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896B1 -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 Google Patents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896B1
KR102267896B1 KR1020200134990A KR20200134990A KR102267896B1 KR 102267896 B1 KR102267896 B1 KR 102267896B1 KR 1020200134990 A KR1020200134990 A KR 1020200134990A KR 20200134990 A KR20200134990 A KR 20200134990A KR 102267896 B1 KR102267896 B1 KR 102267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coupled
foreign material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봉
Original Assignee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기에 설치된 배관과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을 연결하는 트랩배관으로서, 상기 트랩배관은, 상기 배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이 결합되어 세면수의 배수를 안내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U관; 및 상기 U관의 타측에 장착되어 회전 및 승강하면서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하는 회전관;을 포함하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기에 설치된 배관과 배수관이 수직 또는/및 수평 선상으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관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배수관과 수직 또는/및 수평 선상으로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Trap piping of a sweater with Rotation and height control}
본 발명은 세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기에 설치된 배관과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이 수직 또는/및 수평 선상으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관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배수관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공공장소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세면기는 물을 저장하여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세면을 한 물은 배수트랩을 통해 배수관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트랩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8050호에 세면기용 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세면기용 트랩의 세면기측 배수관 하측으로 결합너트를 개재하여 배수 유도관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배수 유도관은 그 하측으로 배출수가 저류되는 배수 저류관을 개재하여 측벽면에 형성되는 하수관과 연결 설치되는 세면기용 트랩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과 결합너트를 통해 연결되는 배수 유도관 내측으로 배수 안내관이 하향 입설토록 되며, 상기 배수 유도관과 결합되어 악취를 제거하는 캡형상의 배수 저류관 일측 벽면에는 배수 토출구가 형성되어 플렉시블관과 결합너트로 결합되는 한편, 상기 플렉시블관 내측에는 수지재 자바라관이 내설되어 측벽면 하수구의 내측으로 삽통토록 되는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배수저류관이 세면기측 배수관을 따라 승강하지 못하므로 배수토출구와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의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정확한 배관작업을 이룰 수 없으므로 시공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 및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80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기에 설치된 배관과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이 수직 또는/및 수평 선상으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관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배수관에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은, 세면기에 설치된 배관과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을 연결하는 트랩배관으로서, 상기 배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이 결합되어 세면수의 배수를 안내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U관; 및 상기 U관의 타측에 장착되어 회전 및 승강하면서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하는 회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관은, 상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1수직관; 상기 제1수직관의 하단부에 만곡되어 연장되는 만곡관; 및 상기 만곡관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수직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관은, 하부가 개방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재 내부와 연통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관에서 회전관의 상승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U관의 제1수직관 외주면에 돌출된 이탈방지돌기; 및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관 하단부에 돌출된 이탈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관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배출부는, 상기 U관의 만곡관 하부에 관통된 이물질배출부재; 및 상기 이물질배출부재에 장착되는 이물질배출안내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면기에 설치된 배관과 배수관이 수직 또는/및 수평 선상으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관을 회전 및 승강시키면서 배수관과 수직 또는/및 수평 선상으로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의 결합과정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과정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100)은, 세면기(10)에 설치된 배관(11)과 벽체(20)에 매설된 배수관(21)을 연결하는 트랩배관(100)으로서, 연결부재(110), U관(120), 회전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11)은 세면기에 세면수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세면수를 배출시키는 통상의 폽업밸브 또는 수직레버에 의해 개폐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된 수직배관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배관(11)과 U관(120)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외관(111), 내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관(111)은 상기 배관(11)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관(111)은 내부가 관통되고, 하단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외관의 상단부 내주면에 돌출되어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탄성편(11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편(111a)은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배관(11)과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111a) 내측으로 내관(112)이 결합되는 홈(111b)이 형성될 수 있다.
내관(112)은 상기 외관(111) 내부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탄성편(111a)의 내측으로 형성된 홈(111b)에 결합될 수 있다. 내관(112)은 고무재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탄성돌기(112a)가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밀폐시킴으로써 세면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U관(120)은 상기 연결부재(1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세면수의 배수를 안내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제1수직관(121), 만곡관(122), 제2수직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관(121)은 일정길이로 내부가 관통된 관체일 수 있다. 제1수직관(121) 상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재(110)와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만곡관(122)은 제1수직관(121) 하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만곡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2수직관(123)은 상기 만곡관(122)의 단부로부터 상향으로 일정길이 수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2수직관(123)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124)이 요입형성되고, 상기 홈(124)에 결합되는 고무링(12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관(130)은 상기 U관(120)의 제2수직관(123)에 장착되어 회전 및 승강하면서 벽체(20)에 매설된 배수관(21)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부재(131), 리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131)는 제2수직관(123)의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는 관체일 수 있다.
