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906B1 -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906B1
KR100458906B1 KR10-2002-0010939A KR20020010939A KR100458906B1 KR 100458906 B1 KR100458906 B1 KR 100458906B1 KR 20020010939 A KR20020010939 A KR 20020010939A KR 100458906 B1 KR100458906 B1 KR 100458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container
plate
lid
grat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293A (ko
Inventor
안판상
Original Assignee
안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판상 filed Critical 안판상
Priority to KR10-2002-001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9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9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집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포집통이 구비되어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를 포집하고 그와 동시에 포집된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로의 집수구의 상부에 매설되는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에 삽입되는 테두리틀의 내측으로 내부편이 교차하여 구비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에 경사진 배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의 양측으로 측면판이 일체로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면판에 다수개의 배수통공이 형성되는 포집통과; 상기 전면판과 측면판의 상부측 끝에 수평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의 하면에 다수개의 포집통슬라이딩턱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의 외측으로 포집통손잡이가 부착되어 상기 포집통이 상기 뚜껑의 하면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포집통장착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도로의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가 용이하게 제거되어 유입되어 적체되는 쓰레기 및 오물로 인한 배수관의 막힘이 방지되고 아울러 적체된 쓰레기로 인한 배수관의 유입수에 대한 흐름의 장애가 미연에 방지되며 그에 따라 도로의 배수구의 원활한 배수가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A grating with gathering case}
본 발명은 도로의 집수구에 설치하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를 포집하고 그와 동시에 포집된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의 집수구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큰 덩어리의 쓰레기가 걸러지면서 오수 및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고 아울러 차량이 집수구의 상부측으로 안전하게 지나다니도록 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그레이팅은 큰 덩어리의 쓰레기는 용이하게 걸러주지만 덩어리가 작은 쓰레기는 그대로 하수관으로 유입시킴으로, 하수관의 내부에 쓰레기가적체되어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레이팅의 상면으로 덩어리가 큰 쓰레기가 걸러지더라도 차량의 이동으로 인해 큰 덩어리가 파괴되어 그레이팅을 통과하여 하수관으로 유입되어 하수관이 막혀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구의 내부에 적체되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아울러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하수관의 내부로 유입된 쓰레기를 완전하게 수거하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수구의 내부 및 하수관의 내부에 쓰레기를 수거하는 작업을 시행하더라도, 막힘이 우려되는 하수관을 구별하기는 매우 곤란하여 그 작업의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그와 동시에 하수관의 막힘으로 인한 배수의 불능을 미연에 방지하기는 전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의 집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포집통이 구비되어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를 포집하고 그와 동시에 포집된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의 배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의 저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의 배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의 저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이 그레이팅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이 전체적으로 그레이팅에서 용이하게 개폐되고 그와 동시에 그레이팅에 간편하게 고정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통이 그레이팅에서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로의 집수구의 상부에 매설되는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에 삽입되는 테두리틀의 내측으로 내부편이 교차하여 구비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에 경사진 배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과 배면판의 양측으로 측면판이 일체로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면판에 다수개의 배수통공이 형성되는 포집통과; 상기 전면판과 측면판의 상부측 끝에 수평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의 하면에 다수개의 포집통슬라이딩턱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의 외측으로 포집통손잡이가 부착되어 상기 포집통이 상기 뚜껑의 하면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구비되는 포집통장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은 상기 배면판이 분리되어 그 상부측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핀이 부착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판의 상부측 끝으로 상기 슬라이딩핀이 장착되는 슬라이딩장공을 갖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의 하부측으로 상기 배면판의 하부측이 끼워지도록 끼움턱이 부착되고, 상기 배면판의 외면으로 배면판손잡이가 부착되어 상기 