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390A - 배수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390A
KR20120043390A KR1020100104679A KR20100104679A KR20120043390A KR 20120043390 A KR20120043390 A KR 20120043390A KR 1020100104679 A KR1020100104679 A KR 1020100104679A KR 20100104679 A KR20100104679 A KR 20100104679A KR 20120043390 A KR20120043390 A KR 20120043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drain
locking
drain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508B1 (ko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김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경 filed Critical 김태경
Priority to KR102010010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508B1/ko
Priority to US12/964,226 priority patent/US8499376B2/en
Priority to PCT/KR2011/008025 priority patent/WO2012057519A2/ko
Publication of KR2012004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5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created by a turning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배수구 내부에 걸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에 설치되는 설치부본체와, 설치부본체에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한 설치부와; 설치부의 걸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배수구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승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를 구비한 배수구 개폐본체와; 배수구 개폐본체의 외주에 설치되며, 승강부의 승강 높이에 따라 배수구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배수구 개폐본체의 분해없이 배수구 개폐본체를 설치부에 대해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구 개폐장치{DRAIN PLUG}
본 발명은 욕조, 세면대, 개수대 등에 적용되는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수구 내부에 걸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배수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 세면대, 개수대와 같이 저수공간을 가지는 구조물은 저수공간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배수관의 배수구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하여 욕조 등의 저수 공간 내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한 후의 물을 배수관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 마개의 개폐 방식에 따라, 마개 분리방식, 푸시-풀(push-pull) 방식, 푸시-푸시(push-push) 방식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마개 분리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에 대해 분리 가능한 배수마개를 이용하여 배수구를 개폐한다. 이 경우, 다른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에 비하여 장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배수마개의 분실 가능성이 있으며, 배수구 상의 배수마개의 오삽입 가능성이 있다.
푸시-풀(push-pull)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마개를 포함하며, 배수마개를 누루거나 잡아당김에 의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즉, 이 푸시-풀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마개를 누루면 배수마개가 하강하여 배수구를 닫고, 배수마개 상의 손잡이부를 잡아 당기면 배수마개가 상승하여 배수구를 여는 방식이다.
푸시-푸시(push-push)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마개를 포함하며, 배수마개를 누루는 동작에 의하여 배수구의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즉, 배수구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마개를 누루면 배수마개가 하강하여 배수구를 닫고, 배수구가 닫힌 상태에서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마개를 다시 누루면 배수마개가 상승하여 배수구를 여는 방식이다.
다른 예에 따른 푸시-푸시(push-push)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마개를 누루는 동작에 의하여 배수구를 닫고, 배수마개와 링크에 의하여 연결되며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밀대를 누름에 의하여 배수마개를 여는 방식이다.
상기한 푸시-풀 방식 및 푸시-푸시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에 대해 배수마개가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한 구조를 가지므로, 마개 분리 방식의 배구수 개폐장치와는 달리 배수마개가 분실될 염려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들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마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배수구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수구 개폐장치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여 배수관이 막힐 염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상기한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수구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수마개가 배수구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푸시-풀 방식 또는 푸시-푸시 방식으로 동작하면서도, 이물질 제거 등의 필요시 배수구로부터 배수마개 본체를 손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배수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설치부본체와, 상기 설치부본체에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걸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배수구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를 구비한 배수구 개폐본체와;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승강 높이에 따라 상기 배수구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분해없이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를 상기 설치부에 대해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부의 걸림부에 회전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설치부의 걸림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로부터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와 상기 마개부재를 분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설치부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설치부본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상기 고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홈 형성 위치 상부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본체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그루브와 연통되며 상기 설치부의 하부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그 하부에 상기 그루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고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닫힘위치에서 상기 설치부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배수구의 밀폐가 해제된 개방위치에서 상기 설치부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작동 가능하게 에 설치되며, 상기 닫힘위치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고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걸림턱에서 벗어나는 록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수구 개폐용 작동레버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장착 위치에서 일 단부가 상기 배수관 내부에 위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배수구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를 구비한 배수구 개폐본체와;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승강 높이에 따라 상기 배수관의 배수구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장착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걸림부를 조작함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로부터 상기 본체와 상기 마개부재를 분리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그 축방향이 상기 승강부의 승강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부재 상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에 상기 마개부재가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재 상면에 설치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를 소정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높이 규제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된 규제돌기와; 상기 샤프트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규제돌기와 마주하는 내면에 상기 규제돌기와 간섭 가능하게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한 슬리브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규제돌기 사이의 간섭 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가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하여, 규제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높이 규제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된 규제부와; 상기 샤프트와 마주하는 상기 승강부의 내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탄성 걸림부를 포함하여, 닫힘위치에서 상기 탄성 걸림부가 상기 규제부에 걸려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구수 개폐장치는 배수마개가 배수구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마개 분리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의 문제점인 배수마개 오삽입 가능성 및 분실 가능성이 낮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 개폐본체를 배수구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지므로, 배수구에 걸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에 대한 장착상태에서 설치부의 걸림부 상에 배수구 개폐본체의 이물질 걸림부가 위치되므로, 이물질이 배수구 개폐본체의 이물질 걸림부 상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배수구 개폐본체를 분리하여 청소하는 것으로서, 배수구 개폐장치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구수 개폐장치에 있어서, 설치부의 걸림부에 대한 배수구 개폐본체의 고정부의 결합 설치 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저면도.
