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777B1 -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777B1
KR100632777B1 KR1020060058109A KR20060058109A KR100632777B1 KR 100632777 B1 KR100632777 B1 KR 100632777B1 KR 1020060058109 A KR1020060058109 A KR 1020060058109A KR 20060058109 A KR20060058109 A KR 20060058109A KR 100632777 B1 KR100632777 B1 KR 100632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sewage
case
fixed
str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성
Original Assignee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5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배수관 중간에 빗물과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장치를 내설하여 이물질로 인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빗물과 함께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배수관(10)의 중간에 거름망을 갖는 오물 분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물 분리장치(100)는 여과부재(40)를 수용하는 수납공간(21) 및 여과부재(40)가 입출되는 개방부(23)를 일시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5)가 구비되는 케이스(20), 상,하부판재(32)(31) 사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33)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케이스(20)의 안치홈(26)에 체결구(35)로 고정되게 조립하여 여과부재(40)를 상부측으로 밀어내는 반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0), 내측에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절곡되는 거름망(45)이 조립되는 여과부재(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공동주택, 배수관, 이물질, 오수, 거름망, 여과부재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drainpipe anti-closed device of apartment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오물 분리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일 요부를 발췌한 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여과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도 7의 B-B'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수관 20: 케이스
21: 수납공간 22: 배수관조립부
23: 개방부 24: 경첩
25: 도어 26: 안치홈
30: 탄성부재 31: 하부판재
32: 상부판재 33: 인장스프링
35,452: 체결구 40: 여과부재
41: 수용부 42: 오수유입구
43: 가이드돌기 44: 개방부
45: 거름망 47: 구멍
48: 지지봉 49: 손잡이
100: 오물 분리장치 221: 배수공
232: 가이드홈 441: 가장자리면
451: 고정부 453: 체결공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 중간에 빗물과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장치를 내설하여 이물질로 인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관에 빗물 또는 오수 이외 토사 및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었을 경우 배수관로의 흐름을 저해하는 주요인이 된다.
따라서 배수관에는 그 내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는 별도의 여과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여과장치는 배수관 내부에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거름망 형태의 거름망이 내장되는 내장형으로 구성되고 있어 배수관내에 슬러지(sludge) 형태의 이물질 또는 침전물이 적체되었을 때 배수관으로부터 여과장치를 분리한 다음 그 내측에 위치한 거름망을 꺼내어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여과장치는 그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없는 불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어 내부에 장착된 쓰레기의 포집 상태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하여 주기적인 점검을 필요로 하지만 주기적인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거름망에 과도하게 적체된 이물질로 인해 배수관이 막혀 빗물 배수가 원할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장마철 소나기와 같이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는 경우 배수관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해 빗물이 범람하는 침수 사고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이 막힌 부위는 뚫는 작업 또한 쉽지 않아 배수관 전체를 새로 교체하는데 따른 비용과 시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빗물 또는 오수 등에 포함되는 쓰레기 등이 배수관의 여과장치에 적체되었을 경우 배수관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적체된 이물질만을 제거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관에 부설되는 오물 분리장치에서 여과부재가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삽출식으로 구성하여 오물 분리장치에서 여과부재의 탈,장착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하여 사용에 편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은, 빗물과 함께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배수관(10)의 중간에 거름망을 갖는 오물 분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물 분리장치(100)는 여과부재(40)를 수용하는 수납공간(21)이 구비되는 함체 모양으로 되는 몸체의 상,하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수공(221)이 천공되는 배수관조립부(22)가 입설되고 몸체의 전면에는 여과부재(40)가 입출되는 개방부(23)가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23)에 일측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축핀 또는 경첩(24) 등으로 고정되는 도어(25)가 조립되어 상기 도어(25)가 개방부(23)를 일시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개방부(23)의 상부측에는 여과부재(40)가 안전하게 입출되도록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홈(232)이 형성되어 상기 배 수관조립부(22)에 배수관(10)이 결합되는 케이스(20)와,
하부판재(31) 상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33)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3)의 상면에는 양쪽 가장자리면이 중심보다 낮게 형성되는 곡면기울기를 갖는 상부판재(32)이 고정되게 조립하여 케이스(20)의 수납공간(21)에 형성되는 안치홈(26)에 하부판재(31)가 안치되도록 체결구(35)로 고정하여 여과부재(40)를 상부측으로 밀어내는 반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0)와,