배면판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은 상기 저면판의 중앙으로 소정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원주면으로 상기 삽입홈에 끼워지는 삽입턱을 갖고 그 하면에 저면뚜껑손잡이가 부착되며 다수개의 배수공을 갖고 상기 통공에 끼워지는 저면뚜껑이 상기 삽입홈을 통해 상기 저면판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은 상기 배면손잡이를 갖는 상기 배면판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판의 후방 외측 끝으로 상기 배면판이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슬라이딩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은 상기 저면판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의 하부측 끝으로 장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의 밑면에 저면판손잡이가 부착되어 상기 저면판이 상기 장착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는 상기 배면판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루관통공과, 상기 뚜껑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나선공과, 상기 스크루관통공에서 상기 나선공으로 체결되는 스크루로 구성되어 상기 포집통이 상기 뚜껑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는 상기 포집통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전면판의 상부측과 상기 뚜껑의 하면의 사이에 경첩이 부착되고, 상기 배면판의 외측으로 포집통손잡이가 부착되며, 상기 배면판의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잠금핀걸림홈과 상기 잠금핀걸림홈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장공과 장홈에 끼워지는 잠금핀과 상기 잠금핀걸림홈에 대응하는 상기 뚜껑의 하면에 부착되는 잠금핀걸림턱으로 구성되는 잠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는 상기 포집통의 상부측 끝으로 다수개의 재치턱이 부착되고, 상기 재치턱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틀의 내측 저면으로 재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통이 상기 받침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레이팅
10 : 받침틀 20 : 뚜껑
30 : 포집통
31 : 전면판
32 : 배면판
321 : 슬라이딩핀 322 : 배면판손잡이
33 : 측면판
331 : 슬라이딩부 332 : 슬라이딩장공 333 : 끼움턱
34 : 저면판
341 : 통공 342 : 삽입홈 343 : 저면뚜껑
35 : 배수통공
40 : 포집통장착부
41 : 수평돌출부 42 : 포집통슬라이딩턱 43 : 포집통손잡이
44 : 고정부
441 : 스크루관통공 442 : 나선공 443 : 스크루
46 : 잠금부
461 : 잠금핀걸림홈 462 : 잠금핀 465 : 잠금핀걸림턱
47 : 재치턱 48 : 재치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의 분해 사시도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그레이팅(1)은 받침틀(10)에 재치되도록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포집통(30)이 구비되며, 상기 포집통(30)이 장착되도록 포집통장착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받침틀(10)은 도로의 집수구의 상부에 매설되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뚜껑(20)은 상기 받침틀(10)에 삽입되는 테두리틀(21)의 내측으로 내부편(22)이 교차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31)에 경사진 배면판(32)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배면판(32)의 양측으로 측면판(33)이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34)이 구비되고, 상기 면판(31)(32)(33)(34)에 다수개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뚜껑(20)을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나 오물 등이 모이고 빗물이나 폐수 등은 상기 배수통공(35)을 통해 배출되어 하수관의 내부로 쓰레기나 오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상기 전면판(31)과 측면판(33)의 상부측 끝에 수평돌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41)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다수개의 포집통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포집통장착부(40)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뚜껑(20)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져 사용자가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서, 상기포집통(30)의 내부에 적체되는 쓰레기 등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그레이팅(1)은 받침틀(10)에 재치되도록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포집통(30)이 구비되며, 상기 포집통(30)이 장착되도록 포집통장착부(40)가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31)에 경사진 배면판(32)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배면판(32)의 양측으로 측면판(33)이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34)이 구비되고, 상기 면판(31)(32)(33)(34)에 다수개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상기 전면판(31)과 측면판(33)의 상부측 끝에 수평돌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41)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다수개의 포집통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배면판(32)이 분리되어 그 상부측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핀(321)이 부착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판(33)의 상부측 끝으로 상기 슬라이딩핀(321)이 장착되는 슬라이딩장공(332)을 갖는 슬라이딩부(331)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33)의 하부측으로 상기 배면판(32)의 하부측이 끼워지도록 끼움턱(333)이 부착되고, 상기 배면판(32)의 외면으로 배면판손잡이(322)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배면판(32)의 슬라이딩핀(321)이 상기 슬라이딩장공(332)을 따라 움직이도록 사용자가 상기 배면손잡이를 잡고 상기 배면판(32)을 위로 올리면 상기 끼움턱(333)에서 상기 배면판(32)이 빠지게 되고, 이 빼진 상태에서 상기 배면판(32)이 상기 슬라이딩핀(321)을 축으로 하여 자유롭게 상기 포집통(30)에 개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면판(32)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개폐됨으로서, 