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497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497Y1
KR200413497Y1 KR2020060000680U KR20060000680U KR200413497Y1 KR 200413497 Y1 KR200413497 Y1 KR 200413497Y1 KR 2020060000680 U KR2020060000680 U KR 2020060000680U KR 20060000680 U KR20060000680 U KR 20060000680U KR 200413497 Y1 KR200413497 Y1 KR 200413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drain
pipe
upper portion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범
Original Assignee
박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범 filed Critical 박희범
Priority to KR2020060000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이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걸러지게 하는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고, 배수마개가 편리하게 닫히고 열리게 하여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 배수트랩, 누름부재, 회전부재, 조립통

Description

배수트랩{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00 : 본체 10 : 틀체
11 : 배수유도링 11a : 배수구멍
12 : 지지부 13 : 상부플랜지
20 : 배수마개 20a, 30a : 패킹
21 : 파이프 23 : 걸름구
30 : 조립통 31 : 나사부
32 : 걸림부 33 : 복귀방지돌기
33a : 턱 34 : 안내홈
35 : 경사홈 40 : 누름부재
41 : 이동돌기 42 : 톱니
45 : 작동봉 50 : 회전부재
51 : 녹크돌기 52 : 톱니
53 : 봉 54 : 스프링
55 : 마개 70 : 종발이
71 : 종발이통 72, 73 : 걸림돌기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이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걸러지게 하는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고, 배수마개가 편리하게 닫히고 열리게 하여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사각을 이루는 틀체의 중앙에 배수잔류통이 설치되고, 이 배수잔류통에 배수유도통이 결합되며, 틀체의 상부에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덮개판이 덮여지게 되는 것이 있는데,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은 상기 덮개판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며, 배수유도통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는 점은 있으나 덮개판의 저면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문제점과, 배수유도통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덮개판을 분리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유도통, 배수잔류통 덮개판의 구멍이 배수관과 연결된 통로를 이루게 되어 배수관의 악취가 역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이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걸러지게 하는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고, 배수마개가 편리하게 닫히고 열리게 하여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걸름구가 결합된 파이프가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마개가 원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하부의 둘레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지지부의 내부에 결합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운데가 움푹 파인 판체로 형성되는 틀체와; 상부에는 상부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는 원통체로, 상기 배수마개가 결합되는 지지부와;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배수유도링과; 내부면에 경사면을 갖는 복귀방지돌기가 형성되는 한편, 이 복귀방지돌기의 사이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부의 둘레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지지부 하부의 배수유도링에 끼움 되어 결합되는 조립통과; 하부의 둘레면에 이동돌기와 톱니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이프에 삽입되는 작동봉이 형성되며, 이동돌기가 조립통의 안내홈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누름부재와; 상부에는 누름부재에 삽입되는 봉이 형성되고, 하부의 둘레면에는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누름돌기의 상부에는 톱니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조립통의 하부 입구를 막아주게 되는 마개와; 마개와 회전부재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부가 개방되는 반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종발이로 구성되는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배수트랩 본체(100)는 틀체(10), 배수유도링(11), 지지부(12), 배수마개(20), 조립통(30), 누름부재(40), 회전부재(50) 및 종발이(70)로 구성된다.
상기 틀체(10)는 직사각 또는 원형의 판체로 형성되고, 중앙이 움푹 파여져 형성되며, 움푹 파인 중앙에 수직으로 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틀체(10)는 둘레면에서부터 중앙을 향해 경사져서 원추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배수유도링(11)은 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조립통(30)이 끼움 되게 하는 수직의 구멍이 형성되며, 그 둘레에 다수개의 배수구멍(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12)는 상부가 개방되는 원형통체로 형성되고, 상부의 둘레면에 상부플랜지(13)가 형성되며, 하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유도링(11)이 걸림되어 결합되게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마개(20)는 하부의 중앙에 파이프(21)가 결합되는데, 이 파이프(21)의 하부에는 방사상의 걸름구(23)가 결합되고, 상부에는 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마개(20)에 조임되어 결합된다.