리브(132)는 회전부재(13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회전부재(132)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브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U관(120)에서 회전관(130)의 상승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140)는 이탈방지돌기(141), 이탈방지턱(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41)는 상기 U관(120)의 제1수직관(121) 외주면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141)는 일정길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턱(142)은 상기 이탈방지돌기(141)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관(130) 하단부에 회전관(130) 외주면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142)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141)가 결합되어 통과되는 안내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143)은 리브(13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43)을 이탈방지돌기(141)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관(130)을 회전시켜 안내홈(143)과 이탈방지돌기(14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43)과 이탈방지돌기(141)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음으로 회전관(130)의 상승시, 이탈방지턱(142) 상면이 이탈방지돌기(141) 저면에 밀착되면서 회전관(130)의 상승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관(120)의 하단부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부(150)를 더 포함하고, 이물질배출부(150)는 이물질배출부재(151), 이물질배출안내캡(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배출부재(151)는 U관(120) 하부에 만곡관(122)과 연통되도록 관통된 구성으로, 상기 U관(120)으로 유입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이물질배출부재(15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배출안내캡(152)은 이물질배출부재(151)의 나사산에 나사체결되어 이물질배출부재(151)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관(130)과 배수관(21)을 연결하는 연결관(160)을 더 포함하고, 연결관(160)은 금속관 또는 자라바 형상의 플렉시블관일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례인 회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의 제작 및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U관(120)의 제2수직관(123) 상단부에 형성된 홈(124)에 고무링(125)을 결합하고, 상기 U관(120)의 제2수직관(123) 상부에 회전관(130)을 위치시킨다. 이때, U관(120)의 제1수직관(121)에 돌출된 이탈방지부(140)의 이탈방지돌기(141)와 회전관(130)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홈(143)은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관(130)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회전부재(131)의 하부에 형성된 안내홈(143)이 이탈방지돌기(141)에 결합됨과 동시에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31)의 내주면에는 고무링(125)이 밀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43)이 이탈방지돌기(141)를 통과하도록 회전부재(131)가 하부이동하여 리브(132)가 제1수직관(121)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회전부재(13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평회전시켜 이탈방지돌기(141)와 안내홈(143)이 대응되도록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43)이 회전하여 이탈방지돌기(141)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이탈방지돌기(141) 하부에 이탈방지턱(142)이 위치하므로 회전관(130)의 상승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10)의 내관(112)을 외관(111)에 결합하고, 상기 내관(112)의 상단부는 탄성편(111a) 내측의 홈(111b)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연결부재(110)를 U관(120)의 제1수직관(121)에 나사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관(120)의 만곡관(122)에 관통된 이물질배출부(150)의 이물질배출부재(151)에 이물질배출안내캡(152)을 체결고정하여 트랩배관(100)의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배출부(150)를 U관(120)에 체결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관(130)과 연결부재(1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작된 트랩배관(100)을 화장실의 세면기(1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세면기(10)에는 배관(1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관(11)의 하부에서 트랩배관(10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배관(11)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랩배관(100)의 연결부재(110)가 배관(11)의 하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부재(110)의 외관(111) 내주면에 형성된 탄성편(111a)이 배관(1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오므라들면서 탄력있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탄성편(111a)이 오므라들면서 내관(112)을 좀더 가압하여 내관(112)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편(111a)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관(111)에 결합된 내관(112)의 탄성돌기(112a)가 배관(1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밀폐시키면서 트랩배관(100)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트랩배관(100)이 배관(11)에 결합되면, 벽체(20)에 매설된 배수관(21)에 연결관(160)의 타측을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관(160)의 일측을 회전관(130)의 리브(13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리브(132)와 연결관(160)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회전관(130)을 제2수직관(123)의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제2수직관(12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연결관(160)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 후, 고무패킹이 내장된 별도의 체결캡으로 체결고정하여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회전관(130)의 회전반경은 상기 제2수직관(123)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관(130)이 회전하여 연결부재(110)에 밀착될 때까지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트랩배관(100)의 시공이 완료되면, 수도꼭지를 통해 공급되는 수도물로 세면을 할 수 있고, 세면한 세면수는 세면기의 배관(11)을 통해 U관(120)과 회전관(130)을 경유하고, 연결관(160)을 통해 배수관(21)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U관(120)으로 공급되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U관(120)의 만곡부(122)에 위치하면, 이물질배출부(150)의 이물질배출안내캡(152)을 회전시켜 이물질배출부재(151)를 개방하고, 개방된 이물질배출부재(151)로 만곡부(122)에 위치한 세면수가 배출되고, 이물질을 꺼내어 제거한 후, 상기 이물질배출안내캡(152)을 이물질배출부재(151)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트랩배관 110: 연결부재
