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513A -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513A
KR20130125513A KR1020120049077A KR20120049077A KR20130125513A KR 20130125513 A KR20130125513 A KR 20130125513A KR 1020120049077 A KR1020120049077 A KR 1020120049077A KR 20120049077 A KR20120049077 A KR 20120049077A KR 20130125513 A KR20130125513 A KR 2013012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rain
backflow prevention
prevention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785B1 (ko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주)도원드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원드레인 filed Critical (주)도원드레인
Priority to KR102012004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7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수통에 장착되는 연결부재가 상기 배수통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된 후 싱크대 상방에서 체결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배수통이 상기 싱크대에 장착되며, 역류방지장치가 배수통에 걸림 구속되어 상방으로의 압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 Drain apparatus for sink with device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
본 발명은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 사용되는 배수장치는 싱크대의 싱크볼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장착되며, 배수장치는 크게 외형을 형성하는 싱크대를 배수통에 고정하는 결합부재, 배수통과 하수도를 연결하여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관 그리고 배수 통 내에서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장치 등이 포함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는 배수장치 중 대표적인 것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65947호에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018860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세히,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65947호에는 배수통에 고정플렌지가 결합되고, 싱크대를 기준으로 상기 고정플렌지와 결합링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배수통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고정플렌지와 배수통의 사이 공간에 패킹링이 구비되며, 싱크대 저면과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배수통은 고정플렌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배수장치는 상기 싱크대에 배수장치의 장착 및 조립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으나, 고정플렌지와 배수통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링의 결합시 고정플렌지와 배수통이 회전되어 슬립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거나 조립 불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통의 내부에 하수의 역류 또는 악취의 방지를 위한 별도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상황에 따라 하수가 역류하거나 싱크대로 악취가 올라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65947호에는 싱크대에 배수통이 커버에 의해 결합되며, 배수통의 내부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차단부가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하수의 배수시 차단부가 개방되어 하부의 배수가 용이하게 될 수 있으며, 하수의 배수가 완료되는 경우 차단부는 닫히게 되어 하수의 역류 및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차단부는 단순히 상단에 플렌지가 형성되고, 배수통의 배수구에 단차진 안착부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차단부 자체의 완전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부에서 하수의 역류로 인한 압력이 높아지게 될 경우 차단부 자체가 상방으로 힘을 받아 배수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체결시 싱크대의 하방에서 상기 커버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배수장치의 조립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수통에 장착되는 연결부재가 상기 배수통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결합된 후 싱크대 상방에서 체결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배수통이 상기 싱크대에 장착되며, 역류방지장치가 배수통에 걸림 구속되어 상방으로의 압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 하방에 배치되며,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지며 싱크대의 물이 배수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통; 상기 배수통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로 구속홈과 상기 가로 구속홈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세로 구속홈이 형성되는 단차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에 밀착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가로 구속홈 및 세로 구속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가로 구속돌기와 세 및 세로 구속돌기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연결부재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싱크대의 상방에서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 나사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통을 상기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배수통과 상기 싱크대 하면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킹링; 상기 배수통의 상부 하면에 개구되는 장착구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구를 부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하수를 배수시키고 역류 및 악취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장치;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돌기; 상기 장착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둘레면과 접하는 연장면; 그리고, 상기 연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고정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역류방지장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하방으로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고정돌기가 이동되어 수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구의 둘레에는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상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하우징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 상방의 역류방지장치의 둘레에는 상기 하우징 안착부와 밀착되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의 상면은 측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구속돌기와 세로 구속돌기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통 하부에는 주름관과 상기 배수통을 연결하는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통과 어댑터는 나사방식으로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상단은 상기 장착구에 안착되고,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둘레는 상기 연장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배수통에 결합되는 연결부재의 구속을 위해 상기 배수통과 연결부재에는 각각 가로 구속홈과 세로 구속홈 그리고 가로 구속돌기와 세로 구석돌기가 형성되며, 이들은 교차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배수통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수통과 연결부재는 서로 유격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과정시 회전에 의해 연결부재와 배수통이 회전되어 슬립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조립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슬립으로 인해 발생되는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역류방지장치는 배수통의 장착구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역류방지장치의 고정돌기가 