도 4a 내지 도 4d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승강모드 변환 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요부를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배수구 개방상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배수구 닫힘상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배수구 개방상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배수구 닫힘상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와,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욕조, 세면대, 개수대 등과 같은 저수공간(1a)을 가지는 구조물(1)에 적용되며, 저수공간(1) 내부에 수용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5)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5)에 설치되는 설치부(10)와, 설치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 개폐본체(20) 및 배수구(5)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60)를 포함한다.
설치부(10)는 배수구(5)에 설치되는 설치부본체(11)와, 이 설치부본체(11)에 형성된 걸림부(13)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배수구 개폐장치의 시공 편리성을 위하여, 배수구(5) 내부에는 내측에 제1스크류(7a)가 형성된 소정 규격의 체결용 파이프(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설치부본체(11)의 외측에는 제1스크류(7a)에 대응하는 제2스크류(1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용 파이프(7)에 대해 설치부본체(11)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설치부(10)를 배수구(5)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부(10)는 시공 단계에서 배수구(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 결합의 안정성을 위하여 수 십회 이상 회전 결합한다. 이에 따라 배수구(5)가 막힌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설치부(10)를 체결용 파이프(5)로부터 분리하기는 어렵다. 도 1에서는 배수구(5) 내부에 체결용 파이프(7)가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용 파이프의 이용 없이 설치부를 배수구(5)에 매립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걸림부(13)는 설치부본체(11)의 하부에서 그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3a)(13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13)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걸림돌기(13a)와 제2걸림돌기(13b)가 설치부본체(11)에 설치된 구성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다. 이 걸림돌기(13a)(13b)는 후술하는 배수구 개폐본체(20)의 걸림턱(33)이 걸리는 부분으로서, 배수구 개폐본체(20)가 배수구(5) 상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배수구 개폐본체(20)는 상기 걸림부(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30)와, 고정부(30)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40) 및 마개부재(60)가 배수구(5)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승강부(40)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50)를 구비한다. 이 배수구 개폐본체(20)는 그 구성요소를 분해하지 않고, 고정부(30)가 걸림부(13)에 장착 및 탈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고정부(30)는 걸림부(13)에 결합되어 배수구(5)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31)와, 이 고정부(31)에 결합설치되는 샤프트(35)를 포함한다. 이 고정부(30)는 회전에 의하여 걸림부(13)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재(31)는 걸림돌기(13a)(13b)에 걸려 고정부(30)의 승강을 규제하는 걸림턱(33)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부재(31)의 하부에는 걸림돌기(13a)(13b)가 삽입되는 삽입홈(34)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3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3a)(13b)가 출입하는 개구부(34a)를 포함한다. 여기서, 걸림턱(33)과 삽입홈(34)은 걸림돌기(13a)(13b)의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승강부(40)는 고정부(30)에 대해 승강 가능하면서도, 고정부(3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승강부(40)와 고정부(30) 사이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승강부(40)를 회전시키면 고정부(30)도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걸림턱(33)이 걸림돌기(13a)(13b)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와 승강부(40)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승강부(40)와 고정부(30) 사이에 회전 방지용 키를 별도로 마련하거나, 부분적인 형상 변형을 통하여 승강부(40)와 고정부(30)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 각각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걸림부(13)에 대한 고정부(30)의 결합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설치부(10)에 배수구 개폐본체(20)를 삽입함에 있어서, 삽입홈(34)의 개구부(34a)가 걸림턱(33)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수구 개폐본체(20)를 배수구(5)에 삽입하면, 삽입홈(34) 내에 걸림턱(33)이 위치된다(이하, 제1위치라 한다). 