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324B1 - 배수구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324B1
KR102319324B1 KR1020210008331A KR20210008331A KR102319324B1 KR 102319324 B1 KR102319324 B1 KR 102319324B1 KR 1020210008331 A KR1020210008331 A KR 1020210008331A KR 20210008331 A KR20210008331 A KR 20210008331A KR 102319324 B1 KR102319324 B1 KR 10231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opening
drug
drain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지
Priority to KR102021000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24B1/ko
Priority to KR1020210142586A priority patent/KR2022010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배수 개구가 형성되고, 외주부가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수구 세정을 위한 수용성 약품이 수용되는 약품 수용부를 가지는 탈착 고정부; 상기 배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품 수용부는 상기 탈착 고정부의 바닥벽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약품 수용부의 상벽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홀이 상기 약품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약품 수용부의 바닥벽 및 외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상기 약품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배수구 개폐 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RAIN HOLE}
본 발명은 세면대, 욕조 및 싱크대 등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배수구를 쉽게 세척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면대, 욕조 및 싱크대 등의 물을 사용하는 구조물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배수구를 열거나 닫기 위한 배수구 마개가 제공된다.
종래의 배수구 마개는 일반적으로 배수구와 분리되어 별도로 제공되거나, 배수구 마개를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에 의해 배수구에 결합되어 제공된다.
전자의 경우, 배수구 마개 분실의 위험이 높다. 비록,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와 인접한 곳에 연결시켜주는 연결선 등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연결선은 쉽게 파손되며, 연결선이 파손되는 경우 배수구 마개 분실의 가능성이 높다.
후자의 경우, 배수구 내부를 청소하거나 배수구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배수구로부터 배수구 마개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물질들이 배수구 내측벽에 쌓이는 경우 각종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할 수 있으며,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 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로부터 분리 및 설치가 쉬운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 내부를 쉽게 세척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수구 개폐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배수 개구가 형성되고, 외주부가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수구 세정을 위한 수용성 약품이 수용되는 약품 수용부를 가지는 탈착 고정부; 상기 배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품 수용부는 상기 탈착 고정부의 바닥벽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약품 수용부의 상벽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홀이 상기 약품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약품 수용부의 바닥벽 및 외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상기 약품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약품은 상기 유입홀 및 상기 배출홀을 관통할 수 없는 크기의 입자를 가지는 과립형 세제로 제공되고, 상기 약품 수용부에는 상기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개폐 장치는 상기 약품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 개폐 장치는, 상기 커버부를 아래 방향으로 누를 때 마다 상기 커버부가 상승 및 하강을 번갈아 동작하도록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탈착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고정부에는, 상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수용부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벽에는 드레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는 배수구 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는 배수구로부터 쉽게 분리되고 배수구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는 배수구 내부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구 개폐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수구 개폐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푸쉬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푸쉬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피스톤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2의 배수구 개폐 장치가 닫히고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약품 수용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배수구(10)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구 개폐 장치(100)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수구 개폐 장치(100)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는 욕실, 세면대 및 싱크대 등에 제공되는 배수구(10)를 개폐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배수구(1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정면도 및 저면도 등 도면의 방향을 정하는 기준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였다. 배수구 개폐 장치(100)는 탈착 고정부(110), 주입구 캡(120), 커버부(130) 및 연결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 고정부(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탈착 고정부(110)는 상면에 배수 개구(111)가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된다. 탈착 고정부(110)는 외주부가 배수구(10)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배수구(10)에 삽입 설치된다. 탈착 고정부(110)는 배수구(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수구(10)의 외주부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프린지 부(112)가 제공될 수 있다. 탈착 고정부(110)는 배수구(10)에 삽입되는 경우 프린지 부(112)가 배수구(10)의 입구에 걸림으로써 배수구(10) 내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배수구(10)의 탈착 고정부(110)의 아래 영역에는 배수구 개폐 장치(100)를 통해 배수구(10)로 배수되는 물에 섞여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거름망(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탈착 고정부(110)는 약품 수용부(113)를 가진다. 약품 수용부(113)에는 배수구 세정을 위한 수용성 약품이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약품 수용부(113)는 탈착 고정부(110)의 바닥벽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약품 수용부(113)는 위에서 바라볼 때, 탈착 고정부(110)의 중심부보다 배수 개구(111)의 내측면에 인접할 수 있는 직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약품 수용부(113)의 상면에는 유입홀(113a)이 형성된다. 배수 개구(111)를 통해 탈착 고정부(110)의 내부로 흘러 들어온 물은 유입홀(113a)을 통해 약품 수용부(113) 내로 유입된다. 유입홀(113a)은 복수개가 약품 수용부(113)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약품 수용부(113)의 바닥벽 및 외측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배출홀(113b)이 형성된다. 약품 수용부(113) 내의 물은 배출홀(113b)을 통해 배수구(10)로 배출된다. 배출홀(113b)은 복수개가 약품 수용부(113)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출홀(113b)은 약품 수용부(113)의 바닥면에 제공될 수 있다. 배출홀(113b)은 약품 수용부(113)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방향이 연직 방향이 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약품 수용부(113)에 수용되는 수용성 약품은 유입홀(113a) 및 배출홀(113b)을 관통할 수 없는 크기의 입자를 가지는 과립형 세제로 제공될 수 있다. 수용성 약품의 각각의 입자는 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약품 수용부(113)에는 약품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성 약품은 약품 주입구를 통해 약품 수용부(113)로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약품 주입구는 약품 수용부(113)의 바닥벽에 형성될 수 있다.