내측으로 거름망(45)이 장입되는 수용부(41)를 갖는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는 오수유입구(42)가 천공되고, 상기 오수유입구(42)를 중심으로 양쪽에는 케이스(20)의 가이드홈(232)으로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가이드돌기(43)가 상면으로 부분 돌출되고, 몸체의 하부면은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부(44)가 천설되어 상기 개방부(44)를 통해 이물질이 분리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고, 상기 개방부(44)의 양쪽 가장자리면(441)에는 물이 배수되는 거름망으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절곡되는 거름망(45)이 고정되고 상기 거름망(45)은 그 양쪽 선단 고정부(451)에 형성되는 체결공(453)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구(452)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의 상면부에는 전면과 배면으로 관통되는 구멍(47)이 천공되어 상기 구멍(47)에 절곡된 거름망(45)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봉(48)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여과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에 있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오물 분리장치가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일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일 요부를 발췌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이 적용된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의 여과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도 7의 B-B' 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면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빗물과 함께 배수되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배수관(10)의 중간에 거름망을 갖는 오물 분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물 분리장치(100)는 여과부재(40)를 수용하는 수납공간(21) 및 여과부재(40)가 입출되는 개방부(23)를 일시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25)가 구비되는 케이스(20), 상,하부판재(32)(31) 사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33)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케이스(20)의 안치홈(26)에 체결구(35)로 고정되게 조립하여 여과부재(40)를 상부측으로 밀어내는 반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0), 내측에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절곡되는 거름망(45)이 조립되는 여과부재(40)로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물 분리장치(100)의 케이스(20)는 여과부재를 수 용하는 수납공간(21)이 구비되는 함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상,하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수공(221)이 천공되는 배수관조립부(22)가 입설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에는 여과부재(40)가 입출되는 개방부(23)가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23)에 일측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축핀 또는 경첩(24) 등으로 고정되는 도어(25)가 조립되어 상기 도어(25)가 개방부(23)를 일시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부(23)의 상부측에는 여과부재(40)가 안전하게 입출되도록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조립부(22)에는 배수관(10)이 결합된다.
탄성부재(30)는 하부판재(31) 상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33)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3)의 상면에는 양쪽 가장자리면이 중심보다 낮게 형성되는 곡면기울기를 갖는 상부판재(32)이 고정되게 조립하여 케이스(20)의 수납공간(21)에 형성되는 안치홈(26)에 하부판재(31)가 안치되도록 체결구(35)로 고정하여 여과부재(40)를 상부측으로 밀어내는 반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여과부재(40)는 그 내측으로 거름망(45)이 장입되는 수용부(41)를 갖는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는 오수유입구(42)가 천공되고, 상기 오수유입구(42)를 중심으로 양쪽에는 케이스(20)의 가이드홈(232)으로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가이드돌기(43)가 상면으로 부분 돌출된다.
몸체의 하부면은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부(44)가 천설되어 상기 개방부(44)를 통해 이물질이 분리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고, 상기 개방부(44)의 양쪽 가장자리면(441)에는 물이 배수되는 거름망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절곡되는 거 름망(45)의 양쪽 선단 고정부(451)가 다수의 체결구(452)에 의해 고정되게 조립된다.
몸체의 상면부에는 전면과 배면으로 관통되는 구멍(47)이 천공되어 상기 구멍(47)에 절곡된 거름망(45)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봉(48)이 관통되게 조립된다.
미설명부호 49는 여과부재(40)를 케이스(20)에 입,출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의미하고, 422, 423은 케이스(20)에 조립되는 배수관(10)의 선단과 접촉시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경사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경사면(422,423)은 케이스(20)의 수납공간(21)으로 입출되는 여과부재(40)의 입,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술한 케이스(20)와 여과부재(40)는 거름망(45)에 걸린 이물질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아크릴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 결합된 본 발명은 도 5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하로 배수관(10)이 연결되는 케이스(20)의 내측에 거름망(45)이 구비된 여과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배수관(10)을 통해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천공되는 오수유입구(42)로 오수와 함께 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오수와 이물질은 거름망(45)에 의해 오수와 이물질을 따로 분리시킴에 따라 배수관(10)이 쉽게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물질이 포집된 거름망(45)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전면에 부설되는 도어(25)를 개방한 다음 여과부재(40)의 손잡이(49)를 이용하여 여과부재(40)를 케이스(20) 바깥으로 인출되어질 수 있도록 잡아당긴다.
그리하면 여과부재(40)는 케이스(20)의 가이드홈(232)으로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가이드돌기(43)에 의해 서서히 바깥으로 인출되고, 여과부재(40)를 케이스(20)에서 완전 분리시킨 다음 분리된 여과부재(40)를 뒤집어서 거름망(45)을 고정하고 있는 체결구(452)를 분해하게 되면 거름망(45)은 여과부재(40)에서 분리되게 되므로 거름망(45)에 달라 붙은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된다.
이물질이 제거한 다음에는 상기한 역순으로 거름망(45)을 여과부재(40)에 다시 조립한 다음 케이스(20)의 개방부(23)를 통해 수납공간(21)으로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다시 밀어 넣는다.
이때 여과부재(40)의 하부측은 인장스프링(33)이 구비된 탄성부재(30)를 일시적으로 압축시키면서 내측 수납공간(21)으로 삽입되게 되고, 여과부재(40)를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완전히 밀어넣게 되면 여과부재(40)의 하부측은 탄성부재(30)의 반력에 의해 여과부재(40)가 수납공간(21)내에서 유동됨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처럼 거름망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배수관으로부터 완전 분리하는 번거러움이나 수고를 줄일 수 있어 배수관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수명도 장구하고, 이물질 제거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므로 배수관에 축적되는 슬러지 등을 주기적으로 준설하기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 또는 오수 등을 따라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배수관에 부설되는 오물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모두 포집하여 이물질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되게 된다.
