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974B1 - 우수받이 - Google Patents

우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974B1
KR101889974B1 KR1020180008167A KR20180008167A KR101889974B1 KR 101889974 B1 KR101889974 B1 KR 101889974B1 KR 1020180008167 A KR1020180008167 A KR 1020180008167A KR 20180008167 A KR20180008167 A KR 20180008167A KR 101889974 B1 KR101889974 B1 KR 10188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storage tank
frame
collection box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테크
Priority to KR102018000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974B1/ko
Priority to JP2020535081A priority patent/JP7001830B2/ja
Priority to PCT/KR2019/000882 priority patent/WO20191469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받이는에 관한 것으로, 지면 내부에 매립되며, 지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수용되는 우수저장조(100)와;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우수를 상기 우수저장조(100)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거름살톱니바(220)가 구비된 그레이팅(200)과; 상기 우수저장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400)과;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오물수거함(400)을 지지하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받이{RAIN WATER BOX}
본 발명은 우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우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또는 빗물받이)는 도로 건설시 노면 배수를 위해 반드시 설치되도록 시설기준상에 명시되어 있다.
종래 우수받이의 일례가 등록실용신안 제20-0431109호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우수받이(10)가 노면(G)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우수받이(10)는 노면(G)의 하부로 집수통(11)이 설치되고, 집수통(11)의 측면에 배수관(13)이 형성되어 집수통(11)에 모인 우수를 우수관거(미도시)로 배출시킨다.
집수통(11)의 상부에는 우수가 유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그레이팅(15)이 안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우수받이(10)는 그레이팅(15)이 집수통(11) 상부의 안착면(12)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되고, 집수통(11) 내부의 청소 또는 보수를 위해서는 상부로 들어올려져 집수통(11)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런데, 우수받이(10)가 노면에 설치되므로 그레이팅(15)과 안착면(12) 사이의 틈으로 다량의 흙이 유입되어 작업자가 그레이팅(15)을 들어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작업자가 그레이팅(15)과 안착면(12) 사이의 틈에 끼워져 있는 토사를 일일이 제거한 후, 그레이팅(15)을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우수받이(10)의 청소와 관리에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그레이팅(15)은 우수받이(10)와 독립되게 구비되므로, 보행자에 의한 분실사고가 잦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우수받이(10)는 내부로 빗물과 함께 낙엽과 쓰레기들이 유입되더라도 이들을 걸러낼 수단이 없어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낙엽과 쓰레기가 부폐되어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수받이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바구니가 구비되기도 하나, 작업자가 그레이팅(15)을 분리한 후, 거름바구니를 개별적으로 외부로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우수받이의 유지관리에 많은 시간과 인적자원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레이팅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흙이 유입되더라도 그레이팅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우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수집된 이물질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우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물수거함이 자동으로 배출되어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우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받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수받이는,지면 내부에 매립되며, 지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수용되는 우수저장조(100)와;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우수를 상기 우수저장조(100)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거름살톱니바(220)가 구비된 그레이팅(200)과; 상기 우수저장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400)과;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오물수거함(400)을 지지하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우수저장조(100)는 상기 저장조본체(110)와 상기 그레이팅삽입관(120) 사이의 경계영역에 내측방향으로 일정면적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프레임(210)이 안착지지되는 그레이팅안착면(1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함받침대(300)는 내부에 상기 오물수거함(400)이 삽입되는 수거함결합공(31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거함받침대(300)는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벽면에 제1회동결합부재(320)에 의해 힌지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물수거함(400)은, 내부에 오물이 수용되며, 판면에 우수배출공(411)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수거함결합공(310) 내부에 삽입되는 수거함본체(410)와; 상기 수거함본체(410)의 상단에 일정면적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거함결합공(310)이 형성된 수거함받침대(300)에 거치되는 받침대거치프레임(420)과; 상기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을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회동결합부재(46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물수거함(400)은, 상기 제2회동결합부재(460)가 형성된 방향의 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측면도어(440)와; 상기 오물수거함(400)의 양측벽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우수의 압력에 의해 벌어지며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는 그레이팅이 우수저장조의 상부에 회동축에 의해 회동되며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그레이팅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이팅의 선단하부에 복수개의 토사유입이빨이 형성되어 그레이팅과 우수저장조 사이로 유입되는 토사를 우수저장조 하부로 유입시킨다. 