약품 주입구는 주입구 캡(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입구 캡(120)은 탄성 재질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밀어 넣으면 약품 주입구에 끼워지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약품 수용부(113)의 외측으로 힘을 가하면 약품 주입구로부터 빠지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입구 캡(120)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성 약품을 수용하는 약품 수용부(113)가 제공됨으로써 배수 개구(111)를 통해 물이 배수되면, 그 물이 약품 수용부(113)로 유입되고, 약품 수용부(113)로 유입된 물에 의해 수용성 약품이 용해된다. 이와 같이, 수용성 약품이 용해된 용액은 배수구(10)로 유입되어 배수구(10) 내부를 세척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약품 수용부(113)가 배수 개구(10)의 중심부보다 배수 개구(111)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제공됨으로써, 배수구(10)의 내측면으로 도달하는 수용성 약품이 용해된 물의 비율이 높아져 배수구(10)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탈착 고정부(110)에는 수용부(114)가 제공될 수 있다. 수용부(114)는 내부에 연결부(100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진다. 수용부(114)는 상면이 개방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부(114)는 상면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용부(114)의 측벽의 상단은 커버부(13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 방지벽(134)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되, 커버부(13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커버부(130)의 저면에 닿지 않는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수용부(1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000)를 감싸도록 제공됨으로써, 스프링 등 내부 구성에 대한 부식 등의 파손이나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 및 이물질이 케이스(1200), 푸쉬부(1300) 및 피스톤부(1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수용부(114)의 바닥벽에는 수용부(114)의 내외부 간에 연통되도록 드레인 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드레인 홀(114a)은 수용부(114)의 바닥벽의 아래에서 설명될 제1 공간(1210)에 대향되는 영역(114c)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200), 푸쉬부(1300) 및 피스톤부(1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어, 물이 내부에 장시간 머물러 스프링 등의 내부 구성이 부식되는 등의 물로 인한 파손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홀(114a)은 수용부(114)의 바닥벽의 케이스(1200)에 대향되는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114)의 측벽 및 케이스(1200)의 사이 공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인 물은 시간이 지나면 ››어 곰팡이나 세균의 번식 및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용부(114)의 바닥벽의 상면의 푸쉬부(1300)에 대향되는 영역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 부재(1500)를 지지할 수 있는 탄성 부재 지지 돌기(114b)가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탈착 고정부(110)의 약품 수용부(113) 및 수용부(114)의 사이 영역에는 탈착 고정부(110)의 내외부 간이 연통되도록 배수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홀(115)이 형성됨으로써, 배수구(10)로 배수되는 물의 유량이 약품 수용부(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유량에 비해 과도한 경우 배수홀(115)을 통해 추가적으로 물이 배수됨으로써 보다 큰 배수 유량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부(130)는 배수 개구(111)를 개폐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부(130)의 저면의 중심부에는 연결부(100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부(130)는 아래에서 설명될 푸쉬부(1300)의 상단에 연결된다. 커버부(130)는 연결부(10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배수 개구(111)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부(130)의 외주부에는 실링 부재(131)가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31)는 커버부(130)의 외주부에 대응하여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31)는 커버부(130)의 외주부로부터 배수 개구(111)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연장됨으로써, 커버부(130) 및 배수 개구(111)의 내측면의 사이를 막아 커버부(130)가 닫힌 상태에서 물이 배수구(10)로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10)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부재(131)는 탄성을 가지는 방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링 부재(131)는 고무, 실리콘 또는 그 외 탄성 및 방수 기능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부(130)의 외주부에는 실링 부재(131)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실링 부재 삽입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131)는 탄성에 의한 인장 및 수축으로 실링 부재 삽입홈(132)에 삽입 및 배출되어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부(130)는 결합 연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연장부(133)는 커버부(130)의 저면의 중심부로부터 연장된다. 결합 연장부(13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푸쉬부(1300)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부(130)는 유입 방지벽(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방지벽(134)은 커버부(13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입 방지벽(134)은 결합 연장부(133)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입 방지벽(134)은 하단이 케이스(120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유입 방지벽(134)은 수용부(114)와 함께, 스프링 등 내부 구성에 대한 부식 등의 파손이나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 및 이물질이 케이스(1200), 푸쉬부(1300) 및 피스톤부(1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000)는 커버부(130)를 아래 방향으로 누를 때 마다 커버부(130)가 상승 및 하강을 번갈아 동작하도록 커버부 및 탈착 고정부(110)를 연결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130)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 쉽게 배수 개구(111)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000)는 케이스(1200), 푸쉬부(1300), 피스톤부(1400) 및 탄성 부재(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12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스(1200)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케이스(1200)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1200)는 탈착 고정부(110)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케이스(1200)는 수용부(114)의 바닥벽으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케이스(1200)는 내부에 제1 공간(1210)을 가진다. 제1 공간(1210)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인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스(1200)의 상면에는 제1 공간(1210)이 개방되도록 개구(1220)가 형성된다.
