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576B1 -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576B1
KR101463576B1 KR1020130022850A KR20130022850A KR101463576B1 KR 101463576 B1 KR101463576 B1 KR 101463576B1 KR 1020130022850 A KR1020130022850 A KR 1020130022850A KR 20130022850 A KR20130022850 A KR 20130022850A KR 101463576 B1 KR101463576 B1 KR 10146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ainage
elevating
lifting
fixed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936A (ko
Inventor
주재한
Original Assignee
주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한 filed Critical 주재한
Priority to KR102013002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5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6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plug being operated by hand contac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7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ransmission of actuation force involves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대에 담겨지는 물의 배수와 담수를 배수버튼을 원터치에 의해 정확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담수와 배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세면대의 배수구에 갖추어진 배수관체내에 위치하여 배수버튼의 원터치 누름작동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개폐를 수행하는 원터치배수장치(400)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배수장치(400)는 세면대에 갖추어진 배수공(120)의 내부에 안착되는 고정관체(411)의 중앙에 리브(412)로 연결되는 가이드관체(413)를 갖는 가이드부(410)와;
상기 가이드관체내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탄성부(420)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탄성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탄지되도록 걸림테(432)를 갖는 승강축(431)을 갖추고 있는 승강부(430)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캡(441)을 갖추고, 상기 고정캡의 하부로부터 내부에 끼워져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442) 및 상기 작동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단부가 승강축(431)의 상면에 얹혀져 승,하강및 회전을 수행하면서 걸림 및 풀림을 수행하는 승강회전축(443)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440)와;
상기 작동부의 작동축 상단부와 나선 체결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위치에 따라 배수공을 개폐시켜 주는 배수버튼(4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Description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ONE-TOUCH DRAINAGE DEVISE FOR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면대에 담겨지는 물의 배수와 담수를 배수버튼을 원터치에 의해 정확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담수와 배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각 가정이나, 호텔 등과 같은 객실의 욕실 및 공공장소의 화장실 등에 설치되어 세면대에 물을 담아 손이나 세수 등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면대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물이 담수될 수 있도록 수용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중앙에 배수공을 형성시켜 상기 배수공에 물의 배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는 배수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수장치는 세면대의 배수공을 관통하는 상태로 하여 물의 배수를 수행할 수 있는 배수관이 연결된 배수관체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체의 내부에는 원터치배수부재가 설치되어 물의 담수 및 배수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수시스템에 있어, 종래 원터치 배수부재는 여러가지 소개된바 있다.
일예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73518호가 있고, 국내실용신안등록 제444411호가 대표적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원터치 배수부재는 배수버튼을 단순히 누르기만 하면, 하강하여 배수구를 차단시켜 주어 세면대에 급수되는 물이 배수되지 않고 담수된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며, 물의 사용이 끝나면 다시 배수버튼을 눌러주기만 하면, 배수버튼이 상부로 상승하여 배수구가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배수구를 통해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터치 배수부재는 모두 그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어 제작 및 조립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잔고장의 주된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한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져 단순한 원터치의 누름수단에 의하여 세면대에 담수되어 있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생산성 및 조립이 수월함은 물론, 사용시 오동작이 없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면대의 배수구에 갖추어진 배수관체내에 위치하여 배수버튼의 원터치 누름작동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개폐를 수행하는 원터치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배수장치는 세면대에 갖추어진 배수공의 내부에 안착되는 고정관체의 중앙에 리브로 연결되는 가이드관체를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관체내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탄성부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탄성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탄지되도록 걸림테를 갖는 승강축을 갖추고 있는 승강부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캡을 갖추고, 상기 고정캡의 하부로부터 내부에 끼워져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단부가 승강축의 상면에 얹혀져 승,하강및 회전을 수행하면서 걸림 및 풀림을 수행하는 승강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작동축 상단부와 나선 체결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위치에 따라 배수공을 개폐시켜 주는 배수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내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홀과, 중간지점에 단턱에 의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분할 형성된 돌출면이 교차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중 일측의 돌출면 하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중간에 낮은 높이를 갖는 돌출면까지 연장시켜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나머지의 경사면 저면에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을 갖는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부는 배수버튼과 체결되는 나선축을 갖추고, 하단 외주연에는 이동홀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저면 중앙의 중심면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양측경사면를 갖는 이동돌편를 갖추고 있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의 하부를 통해 상단부 일부분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하단부분은 승강축의 상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외주연에 이동홀내에 끼워져 이동할 수 있는 돌출편을 갖추고, 상기 돌출편의 상면에 경사면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갖는 승강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면접지하는 승강축 상면 또는 승강회전축의 저면중 어느 한쪽에 이들이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점접촉되어 승강회전축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융출돌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버튼의 승,하강시 가이드핀이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면서 배수버튼의 위치를 정확히 잡아주므로서, 오동작이 없이 항상 정확히 작동되어 물의 담수 및 배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면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단면도.