이에 의해 그레이팅과 우수저장조 사이에 토사가 퇴적되어 그레이팅의 개방이 어려웠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그레이팅의 회동축이 결합되는 우수저장조의 덮개회동축결합슬릿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축이 덮개회동축결합슬릿을 따라 이동되며 그레이팅이 개폐되므로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방식에 비해 보다 원활하게 그레이팅이 개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받이는 오물수거함에 오버플로우고무판이 형성되어 내부에 오물이 쌓여 있더라도 우수의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고무판이 벌어져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그레이팅 밖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오물이 우수에 수용되어 악취가 발생되던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받이는 수거함받침대가 우수저장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오물수거함이 수거함받침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수거함받침대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오물수거함이 자동으로 뒤집어져 내부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오물수거함의 측면에 결합된 측면도어가 개방되어 내부에 잔류하는 잔여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짧아지고 우수받이의 청소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우수받이가 노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수받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우수받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우수받이의 우수저장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그레이팅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그레이팅과 우수저장조의 결합영역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과 수거함받침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우수받이가 노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우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우수받이의 오물수거함의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우수받이(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우수받이(1)의 구성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우수받이(1)는 노면 내부에 매립되게 구비되며 우수가 수집되는 우수저장조(100)와, 우수저장조(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수를 우수저장조(100)로 유입시키는 그레이팅(200)과, 우수저장조(100) 내부에 수용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함(400)과, 오물수거함(400)을 우수저장조(100)에 대해 지지하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우수받이(1)는 그레이팅(200)이 우수저장조(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종래 그레이팅(도 1의 15)이 분실되던 위험을 제거하였다. 또한, 그레이팅(200)에 토사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구조를 추가하여 그레이팅(200)과 우수저장조(100) 사이에 채워진 토사에 의해 그레이팅(200)을 분리하지 못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받이(1)는 내부에 오물수거함(400)을 구비하여 오물을 수거하고, 오물수거함(400) 내부의 우수가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오물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던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받이(1)는 작업자가 수거함받침대(300)를 외부로 분리시키는 동작에 의해 오물수거함(400)이 자동으로 뒤집어져 외부의 오물이 배출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
우수저장조(100)는 노면 내부로 삽입되어 그레이팅(20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저장된다. 우수저장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가 저장되는 저장조본체(110)와, 저장조본체(1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그레이팅(200)이 결합되는 그레이팅삽입관(120)과, 저장조본체(110)의 측벽에 결합되어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우수배출관(130)을 포함한다.
저장조본체(110)는 우수가 저장될 수 있는 체적을 갖는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장조본체(11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조본체(110)는 장기간 노면 하부에 매립되어 있으며 물과 접촉되므로, 내구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조본체(110)의 상단은 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형성된다.
저장조본체(110)의 상부 양측 내벽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받침대지지돌기(115)가 복수개 구비된다. 받침대지지돌기(115)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의 하부를 지지하여 오물수거함(400)의 무게에 의해 수거함받침대(300)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좌우 2개씩 받침대지지돌기(115)가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그 수는 가감될 수 있다.
그레이팅삽입관(120)은 저장조본체(1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그레이팅(200)이 결합된다. 그레이팅삽입관(120)은 저장조본체(110)의 면적보다 일정 면적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저장조본체(110)와 그레이팅삽입관(120)의 경계영역에는 단차진 그레이팅안착면(121)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그레이팅삽입관(120)은 그레이팅(200)의 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그레이팅삽입관(120) 내부로 삽입된 그레이팅(200)은 그레이팅안착면(121)에 안착된다.
