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51B1 - 배수구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051B1
KR102079051B1 KR1020190153368A KR20190153368A KR102079051B1 KR 102079051 B1 KR102079051 B1 KR 102079051B1 KR 1020190153368 A KR1020190153368 A KR 1020190153368A KR 20190153368 A KR20190153368 A KR 20190153368A KR 102079051 B1 KR102079051 B1 KR 10207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rain
opening
facing
inter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혜민
Original Assignee
서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혜민 filed Critical 서혜민
Priority to KR102019015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는, 배수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착 고정부와; 상기 탈착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수구의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이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원통 형상의 제1 공간을 가지고,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한 면에는 상기 제1 공간이 개방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부에 제2 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구의 내측 방향을 향한 면이 개방되는 푸쉬부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서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제1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상기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푸쉬부의 상기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에 연결되는 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구 개폐 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RAIN HOLE}
본 발명은 세면대, 욕조 및 싱크대 등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누르는 힘을 가하면 열림과 닫힘을 반복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면대, 욕조 및 싱크대 등의 물을 사용하는 구조물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수구에는 배수구를 열거나 닫기 위한 배수구 마개가 제공된다.
종래의 배수구 마개는 일반적으로 배수구와 분리되어 별도로 제공되거나, 배수구 마개를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에 의해 배수구에 결합되어 제공된다.
전자의 경우, 배수구 마개 분실의 위험이 크다. 비록, 배수구 마개를 배수구와 인접한 곳에 연결해주는 연결선 등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연결선은 쉽게 파손되며, 연결선이 파손되는 경우 배수구 마개 분실의 가능성이 높다.
후자의 경우, 배수구 내부를 청소하거나 배수구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배수구로부터 배수구 마개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배수구 마개들의 경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배수구에 설치되는 거름망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 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로부터 분리 및 설치가 쉬운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별도의 거름망이 요구되지 않는 배수구 개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는, 배수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착 고정부와; 상기 탈착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수구의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이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원통 형상의 제1 공간을 가지고,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한 면에는 상기 제1 공간이 개방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부에 제2 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구의 내측 방향을 향한 면이 개방되는 푸쉬부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서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제1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상기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푸쉬부의 상기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에 연결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부는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상기 외측 방향으로 지지되고,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 및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깊은 사이 공간 및 상기 걸림 돌기는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나, 상기 회전 돌기는 삽입될 수 없는 깊이로 제공되는 얕은 사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돌기는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내측 방향으로 1회 눌릴 때마다 상기 제1 공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깊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 및 상기 얕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를 번갈아 이동하고, 상기 깊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깊은 사이 공간을 따라 상기 배수구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얕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깊은 사이 공간과의 깊이 차이에 따른 단차에 걸려 상기 배수구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의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결합 연장부가 삽입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연장부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 상기 결합 돌기의 상기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과 걸리도록 제공되는 결합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내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유입 방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 고정부의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상기 제1 공간에 대향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간에 연통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 고정부의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상기 제1 공간에 대향되는 영역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영역에는 상기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까지 관통되는 거름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는 배수구 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는 배수구로부터 쉽게 분리되고 배수구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별도의 거름망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가 배수구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구 개폐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탈착 고정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케이스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푸쉬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푸쉬부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피스톤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2의 배수구 개폐 장치가 닫히고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배수구(10)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구 개폐 장치(1000)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0)는 욕실, 세면대 및 싱크대 등에 제공되는 배수구(10)를 개폐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배수구(1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정면도 및 저면도 등 도면의 방향을 정하는 기준은 도 1을 기준으로 하였다. 배수구 개폐 장치(1000)는 탈착 고정부(1100), 케이스(1200), 푸쉬부(1300), 피스톤부(1400), 탄성 부재(1500), 마개부(1600) 및 실링 부재(17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탈착 고정부(11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탈착 고정부(1100)는 배수구(10)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착 고정부(1100)는 외측면이 배수구(10)의 내측면에 접하는 원통형으로 제공되고,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가장자리 영역이 배수구(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차에 걸쳐짐으로써 배수구(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00)는 배수구(10) 내로 탈착 고정부(1100)를 밀어 넣고, 당겨서 배출시키는 것만으로 쉽게 배수구(10)에 설치하고, 배수구(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착 고정부(11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제1 공간(1210)에 대향되는 영역에는 제1 공간(1210)과 외부 간에 연통되는 드레인 홀(11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200), 푸쉬부(1300) 및 피스톤부(1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어, 물이 내부에 장시간 머물러 스프링 등의 내부 구성이 부식되는 등의 물로 인한 파손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착 고정부(11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제1 공간(1210)에 대향되는 영역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영역에는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까지 관통되는 거름홀(1120)이 형성될 수 있다. 거름홀(1120)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거름홀(1120)을 통과하여 배수구(10)의 내부로 흐르고,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은 거름홀(1120)의 사이에 걸려 배수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00)는 배수구(10)에 설치되는 별도의 거름망이 요구되지 않는다.