연장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와 회전부로 차례로 이동되어 상하방향 유동이 발생하지 않고 구속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수의 역류시 상방으로 가해지는 압력에도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동 신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시 별도의 접합 구조 또는 억지끼움 방식이 아니므로 상기 역류방지장치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배수통으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상기 배수장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 배수장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배수장치의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장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상기 배수장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 배수장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10)는 상기 싱크대(1)에 장착되는 배수통(100)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통(100)의 장착을 위해 연결부재(200)와 결합부재(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통(100)과 연결부재(200) 및 결합부재(400)는 모두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싱크대 배수장치(10)는 싱크대(1)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싱크대(1)의 하방에서 상기 배수통(100)이 장착되며, 상기 배수통(100)에는 연결부재(2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1)의 상방에서 결합부재(400)가 상기 연결부재(200)에 체결되어 상기 싱크대 배수장치(10)가 상기 싱크대(1)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배수통(1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상부(110)와 하부(1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110)의 개구된 상단은 상기 배수통(100)의 배수구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110)의 둘레에는 상기 보조 배출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 배출부(130)는 하수의 배수시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 하수의 배출을 안내하게 되며, 상기 배수통(100) 하부(120)의 개구된 부분과 연결되는 배관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출부(130)의 단부에는 나사부(131)가 형성되여 주름관과 같은 배관이 결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100) 하부(120)는 상기 배수통(100) 상부(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배수통(100) 하부(120)는 상기 배수통(100)을 통해 집수되는 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수통(100) 하부(120)의 하단 외주면에는 나사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21)에 의해 주름관과 같은 배관이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나사부(121)와 주름관의 사이에는 어댑터(1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140)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배관이 연결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통(100)의 상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111)의 내측면에는 구속홈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은 상기 연결부재(2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통(10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구속홈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구속홈(112)과, 상기 가로 구속홈(112)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 구속홈(113)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재(200)에 형성되는 가로 구속돌기(210)와 세로 구속돌기(220)과 각각 형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200)는 세로방향으로 상기 단차부(111)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00)의 외측면에는 가로 구속돌기(210)와 세로 구속돌기(22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로 구속돌기(21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세로 구속돌기(220)는 상기 가로 구속돌기(2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로 구속돌기(210)는 상기 가로 구속홈(11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세로 구속돌기(220)는 상기 세로 구속홈(113)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단차부(11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로 구속홈(112), 가로 구속돌기(210), 세로 구속홈(113) 및 세로 구속돌기(220)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배수통(100)과 결합되며, 결합 후에는 상기 배수통(100)은 상기 결합부재(400)의 결합시에도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의 내측면에는 연결부재 나사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 나사부(230)는 상기 결합부재(4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0)를 상기 배수통(100)에 고정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400)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수통(100)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패킹링(30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리브(24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240)는 상기 패킹링(300)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한쌍이 형성될 수 있있으며, 상기 패킹링(300)은 상기 한쌍의 고정리브(240)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리브(240)는 상기 패킹링(300)의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장치(10)가 상기 씽크대(1)에 장착될 때, 상기 패킹링(300)이 상기 싱크대(1)의 하면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패킹링(30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구조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면에는 하나의 고정리브(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상기 패킹링(300')의 하면에는 고정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310)에 상기 고정리브(240')가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링(30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0)가 상기 배수통(10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면에는 패킹링(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링(300)은 상기 연결부재(200)가 장착된 상태의 배수통(100)이 상기 싱크대(1)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400)는 상기 싱크대(1)의 상방에서 체결되며, 상기 배수통(100)에 고정된 연결부재(2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400)는 전체적으로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절곡된 플렌지부(410)와, 상기 플렌지부(4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장착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00)는 상기 싱크대(1)의 상방에서 장착되며, 이때, 상기 플렌지부(410)는 상기 싱크대(1)의 상면과 밀착되고, 상기 배수통(100)이 상기 싱크대(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420)는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재(20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부(420)의 외측면에는 결합부재 나사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 나사부(430)는 상기 연결부재 나사부(230)와 서로 나사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420)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재(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부(420)의 내측면에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500)이 안착되는 거름망 안착부(440)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름망 안착부(440)의 상방에는 상기 결합부재(400)의 