개구(1220)의 내측면에는 이탈 방지 단차(1221)가 제공된다. 이탈 방지 단차(1221)는 제1 공간(1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된다. 이탈 방지 단차(1221)는 개구(1220)의 내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단차(1221)의 연장되는 길이는 가이드 돌출부(1230)의 제1 영역(1231)의 돌출된 높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공간(1210)에는 가이드 돌출부(1230)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돌출부(1230)는 제1 공간(1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가이드 돌출부(1230)는 이탈 방지 단차(1221)의 저면으로부터, 케이스(120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돌출부(1230)는 제1 공간(1210)의 내측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링 형상을 이룬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돌출부(1230)는 제1 영역(1231) 및 제2 영역(1232)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31)은 제1 공간(1210)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출부(1230)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제1 높이로 돌출된다. 제1 영역(1231)의 저면은 제1 공간(1210)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지게 제공된다.
제2 영역(1232)은 제1 영역(1231)의 사이에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돌출된다. 제2 영역(1232)의 저면은 양측 제1 영역(1231) 중 하나의 저면으로부터 이어지도록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232)의 저면은 제1 영역(1231)의 저면보다 이탈 방지 단차(12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7은 도 2의 푸쉬부(13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푸쉬부(1300)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푸쉬부(1300)는 개구(1220)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푸쉬부(1300)는 내부에 제2 공간(1310)을 가진다. 푸쉬부(1300)의 저면은 피스톤부(1400)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푸쉬부(1300)의 하단에는, 각각의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각각의 얕은 사이 공간(1250)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회전 돌기(1410)의 상면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진 경사면(1330)이 형성된다.
여기서, 깊은 사이 공간(1240)은 가이드 돌출부(1230) 간의 사이 공간이다. 그리고, 얕은 사이 공간(1250)은 제1 영역(1231)의 사이의 제2 영역(1232)에 대향되는 영역이다.
푸쉬부(1300)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돌기(1320)를 가진다. 걸림돌기(1320)는 상면이 이탈 방지 단차(1221)의 저면에 걸리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푸쉬부(1300)가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1220)를 통해 케이스(1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 돌기(1320)는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깊은 사이 공간(1240) 또는 얕은 사이 공간(1250)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걸림 돌기(1320)는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을 합한 수와 동일한 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걸림 돌기(1320)는 각각의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1320)가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에 삽입되도록 제공됨으로써, 푸쉬부(1300)가 제1 공간(1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푸쉬부(1300)는 경사면(1330) 및 회전 돌기(1410)의 접촉되는 면의 경사에도 불구하고 누르는 힘에 의해 피스톤부(1400)를 안정적으로 아래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피스톤부(14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피스톤부(140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공간(1210) 및 제2 공간(1310)내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스톤부(14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그 공간에 탄성 부재(1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피스톤부(1400)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 돌기(1410)가 형성된다.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에 삽입되어 깊은 사이 공간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에 대응되는 수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돌기(1410)는 끝단이 제1 공간(1210)의 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1231)의 내측 끝단보다 외측에 위치되고, 제2 영역(1232)의 내측 끝단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을 따라서는 왕복 이동이 가능하나, 제2 영역(1232)의 저면에 걸려 얕은 사이 공간(1250)으로는 삽입될 수 없다. 회전 돌기(1410)의 상면은 제1 영역(1231)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제공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500)는 제1 공간(1210)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1500)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0)는 피스톤부(1400)에 위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면,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탄성 부재(1500)는 일단은 수용부(114)의 탄성 부재 지지 돌기(114b)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푸쉬부(1300)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푸쉬부(1300) 내로 삽입되어 푸쉬부(1300)의 상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푸쉬부(1300)의 상면에는 결합 연장부(133)가 삽입되는 결합구(1340)가 형성된다. 결합구(1340)에는 결합 단차(1341)가 형성된다. 결합 단차(1341)는 결합구(134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 연장부(133)는 결합 단차(1341)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커버부(130) 및 푸쉬부(1300)는 나사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탈착 고정부(110) 및 커버부(130)는 외관이 비교적 잘 드러나고, 열고 닫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과의 마찰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색 및 도금이 유리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케이스(1200), 푸쉬부(1300) 및 피스톤부(1400)는 열고 닫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들과의 충돌 및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강도가 높고 표면의 마찰 계수가 낮은 폴리아세탈(Polyacetal)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2의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닫히고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열린 상태에서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열린 상태에서, 피스톤부(1400)에 가해지는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을 따라 상승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 돌기(1410)가 경사면(1330)을 밀어올림으로써, 푸쉬부(1300)가 상승하고, 푸쉬부(1300)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부(130) 또한 함께 상승하여,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열린 상태가 된다.