상기 조립통(30)은 중단부의 나사부(31)가 배수유도링(1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파이프(21)의 하단부가 면접된 상태가 된다.
상기 조립통(30)의 내부면에는 도 3 도시와 같이 복귀방지돌기(3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복귀방지돌기(33)는 하부면이 경사면(35)을 이루게 되고, 사이에는 안내홈(34)이 형성된다. 즉, 복귀방지돌기(33)는 6개가 형성되고, 이 복귀방지돌기(33)의 하부면은 경사면(35)을 이루게 되며, 이 복귀방지돌기(33) 마다의 사이에는 안내홈(34)을 6개 형성하되, 3개는 턱(33a)이 있는 반홈을 교대로 형성한다. 상기에 있어 복귀방지돌기(33)들의 경사면(35)은 모두 동일한 방향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즉, 조립통(30)은 내부면에 경사면(35)을 갖는 복귀방지돌기(33)가 형성되는 한편, 이 복귀방지돌기(33)의 사이에 안내홈(34)이 형성되고, 상부의 둘레면에는 나사부(31)가, 하부면에는 걸림부(32)가 형성되며, 외부면의 나사부(31)가 배수유도링(1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누름부재(40)는 상부에는 작동봉(4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톱니(42)가 형성되며, 이 톱니(42)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이동돌기(41)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돌기(41)는 6개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봉(45)은 상기 파이프(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즉, 누름부재(40)는 하부의 둘레면에 이동돌기(41)가 형성되고, 저면에 톱니(42)가 형성되며, 이동돌기(41)가 조립통(30)의 안내홈(34)에 위치하여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50)는 상부에는 봉(5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외주면에 3개의 녹크돌기(51)가 형성되며, 이 녹크돌기(51)가 형성되는 통체의 상부면에는 톱니(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회전부재(50)의 내부에는 스프링(54)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54)의 하부에는 마개(55)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마개(55)는 상기 조립통(30)의 하부를 막아주게 된다.
상기 종발이(70)는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 위치하여 결합되는데,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로 형성된다. 이 종발이(70)의 중앙에는 원통형을 이루는 종발이통(71)이 형성되는데, 이 종발이통(71)은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부와 하부 각각의 내주면에 걸림돌기(72)(73)가 형성되며, 상기 조립통(30)의 나사부(31)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부(32)에 걸림돌기(72)가 걸림되는 한편, 조립통(30)의 하단부를 상기 걸림돌기(73)가 받쳐주게 되어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본체(100)의 틀체(10)가 설치될 바닥면에 설치되는데, 중앙이 배수관의 중심에 위치하여 바닥면에 설치되고, 틀체(10)의 중앙에 배수마개(20)를 갖는 지지부(12)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지지부(12)의 둘레에 배수유도통(11)이 위치하여 결합된다. 상기에 있어, 배수되는 하수는 배수마개(20)가 올라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파이프(21)의 걸림구(23) - 배수유도링(11) - 배수구멍(11a) - 종발이(70)를 경유하여 배출되고,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은 상기 걸름구(23)에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걸름구(23)에 이물질이 걸린 상태에서 배수마개(20)를 누르면 파이프(21), 작동봉(45)이 동시에 하강되는 한편, 누름부재(40)와 회전부재(50)가 하강되어 스프링(54)을 압축하였다가 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50), 누름부재(40)가 동시에 상승하는 한편, 작동봉(45)과 파이프(21)가 상승하게 되어 배수마개(20)가 틀체(10)의 중앙 구멍에서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배수마 개(20)를 잡아당기면 배수마개(20)와 걸림구(23)가 결합된 파이프(21)가 동시에 빠져나오게 되어 걸림구(23)에 걸린 이물질이 제거되게 한 후 다시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배수마개(20)를 누르면 누름부재(40)와 회전부재(50)가 하강하면서 스프링(54)을 압축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회전부재(50)의 둘레면에 형성된 녹크돌기(51)의 톱니(52)가 조립통(30) 내주면의 안내홈(34)으로부터 벗어나고, 상기한 녹크돌기(51)의 톱니(52) 꼭지점이 복귀방지돌기(33)의 경사면(35) 꼭지점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50)는 상기 녹크돌기(51)의 톱니(52)의 꼭지점과 상기한 누름부재(40)의 톱니(42)의 오목한 꼭지점이 맞물리도록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재(4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50), 누름부재(40), 작동봉(45), 파이프(21), 배수마개(20)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녹크돌기(51)의 톱니(52)가 복귀방지돌기(33)의 경사면(35)을 따라 미끄러짐에 따라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복귀방지돌기(33)의 턱(33a)에 걸림에 따라 회전부재(50)의 