개구면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안착되는 커버 안착부(450)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통(100) 상부(110)의 하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수의 역류 및 악취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6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역류방지장치(600) 및 상기 역류방지장치(600)가 장착되는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장착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수통(100) 상부(110)의 하면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역류방지장치(600)가 장착되는 장착구(114)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구(114)는 상기 배수통(100) 하부(120)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역류방지장치(6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구(114)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1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600)의 둘레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만큼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5)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는 상기 역류방지장치(600)가 상기 배수통(1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역류방지장치(600)가 삽입된 후 회전에 의해 구속되어 상방으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역류방지장치(600)가 분리되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역류방지장치(60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6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는 상기 연장부(115)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6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613)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역류방지장치(600)의 둘레면이 상기 연장부(115)와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는 상기 장착구(114)를 향하여 상방으로 개구되는 개구부(151)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51)는 상기 고정돌기(613)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151)의 측방으로 회전부(15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152)는 상기 개구부(151)에서 측방을 향하여 형성되며, 측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153)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613)는 상기 개구부(151)를 통해 삽입된 후 회전되어 상기 회전부(15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구속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류방지장치(600)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원통형상의 하우징(610)과, 상기 하우징(610)의 개구된 하면을 개폐하는 차폐구(640)와, 상기 차폐구(640)와 상기 하우징(610)을 연결하는 연결로드(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610)은 상하방으로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구(11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115)와 접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0)의 상단에는 상부 커버(6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커버(620)에는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621)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620)의 중앙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연결로드(63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0)의 하단 둘레를 따라서 상기 차폐구(640)가 하우징(610)의 하면을 닫게 될 때 상기 차폐구(640)와 접하는 실링부재(61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610)의 상단은 상기 장착구(114)의 단차진 하우징 안착부(116)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우징 플렌지(6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61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613)는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의 개구부(151)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플렌지(612) 하방의 상기 하우징(610) 둘레에는 오링(614)이 구비된다. 상기 오링(614)은 상기 역류방지장치(600)의 장착시 상기 역류방지장치(600)와 배수통 사이의 누수를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613)가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압축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차폐구(640)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로드(630)가 상기 차폐구(640)의 상방에서 상기 차폐구(64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구(640)는 상기 연결로드(6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구(640) 외측의 상기 연결로드(630)에는 외부 이물질이 상기 차폐구(640) 내부로 유입되거나 연결로드(63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차단부재(6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구(640) 내측의 상기 연결로드(630)에는 탄성부재(66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수의 배수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차폐구(64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탄성부재(660)는 늘어나게 되고,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6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차폐구(64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610)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차폐구(640)의 상하 이동 및 구동 구조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미 공지의 기술에 해당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610)의 구조 및 하우징(610)과 배수통(100)의 결합관계에 특징이 있으므로 상기 차폐구(640)의 개폐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차폐구(640)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다양한 다른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의 장착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싱크대 배수장치(10)는 장착을 위해서 상기 배수통(100)에 상기 연결부재(200)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00)의 가로 구속돌기(210)와 세로 구속돌기(220)가 상기 가로 구속홈(112)과 세로 구속홈(113)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배수통(100)의 상단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세로 구속돌기(220)와 세로 구속홈(113)에 의해 상기 배수통(100)은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400)의 결합시에도 회전 또는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를 상기 배수통(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패킹링(300)이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면에 패킹링(300)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400)가 상기 연결부재(20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400)는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수통(100)은 상기 싱크대(1)의 하방에서 상기 결합부재(40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 나사부(430)와 상기 연결부재 나사부(230)가 회전에 의해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0)와 배수통(100)은 서로 완전히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배수통(100)은 헛돌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결합부재(400)에 의해 상기 싱크대(1)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100)이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역류방지장치(600)와 상기 거름망(500), 커버가 차례로 상기 