이 상태에서 승강부(40)를 회전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도 함께 회전되면서, 걸림돌기(13a)(13b)가 걸림턱(33)에 걸리는 제2위치로 회전되면서 배수구 개폐본체(20)가 배수구(5) 내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결합 과정의 역순으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고정부(30)를 회전시킴으로서, 배수구(5)로부터 배수구 개폐본체(2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3a)(13b)와 걸림턱(33)을 이용한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배수구(5)에 대해 배수구 개폐본체(20)를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하여 배수구(5)가 막힌 경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수구 개폐본체(20)를 배수구(5)에서 분리할 수 있어서 이물질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걸림돌기(13a)(13b)가 배수구 내부에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지므로, 배수구(5) 내로 진입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상기 걸림돌기(13a)(13b)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구(5) 내부 소정 깊이에 형성된 걸림돌기(13a)(13b)에 걸리는 이물질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고정부(30)는 이물질 걸림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걸림부(32)는 고정부재(31)의 삽입홈(34) 형성위치 상부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즉, 이물질 걸림부(32)는 제2위치에서 걸림돌기(13a)(13b) 상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3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다. 이 이물질 걸림부(32)는 배수구 개폐본체(20)가 걸림부(13)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3a)(13b) 상부를 커버함으로써, 배수구(5) 내부로 진입하는 이물질이 걸림돌기(13a)(13b) 대신 이물질 걸림부(32)에 걸리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13a)(13b)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구 개폐본체(20)를 분리하고 이 배수구 개폐본체(20)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배수구 막힘을 해결할 수 있다.
샤프트(35)는 그 축방향이 승강부(40)의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고정부재(31) 내에 설치되어, 승강부(40)가 고정부(3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한다. 이를 위하여, 샤프트(35)는 승강부(4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샤프트본체(36)와, 이 샤프트본체(36)의 하부에 형성되며 고정부(30)에 대해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37)와, 샤프트본체(36)의 상단에 형성되어 승강부(40)가 고정부(30)에 대해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헤드부(3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샤프트(35)가 고정부재(3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재(31)와 샤프트(35)는 후크결합, 용접에 의한 접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강부(40)는 고정부재(31) 상에 샤프트(35)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에 마개부재(60)가 설치되는 승강부재(41)를 포함한다. 또한, 승강부(40)는 승강부재(41)의 상면에 설치되는 캡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재(45)는 배수구 개폐장치를 배수구(5)에 설치시에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으로서, 샤프트(35)의 헤드부(39) 및 승강부재(41)의 상부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캡부재(45)는 승강부재(41)의 상부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부(40)는 승강부재(41)의 상면과 캡부재(45) 사이에 개재되어, 헤드부(39)가 위치되는 승강부재(41) 상의 소정 공간에 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O-ring: 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고정부(30)와 승강부(40) 사이에 마련되어, 승강부(40)를 소정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부재(70)는 제1 및 제2탄성부재(71)(7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71)는 승강부재(41)와 고정부재(31) 사이에 개재되어, 승강부재(41)를 고정부재(31)에 대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제2탄성부재(75)는 승강부재(41)의 내부에 위치되며, 승강부재(41)와 샤프트(35)의 헤드부(39) 사이에 개재된다. 이 제2탄성부재(75)는 제1탄성부재(71)에 비하여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구조로 구성되며, 승강부재(41)를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배수구(5)가 열리는 개방위치에서 승강부재(41)가 자중(自重)에 의해 자유 낙하하여 배수구(5)를 막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승강부재(41)와 헤드부(39) 사이의 직접 접촉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높이 규제부(50)는 푸시-푸시(push-push) 방식에 의하여 승강부의 승강높이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승강높이 규제부(50)는 사용자가 캡부재(45)를 누루는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마개부재(60)가 개방위치에 위치되거나 닫힘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승강높이 규제부(50)는 샤프트(35)의 외주에 형성된 규제돌기(51)와, 샤프트(35)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이드부(55)를 구비한 슬리브(53)와, 규제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부(57)를 포함한다.