그레이팅삽입관(120)의 양측벽면에는 회동축결합슬릿(123)이 형성된다. 회동축결합슬릿(123)은 그레이팅(200)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회동축(250)이 삽입되어 그레이팅(20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회동축결합슬릿(123)은 그레이팅(200)의 회동반경을 고려하여 원호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이해 그레이팅(200)이 회동될 때, 회동축(250)이 회동축결합슬릿(123)을 따라 이동된다.
회동축(250)이 이동되며 그레이팅(200)이 회동되므로, 작업자가 그레이팅(200)을 개방할 때, 그레이팅(200)과 그레이팅삽입관(120) 사이에 흙이 채워져 있더라도 그레이팅(200)이 보다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즉, 회동축(250)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될 경우, 흙이 채워져 있으면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이 없지만, 원호형상의 회동축결합슬릿(123)을 따라 회동축(250)이 이동될 수 있는 경우 흙이 채워져 있더라도 그레이팅(200)이 움직일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우수배출관(130)은 저장조본체(110)의 측벽에 결합되어 지하에 구비된 하수관거와 연결되어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레이팅(200)은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우수를 우수저장조(100) 내부로 유입시키고, 크기가 큰 이물질들은 걸러낸다. 도 6은 그레이팅(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레이팅(200)은 그레이팅삽입관(120) 내부로 삽입되는 그레이팅프레임(210)과, 그레이팅프레임(2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거름살톱니바(220)과, 그레이팅프레임(21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강프레임(230)과, 외곽보강프레임(230a)의 내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흙을 우수저장조(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토사유입이빨(240)과, 그레이팅프레임(210)의 양측에 돌출되는 한 쌍의 회동축(250)을 포함한다.
그레이팅프레임(210)은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프레임(211)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213)을 포함한다. 한 쌍의 수평프레임(211)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213)은 내부에 거름살톱니바(22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평프레임(211)은 그레이팅(200)이 우수저장조(100)에 닫힌 상태에서 그레이팅삽입관(120)의 상단과 수평하게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213)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0)이 닫힌 상태에서 그레이팅안착면(121)에 안착되어 상부로 인가되는 하중에도 그레이팅(200)이 쳐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거름살톱니바(220)는 수평프레임(211)과 수직프레임(213) 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우수저장조(100)로 빗물을 유입시킨다. 거름살톱니바(220)의 간격이 좁을수록 우수저장조(100)로 유입되는 낙엽이나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의 차단효과가 높이질 수 있으나, 빗물의 빠른 유입을 방해할 수 있다. 거름살톱니바(220)의 상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이 형성되어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230)은 거름살톱니바(220)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거름살톱니바(220)는 수직프레임(213)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보강프레임(230)은 수직프레임(213)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보강프레임(230)의 양단도 그레이팅안착면(121)에 거치되어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수직프레임(213)과 함께 분산지지한다.
토사유입이빨(240)은 양단에 배치된 외곽보강프레임(230a)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사를 우수저장조(100) 하부로 이동시킨다. 외곽보강프레임(230a)은 그레이팅삽입관(120)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레이팅(200)이 닫혔을 때, 외곽보강프레임(230a)과 그레이팅삽입관(120) 사이에 토사가 유입되어 적층되면 작업자가 그레이팅(200)을 열기가 어려워진다.
토사유입이빨(240)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곽보강프레임(230a)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토사유입이빨(240) 사이로 상부로부터 유입된 토사(A)를 우수저장조(1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외곽보강프레임(230a)은 내부에 위치된 보강프레임(230) 보다 높이가 짧게 형성되고, 그 하부에 토사유입이빨(240)이 구비된다. 토사유입이빨(240)의 높이와 외곽보강프레임(230a)의 높이가 더해진 전체 높이는 내부에 위치된 보강프레임(23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토사유입이빨(240)의 높이가 높고, 이웃하는 토사유입이빨(240)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토사(A)가 우수저장조(100) 측으로 빠르게 이동되어 그레이팅삽입관(120)과 외곽보강프레임(230a) 사이에 토사의 적층속도가 느려진다.