배수통(100)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중 상기 역류방지장치(600)는 상기 창착구(114)의 상방에서 상기 장착구(114)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613)가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150)의 개구부 상방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역류방지장치(60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역류방지장치(600)의 하우징 플렌지(612)가 상기 하우징 안착부(116)에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610)의 외측면은 상기 연장부(115)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613)는 상기 개구부(151)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600)가 상기 하우징 안착부(116)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역류방지장치(6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개구부(151)에 위치하던 고정돌기(613)는 이동하여 상기 회전부(15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152)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돌기(613)는 상하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하수의 역류에 의한 압력 발생시에도 상기 역류방지장치(600)가 상기 배수통(100)으로 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배수장치 100. 배수통
112. 가로 구속홈 113. 세로 구속홈
150. 고정부 151. 개구부
152. 회전부 200. 연결부재
210. 가로 구속돌기 220. 세로 구속돌기
300. 패킹링 400. 결합부재
500. 거름망 600. 역류방지장치
611. 실링부재 613. 고정돌기

Claims (7)

  1. 싱크대의 배수구 하방에 배치되며,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지며 싱크대의 물이 배수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통;
    상기 배수통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로 구속홈과 상기 가로 구속홈과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세로 구속홈이 형성되는 단차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차부에 밀착되며, 외측면에는 상기 가로 구속홈 및 세로 구속홈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가로 구속돌기와 세 및 세로 구속돌기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연결부재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싱크대의 상방에서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상기 연결부재 나사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통을 상기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배수통과 상기 싱크대 하면 사이에 개재되어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패킹링;
    상기 배수통의 상부 하면에 개구되는 장착구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구를 부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하수를 배수시키고 역류 및 악취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장치;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돌기;
    상기 장착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둘레면과 접하는 연장면; 그리고,
    상기 연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고정 장착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역류방지장치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 고정부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하방으로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 상기 고정돌기가 이동되어 수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의 둘레에는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상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하우징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 상방의 역류방지장치의 둘레에는 상기 하우징 안착부와 밀착되는 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상면은 측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구속돌기와 세로 구속돌기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 하부에는 주름관과 상기 배수통을 연결하는 어댑터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통과 어댑터는 나사방식으로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장치가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상단은 상기 장착구에 안착되고, 상기 역류방지장치의 둘레는 상기 연장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KR1020120049077A 2012-05-09 2012-05-09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Active KR10135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77A KR101352785B1 (ko) 2012-05-09 2012-05-09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077A KR101352785B1 (ko) 2012-05-09 2012-05-09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513A true KR20130125513A (ko) 2013-11-19
KR101352785B1 KR101352785B1 (ko) 2014-01-16

Family

ID=4985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077A Active KR101352785B1 (ko) 2012-05-09 2012-05-09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7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90B1 (ko) * 2018-05-31 2019-04-03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2051087B1 (ko) * 2019-04-15 2019-12-0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배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503B1 (ko) * 2019-06-27 2020-02-06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2416874B1 (ko) * 2020-06-23 2022-07-05 박경자 싱크 호스 연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00U (ko) * 2007-08-24 2009-02-27 박찬경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101019262B1 (ko) * 2008-10-23 2011-03-07 박일선 싱크대 배수 유닛의 호스 연결 구조
KR101162105B1 (ko) * 2009-06-18 2012-07-04 (주)도원드레인 악취 및 하수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101279286B1 (ko) * 2009-07-31 2013-06-26 안귀인 싱크대용 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90B1 (ko) * 2018-05-31 2019-04-03 김주학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2051087B1 (ko) * 2019-04-15 2019-12-0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싱크대용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2785B1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2065B2 (ja) 排水配管
KR101352785B1 (ko)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US20170073948A1 (en) Drain Stopper With Detachable Solid Matter Receptacle
KR200472604Y1 (ko)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100807744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JP6475663B2 (ja) 逆止弁
US8899549B2 (en) Drain valve base
KR100642314B1 (ko) 공동주택 하수관의 역류방지 배수전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102267896B1 (ko)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101644904B1 (ko) 밀폐 구조 개선형 너트를 갖는 팝업밸브
KR100766279B1 (ko) 하수의 역류방지장치
JP7675967B2 (ja) 排水口カバー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JP4277083B2 (ja) 排水装置
KR100715122B1 (ko) 배수구용 악취차단장치
KR101666971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KR102051087B1 (ko) 싱크대용 배수장치
KR101950886B1 (ko) 냄새차단 기능을 갖는 폽업
KR200474545Y1 (ko) 바닥용 배수 트랩
JP6259980B2 (ja) 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