상기 포집통(30)에 적체되는 오물이나 쓰레기 등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저면판(34)의 중앙으로 소정 크기의 통공(34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41)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홈(342)이 형성되며, 원주면으로 상기 삽입홈(342)에 끼워지는 삽입턱(344)을 갖고 그 하면에 저면뚜껑손잡이(345)가 부착되며 다수개의 배수공(346)을 갖고 상기 통공(341)에 끼워지는 저면뚜껑(343)이 상기 삽입홈(342)을 통해 상기 저면판(34)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포집통(30)의 저면판(34)에 상기 삽입턱(344)과 삽입홈(342)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삽입턱(344)을 상기 삽입홈(342)에 끼운 상태로 상기 저면뚜껑(343)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저면판(34)에 상기 저면뚜껑(343)을 고정하고, 이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저면뚜껑(343)을 회전하여 상기 삽입턱(344)이상기 삽입홈(342)으로 빠지도록 하여 상기 저면뚜껑(343)을 상기 저면판(34)에서 해체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면뚜껑(343)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개폐됨으로서, 상기 포집통(30)에 적체되는 오물이나 쓰레기가 상기 통공(341)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그레이팅(1)은 받침틀(10)에 재치되도록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포집통(30)이 구비되며, 상기 포집통(30)이 장착되도록 포집통장착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31)에 경사진 배면판(32)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배면판(32)의 양측으로 측면판(33)이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34)이 구비되고, 상기 면판(31)(32)(33)(34)에 다수개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상기 전면판(31)과 측면판(33)의 상부측 끝에 수평돌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41)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다수개의 포집통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포집통장착부(40)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뚜껑(20)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져 사용자가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서,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적체되는 쓰레기 등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포집통(30)은 배면손잡이를 갖는 상기 배면판(32)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판(33)의 후방 외측 끝으로 상기 배면판(32)이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슬라이딩턱(334)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면판(32)이 상기 포집통(30)에서 슬라이딩되어 끼워지거나 빠지므로,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적체되는 쓰레기나 오물 등이 용이하게 상기 포집통(3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저면판(34)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33)의 하부측 끝으로 장착턱(335)이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34)의 밑면에 저면판손잡이(347)가 부착되어 상기 저면판(34)이 상기 장착턱(3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저면판(34)이 상기 포집통(30)에서 슬라이딩되어 끼워지거나 빠지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이하게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있는 쓰레기나 오물 등을 상기 포집통(30)의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그레이팅(1)은 받침틀(10)에 재치되도록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뚜껑(20)의 하부측에 포집통(30)이 구비되며, 상기 포집통(30)이 장착되도록 포집통장착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31)에 경사진 배면판(32)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배면판(32)의 양측으로 측면판(33)이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34)이 구비되고, 상기 면판(31)(32)(33)(34)에 다수개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상기 전면판(31)과 측면판(33)의 상부측 끝에 수평돌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41)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다수개의 포집통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포집통장착부(40)에 의해 용이하게 상기 뚜껑(20)에 슬라이딩되어 끼워져 사용자가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서,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적체되는 쓰레기 등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그 일측으로 상기 배면판(32)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루관통공(441)과, 상기 내부편(22)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나선공(442)과, 상기 스크루관통공(441)에서 상기 나선공(442)으로 체결되는 스크루(443)로 구성되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44)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루(443)에 의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의 하면으로 슬라이딩되어 끼워진 다음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서, 상기 포집통(30)의 설치상의 견고성이 한층 강화되어 상기 포집통(30)의 내부로 다량의 쓰레기나 오물이 적체되더라도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그레이팅(1)은 받침틀(10)에 재치되도록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포집통(30)이 구비되며, 상기 포집통(30)이 장착되도록 포집통장착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31)에 경사진 