규제돌기(51)는 샤프트(35)의 회주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규제돌기를 포함한다. 각 규제돌기(51)의 하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제1가이드면(51a)이 마련된다.
가이드부(55)는 승강부(40)의 복수의 규제돌기 사이에 위치되어 규제돌기(51)와 간섭되지 않거나, 그 상면이 규제돌기(51)의 제1가이드면(51a)에 걸려 승강부(40)가 닫힘위치에서 상승하지 않도록 규제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55)의 상면에는 제1가이드면(51a)의 경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가이드면(55a)이 마련된다.
모드변환부(57)는 가이드부(55)와 규제돌기(51) 사이의 간섭 해제시, 탄성부재(70)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하여 슬리브(53)가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하여, 규제모드를 변환한다. 여기서, 규제모드의 변환은 가이드부(55)의 제1가이드면(51a)이 제2가이드면(55a)에 걸림으로써 승강부(40)의 상승을 억제하는 승강억제모드와, 가이드부(55)가 규제돌기(51) 사이에 위치되어 승강부(40)의 승강이 자유로운 승강모드 사이의 변환을 의미한다.
상기한 규제모드 변환을 위하여 모드변환부(57)는 슬리브(53)에 형성된 제1맞물림부(53a)와, 이 제1맞물림부(53a)와 맞물림 가능한 제2맞물림부(59a)가 형성된 모드변환부재(57)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드변환부재(57)는 제1탄성부재(71)와 승강부재(41) 사이에 개재되며, 내부에 샤프트(35) 및 슬리브(53)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맞물림부(53a)는 슬리브(53)의 외측 하부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맞물림부(59a)는 모드변환부재(57)의 내측에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맞물림부(53a)와 제2맞물림부(59a)는 승강모드 및 승강억제모드에서는 상호 어긋난 상태로 맞물리고, 가이드부(55)가 규제돌기(5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70)에 의한 탄성 바이어스에 의하여 슬리브(53)가 회전하면서 상호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도 4a 내지 도 4d 각각은 승강높이 규제부의 모드 변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승강모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이드부(55)가 복수의 규제돌기(51) 사이에 위치되어 마개부재(60)가 닫힘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승강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맞물림부(53a)(59a)는 상호 어긋나게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도 4b는 승강모드에서 승강억제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부재(41)를 가압하면, 가이드부(55)가 승강부재(41)와 함께 하강하여,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돌기(51)의 하방으로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 슬리브(53)가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제1맞물림부(53a)와 제2맞물림부(59a)가 탄성부재(70)의 탄성바이어스에 의하여 상호 올바르게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면(51a)과 제2가이드면(55a)이 걸림 가능한 상태로 마주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4c는 승강억제모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b의 상태에서 승강부재(41)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 탄성부재(70)의 탄성바이어스에 의하여 승강부재(41) 및 슬리브(53)가 일부 상승한다. 이 경우, 제2맞물림부(59a)가 제1맞물림부(53a)에 맞물리면서, 승강부재(41)의 승강이 억제되어 마개부재(60)가 닫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맞물림부(59a)가 제1맞물림부(53a)에 맞물리는 과정에서 경사면을 따라 슬리브(53)가 소정 각도 회전된다.