회동축(250)은 수직프레임(213)의 단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그레이팅(200)이 우수저장조(100)에 대해 회동될 수 있게 지지한다. 회동축(250)은 우수저장조(100)의 상단에 형성된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에 수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0)이 닫혀질 때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50)이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의 상단에 위치되고, 그레이팅(200)이 열릴 때는 도 11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50)이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의 하단에 위치된다.
이렇게 회동축(250)이 그레이팅(200)의 개폐시에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을 따라 이동되며 그레이팅(200)이 상하좌우로 일정범위 내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하여 그레이팅(200)과 그레이팅삽입관(120) 사이에 토사가 채워져 있더라고 그레이팅(200)이 토사를 밀어내며 개폐될 수 있다.
회동축(250)의 외측에는 축보호캡(270)이 결합된다. 축보호캡(270)은 회동축(250)이 결합된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에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에 토사가 채워져 회동축(250)의 이동이 어려워지면 그레이팅(200)의 원활한 개폐가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0)의 내부에는 고리삽입공(260)이 일정 크기 형성된다. 고리삽입공(260)은 그레이팅(200)의 개방을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압부재(500)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작업자는 그레이팅(200)을 개방하기 위해 회동가압부재(500) 선단의 결합고리(510)를 고리삽입공(260)에 끼워 힘을 가하게 된다. 고리삽입공(260)은 통상 두 개의 거름살톱니바(220)가 제거되는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범위를 가감할 수 있다.
수거함받침대(300)는 오물수거함(400)을 우수저장조(100)에 결합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수거함받침대(300)는 우수저장조(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오물수거함(400)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지지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는 우수저장조(100)의 저장조본체(110)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면적의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수거함받침대(300)의 내부에는 오물수거함(400)이 수용되는 수거함결합공(310)이 관통형성된다.
수거함결합공(310)은 오물수거함(400)의 수거함본체(410)의 상부면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오물수거함(400)이 수거함결합공(3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진다.
수거함받침대(300)의 단부에는 제1회동결합부재(320)가 복수개 구비된다. 제1회동결합부재(320)는 우수저장조(100)의 제1회동결합공(111)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수거함받침대(30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본체(110)에 수평하게 결합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본체(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가 저장조본체(110)에 수평하게 위치될 때, 수거함받침대(300)의 일단은 제1회동결합부재(320)에 의해 위치가 지지되고, 타단은 저장조본체(110)의 양측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받침대지지돌기(115)에 지지된다.
즉,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지지돌기(115)의 상부로 수거함받침대(300)가 적재되어 수거함받침대(300)와 이에 결합된 오물수거함(400)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수거함결합공(310)이 형성된 테두리영역에는 제2회동결합공(330)이 형성된다. 제2회동결합공(330)에는 오물수거함(400)의 제2회동결합부재(460)가 결합되어 오물수거함(400)이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오물수거함(400)은 수거함받침대(300)에 의해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우수와 함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 하수관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400)은 수거함받침대(300)의 회동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회동되며 내부에 수용된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오물수거함(400)을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400)은 내부에 오물이 채워져 있어 우수가 배출되지 못해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수의 무게에 의해 우수가 오버플로우되도록 하여 악취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오물수거함(4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오물수거함(4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거함(400)은 판면에 우수배출공(411)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수거함본체(410)와, 수거함본체(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안착되도록 하는 받침대거치프레임(420)과, 수거함본체(410)의 일측벽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측면도어(440)와, 수거함본체(410)의 양측벽면에 우수의 무게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포함한다.
수거함본체(410)는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태로 형성된다. 수거함본체(410)는 일측벽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로 유입된 낙엽이나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바닥측으로 안내한다.
수거함본체(410)의 판면에는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우수배출공(411)이 관통형성된다. 이에 의해 수거함본체(410)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우수저장조(100) 하부로 배출된다.
