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988A -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988A
KR20000062988A KR1020000014658A KR20000014658A KR20000062988A KR 20000062988 A KR20000062988 A KR 20000062988A KR 1020000014658 A KR1020000014658 A KR 1020000014658A KR 20000014658 A KR20000014658 A KR 20000014658A KR 20000062988 A KR20000062988 A KR 2000006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filter opening
filter
around
screw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276B1 (ko
Inventor
김광열
도일준
Original Assignee
김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열 filed Critical 김광열
Priority to KR1020000014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2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2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devices moved through the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면기 직하부의 기존 배수관 하단부에 합성수지재나 동(銅)재를 소재로 하여 외측 상부에 여과구수납실이 구비 된 배수관을 장착하여 내측에 다수개의 여과망 형성 된 여과구를 세면기 전면측에서 내.외측으로 열고 닫을수 있도록 하여 여과구의 여과망을 통해 세면기에서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을 사전에 여과 시켜 하수구로 바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환경 오염을 예방하고 아울러 막힌 배수관을 뚫기 위해 많은 물을 사용 해야되는 것을 없도록 한 것으로서,합성수지재나 동(銅)재를 소재로 하여형상으로 된 배수관(1)의 외측 상부에 여과구수납실 ( 2 )를 위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설하여 그 입구 둘레에 안내홈( 3 )(3A)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 상부의 연결부(1A) 상단부에 나사부 ( 4 )를 형성하며 저면부에는 입자가 미세한 찌거기를 청소 할 때 사용하는 배출구 ( 7 )를 하향 돌설시켜 나사부 ( 4A )를 형성하여 마개 ( 8 )를 나합하며 배수관에 일체로 연설 된 여과구수납실 ( 2 ) 속으로는 세면기 전면측에서 내측을 향해 개폐되고 외측에 손잡이 ( 5D )를 구비시켜 그 둘레에 결합돌기 ( 5A )( 5B )를 형성하여 내부에 머리카락을 잡아주는 돌부( 5E )를 돌출 형성 시킨 반호형 형상에 여과공( 5C )이 구비된 여과구( 5 )를 개폐토록 하며 배수관(1)의 내측 단부에 나사부( 4B )를 형성 한 후 역시 합성수지재나 동재(銅)로 만든 또 다른 배수관 ( 10A )의 상단부에도 나사부 ( 4D )를 형성하여 체결너트 ( 9 )로 상기의 나사부 ( 4B)(4D )를 서로 일치시켜 체결 결합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면 제 3 도와 같이 여과구수납실 ( 2 ) 둘레에 나선형홈( 11 )을 형성하고 여과구 ( 5 )의 손잡이 ( 5D ) 둘레에 나선형 돌기 ( 12 )를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서,세면기 사용중에 세면기에서 배수관 ( 13 ) 내부로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이 물과 함께 흘러 들어가도 세면기의 배수관 ( 1 ) 입구에서 여과구 ( 5 )의 여과공 ( 5C )에 의해 물은 밖으로 배출되고 상기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은 사전에 차단 여과함으로서 하수구로 배출 될 우려가 전혀 없어 환경 오염을 예방할수가 있는 잇점을 얻을수가 있고 또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을 여과구( 5 )를 통해 세면기의 배수관 ( 13 ) 배수로 입구에서 여과 함으로서 배수관 내부로 유입 될 염려가 없어 종래처럼 배수관이 막혀을 때 막힌 배수관을 뚫기 위해 많은 물이 낭비 되는 것을 없앨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The equipment of the strain for the washbowl}
본 발명은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은 세면기의 직하부에 별도록 합성수지재나 동(銅)재를 소재로 하여 외측 상부에 여과구수납실이 연설 된 배수관을 설치하여 상기 여과구수납실 속으로 내측에 다수개의 여과공이 구비 된 여과구를 내.외측으로 개폐토록 구성 함으로서, 세면기 사용중에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이 배수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특히 하수구로 바로 배출되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고 막힌 배수관을 뚫기 위해 배수관 속에 물을 분사시켜 찌거기를 제거 하면서 발생되는 물 과다 사용을 없앤 것이다.