도 4d는 승강억제모드에서 승강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4c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부재(41)를 가압하면, 가이드부(55)가 승강부재(41)와 함께 하강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돌기(51)의 하방으로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 슬리브(53)가 소정각도 회전하면서 제1맞물림부(53a)와 제2맞물림부(59a)가 탄성부재(70)의 탄성바이어스에 의하여 상호 올바르게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면(51a)과 제2가이드면(55a)이 걸림 해제 가능한 위치에서 상호 마주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후, 승강부재(41)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 탄성부재(70)의 탄성바이어스에 의하여 승강부재(41) 및 슬리브(53)가 상승하면서, 제1가이드면(51a)과 제2가이드면(55a)면이 경사 접촉된다. 이에 따라 슬리브(53)가 소정 각도 회전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55)가 규제돌기(5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구수 개폐장치는 푸시-푸시 방식에 의하여 배수마개가 배수구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마개 분리 방식의 배수구 개폐장치의 문제점인 배수마개 오삽입 가능성이 없다. 또한, 승강부의 소정 각도 회전에 의하여 배수구에 형성된 걸림부(13)에 대해 배수구 개폐본체를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으므로, 배수구에 걸린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요부를 보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도 1의 5)에 설치되는 설치부(10)와, 설치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부(130)를 구비한 배수구 개폐본체 및 배수구(5)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설치부(10) 및 배수구 개폐본체의 고정부(130)의 구성을 변경한 점에서 구별되며, 다른 구성은 실질상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치부(10)는 배수구(5)에 설치되는 설치부본체(111)와, 이 설치부본체(111)에 형성된 걸림부(1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설치부본체(11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111a)가 형성되며, 걸림부(113)는 그루브(111a)와 연통되며 설치부본체(111)의 하부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113a)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130)는 그 하부에 상기 그루브(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133)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부(10) 및 고정부(130)를 구성하는 경우, 걸림돌기(133)를 그루브(111a)의 상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130)를 포함한 배수구 개폐본체를 설치부본체(111) 내부로 삽입한다. 이후, 배수구 개폐본체의 승강부를 회전시킴에 의하여, 걸림돌기(133)가 걸림홈(113a) 내에서 회전되면서 배수구 개폐본체가 설치부(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설치부본체(111)에 제1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걸림돌기(도 1의 113a, 113b)와 같은 돌기를 형성하는 대신, 배수구 개폐본체에 걸림돌기(133)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수구 내에서 분리가 쉽지 않도록 장착된 설치부에 이물질이 걸리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배수구 개방상태와 배수구 닫힘상태 각각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5)에 설치되는 설치부(10)와, 설치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 개폐본체(20) 및 배수구(5)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구 개폐본체(20)는 설치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30)와, 고정부(30)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40) 및 마개부재(60)가 배수구(5)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승강부(40)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25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푸시-풀(Push Pull) 방식에 의하여 마개부재(6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높이 규제부(250)와, 캡부재(245)의 구성을 변경한 점에서 구별되며, 다른 구성은 실질상 동일하다. 특히, 설치부(10)와 고정부(30) 사이의 착탈구조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착탈 구조와 실질상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승강높이 규제부(250)와, 캡부재(245)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캡부재(245)는 그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245a)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손잡이(245a)를 잡아당김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닫힘위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위치로 승강부(40)를 이동할 수 있다.
승강높이 규제부(250)는 샤프트(235)의 외주에 형성된 규제부(235a)와, 샤프트(235)와 마주하는 승강부(40)의 내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탄성 걸림부(251)를 포함한다. 규제부(235a)는 샤프트(235)의 외주에 소정 깊이 인입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걸림부(251)는 판스프링 구조를 가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위치에서, 탄성 걸림부(251)는 규제부(235a)가 형성되지 않는 샤프트(235)의 외주와 접촉하면서 승강부(40)가 샤프트(235)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닫힘위치에서, 탄성 걸림부(251)의 돌출부는 규제부(235a) 내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마개부재(60)가 배수구(5)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구수 개폐장치는 배수구 개폐용 작동레버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307)이 형성된 배수관(30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걸림부(310)와, 배수구 개폐본체(20)와, 마개부재(60)를 포함한다.
걸림부(310)는 장착홈(30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11)와, 장착 위치에서 일 단부가 배수관(305) 내부에 위치되는 걸림핀(315)을 포함한다.