상승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a, 30a는 패킹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배수마개가 누름부재와 회전부재 및 스프링에 의해 편리하게 열리고 닫히게 되어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 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과,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하수 중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게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한 후 다시 편리하게 조립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걸름구(23)가 결합된 파이프(21)가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마개(20)가 원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 하부가 개방되는 지지부(12)의 내부에 결합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운데가 움푹 파인 판체로 형성되는 틀체(10)와; 다수개의 배수구멍(11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배수유도링(11)과; 내부면에 경사면(35)을 갖는 복귀방지돌기(33)가 형성되는 한편, 이 복귀방지돌기(33)의 사이에 안내홈(34)을 형성하되 깊은 홈과 턱(33a)이 형성된 반홈을 교대로 형성한다. 상부의 둘레면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며, 지지부(12) 하부의 배수유도링(11)에 끼움되어 결합되는 조립통(30)과; 하부의 둘레면에 이동돌기(41)와 톱니(4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파이프(21)에 삽입되는 작동봉(45)이 형성되며, 이동돌기(41)가 조립통(30)의 안내홈(34)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누름부재(40)와; 상부에는 누름부재(40)에 삽입되는 봉(53)이 형성되고, 하부의 둘레면에는 녹크돌기(51)가 형성되며, 녹크돌기(51)의 상부에는 톱니(52)가 형성되는 회전부재(50)와; 조립통(30)의 하부 입구를 막아주게 되는 마개(55)와; 마개(55)와 회전부재(50)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스프링(54)과; 상부가 개방되는 반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통(30)의 외부에 결합되는 종발이(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60000680U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KR200413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680U KR200413497Y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680U KR200413497Y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561A Division KR100742006B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497Y1 true KR200413497Y1 (ko) 2006-04-07

Family

ID=4176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680U KR200413497Y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4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093A (ko) * 2014-04-28 2015-11-05 서은미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093A (ko) * 2014-04-28 2015-11-05 서은미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WO2015167162A1 (ko) * 2014-04-28 2015-11-05 (주)유니바스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1594899B1 (ko) * 2014-04-28 2016-02-17 서은미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656B2 (en) Drain stopper assembly
KR20080001524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KR20070074703A (ko) 배수트랩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KR101264017B1 (ko) 악취 및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구 개폐 조절 장치
KR200413497Y1 (ko) 배수트랩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KR101178011B1 (ko) 배수트랩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102081750B1 (ko) 하수구용 배수 트랩
KR20180049886A (ko) 배수트랩
US20230125638A1 (en) Popup Drain Stopper With Debris Trap and Popup Drain Stopper Assembly Having The Same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65457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130125513A (ko)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119165B1 (ko) 배수구용 배수장치
KR20160003431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1711733B1 (ko) 맨홀의 악취 차단 장치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KR102120152B1 (ko) 배수트랩
KR102414969B1 (ko) 거름 기능을 가지는 배수트랩
KR200405339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