종래에는 세면기의 배수관 내부로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의 유입을 사전에 차단 해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었든 관계로 상기와 같은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이 배수관을 통해 무방비 상태로 바로 하수구로 배출 되므로서 환경이 심하게 오염 될뿐 아니라 세면기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U자형상으로 밴딩 처리 된 부분의 배수관 굴곡부에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이 점차적으로 누적되어 쌓이고 엉켜 달라 붙으면서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수관이 완전히 막혀 배수가 되지 않아 막힌 배수관을 뚫어야 되는데 배수관의 내부 구조가 U자형상으로 밴딩 처리 되어 있어 배수관을 뚫기 위해 꼬챙이 등을 내부로 쑤셔 넣어 뚫어야 되는데 진입조차 되지 않아 어쩔수 없이 수도물 의 분사력을 이용하여 막힌 배수관 내부를 뚫는 연유로 배수관을 뚫기 위해서는 많은 물이 낭비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종래의 결점을 헤결하기 위해 세면기 직하부의 기존 배수관 하단부에 합성수지재나 동(銅)재를 소재로 하여 외측 상부에 여과구수납실이 구비 된 배수관을 장착하여 내측에 다수개의 여과망 형성 된 여과구를 세면기 전면측에서 내.외측으로 열고 닫을수 있도록 하여 여과구의 여과망을 통해 세면기에서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을 사전에 여과 시켜 하수구로 바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환경 오염을 예방하고 아울러 막힌 배수관을 뚫기 위해 많은 물을 사용 해야되는 것을 없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 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조립상태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상태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세면기용배수관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배수관 1A:연결부 2:여과구수납실 3.3A:안내홈
4.4A.4B.4D:나사부 5:여과구 5A.5B:결합돌기 5C:여과공
5D:손잡이 6:패킹 7:배출구 8:마개 9:체결너트
10:또다른배수관 10A:나사부 11:나선형홈
12.:나선형돌기 13.기존배수관 13A:나사부
A:세면기
합성수지재나 동(銅)재를 소재로 하여형상으로 된 배수관(1)의 외측 상부에 여과구수납실 ( 2 )를 위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설하여 그 입구 둘레에 안내홈( 3 )(3A)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 상부의 연결부(1A) 상단부에 나사부 ( 4 )를 형성하며 저면부에는 입자가 미세한 찌거기를 청소 할 때 사용하는 배출구 ( 7 )를 하향 돌설시켜 나사부 ( 4A )를 형성하여 마개 ( 8 )를 나합하며 배수관에 일체로 연설 된 여과구수납실 ( 2 ) 속으로는 세면기 전면측에시 내측을 향해 개폐되고 외측에 손잡이 ( 5D )를 구비시켜 그 둘레에 결합돌기 ( 5A )( 5B )를 형성하여 내부에 머리카락을 잡아주는 돌부 ( 5E )를 돌출 형성 시킨 반호형 형상에 여과공( 5C )이 구비 된 여과구( 5 )를 개폐토록 하며 배수관(1)의 내측 단부에 나사부( 4B )를 형성 한 후 역시 합성수지재나 동재(銅)로 만든 또 다른 배수관 ( 10A )의 상단부에도 나사부( 4D )를 형성하여 체결너트 ( 9 )로 상기의 나사부 ( 4B)(4D )를 서로 일치시켜 체결 결합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3 과 같이 여과구수납실 ( 2 ) 둘레에 나선형홈 ( 11 )을 형성하고 여과구 ( 5 )의 손잡이 ( 5D ) 둘레에 나선형돌기( 12 )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세면기 ( A )의 직하부에 합성수지재나 동(銅)재로 된 배수관( 1 )을 장착하여 사용 하는데 설치 방법은 의 상단부에 구비 된 연결부( 1A )의 나사부 ( 4 )를 세면기 저부에 설치 된 기존 배수관( 13 )의 나사부( 13A )와 서로 일치시켜 체결너트 ( 9 )로 체결 고정하고 배수관( 1 )의 내측 상단부의 나사부 ( 4B )와 또 다른 배수관 ( 10 )의 나사부( 10A )와 서로 일치시켜 체결너트 ( 8 )로 체결 고정시키면 본 고안의 배수관( 1 ) 설치 작업이 모두 완료되고 배수관 ( 1 ) 외측 상부에 구비 된 여과구수납실 ( 2 ) 속으로 내측에 여과망 ( 5C )이 형성된 여과구 ( 