배면판(32)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배면판(32)의 양측으로 측면판(33)이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34)이 구비되고, 상기 면판(31)(32)(33)(34)에 다수개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상기 포집통(30)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상기 전면판(31)의 상부측과 상기 뚜껑(20)의 하면의 사이에 경첩(45)이 부착되고, 상기 배면판(32)의 외측으로 포집통손잡이(43)가 부착되며, 상기 배면판(32)의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잠금핀걸림홈(461)과 상기 잠금핀걸림홈(46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장공(463)과 장홈(464)에 끼워지는 잠금핀(462)과 상기 잠금핀걸림홈(461)에 대응하는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부착되는 잠금핀걸림턱(465)으로 구성되는 잠금부(46)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경첩(45)에 의해 상기 뚜껑(2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잠금핀(462)을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에 고정 또는 해제됨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포집통(30)의 내부에 적체되는 쓰레기나 오물 등을 배출시키고, 아울러 배출이 끝난 상기 포집통(30)을 상기 잠금부(46)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경첩(45)에 의한 상기 포집통(30)의 용이한 개폐와 상기 잠금부(46)에 의한 상기 포집통(30)의 잠금 및 해제에 의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상기 포집통(30)에 적체되는 쓰레기 등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포집통(30)을 상기 뚜껑(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살펴보면,
그레이팅(1)은 받침틀(10)에 재치되도록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포집통(30)이 구비되며, 상기 포집통(30)이 장착되도록 포집통장착부(4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뚜껑(20)의 하부측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31)에 경사진 배면판(32)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배면판(32)의 양측으로 측면판(33)이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34)이 구비되고, 상기 면판(31)(32)(33)(34)에 다수개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상기 포집통(30)의 상부측 끝으로 다수개의 재치턱(47)이 부착되고, 상기 재치턱(47)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틀(10)의 내측 저면으로 재치홈(48)이 형성되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받침틀(10)에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상기 포집통(30)이 용이하게 상기 그레이팅(1)에 장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의 집수구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에 포집통이 구비되어 그레이팅을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를 포집하고 그와 동시에 포집된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도로의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쓰레기가 용이하게 제거되어 유입되어 적체되는 쓰레기 및 오물로 인한 배수관의 막힘이 방지되고 아울러 적체된 쓰레기로 인한 배수관의 유입수에 대한 흐름의 장애가 미연에 방지되며 그에 따라 도로의 배수구의 원활한 배수가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통의 배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포집통에 모인 쓰레기의 용이한 배출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통의 저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포집통에 모인 쓰레기의 간편한 수거가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통의 배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포집통에 모인 쓰레기의 용이한 배출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통의 저면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포집통에 모인 쓰레기의 간편한 배출 및 수거가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통이 그레이팅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포집통의 사용상의 안정성 및 견고성이 한층 강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통이 전체적으로 그레이팅에서 용이하게 개폐되고 그와 동시에 그레이팅에 간편하게 고정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포집통에 모인 쓰레기의 용이한 배출 및 수거가 보장되고 아울러 사용상의 간편성과 안정성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집통이 그레이팅에서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을 제공함으로서, 포집통에 모인 쓰레기의 용이한 배출 및 수거가 보장되고 아울러 사용상의 간편성이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도로의 집수구의 상부에 매설되는 받침틀(10)과, 상기 받침틀(10)에 인입안착되는 뚜껑(20)으로 구성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밑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수직의 전면판(31)에 경사진 배면판(32)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판(31)과 배면판(32)의 양측으로 측면판(33)이 일체로 구비되며, 그 하부측으로 저면판(34)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면판(31)(32)(33)(34)에 다수개의 배수통공(35)이 형성되는 포집통(30)과;