도 4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1 은 본 발명인 원터치 배수장치가 적용되어 있는 상태의 세면대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이러한 세면대(100)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물이 담수될 수 있도록 수용부(110)를 갖고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 중앙에 배수공(120)을 형성시켜 상기 배수공에 물의 배수를 차단시켜 줄 수 있는 배수장치(2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배수장치(200)는 세면대의 배수공(120)을 관통하는 상태로 하여 물의 배수를 수행할 수 있는 배수관(210)이 연결된 배수관체(300)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체의 내부에는 원터치배수부재(400)가 설치되어 상기 원터치배수부재의 작동에 의해 물의 담수 및 배수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원터치배수부재(40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10)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부(410)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탄성부(420)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부(430)와, 상기 승강부의 상면에 하단부분이 얹혀짐과 아울러, 상단부분은 가이드부의 내부 상단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누름작동에 의해 걸림및 풀림이 이루어지는 작동부(440)와, 상기 작동부의 상단측에 위치하여 이의 작동에 따라 배수관을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배수버튼(4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410)는 배수관(2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관체(411)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관체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브(412)로 연결되는 가이드관체(413)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체(413)의 하단면 중앙에는 승강부(430)가 관통하는 상태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414)를 갖추고 있으며, 가이드관체(413)의 상단부 양측에는 후에 설명할 작동부(440)의 고정캡(441) 외주연에 돌출된 걸림돌기(441a)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걸림홈(415)을 갖추어준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에는 자체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420)가 갖추어지게 되고, 상기 탄성부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로 하여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승강부(430)를 갖추어 주게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430)는 탄성부(4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승강축(431)을 갖추되, 상기 승강축의 상단부 외주연에 걸림테(432)를 갖추어 상기 걸림테가 탄성부의 상단면에 얹혀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40)는 가이드관체의 내측 상단부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캡(441)과, 상기 고정캡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단부분이 고정캡의 상면을 관통시켜 배수버튼(450)과 체결된 상태로 하여 승,하강하는 작동축(442)과, 상기 작동축의 하단면에 상면이 접하게 되고, 하면은 승강축(431)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작동축의 승,하강에 따라 회전하면서 고정캡에 걸림 및 풀림을 반복 수행함에 따라 배수버튼(450)이 배수관을 개폐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승강회전축(44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캡(441)은 상단부 외측 대응위치에 걸림돌기(441a)를 갖추어 고정캡이 가이드관체(413) 상단부 내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홈(415)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고정캡(441)이 가이드관체(413)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고정캡(441)의 내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홀(441b)과 돌출면(441c)이 교차로 갖추어지도록 하는데, 상기 돌출면(441c)은 길이방향으로 중간지점에 단턱에 의해 낮은 높이를 갖는 돌출면(441c')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돌출면(441c')에 의해 분할된 2개의 돌출면중 어느 하나의 돌출면(441c)의 하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돌출면(441c')까지 연장되는 경사면(441d)을 갖추고, 나머지 하나의 돌출면(441c') 하단면에는 경사면(441d)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441d')을 갖추어 준다.