탈착 고정부(110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푸쉬부(1300)에 대향되는 영역에는 탄성 부재(1500)를 지지할 수 있는 탄성 부재 지지 돌기(1130)가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12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스(1200)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케이스(1200)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1200)는 탈착 고정부(1100)로부터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케이스(1200)는 내부에 제1 공간(1210)을 가진다. 제1 공간(1210)은 길이 방향이 배수구(10)의 외측 방향과 평행한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스(120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제1 공간(1210)이 개방되도록 개구(1220)가 형성된다.
개구(1220)의 내측면에는 이탈 방지 단차(1221)가 제공된다. 이탈 방지 단차(1221)는 제1 공간(1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게 제공된다. 이탈 방지 단차(1221)는 개구(1220)의 내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단차(1221)의 연장되는 길이는 가이드 돌출부(1230)의 제1 영역(1231)의 돌출된 높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공간(1210)에는 가이드 돌출부(1230)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돌출부(1230)는 제1 공간(1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가이드 돌출부(1230)는 이탈 방지 단차(1221)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케이스(12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돌출부(1230)는 제1 공간(1210)의 내측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링 형상을 이룬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돌출부(1230)는 제1 영역(1231) 및 제2 영역(1232)을 포함한다.
제1 영역(1231)은 제1 공간(1210)의 둘레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출부(123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1 높이로 돌출된다. 제1 영역(1231)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은 제1 공간(1210)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갈수록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제공된다.
제2 영역(1232)은 제1 영역(1231)의 사이에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돌출된다. 제2 영역(1232)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은 양측 제1 영역(1231) 중 하나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이어지도록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1232)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은 제1 영역(1231)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보다 이탈 방지 단차(12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 7은 도 2의 푸쉬부(13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푸쉬부(1300)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푸쉬부(1300)는 개구(1220)를 관통하여 배수구(10)의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푸쉬부(1300)는 내부에 제2 공간(1310)을 가진다. 푸쉬부(13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한 면은 피스톤부(1400)가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푸쉬부(13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에는, 각각의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각각의 얕은 사이 공간(1250)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회전 돌기(141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진 경사면(1330)이 형성된다.
여기서, 깊은 사이 공간(1240)은 가이드 돌출부(1230) 간의 사이 공간이다. 그리고 얕은 사이 공간(1250)은 제1 영역(1231)의 사이의 제2 영역(1232)에 대향되는 영역이다.