도 11은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열린 상태에서 커버부(130)가 사용자에 의해 눌릴 때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부(130)를 누르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푸쉬부(1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 돌기(1410)가 푸쉬부(13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깊은 사이 공간(1240)을 완전히 벗어난 위치, 즉 회전 돌기(1410) 전체가 제1 영역(1231)의 하단보다 아래 방향으로 더 이동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회전 돌기(1410)는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1330)을 따라 얕은 사이 공간(125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부(1400)가 회전된다.
도 12는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의 과정에 의해 얕은 사이 공간(125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회전 돌기(1410)는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제2 영역(1232)의 배수구(10)의 저면에 걸려 위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푸쉬부(1300) 또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푸쉬부(1300)와 연결된 커버부(130)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어 배수구(10)를 닫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은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부(130)가 사용자에 의해 눌릴 때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부(130)를 누르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푸쉬부(13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 돌기(1410)가 푸쉬부(13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얕은 사이 공간(1250)을 완전히 벗어난 위치, 즉 회전 돌기(1410) 전체가 제1 영역(1231)의 하단보다 아래 방향으로 더 이동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회전 돌기(1410)는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1330)을 따라 깊은 사이 공간(124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부(1400)가 회전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3의 과정에 의해 깊은 사이 공간(124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회전 돌기(1410)는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깊은 사이 공간(1240)을 따라 위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푸쉬부(1300) 또한 회전 돌기(1410)와 함께 위로 이동되고, 푸쉬부(1300)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부(130)도 위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수구(10)를 연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0)는 장치의 일부가 배수구(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커버부(130)만이 이동되어 배수구(10)를 개폐함으로써, 커버부(13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약품 수용부(113)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배출홀(113b)은 약품 수용부(113)의 바닥벽 및 외측벽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약품 수용부(113)의 외측벽에 형성되는 배출홀(113b)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약품 수용부(113)의 외측벽에 형성되는 배출홀(113b)은 약품 수용부(113)의 외측벽을 수평한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배출홀(113b)이 약품 수용부(113)의 외측벽에 형성됨으로써 외측벽에 형성된 배출홀(113b)을 통해 배출되는 수용성 약품의 수용액의 배수구(10)의 내측면에 도달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다르면, 약품 수용부(113)의 바닥벽에 형성된 배출홀(113b)은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배수구(10)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약품 수용부(113)의 바닥벽에 형성된 배출홀(113b)을 통해 배출되는 수용성 약품의 수용액의 배수구(10)의 내측면에 도달하는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배출홀(113b)은 선택적으로 약품 수용부(113)의 외측벽에는 제공되되 바닥벽에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0)는 약품 수용부(113)에 배수구 세정을 위한 수용성 약품이 수용되고, 배수구 내에 배출되는 물에 용해되어 배수구(10) 내로 배출됨으로써 쉽게 배수구(10)를 세척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수구 100: 배수구 개폐 장치
110: 탈착 고정부 111: 배수 개구
112: 프린지 부 113: 약품 수용부
113a: 유입홀 113b: 배출홀
114: 수용부 114a: 드레인 홀
114b: 탄성 부재 지지 돌기 115: 배수홀
120: 주입구 캡 130: 커버부
131: 실링 부재 132: 실링 부재 삽입홈
133: 결합 연장부 134: 유입 방지벽
1000: 연결부 1200: 케이스
1300: 푸쉬부 1400: 피스톤부
1500: 탄성 부재

Claims (5)

  1.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배수 개구가 형성되고, 외주부가 상기 배수구의 내주면에 맞물리도록 상기 배수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배수구 세정을 위한 수용성 약품이 수용되는 약품 수용부를 가지는 탈착 고정부;
    상기 배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약품 수용부는 상기 탈착 고정부의 바닥벽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배수 개구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배수 개구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약품 수용부의 상벽에는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복수개의 유입홀이 상기 약품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약품 수용부의 바닥벽 및 외측벽에는 물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배출홀이 상기 약품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약품 수용부의 내측벽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탈착 고정부의 외주부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탈착 고정부 및 상기 배수구의 사이를 덮는 프린지 부가 제공되며,