이 걸림부(310)는 결합부(311)에 의하여 장착홈(307)을 밀봉하여 배수관(304) 내의 하수가 장착홈(307)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걸림핀(315)에 의하여 배수구 개폐본체(20)가 배수관(305) 내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8은 걸림부(310)의 결합부(311)가 장착홈(307)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 구성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크방식, 핀 결합방식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배수구 개폐본체(20)는 배수관(305)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330)와, 이 고정부(33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40) 및 배수구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승강부(40)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마개부재(60)는 배수구 개폐본체(20)의 외주에 설치되며, 승강부(40)의 승강 높이에 따라 배수관(305)의 배수구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장착홈(307)을 가지는 배수관(305)에 적용할 수 있도록 걸림부(310)와 고정부(330)의 구조를 변경한 점에서 구별되는 것으로, 걸림부(310)와 고정부(330)를 제외한 구성은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330)에는 걸림핀(315)의 단부가 삽입되는 걸림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330)의 걸림홈(331)에 걸림핀(315)을 삽입함으로써, 고정부(330)를 포함한 배수구 개폐본체(20)가 배수관(305)에 고정 설치된다. 배수관(305)에 대해 배구수 개폐장치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걸림핀(315)의 단부가 걸림홈(331)에서 벗어나도록 걸림부(310)를 장착홈(307)에서 분리함에 의하여, 걸림부(310)에 대한 고정부(330)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구로부터 배수구 개폐본체(20)와 마개부재(6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이물질에 의한 배수관 막힘 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 개폐용 작동레버가 장착되는 구조의 배수관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작동레버 방식에 의하여 배수구를 개폐하는 구조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 각각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의 배수구 개방 상태와 배수구 닫힘 상태 각각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5)에 설치되는 설치부(410)와, 설치부(4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수구 개폐본체(20) 및 배수구(5)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수구 개폐본체(20)는 설치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430)와, 고정부(430)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40) 및 마개부재(60)가 배수구(5)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승강부(40)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5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설치부(410) 및 배수구 개폐본체의 고정부(430)의 구성을 변경한 점에서 구별되며, 다른 구성은 실질상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와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설치부(410)는 배수구(5)에 설치되는 설치부본체(411)와, 설치부본체(411)에 형성된 지지부(415)를 포함한다. 지지부(415)는 배수구(5)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배수구 내에 삽입되는 배수구 개폐본체(20)의 착탈 깊이를 규제한다. 상기 설치부본체(411)에는 걸림턱(4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430)는 승강부(440)의 승강에 연동되어, 닫힘위치에서 설치부(411)의 걸림턱(413)에 걸려 고정되고, 배수구의 밀폐가 해제된 개방위치에서 걸림턱(413)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부(450)를 포함한다.
록킹부(450)는 승강부(440)의 승강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록킹부재(451)와, 록킹부재(451)를 록킹해제 위치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453)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위치에서, 록킹부재(451)에 대한 승강부(440)의 간섭이 완화되므로, 탄성부재(453)에 의하여 록킹부재(451)의 단부가 걸림턱(413)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이 경우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로부터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승강부(440)를 가압하여 개방위치에서 닫힘위치로 변환하는 경우, 록킹부재(451)가 회전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451)의 단부가 걸림턱(413)에 걸려, 배수구 개폐장치가 배수구(5)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부에 록킹부재가 설치되고 설치부본체에 걸림턱이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록킹부재의 설치 위치를 바꾸어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개폐장치는 배수구 내에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배수구 개폐장치의 장착 및 탈착을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배수구 개폐장치를 설치함과 아울러 필요시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5: 배수구 10, 410: 설치부
11, 111, 411: 설치부본체 13, 113, 310, 450: 걸림부
13a, 13b: 걸림돌기 20: 배수구 개폐본체
30, 130, 330, 430: 고정부 31: 고정부재
32: 이물질 걸림부 33: 걸림턱
35, 235: 샤프트 39: 헤드부
40: 승강부 41: 승강부재
45, 245: 캡부재 50, 250: 승강높이 규제부
51: 규제돌기 53: 슬리브
55: 가이드부 57: 모드변환부
60: 마개부재 70: 탄성부재
133: 걸림돌기 235a: 규제부
251: 탄성걸림부 305: 배수관
307: 장착홈 315: 걸림핀
415: 지지부 453: 록킹부재

Claims (14)