푸쉬부(1300)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돌기(1320)를 가진다. 푸쉬부(1300)는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 이탈 방지 단차(1221)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걸리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푸쉬부(1300)가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1220)를 통해 케이스(1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 돌기(1320)는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깊은 사이 공간(1240) 또는 얕은 사이 공간(1250)을 따라 왕복 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걸림 돌기(1320)는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을 합한 수와 동일한 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걸림 돌기(1320)는 각각의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에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 돌기(1320)가 깊은 사이 공간(1240) 및 얕은 사이 공간(1250)에 삽입되도록 제공됨으로써, 푸쉬부(1300)가 제1 공간(1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푸쉬부(1300)는 경사면(1330) 및 회전 돌기(1410)의 접촉되는 면의 경사에도 불구하고 누르는 힘에 의해 피스톤부(1400)를 안정적으로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누를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피스톤부(1400)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피스톤부(1400)는 배수구(10)의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공간(1210) 및 제2 공간(1310)내에서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스톤부(14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그 공간에 탄성 부재(1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이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피스톤부(1400)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 돌기(1410)가 형성된다.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에 삽입되어 깊은 사이 공간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에 대응되는 수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돌기(1410)는 끝단이 제1 공간(1210)의 축을 기준으로 제1 영역(1231)의 내측 끝단보다 외측에 위치되고, 제2 영역(1232)의 내측 끝단보다는 내측에 위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을 따라서는 왕복 이동이 가능하나, 제2 영역(1232)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한 면에 걸려 얕은 사이 공간(1250)으로는 삽입될 수 없다. 회전 돌기(141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은 제1 영역(1231)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경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제공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500)는 제1 공간(1210)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1500)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00)는 피스톤부(1400)에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예를 들면, 코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탄성 부재(1500)는 일단은 탈착 고정부(1100)의 탄성 부재 지지 돌기(113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푸쉬부(1300)의 배수구(10)의 개방된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 푸쉬부(1300) 내로 삽입되어 푸쉬부(130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개부(1600)는 푸쉬부(130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에 연결된다. 마개부(1600)는 배수구(10)의 외측 방향과 내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배수구(10)를 직접 열고 닫는다.
일 실 시예에 따르면, 마개부(1600)는 결합 연장부(1610)를 포함한다. 결합 연장부(1610)는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개부(16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는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바라볼 때,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합 연장부(1610)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1320)가 형성된다. 결합 돌기(1320)는 각각의 연장부에 대응되어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돌기(1320)는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할수록 제1 공간(1210)의 축을 향해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합 연장부(161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푸쉬부(130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결합 연장부(1610)가 삽입되는 결합구(1340)가 형성된다.
결합구(1340)에는 결합 단차(1341)가 형성된다. 결합 단차(1341)는 결합구(134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결합 단차(1341)는 결합 연장부(1610)가 결합구(13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 결합 돌기(1320)의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과 걸리도록 제공된다.
각 연장부에 대응되는 결합 돌기(1320)들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한 끝단들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직경은 결합구(1340)의 결합 단차(1341) 외의 영역의 직경보다 작고, 각 연장부에 대응되는 결합 돌기(1320)들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향한 끝단들의 최 외곽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직경은 결합구(1340)의 결합 단차(1341) 외의 영역의 직경보다 크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연장부(1610) 및 결합구(1340)는 결합 연장부(1610)를 결합구(1340)를 통해 삽입하기에는 용이하나, 한번 삽입되면 다시 분리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마개부(1600)를 푸쉬부(130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푸쉬부(1300)의 내부가 노출됨으로 인한 파손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와 달리, 마개부(1600) 및 푸쉬부(1300)는 나사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마개부(1600)는 유입 방지벽(1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방지벽(1620)은 마개부(16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입 방지벽(1620)은 결합 연장부(1610)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입 방지벽(1620)은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부가 케이스(1200)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부를 감싸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유입 방지벽(1620)은 스프링 등 내부 구성에 대한 부식 등의 파손이나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물 및 이물질이 케이스(1200), 푸쉬부(1300) 및 피스톤부(1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착 고정부(1100) 및 마개부(1600)는 외관이 비교적 잘 드러나고, 열고 닫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과의 마찰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색 및 도금이 유리한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케이스(1200), 푸쉬부(1300) 및 피스톤부(1400)는 열고 닫는 과정에서 다른 구성들과의 충돌 및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강도가 높고 표면의 마찰 계수가 낮은 폴리아세탈(Polyacetal)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700)는 마개부(1600)가 닫힌 상태에서 마개부(1600) 및 배수구(10) 간의 틈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 부재(1700)는 외측 직경이 마개부(1600)의 외측 직경보다 큰 링 형상의 방수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실링 부재(1700)는 마개부(1600)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마개부(16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실링 부재 삽입홈(1630)에 탄성에 의한 인장 및 수축으로 삽입 및 배출되어 마개부(1600)에 탈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2의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닫히고 열리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열린 상태에서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열린 상태에서, 피스톤부(1400)에 가해지는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 돌기(1410)는 깊은 사이 공간(1240)을 따라 상승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 돌기(1410)가 경사면(1330)을 밀어올림으로써, 푸쉬부(1300)가 상승하고, 푸쉬부(1300)에 의해 지지되는 마개부(1600) 또한 함께 상승하여,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열린 상태가 된다.