또한, 상기 작동축(442)은 상단부에 배수버튼(450)과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축(442a)을 갖추고, 하단부 외주연에 고정캡(441) 내주연에 갖추어진 이동홀(441b)에 위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돌편(442b)을 갖추게 되는데, 상기 이동돌편(442b)은 하단면의 중간지점인 중심면(442c)을 기점을 하여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양측경사면(442d)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회전축(443)은 상단부분이 작동축(442)의 저면을 통해 내측으로 임의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으로서, 승강회전축(443)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고정캡(441)에 갖추어진 경사면(441d)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443b)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축(442)에 갖추어진 양측경사면(442d)과 접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편(443a)을 갖도록 하고, 하단면 중앙에는 승강부(430)의 상면 중앙을 통해 형성된 통공(443)내에 끼워져 중심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심축(443c)이 갖추어진다.
이때, 서로 면접지하게 되는 승강축(431)의 상면과 승강회전축(443)의 저면중 어느 한쪽면에 융출돌기(434)를 형성시켜 상기 융출돌기(434)에 의해 승강축(431)과 승강회전축(443)이 면접촉되지 않고 점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승강회전축(443)의 회전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융출돌기(434)를 설명의 편의상 승강부(430)의 상면에만 표현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승강회전축(443)의 저면에만 형성시켜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배수버튼(450)이 세면대(100)의 배수공(120)을 막고 있어 수용부(110)에 물이 담수되는 상태일 경우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배수버튼(450)을 눌러주게 되면, 이에 나선축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작동축(442)이 하강하게 되어 이의 하면에 접지되어 있는 승강회전축(443)과 탄성부(442)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승강축(431)을 하항시켜 주게 되므로서, 상기 승강회전축(443)의 돌출편(443a) 상면에 갖추어진 경사면(443b)이 고정캡(441)의 내주연에 형성된 돌출면(441c,441c')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441d)와 접하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서, 탄성부(442)의 탄성력에 의해서 승강회전축(443)이 더이상 상승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서, 배수버튼(450)이 배수공(120)을 긴밀히 밀폐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용부(110)내에 물을 담수시켜 사용을 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이 끝나게 되면 수용부(110)내에 담수되어 있는 물을 배수시켜 주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버튼(450)을 눌러주게 되면, 눌러주는 압력에 의해 배수버튼(450)이 하향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 배수버튼(450)과 연결되어 있는 작동축(442)이 하향하여 이동돌편(442b)의 저면에 형성된 양측경사면(442d)과 면접지되어 있는 승강회전축(443)의 돌출편(443a) 상면의 경사면(443b)을 하부로 밀어주게 되어 고정캡(441)의 경사면 (441d)과 승강회전축(443)의 경사면(443b)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배수버튼을 게속해서 눌러주게 되면 승강회전축(443)의 돌출편(443a)이 고정캡(441)의 경사면(441d)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때부터는 승강회전축(443)의 경사면(443b)는 작동축(442)의 이동돌편(442b) 양측경사면(442d)중 일측면과 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 양측경사면(442d)와 경사면(443b)이 서로 면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향되는 작동축(442)의 하향 위치에 따라 돌출편(443a)이 일측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던 돌출편(443a)이 실선의 위치로 회전 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축(442)의 이동돌편(442b)는 고정캡(441)의 내주연에 갖추어져 있는 이동홀(441b)내에 위치하고 있어 승,하강만을 수행할 뿐 승강회전축(443)과 같이 회전을 수행할수 없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러주고 있던 배수버튼(450)을 놓아주게 되면 누르는 힘이 없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420)가 자체의 탄성 압력에 의해 승강축(431)을 상승시켜 주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승강축(431)이 상승을 수행하게 되면 이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하여 접지되어 있는 승강회전축(443)이 상승하여 점선과 같이 돌출편(443a)의 경사면(443b)이 고정캡(441)의 돌출면(441c')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441d')에 접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부(420)이 