  1. 저수공간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설치부본체와, 상기 설치부본체에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걸림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배수구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를 구비한 배수구 개폐본체와;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승강 높이에 따라 상기 배수구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분해없이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를 상기 설치부에 대해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부의 걸림부에 회전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설치부의 걸림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결합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로부터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와 상기 마개부재를 분리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설치부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설치부본체의 내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상기 고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홈 형성 위치 상부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본체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그루브와 연통되며 상기 설치부의 하부 내주연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그 하부에 상기 그루브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고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상기 닫힘위치에서 상기 설치부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배수구의 밀폐가 해제된 개방위치에서 상기 설치부에 대한 결합이 해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연동되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닫힘위치에서 상기 걸림턱에 걸리고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걸림턱에서 벗어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8. 배수구 개폐용 작동레버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이 형성된 배수관에 설치되는 배수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장착 위치에서 일 단부가 상기 배수관 내부에 위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배수구를 닫는 닫힘위치에서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규제하는 승강높이 규제부를 구비한 배수구 개폐본체와;
    상기 배수구 개폐본체의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승강 높이에 따라 상기 배수관의 배수구가 닫히거나 개방되도록 하는 마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의 단부가 장착위치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걸림부를 조작함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에 대한 상기 고정부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배수구로부터 상기 본체와 상기 마개부재를 분리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구 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그 축방향이 상기 승강부의 승강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부가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부재 상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에 상기 마개부재가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부재 상면에 설치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부를 소정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높이 규제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된 규제돌기와;
    상기 샤프트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규제돌기와 마주하는 내면에 상기 규제돌기와 간섭 가능하게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한 슬리브와;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규제돌기 사이의 간섭 해제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바이어스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가 소정 각도 회전되도록 하여, 규제모드를 변환하는 모드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높이 규제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에 형성된 규제부와;
    상기 샤프트와 마주하는 상기 승강부의 내면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탄성 걸림부를 포함하여,
    닫힘위치에서 상기 탄성 걸림부가 상기 규제부에 걸려 상기 승강부의 승강을 규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개폐장치.
KR1020100104679A 2010-10-26 2010-10-26 배수구 개폐장치 KR10115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79A KR101151508B1 (ko) 2010-10-26 2010-10-26 배수구 개폐장치
US12/964,226 US8499376B2 (en) 2010-10-26 2010-12-09 Drain plug
PCT/KR2011/008025 WO2012057519A2 (ko) 2010-10-26 2011-10-26 배수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679A KR101151508B1 (ko) 2010-10-26 2010-10-26 배수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390A true KR20120043390A (ko) 2012-05-04
KR101151508B1 KR101151508B1 (ko) 2012-05-30

Family

ID=4597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679A KR101151508B1 (ko) 2010-10-26 2010-10-26 배수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99376B2 (ko)
KR (1) KR101151508B1 (ko)
WO (1) WO2012057519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576B1 (ko) * 2013-03-04 2014-11-20 주재한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CN106195295A (zh) * 2016-08-29 2016-12-07 张玉莲 离合结构
