를 상부캡(120)의 하단에 밀착되도록 끼워넣은 다음 외통(110)내부에 거름통(130)을 장착하고 상부캡(120)과 하부캡(140)을 손으로 돌려서 외통(110)에 나선결합시킨다. 이렇게 하면, 배수관(B)의 하단이 상부캡(120)의 관통홀(121)을 지나 외통(110) 내부의 거름통(130)으로 진입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하부캡(140)의 관통홀(141)에 결합된 자바라호스(150)를 하수관(C)에 연결한 다음 하수관(C)의 연결방향에 적합한 트랩을 형성하도록 자바라호스(150)의 중앙부를 자체변형시키고 자바라호스(150)를 하수관(C)과 체결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100)는 세면대(A)를 통해 오수가 배수관(B)으로 배출되면, 배수관(B)을 통해 외통(110) 내부의 거름통(130)으로 유입되게 되고, 거름통(130)이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여과시키게 된다. 여과된 이물질들은 거름통(130) 내부에 남아있게 되고,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오수는 거름통(130) 표면의 배출공(132)을 통해 외통(110)으로 배출된다. 외통(110)으로 배출된 오수는 외통(110) 하부에 체결된 하부캡(140)의 관통홀(141)을 통해 자바라호스(150)를 거쳐 하수구를 통해 옥외로 배출되게 된다.
거름통(130) 내부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외통(110)을 상부캡(120)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거름통(130)에 매달린 손잡이(133)를 이용하여 거름통(130)을 외통(110)으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면 거름통(130)이 외통(110)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된다. 사용자는 거름통(130)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들을 제거한 다음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다시 외통(110) 내부에 장착시킨 후에 외통(110)에 상부캡(120)을 다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는 세면대(A) 저부의 배수관(B) 하부에 설치되므로 세면대(A) 주위에 악취가 발생되지 않으며 여과된 이물질이 외통(110) 내부의 거름통(130)에 모이게 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청결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통(110)에 체결된 상부캡(120)을 손으로 돌리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배수관(B)으로부터 상기 외통(110)을 분리시켜 거름통(130)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들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일단 설치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스패너와 같은 별도의 체결용 공구 없이도 가정에서 누구나 간편하고 쉽게 이물질을 제거한 다 음 재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거름통이 장착된 외통의 상,하단에 손으로 돌려서 조립할 수 있는 상,하부캡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부캡과 배수관을 단지 끼움결합만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정에서도 쉽게 거름장치를 조립하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거름통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걸러진 이물질의 제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거름통을 비롯한 외통이 세면대 저부에 설치됨으로써 악취발생이 적고 걸러진 이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청결한 효과가 있다.
넷째, 외통 하부에 연결된 자바라호스가 자체적으로 트랩을 형성하므로 기존에 설치된 트랩관의 형상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5)

  1. 상, 하부가 개방형성된 외통;
    상기 외통의 개방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세면대 배수관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상부캡;
    상기 외통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통의 내측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배수관을 통해 내통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거름통;
    상기 외통의 개방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캡; 및
    일단은 상기 하부캡의 관통홀을 통해 체결되고 타단은 옥외로 연결되는 하수관에 체결된 상태에서 자체 변형을 통해 트랩을 형성시키는 자바라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통의 표면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상단 내주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거름통의 상단에는 거름통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지지턱에 걸리는 환턱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통의 상단에는
    거름통의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양단이 거름통의 상단 내주면에 끼워져 설치되는 회동손잡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하단에는 실링부재가 밀착되게 끼워져 상부캡과 배수관과의 수밀을 유지하면서 배수관과의 표면마찰력을 통해 상부캡이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KR2020060016086U 2006-06-15 2006-06-15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KR2004265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086U KR200426500Y1 (ko) 2006-06-15 2006-06-15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086U KR200426500Y1 (ko) 2006-06-15 2006-06-15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500Y1 true KR200426500Y1 (ko) 2006-09-19

Family

ID=4177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086U KR200426500Y1 (ko) 2006-06-15 2006-06-15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5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67B1 (ko) 2010-04-16 2010-12-03 윤근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20160111684A (ko) * 2015-03-17 201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180102900A (ko) * 2017-03-08 2018-09-18 이윤기 세면대용 배수장치
CN114718172A (zh) * 2022-04-20 2022-07-08 北京弘石嘉业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设计的排水管道结构及使用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67B1 (ko) 2010-04-16 2010-12-03 윤근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WO2011129670A2 (ko) * 2010-04-16 2011-10-20 Yun Keun So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WO2011129670A3 (ko) * 2010-04-16 2012-03-22 Yun Keun So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20160111684A (ko) * 2015-03-17 201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2389596B1 (ko) * 2015-03-17 2022-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채집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180102900A (ko) * 2017-03-08 2018-09-18 이윤기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1940395B1 (ko) * 2017-03-08 2019-04-11 이윤기 세면대용 배수장치
CN114718172A (zh) * 2022-04-20 2022-07-08 北京弘石嘉业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设计的排水管道结构及使用方法
CN114718172B (zh) * 2022-04-20 2024-01-26 北京弘石嘉业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建筑设计的排水管道结构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3195Y1 (ko) 세면대의 팝업밸브 구조
US20190242102A1 (en) Drain stopper with removable debris trap
AU2011203575A1 (en) Filter and Filter Assembly
KR200426500Y1 (ko) 세면대 배수관 이물질 거름장치
KR101686959B1 (ko) 트랩 착탈식 오수받이
KR200368837Y1 (ko) 착탈식 걸름망이 구비된 세면기용 배수전
KR101734203B1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140005630A (ko) 세면기 트랩 여과장치
KR200373611Y1 (ko) 욕조와 세면기 배수관 막힘 방지 여과 망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200484438Y1 (ko)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KR20110001706U (ko) 세면기의 회전 분리형 팝업밸브
KR101054723B1 (ko) 배수장치
KR20040086229A (ko)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200331013Y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0752292B1 (ko) 마개가 달린 폽업
JP6194507B2 (ja) 封水式排水トラップ
KR200365152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이 있는 배수트랩장치
KR200415793Y1 (ko) 방취포집기
KR200314062Y1 (ko) 배수트랩
KR102075758B1 (ko) 배수구의 이물질 제거용 연결 장치
KR101940395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JPH09256453A (ja) 排水トラップ
JP2009068192A (ja) アダプター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