5 )를 밀어 넣고 상기 여과구의 결합돌기( 5A)(5B )를 안내홈 ( 3 )( 3A ) 속에 삽입하여 여과구 ( 5 )를 시계회전 방향으로 살짝 회전 시키면 여과구( 5 )가 배수관 ( 21)에 견고히 지지되어 닫힌 상태가 되면서 배수관의 설치 작업이 완료 되어 세면기를 사용 할 수가 있는데 세면기 사용중에 세면기에서 배수관 ( 13 ) 내부로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이 물과 함께 흘러 들어가도 세면기의 배수관 ( 1 ) 입구에서 여과구 ( 5 )의 여과공 ( 5C )에 의해 물은 밖으로 배출되고 상기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은 사전에 차단 여과 함으로서 하수구로 배출 될 우려가 전혀 없어 환경 오염을 예방 할수가 있는 잇점을 얻을수가 있고 또 찌거기나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 등을 여과구( 5 )를 통해 세면기의 배수관 ( 13 ) 배수로 입구에서 여과 함으로서 배수관 내부로 유입 될 염려가 없어 종래처럼 배수관이 막혀을 때 막힌 배수관을 뚫기 위해 많은 물이 낭비 되는 것을 없앨수가 있는 특징도 있고 또 미세한 입자의 찌거기는 일정한 길이로 하향 돌설 된 배출구 ( 7 )에 차곡차곡 쌓이면 마개 ( 8 )만 해지하면 간단하게 찌거기 제거를 깨끗하게 할 수가 있으며 그리고 찌거기를 여과시켜 주는 여과구 ( 5 )는 안내홈( 3 )(3A )에 결합돌기 ( 5A )( 5B )에 의해 견고히 삽입 결합되어 있어 사용중에 배수관 ( 1 )과 여과구 ( 5 )가 서로 분리 될 우려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며 배수관 ( 1 )의 배수로와 연통 된 여과구수납실 ( 2 )를 상향되게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 배수관 ( 1 )으로 배출되는 물이 여과구수납실 ( 2 )를 통해 밖으로 스며나오거나 유출 될 우려가 전혀 없으며 여과구의 여과공 ( 5C )에 여과된 찌거기를 버리고자 할 경우 여과구의 손잡이 ( 5D )를 손으로 잡고 시계 회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여과구가 배수관에서 간단히 분리되어 여과구에 여과 된 찌거기를 쉽고 간편하게 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합성수지재나 동(銅)재를 소재로 하여형상으로 된 배수관(1)의 외측 상부에 여과구수납실 ( 2 )를 위를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설하여 그 입구 둘레에 안내홈( 3 )(3A)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 상부의 연결부(1A) 상단부에 나사부 ( 4 )를 형성하며 저면부에는 입자가 미세한 찌거기를 청소 할 때 사용하는 배출구 ( 7 )를 하향 돌설시켜 나사부 ( 4A )를 형성하여 마개 ( 8 )를 나합하며 배수관에 일체로 연설 된 여과구수납실 ( 2 ) 속으로는 세면기 전면측에서 내측을 향해 개폐되고 외측에 손잡이 ( 5D )를 구비시켜 그 둘레에 결합돌기 ( 5A )( 5B )를 형성하여 내부에 머리카락을 잡아주는 돌부 ( 5E )를 돌출 형성 시킨 반호형 형상에 여과공( 5C )이 구비 된 여과구( 5 )를 개폐토록 하며 배수관(1)의 내측 단부에 나사부( 4B )를 형성 한 후 역시 합성수지재나 동재(銅)로 만든 또 다른 배수관 ( 10A )의 상단부에도 나사부( 4D )를 형성하여 체결너트 ( 9 )로 상기의 나사부 ( 4B)(4D )를 서로 일치시켜 체결 결합 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2. 제 1항 기재에 있어서,
    여과구수납실 ( 2 ) 둘레에 나선형홈 ( 11 )을 형성하고 여과구 ( 5 )의 손잡이 ( 5D ) 둘레에는 나선형돌기 ( 12 )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1020000014658A 2000-03-21 2000-03-21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10033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658A KR100332276B1 (ko) 2000-03-21 2000-03-21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658A KR100332276B1 (ko) 2000-03-21 2000-03-21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035U Division KR200192988Y1 (ko) 1999-03-04 2000-03-21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988A true KR20000062988A (ko) 2000-10-25
KR100332276B1 KR100332276B1 (ko) 2002-04-18