CN106321869A (zh) * 2016-08-29 2017-01-11 张玉莲 密封环的安装结构
CN106321860A (zh) * 2016-08-29 2017-01-11 张玉莲 开闭机构
KR102079051B1 (ko) * 2019-11-26 2020-02-20 서혜민 배수구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5933B2 (en) * 2011-09-21 2014-1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ainable container system
WO2014026214A1 (en) * 2012-08-14 2014-02-20 Art Plastics Pty Ltd Bathroom fittings
USD703798S1 (en) 2013-03-11 2014-04-29 Kohler Co. Sink
USD703800S1 (en) 2013-03-11 2014-04-29 Kohler Co. Sink
USD703801S1 (en) 2013-03-11 2014-04-29 Kohler Co. Sink
KR101426353B1 (ko) 2013-07-30 2014-08-05 주식회사 미래산업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욕실용 배수트랩
US9661955B1 (en) * 2013-08-27 2017-05-30 Peter Joseph Sampair Drain plug kit with buoyant drain plug pull cord
GB201520997D0 (en) * 2015-11-27 2016-01-13 Rieke Packaging Systems Ltd Dispensers
KR101696143B1 (ko) * 2016-04-25 2017-01-12 김도균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용 장식마감부재
CA2965922C (en) * 2016-05-02 2019-09-17 Pf Waterworks Lp Push-type drain stopper for pop-up drain
KR101806023B1 (ko) 2016-05-09 2017-12-07 김도균 세면대 배수구 개폐장치용 교체기능을 갖는 장식마감부재
US20220042292A1 (en) * 2017-05-02 2022-02-10 Pf Waterworks Lp Bathtub Drain Stopper
US11566407B2 (en) * 2017-10-26 2023-01-31 Danco, Inc. Gasket seals for drain closures
US10174488B1 (en) * 2017-11-14 2019-01-08 Ta-Yu Yeh Sink stopper
USD873975S1 (en) * 2017-12-13 2020-01-28 shen zhen shi zhi guang dian zi you xian gong si Strainer
CA3203957A1 (en) * 2021-01-22 2022-07-28 Douglas F. Leavitt Drain cover assembly
US20220243439A1 (en) * 2021-02-03 2022-08-04 Kohler Co. Clicker Drain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11608620B2 (en) * 2021-04-12 2023-03-21 Israel Rosario Popup drain stopper with debris trap and popup drain stopper assembly having the same
IT202200008579A1 (it) * 2022-04-29 2023-10-29 Ravani S R L Otturatore di una piletta di scarico per sanitari e piletta di scarico comprendente detto otturato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8295A (en) * 1966-08-15 1969-02-18 Sterling Faucet Co Push-actuated drain valve
JPS5268563A (en) 1975-12-02 1977-06-07 Kazuyuki Tamehira Drain plug unit
JPH0428948Y2 (ko) * 1987-03-31 1992-07-14
KR890013418A (ko) 1988-02-15 1989-09-23 최근선 액체연료 가습 연소장치
JP3300887B2 (ja) 1998-04-08 2002-07-08 育實 太田 排水栓装置
US6195819B1 (en) * 1999-12-30 2001-03-06 Ching-Piao Wang Touch pop-up stopper for basin drain
KR200273579Y1 (ko) 2002-02-01 2002-04-25 강동원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
EP1568823A2 (en) 2004-02-25 2005-08-31 Enio Luciano Bonomini Anchoring device for a push-fit plug in the drain of sanitary ware
KR101076273B1 (ko) * 2009-03-24 2011-10-26 신이훈 배수구 개폐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576B1 (ko) * 2013-03-04 2014-11-20 주재한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CN106195295A (zh) * 2016-08-29 2016-12-07 张玉莲 离合结构
CN106321869A (zh) * 2016-08-29 2017-01-11 张玉莲 密封环的安装结构
CN106321860A (zh) * 2016-08-29 2017-01-11 张玉莲 开闭机构
CN106321860B (zh) * 2016-08-29 2019-01-22 张玉莲 开闭机构
CN106321869B (zh) * 2016-08-29 2019-08-06 张玉莲 密封环的安装结构
KR102079051B1 (ko) * 2019-11-26 2020-02-20 서혜민 배수구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519A2 (ko) 2012-05-03
WO2012057519A3 (ko) 2012-07-05
US20120097679A1 (en) 2012-04-26
KR101151508B1 (ko) 2012-05-30
US8499376B2 (en)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508B1 (ko) 배수구 개폐장치
US11382463B2 (en) Vertical bathtub closure systems and methods
JP3511036B2 (ja) 排水装置
KR200191907Y1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KR200273579Y1 (ko)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
JP4337626B2 (ja) 排水トラップ
JP2012102576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JP4241015B2 (ja) 排水構造
TWI254095B (en) Drain plug device
JP5706659B2 (ja) 排水管路における掃除口用蓋
JP5477758B2 (ja) 浴槽排水構造
KR102079051B1 (ko) 배수구 개폐 장치
JP4214189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JPH11152777A (ja) 遠隔操作式開栓装置
KR20100008003U (ko) 세면대용 배수 개폐장치
KR100960590B1 (ko) 배수구 개폐장치
JP2004124696A (ja) 浴槽用排水栓構造
JP2010053508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JP2009114684A (ja) マンホール蓋用錠前
KR102210116B1 (ko) 세면기 수전
CN106151536B (zh) 带过滤功能的排水阀
JP2005133473A (ja) 洗面器、流し等の排水栓装置
KR200235707Y1 (ko) 배수트랩
KR102087067B1 (ko) 세면대용 팝업밸브
KR20190000486U (ko) 배수구 자동 개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