    상기 전면판(31)과 측면판(33)의 상부측 끝에 수평돌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돌출부(41)에 대응되는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다수개의 포집통슬라이딩턱(42)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32)의 외측으로 포집통손잡이(43)가 부착되어 상기 포집통(30)이 상기 뚜껑(20)의 하면에 슬라이딩되어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포집통장착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배면판(32)이 분리되어 그 상부측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핀(321)이 돌설되고, 사기 슬라이딩핀(321)에 대응하는 측면판(33)의 상부측 내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핀(321)이 삽설되는 슬라이딩장공(332)을 갖는 슬라이딩부(331)가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34)의 일측으로는 상기 배면판(32)의 하부측이 재치되기 위한 기움턱(333)이 형성됩과 아울러 상기 배면판(32)의 외면으로 배면판손잡이(322)가 부착되어 상기 배면판(32)이 상기 슬라이딩부(331)를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저면판(34)의 중앙으로 소정 크기의 통공(34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341)의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삽입홈(342)을 갖는 재치턱이 형성되며, 원주면으로 상기 삽입홈(342)에 끼워지는 삽입턱(344)을 갖고 그 하면에 저면뚜껑손잡이(345)가 부착되며 다수개의 배수공(346)을 갖고 상기 통공(341)에 끼워지는 저면뚜껑(343)이 상기 삽입홈(342)을 통해 상기 저면판(34)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배면손잡이(322)를 갖는 상기 배면판(32)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측면판(33)의 후방 외측 끝으로 상기 배면판(32)이 슬라이딩되어 끼워지도록 슬라이딩턱(3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30)은,
    상기 저면판(34)이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측면판(33)의 하부측 끝으로 장착턱(335)이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34)의 밑면에 저면판손잡이(347)가 부착되어 상기 저면판(34)이 상기 장착턱(3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통장착부(40)는,
    사기 포집통(30)을 뚜껑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고정지지시키기위한 것으로서 상기 뚜껑(20)의 일측으로 나선공(422)이 형성되고, 이 나선공(422)에 대응하도록 포집통(30)의 배면측(32) 상측 중앙에는 스크루 관통공(441)이 천공된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32)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스크루관통공(441)과, 상기 나선공(442)과 상기 스크루관통공(441)에 삽입되어 상기 뚜껑(20)과 포집통(30)을 고정결합시키는 스크루(443)로 이루어진 고정부(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7. 삭제
  8. 삭제
KR10-2002-0010939A 2002-02-28 2002-02-28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KR100458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939A KR100458906B1 (ko) 2002-02-28 2002-02-28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939A KR100458906B1 (ko) 2002-02-28 2002-02-28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064U Division KR200278405Y1 (ko) 2002-02-28 2002-02-28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293A KR20030071293A (ko) 2003-09-03
KR100458906B1 true KR100458906B1 (ko) 2004-12-04

Family

ID=32223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939A KR100458906B1 (ko) 2002-02-28 2002-02-28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637B1 (ko) * 2010-10-29 2012-06-21 고재용 곡선교량의 배수로용 집수구
EP4086398A1 (en) * 2021-05-07 2022-11-09 Urban Innovations P.C. Sewage mea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463B1 (ko) * 2007-11-02 2010-08-0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발전원리 학습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90A (ja) * 1993-09-14 1995-03-28 Ando Kensetsu Kk 排水マス用砂受けかご
KR19980010703U (ko) * 1996-08-06 1998-05-15 배인식 맨홀용 침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90A (ja) * 1993-09-14 1995-03-28 Ando Kensetsu Kk 排水マス用砂受けかご
KR19980010703U (ko) * 1996-08-06 1998-05-15 배인식 맨홀용 침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637B1 (ko) * 2010-10-29 2012-06-21 고재용 곡선교량의 배수로용 집수구
EP4086398A1 (en) * 2021-05-07 2022-11-09 Urban Innovations P.C. Sewage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293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6462A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458906B1 (ko)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090126063A (ko) 오수받이
KR200278405Y1 (ko)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101858141B1 (ko) 오물수거함이 자동배출되는 우수받이
KR101889976B1 (ko)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KR200318205Y1 (ko) 도로 집수정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101889974B1 (ko) 우수받이
KR100632777B1 (ko)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KR20000062988A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320466Y1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80034011A (ko) 빗물 배수시설
KR200192988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100424374B1 (ko) 씽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20008283U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0612931B1 (ko) 공동주택 배수관의 막힘 방지장치
CN111622325B (zh) 一种市政排水系统
CN213805755U (zh) 一种用于市政建筑工程的集水井盖体
KR101889975B1 (ko) 그레이팅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수받이
JP3066115U (ja) 排水用ストレ―ナ装置
KR20210098419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고 악취방지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