Family

ID=1965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658A KR100332276B1 (ko) 2000-03-21 2000-03-21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2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92B1 (ko) * 2005-05-26 2007-08-28 이근원 마개가 달린 폽업
CN112609785A (zh) * 2020-12-21 2021-04-06 杭州尊龙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环保型洗菜盆下水管防堵结构
KR102267896B1 (ko) * 2020-10-19 2021-06-23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KR102417798B1 (ko) * 2021-10-13 2022-07-05 유정수 머리카락 제거구가 구비된 배수관
CN115030091A (zh) * 2022-06-23 2022-09-09 河西学院 适用于水利工程施工的防水排水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567B1 (ko) 2017-11-29 2019-10-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관내 이물질 제거장치
KR102309961B1 (ko) * 2020-03-02 2021-10-21 유진호 세면대용 배수트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292B1 (ko) * 2005-05-26 2007-08-28 이근원 마개가 달린 폽업
KR102267896B1 (ko) * 2020-10-19 2021-06-23 성산코리아 주식회사 회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세면기의 트랩배관
CN112609785A (zh) * 2020-12-21 2021-04-06 杭州尊龙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环保型洗菜盆下水管防堵结构
CN112609785B (zh) * 2020-12-21 2022-04-26 杭州尊龙餐饮管理有限公司 一种环保型洗菜盆下水管防堵结构
KR102417798B1 (ko) * 2021-10-13 2022-07-05 유정수 머리카락 제거구가 구비된 배수관
CN115030091A (zh) * 2022-06-23 2022-09-09 河西学院 适用于水利工程施工的防水排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276B1 (ko)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762A (en) Trap and solids removal assembly for drains
US5638557A (en) Sink trap with valuables capture vessel
KR100332276B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US5413705A (en) Filterless drain separator
US6303032B1 (en) Portable multi-strainer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200192988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482345Y1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US2971650A (en) Trap
KR20020096223A (ko)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US10975555B1 (en) Cleanout port drain assembly and method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JP2000008475A (ja) 合成樹脂製溜めます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KR0139488Y1 (ko) 하수구 악취방출 차단용 트랩
KR200192994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용여과구
KR200314062Y1 (ko) 배수트랩
KR200273503Y1 (ko) 세면대용 배수관의 침전물 제거장치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200345053Y1 (ko) 세면기의 배수 이물질 제거 장치 배관
EP4343069A1 (en) Odour trap
KR100458906B1 (ko)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0117655Y1 (ko) 3단 여과판과 2개의 쓰레기집수통이 달린 하수구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