원상복귀하려는 자체의 힘에 의해 승강회전축(443)을 계속해서 밀어주게 되어 각각의 경사면(441d')과 경사면(443b)과의 경사각도에 의해 승강회전축(443)의 돌출편(443a)이 경사각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돌출편(443a)이 실선과 같이 고정캡(441)의 이동홀(441b) 위치에 까지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에 의해 밀려 이동을 수행하던 돌출편(443a)은 돌출면(441c)의 일측 벽면에 부딪히게 되어 더이상 이동을 하기 못하고 이동홀(441b)의 직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편(443a)이 각각의 경사면(441d)(443b)에 의해 밀려 이동홀(441b) 직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도 탄성부(42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승강축(431)을 상승시켜 주므로서, 이의 상면에 얹혀져 있는 작동축(442)과 승강회전축(443)이 함께 상승을 하려는 힘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홀(441b)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편(443a)이 이동홀을 따라 상승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승강회전축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작동축(442)도 이동돌편(442b)이 이동홀(441b)를 타고 상승하게 되므로서, 배수버튼(450)이 배수공(120)을 벗어나게 되어 수용부(110)내에 담수되어 있던 물이 배수공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물의 배수가 완료되어 다수 수용부(110)내에 물을 담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배수공(120)을 벗어나 있는 배수버튼(450)을 눌러주게 되면 작동축(442)이 하강함에 따라 이동돌편(442b)의 양측경사면(442d)과 면접지되어 있는 승강회전축(443)의 돌출편(443a)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과 같이 이동홀(441b)내에 위치하고 있다가 점선과 같이 하향하여 이동홀(441b)을 벗어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돌출편(443a)이 이동홀(441b)을 벗어나게 되면 이동돌편(442b)의 양측경사면(442d)에 의해 이와 면접지되어 있던 승강회전축의 돌출편(443a)이 도 7b 의 실선의 상태에서 점선의 상태로 수평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수버튼(450)에 가해지고 있던 힘을 해제시켜 주게 되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420)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자체의 힘에 의해 승강축(431)을 상승시켜 도7c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돌출편(443a)이 수직 상승하여 돌출편(443a)의 경사면(443b)이 고정캡(441)의 돌출면(441c)의 경사면(441d)에 접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지속적인 탄성부(420)의 탄성력으로 인해 돌출면(441c)의 경사면을 따라 돌출편(443a)의 경사면(443b)이 밀리면서 돌출편(443a)이 최종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여 돌출면(441c')측에 위치하여 걸림에 따라 승강회전축(443)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 배수버튼(450)이 배수공(120)을 밀폐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400:원터치배수부재 410:가이드부
420:탄성부 430:승강부
431:승강축 440:작동부
441:고정캡 441b:이동홀
441c,441c':돌출면 441d,441d':경사면
442:작동축 442b:이동돌편
442d:양측경사면 443:승강회전축
443a:돌출편 443b:경사면

Claims (3)

  1. 세면대의 배수구에 갖추어진 배수관체내에 위치하여 배수버튼의 원터치 누름작동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개폐를 수행하는 원터치배수장치(400)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배수장치(400)는 세면대에 갖추어진 배수공(120)의 내부에 안착되는 고정관체(411)의 중앙에 리브(412)로 연결되는 가이드관체(413)를 갖는 가이드부(410)와;
    상기 가이드관체내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하는 탄성부(420)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탄성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탄지되도록 걸림테(432)를 갖는 승강축(431)을 갖추고 있는 승강부(430)와;
    상기 가이드관체의 내부에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캡(441)을 갖추고, 상기 고정캡의 하부로부터 내부에 끼워져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축(442) 및 상기 작동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하단부가 승강축(431)의 상면에 얹혀져 승,하강및 회전을 수행하면서 걸림 및 풀림을 수행하는 승강회전축(443)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440)와;
    상기 작동부의 작동축 상단부와 나선 체결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위치에 따라 배수공을 개폐시켜 주는 배수버튼(4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440)는 내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홀과, 중간지점에 단턱에 의해 낮은 높이를 갖도록 분할 형성된 돌출면(441c,441c')이 교차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중 일측의 돌출면(441c) 하단면을 기점으로 하여 중간에 낮은 높이를 갖는 돌출면(441c')까지 연장시켜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41d)을 형성하며, 나머지의 경사면(441c') 저면에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의 경사면(441d')을 갖는 고정캡(441)과;