또한, 배수관으로 유입된 슬러지 등의 침전물을 필터링한 여과부재의 거름망은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입출되는 입출식으로 구성되므로 이물질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수명도 대폭적으로 연장함에 따라 배수관의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빗물과 함께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배수관(10)의 중간에 거름망을 갖는 오물 분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물 분리장치(100)는
    여과부재(40)를 수용하는 수납공간(21)이 구비되는 몸체의 상,하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배수공(221)이 천공되는 배수관조립부(22)가 입설되고 몸체의 전면에는 여과부재(40)가 입출되는 개방부(23)에 일측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도어(25)가 개방부(23)를 일시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개방부(23)의 상부측에는 여과부재(40)를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조립부(22)에는 배수관(10)이 연결되는 케이스(20)와,
    하부판재(31) 상면에 다수의 인장스프링(33)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3)의 상면에는 곡면기울기를 갖는 상부판재(32)이 고정되며, 케이스(20)의 수납공간(21)에 형성되는 안치홈(26)에 하부판재(31)가 안치되도록 체결구(35)로 고정되어 여과부재(40)를 상부측으로 밀어내는 반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0)와,
    내측으로 거름망(45)이 장입되는 수용부(41)를 갖는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천공되는 오수유입구(42)를 중심으로 양쪽에는 케이스(20)의 가이드홈(232)으로 슬라이딩되는 한쌍의 가이드돌기(43)가 형성되고, 몸체의 하부면은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부(44)가 천설되어 이물질이 분리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고, 상기 개방부(44)의 양쪽 가장자리면(441)에는 물이 배수되는 거름망으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절곡되는 거름망(45)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거름망(45)은 그 양쪽 선단 고정부(451)에 형성되는 체결공(453)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구(452)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의 상면부에는 전면과 배면으로 관통되는 구멍(47)이 천공되어 상기 구멍(47)에 절곡된 거름망(45)의 하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봉(48)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여과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KR1020060058109A 2006-06-27 2006-06-27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KR10063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09A KR100632777B1 (ko) 2006-06-27 2006-06-27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109A KR100632777B1 (ko) 2006-06-27 2006-06-27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777B1 true KR100632777B1 (ko) 2006-10-16

Family

ID=3762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109A KR100632777B1 (ko) 2006-06-27 2006-06-27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7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5B1 (ko) 2007-09-06 2008-02-13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20190105307A (ko) * 2018-03-05 2019-09-17 그린로드(주)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CN114855979A (zh) * 2022-06-02 2022-08-05 重庆交通大学 一种公路排水过滤防堵装置
CN114991267A (zh) * 2022-06-09 2022-09-02 江西东塑科技有限公司 一种水渣分离的污水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335B1 (ko) 2007-09-06 2008-02-13 주식회사 신화 엠앤씨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20190105307A (ko) * 2018-03-05 2019-09-17 그린로드(주)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102118557B1 (ko) * 2018-03-05 2020-06-03 그린로드(주)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CN114855979A (zh) * 2022-06-02 2022-08-05 重庆交通大学 一种公路排水过滤防堵装置
CN114991267A (zh) * 2022-06-09 2022-09-02 江西东塑科技有限公司 一种水渣分离的污水管
CN114991267B (zh) * 2022-06-09 2024-05-03 江西东塑科技有限公司 一种水渣分离的污水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7162B2 (en) Catch basin filter for stormwater runoff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0632777B1 (ko) 공동주택용 배수관에 설치되는 오물 분리장치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160071050A (ko) 빗물받이에 장착되어 비점오염원 제거 및 악취 및 침수예방이 가능한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0912590B1 (ko) 교량용 배수시설
KR102057994B1 (ko) 도로용 배수구 트랩
KR20090126063A (ko) 오수받이
KR100591929B1 (ko) 공동주택내의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CN115605653A (zh) 一种用于下水道的阻断恶臭装置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US20080035570A1 (en) Catch basin insert
KR200428992Y1 (ko) 우수받이용 이물질 걸름장치
KR101291639B1 (ko)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KR200414156Y1 (ko) 배수구의 협잡물 걸름망체
CN211499024U (zh) 一种环保厕所雨水收集装置
KR100613467B1 (ko) 공동주택의 이물질 거름용 하수파이프의 연결구조
CN211522867U (zh) 一种桥面排水结构
KR100612931B1 (ko) 공동주택 배수관의 막힘 방지장치
CN210797821U (zh) 一种防蚊闸
CN113863588A (zh) 一种房屋建筑排水系统
KR200494965Y1 (ko) 배수구 덮개용 탈부착이 용이한 거름망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