도 11은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릴 때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개부(1600)를 누르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푸쉬부(1300)가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해서 이동된다. 회전 돌기(1410)가 푸쉬부(13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깊은 사이 공간(1240)을 완전히 벗어난 위치, 즉 회전 돌기(1410) 전체가 제1 영역(1231)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한 끝단보다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더 이동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회전 돌기(1410)는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1330)을 따라 얕은 사이 공간(125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부(1400)가 회전된다.
도 12는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닫힌 상태에서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의 과정에 의해 얕은 사이 공간(125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회전 돌기(1410)는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제2 영역(1232)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에 걸려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따라서, 푸쉬부(1300) 또한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푸쉬부(1300)와 연결된 마개부(1600)도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어 배수구(10)를 닫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은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릴 때 푸쉬부(1300) 및 회전 돌기(1410)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배수구 개폐 장치(10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마개부(1600)를 누르면, 그 누르는 힘에 의해 푸쉬부(1300)가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해서 이동된다. 회전 돌기(1410)가 푸쉬부(13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얕은 사이 공간(1250)을 완전히 벗어난 위치, 즉 회전 돌기(1410) 전체가 제1 영역(1231)의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을 향한 끝단보다 배수구(10)의 내측 방향으로 더 이동된 위치까지 이동되면, 회전 돌기(1410)는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1330)을 따라 깊은 사이 공간(124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부(1400)가 회전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도 13의 과정에 의해 깊은 사이 공간(124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 회전 돌기(1410)는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1500)의 탄성력에 의해 깊은 사이 공간(1240)을 따라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푸쉬부(1300) 또한 회전 돌기(1410)와 함께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푸쉬부(1300)에 의해 지지되는 마개부(1600)도 배수구(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수구(10)를 연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 장치(1000)는 장치의 일부가 배수구(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마개부(1600)만이 이동되어 배수구(10)를 개폐함으로써, 마개부(160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배수구 개폐 장치 1100: 탈착 고정부
1110: 드레인 홀 1120: 거름홀
1130: 탄성 부재 지지 돌기 1200: 케이스
1210: 제1 공간 1220: 개구
1221: 이탈 방지 단차 1230: 가이드 돌출부
1231: 제1 영역 1232: 제2 영역
1240: 깊은 사이 공간 1250: 얕은 사이 공간
1300: 푸쉬부 1310: 제2 공간
1320: 걸림 돌기 1330: 경사면
1340: 결합구 1341: 결합 단차
1400: 피스톤부 1410: 회전 돌기
1500: 탄성 부재 1600: 마개부
1610: 결합 연장부 1611: 결합 돌기
1620: 유입 방지벽 1630: 실링 부재 삽입홈
1700: 실링 부재

Claims (5)

  1.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에 있어서,
    배수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착 고정부와;
    상기 탈착 고정부로부터 상기 배수구의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이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원통 형상의 제1 공간을 가지고,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한 면에는 상기 제1 공간이 개방되도록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고, 내부에 제2 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수구의 내측 방향을 향한 면이 개방되는 푸쉬부와;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 내에서 상기 외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제1 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피스톤부에 상기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푸쉬부의 상기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끝단에 연결되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푸쉬부는 상기 피스톤부에 의해 상기 외측 방향으로 지지되고,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 돌기 및 상기 회전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깊은 사이 공간 및 상기 걸림 돌기는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나, 상기 회전 돌기는 삽입될 수 없는 깊이로 제공되는 얕은 사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돌기는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내측 방향으로 1회 눌릴 때마다 상기 제1 공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깊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 및 상기 얕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를 번갈아 이동하고, 상기 깊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깊은 사이 공간을 따라 상기 배수구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얕은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깊은 사이 공간과의 깊이 차이에 따른 단차에 걸려 상기 배수구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의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결합 연장부가 삽입되는 결합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연장부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에는,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이 상기 결합 돌기의 상기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과 걸리도록 제공되는 결합 단차가 형성되는 배수구 개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내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외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부를 감싸도록 제공되는 유입 방지벽을 포함하는 배수구 개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고정부의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상기 제1 공간에 대향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1 공간과 외부간에 연통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배수구 개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고정부의 상기 내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의 상기 제1 공간에 대향되는 영역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영역에는 상기 외측 방향을 바라보는 면까지 관통되는 거름홀이 형성되는 배수구 개폐 장치.