    상기 탈착 고정부의 바닥벽의 상기 약품 수용부에 둘러싸인 영역에는 상기 탈착 고정부의 내외부 간이 연통되도록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약품 수용부의 바닥벽에 형성된 상기 배출홀은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배수구의 내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제공되는 배수구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은 상기 유입홀 및 상기 배출홀을 관통할 수 없는 크기의 입자를 가지는 과립형 세제로 제공되고,
    상기 약품 수용부에는 상기 약품을 주입하는 약품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약품 주입구를 개폐하는 주입구 캡을 더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를 아래 방향으로 누를 때 마다 상기 커버부가 상승 및 하강을 번갈아 동작하도록 상기 커버부 및 상기 탈착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고정부에는, 상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수용부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벽에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배수구 개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 개폐 장치는,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배수 개구의 내측면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외주부를 따라 제공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KR1020210008331A 2021-01-20 2021-01-20 배수구 개폐 장치 KR102319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31A KR102319324B1 (ko) 2021-01-20 2021-01-20 배수구 개폐 장치
KR1020210142586A KR20220105578A (ko) 2021-01-20 2021-10-25 배수구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31A KR102319324B1 (ko) 2021-01-20 2021-01-20 배수구 개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586A Division KR20220105578A (ko) 2021-01-20 2021-10-25 배수구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324B1 true KR102319324B1 (ko) 2021-10-29

Family

ID=782311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331A KR102319324B1 (ko) 2021-01-20 2021-01-20 배수구 개폐 장치
KR1020210142586A KR20220105578A (ko) 2021-01-20 2021-10-25 배수구 개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586A KR20220105578A (ko) 2021-01-20 2021-10-25 배수구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93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98A (ja) * 2003-08-14 2005-03-10 Nippon Soda Co Ltd 洗面台用ヌメリ取り具
KR20120034867A (ko) * 2010-10-04 2012-04-13 (주)물사랑 소독약 탈착이 용이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용 세면대 구조
KR20180111179A (ko) * 2017-03-31 2018-10-11 김광식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KR102130263B1 (ko) * 2020-04-23 2020-07-03 김진희 싱크대 배수구 커버
JP2020153201A (ja) * 2019-03-22 2020-09-24 株式会社Lixil 排水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098A (ja) * 2003-08-14 2005-03-10 Nippon Soda Co Ltd 洗面台用ヌメリ取り具
KR20120034867A (ko) * 2010-10-04 2012-04-13 (주)물사랑 소독약 탈착이 용이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용 세면대 구조
KR20180111179A (ko) * 2017-03-31 2018-10-11 김광식 싱크대 배수구용 개폐마개
JP2020153201A (ja) * 2019-03-22 2020-09-24 株式会社Lixil 排水栓
KR102130263B1 (ko) * 2020-04-23 2020-07-03 김진희 싱크대 배수구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578A (ko) 202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759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US11142897B2 (en) Internal drain hair and debris straining assembly
KR101902493B1 (ko) 배수트랩
NL1031027C1 (nl) Afvoersamenstel.
KR200458308Y1 (ko) 세면기용 팝업밸브
KR102319324B1 (ko) 배수구 개폐 장치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102079051B1 (ko) 배수구 개폐 장치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CN212001430U (zh) 一种易清洁弹跳下水器及卫浴组件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KR101922083B1 (ko) 원터치식 세면대용 팝업 밸브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200463984Y1 (ko)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KR100960590B1 (ko) 배수구 개폐장치
KR101259781B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KR102451693B1 (ko) 배수관 연결 장치
JP7165851B2 (ja) 目皿部材の取付構造
KR20230037814A (ko) 욕실 배수장치
KR20130090656A (ko) 배수 트랩
KR100360456B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JP2022170405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