111: 외관 112: 내관
120: U관 121: 제1수직관
122: 만곡관 123; 제2수직관
130: 회전관 131: 회전부재
132: 리브 140: 이탈방지부
141: 이탈방지돌기 142: 이탈방지턱
143: 안내홈 150: 이물질배출부
151: 이물질배출부재 152: 이물질배출안내캡

Claims (6)

  1. 세면기에 설치된 배관과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을 연결하는 트랩배관으로서,
    상기 배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이 결합되어 세면수의 배수를 안내하고,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U관;
    상기 U관의 타측에 장착되어 회전 및 승강하면서 벽체에 매설된 배수관과 동일 선상이 되도록 하는 회전관;
    상기 U관에서 회전관의 상승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면서 내부가 관통되고, 하단부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부 내주면에는 복수의 탄성편이 돌출되고, 상기 탄성편의 내측으로 요입된 홈이 형성되는 외관; 및
    상기 외관의 내부에 결합되면서 상단부는 상기 홈에 결합되고, 내주면에 복수의 탄성돌기가 돌출된 고무재의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U관의 제1수직관 외주면에 돌출된 이탈방지돌기;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관 하단부에 돌출된 이탈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결합되어 통과되도록 형성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관은,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1수직관;
    상기 제1수직관의 하단부에 만곡되어 연장되는 만곡관; 및
    상기 만곡관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수직관;을 포함하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관은,
    하부가 개방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부재 내부와 연통된 리브;를 포함하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관에 쌓인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배출부는,
    상기 U관의 만곡관 하부에 관통된 이물질배출부재; 및
    상기 이물질배출부재에 장착되는 이물질배출안내캡;을 포함하는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KR1020200134990A 2020-10-19 2020-10-19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KR102267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90A KR102267896B1 (ko) 2020-10-19 2020-10-19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90A KR102267896B1 (ko) 2020-10-19 2020-10-19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896B1 true KR102267896B1 (ko) 2021-06-23

Family

ID=7659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990A KR102267896B1 (ko) 2020-10-19 2020-10-19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89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2480A (en) * 1997-11-03 2000-01-11 Helmsderfer; John A. Cover assembly for covering undersink piping utilizing sliding cover pieces
KR20000062988A (ko) * 2000-03-21 2000-10-25 김광열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348050Y1 (ko) 2003-12-31 2004-04-28 장충삼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US20040154662A1 (en) * 2000-12-12 2004-08-12 Gabriel Lechuga Unitary pipe cover assembly for undersink pipes
KR20060038090A (ko) * 2004-10-29 2006-05-03 장충삼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 각도 조절장치
JP2008025216A (ja) * 2006-07-21 2008-02-07 Maruichi Kk 排水トラップ配管
JP2008057251A (ja) * 2006-08-31 2008-03-13 Toto Ltd 排水トラップ
KR20100033033A (ko) * 2008-09-19 2010-03-2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다기능 배관연결구
JP6229118B2 (ja) * 2013-05-31 2017-11-15 丸一株式会社 配管部材の接続構造
JP2019022914A (ja) * 2017-07-21 2019-02-14 株式会社永木精機 操作棒の連結構造
KR20200112057A (ko) * 2019-03-20 2020-10-05 차윤도 세면대용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2480A (en) * 1997-11-03 2000-01-11 Helmsderfer; John A. Cover assembly for covering undersink piping utilizing sliding cover pieces
KR20000062988A (ko) * 2000-03-21 2000-10-25 김광열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US20040154662A1 (en) * 2000-12-12 2004-08-12 Gabriel Lechuga Unitary pipe cover assembly for undersink pipes
KR200348050Y1 (ko) 2003-12-31 2004-04-28 장충삼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060038090A (ko) * 2004-10-29 2006-05-03 장충삼 세면기용 트랩의 배수관 각도 조절장치
JP2008025216A (ja) * 2006-07-21 2008-02-07 Maruichi Kk 排水トラップ配管
JP2008057251A (ja) * 2006-08-31 2008-03-13 Toto Ltd 排水トラップ
KR20100033033A (ko) * 2008-09-19 2010-03-2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다기능 배관연결구
JP6229118B2 (ja) * 2013-05-31 2017-11-15 丸一株式会社 配管部材の接続構造
JP2019022914A (ja) * 2017-07-21 2019-02-14 株式会社永木精機 操作棒の連結構造
KR20200112057A (ko) * 2019-03-20 2020-10-05 차윤도 세면대용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4383B1 (en)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ischarge pipe to a discharge opening
KR102267896B1 (ko)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KR101169771B1 (ko) 세면기 배수관 연결장치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102083469B1 (ko) 배수용 트랩
KR20130125513A (ko)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싱크대 배수장치
JP2019218736A (ja) 防臭ワン
KR101619353B1 (ko) 세면기의 트랩배관 설치장치
KR101422804B1 (ko) 배수 트랩
US903081A (en) Waste for bath-tubs, basins, and like fixtures.
KR102090044B1 (ko) 배관 구조물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1814595B1 (ko) 세면기의 배수장치
JP5793747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1256571B1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AU2010243797B2 (en) Siphon and item of furniture
KR20100002133U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KR100896121B1 (ko) 배수관용 개,폐 마개
CN210177616U (zh) 一种具有防虫防臭功能的盥洗面盆排水器
CN210562465U (zh) 一种液封式防虫防臭洗手盆排水器
CN211898819U (zh) 一种防臭防菌虫地漏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CN212129347U (zh) 一种下水防臭防虫防返水器具
KR102536793B1 (ko) 배수트랩 어셈블리
CN215166198U (zh) 一种水槽排水管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