KR1020190153368A 2019-11-26 2019-11-26 배수구 개폐 장치 KR102079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68A KR102079051B1 (ko) 2019-11-26 2019-11-26 배수구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368A KR102079051B1 (ko) 2019-11-26 2019-11-26 배수구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051B1 true KR102079051B1 (ko) 2020-02-20

Family

ID=6964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368A KR102079051B1 (ko) 2019-11-26 2019-11-26 배수구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729A (zh) * 2021-05-25 2021-10-01 北京工业大学 一种选择性再利用日常用水的水池分流储存重利用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715Y1 (ko) * 2001-03-29 2001-10-10 반풍덕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EP1512800A2 (en) * 2003-09-04 2005-03-09 Benito Lanfranchini Control device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wo separate pop-up drain plugs
KR100926423B1 (ko) * 2009-08-17 2009-11-12 삼흥워터링(주)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KR20100009135A (ko) * 2008-07-18 2010-01-27 이재춘 배수구 개폐장치
US20120097679A1 (en) * 2010-10-26 2012-04-26 Tae Kyung Kim Drain plug
KR20130006710U (ko) * 2012-05-14 2013-11-22 서영길 세면대용 팝업밸브
JP2016138379A (ja) * 2015-01-26 2016-08-04 Toto株式会社 バルブ装置
WO2017038206A1 (ja) * 2015-09-04 2017-03-09 株式会社日本アルファ 排水栓装置
KR101841703B1 (ko) * 2017-01-31 2018-03-2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대용 폽업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715Y1 (ko) * 2001-03-29 2001-10-10 반풍덕 싱크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EP1512800A2 (en) * 2003-09-04 2005-03-09 Benito Lanfranchini Control device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wo separate pop-up drain plugs
KR20100009135A (ko) * 2008-07-18 2010-01-27 이재춘 배수구 개폐장치
KR100926423B1 (ko) * 2009-08-17 2009-11-12 삼흥워터링(주) 세면기의 팝업밸브 개폐장치
US20120097679A1 (en) * 2010-10-26 2012-04-26 Tae Kyung Kim Drain plug
KR20120043390A (ko) * 2010-10-26 2012-05-04 김태경 배수구 개폐장치
KR20130006710U (ko) * 2012-05-14 2013-11-22 서영길 세면대용 팝업밸브
JP2016138379A (ja) * 2015-01-26 2016-08-04 Toto株式会社 バルブ装置
WO2017038206A1 (ja) * 2015-09-04 2017-03-09 株式会社日本アルファ 排水栓装置
KR101841703B1 (ko) * 2017-01-31 2018-03-2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세면대용 폽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3729A (zh) * 2021-05-25 2021-10-01 北京工业大学 一种选择性再利用日常用水的水池分流储存重利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383B2 (en) Bathtub drain stopper assembly and screen
KR101151508B1 (ko) 배수구 개폐장치
US6880179B2 (en) Sink stopper
KR900005216B1 (ko) 스프링 밀봉식 배수구 장착구
KR102079051B1 (ko) 배수구 개폐 장치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KR101082393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2319324B1 (ko) 배수구 개폐 장치
JP3511036B2 (ja) 排水装置
KR200427621Y1 (ko) 세면대 배수구
KR20070074703A (ko) 배수트랩
KR200273579Y1 (ko)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
KR20160001601U (ko) 욕조마개
JP6321936B2 (ja) 排水栓装置
KR101926851B1 (ko) 악취 차단 하수구 마개
EP1477097A1 (en) Sink stopper
JP2009114684A (ja) マンホール蓋用錠前
KR200234505Y1 (ko) 배수트랩
KR101576421B1 (ko) 이물질 필터링 유닛 및 이를 가지는 세면대 하수관 어셈블리
KR102499795B1 (ko) 가변형 배수 장치
KR200413497Y1 (ko) 배수트랩
KR102683432B1 (ko) 원터치 드레인 커버
JP2005273413A (ja) 排水栓
JP6935072B2 (ja) 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