    상기 고정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단부는 배수버튼과 체결되는 나선축(442a)을 갖추고, 하단 외주연에는 이동홀(441b)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서 저면 중앙의 중심면(442c)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양측경사면(442d)를 갖는 이동돌편(442b)를 갖추고 있는 작동축(442)과;
    상기 작동축의 하부를 통해 상단부 일부분이 내측으로 삽입되고 하단부분은 승강축의 상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외주연에 이동홀내에 끼워져 이동할 수 있는 돌출편(443a)을 갖추고, 상기 돌출편의 상면에 경사면(441d)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443b)을 갖는 승강회전축(4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3. 제 1항 및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면접지하는 승강축(431) 상면 또는 승강회전축(443)의 저면중 어느 한쪽에 이들이 면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점접촉되어 승강회전축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융출돌기(43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KR1020130022850A 2013-03-04 2013-03-04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KR10146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850A KR101463576B1 (ko) 2013-03-04 2013-03-04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850A KR101463576B1 (ko) 2013-03-04 2013-03-04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36A KR20140108936A (ko) 2014-09-15
KR101463576B1 true KR101463576B1 (ko) 2014-11-20

Family

ID=51755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850A KR101463576B1 (ko) 2013-03-04 2013-03-04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828B1 (ko) * 2020-09-16 2022-05-09 (주)피엘엠 급수용 밸브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79Y1 (ko) 2002-02-01 2002-04-25 강동원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
JP2010095925A (ja) 2008-10-17 2010-04-30 Maruichi Corp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とその施工方法
KR20100106861A (ko) * 2009-03-24 2010-10-04 신이훈 배수구 개폐장치
KR20120043390A (ko) * 2010-10-26 2012-05-04 김태경 배수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79Y1 (ko) 2002-02-01 2002-04-25 강동원 누름작동식 배수구개폐장치
JP2010095925A (ja) 2008-10-17 2010-04-30 Maruichi Corp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とその施工方法
KR20100106861A (ko) * 2009-03-24 2010-10-04 신이훈 배수구 개폐장치
KR20120043390A (ko) * 2010-10-26 2012-05-04 김태경 배수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36A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576B1 (ko)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장치
CA2889040A1 (en) Bucket for a mop
KR100564717B1 (ko) 세면대의 배수밸브 자동개폐장치
CN107288184B (zh) 一种去水器
CN105054767A (zh) 家用电器保温盖防漏装结构及家用电器
KR100678385B1 (ko) 세면대의 원터치 배수밸브 개폐장치
KR101076273B1 (ko) 배수구 개폐장치
TWM474470U (zh) 旋轉拖把桶
WO2006102662A1 (en) Offset grid drain and drain closure mechanism
KR200471977Y1 (ko) 세면대 배수구용 원터치 개폐장치
KR101748086B1 (ko) 천장점검구
KR102411714B1 (ko) 세척 및 탈수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봉걸레용 세척탈수장치
KR101845921B1 (ko) 비데 내부로의 공기순환 및 누수배출 안내장치
KR20170060541A (ko) 세면기 배수트랩
JP4456961B2 (ja) 浴槽の配管構造に用いられる目皿部材
KR200444411Y1 (ko)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CN219060284U (zh) 地漏过滤装置
KR20160004199U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CN217379121U (zh) 一种拉绳式防臭下水器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336818Y1 (ko) 세면대의 배수밸브 자동개폐장치
JP2597956Y2 (ja) 排水栓装置
CN205153054U (zh) 新型浴缸线控排水装置
CN206324699U (zh) 物料清洗装置、电饭煲上盖组件及电饭煲
KR102207170B1 (ko) 싱크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