수거함본체(410)의 일측벽 상단에는 우수배출공(411)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 잔여우수배출공(413)이 관통형성된다. 잔여우수배출공(413)에는 측면도어(440)가 결합되고, 측면도어(440)의 개방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잔여우수를 배출한다.
그레이팅(200)을 통해 크기가 큰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상태로 우수가 수거함본체(410)로 유입된다. 이 때, 우수에 포함된 우수배출공(411) 보다 큰 크기의 오물(M)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바닥면에 오물(M)이 쌓이면 바닥면의 우수배출공(411)을 막아 우수가 하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오물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질 때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지면 이와 동시에 측면도어(440)가 개방되면서 오물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했던 잔여우수(W)가 잔여우수배출공(413)을 통해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될 수 있다.
수거함본체(410)와 측면도어(440)의 개폐구조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은 수거함본체(410)의 상단 테두리영역에 일정면적 형성되어 수거함받침대(300)의 수거함결합공(310) 주변에 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결합공(310)의 면적이 W1×W2로 형성될 때,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의 면적은 W3×W4로 형성된다. 이 때, W1 보다 W3이 크게 형성되고, W2 보다 W4가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거함본체(410)를 수거함결합공(310)에 삽입할 때,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이 수거함결합공(310)에 걸리며 수거함받침대(300)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거함(400)이 수거함받침대(300)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의 면적이 넓을수록 수거함받침대(300)에 거치되는 면적이 넓어 수거함받침대(300)에 응력집중이 발생되지 않고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2회동결합부재(460)는 작업자가 수거함받침대(300)를 우수저장조(100)의 상부로 들어올리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대해 자중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제2회동결합부재(460)는 일측은 받침대거치프레임(420)에 고정되고, 타측은 수거함받침대(300)의 제2회동결합공(330)에 결합된다.
수거함본체(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수평하게 적재되었을 때에는 수거함받침대(3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의 상부로 회동되어 들어올려지면,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이 수거함받침대(300)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수거함본체(410)도 함께 수직방향으로 회동된다.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에 대해 90도 이상 회동되면, 제2회동결합부재(460)에 의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대해 회동된다. 일정시간 동안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수거함본체(410) 내부에는 오물(M)과 잔여우수(W)가 존재한다. 수거함받침대(300)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동되면, 수거함본체(410)는 자중에 의해 제2회동결합부재(460)를 중심으로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지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의 수거함결합공(310)으로부터 분리되며 뒤집어져 내부의 오물(M)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오물수거함(400)을 우수저장조(100)로부터 배출하지 않더라도 수거함받침대(300)를 회동가압부재(500)를 이용해 90도 이상 각도로 회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오물수거함(400)이 뒤집어지며 내부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이 현저히 줄어들며, 우수받이(1)의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측면도어(440)는 수거함본체(410)의 잔여우수배출공(413)의 외측에 결합된다. 측면도어(440)는 수거함본체(4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대해 회동될 때, 자중에 의해 수거함본체(410)로부터 개방되어 수거함본체(410) 내부의 잔여우수(W)가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되도록 한다.
측면도어(440)는 수거함본체(410)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잔여우수배출공(413)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측면도어(440)는 제3회동결합부재(443)에 의해 수거함본체(410)의 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측면도어(440)의 판면에는 제3회동결합부재(443)가 결합되는 회동결합공(441)이 형성된다.
제3회동결합부재(443)는 제2회동결합부재(460)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거함본체(41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있을 때, 측면도어(440)는 자중에 의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잔여우수배출공(413)을 막는다. 잔여우수배출공(413)을 측면도어(440)가 막고 있으므로 내부의 잔여우수는 외부로 배출되지 내부에 수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에 작업자에 의해 수직하게 회동되면, 측면도어(440)가 제3회동결합부재(443)에 의해 회동되기 시작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측면도어(440)가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잔여우수배출공(413)을 개방한다.
이렇게 잔여우수배출공(413)이 개방되면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잔류하던 우수가 측면도어(440)와 수거함받침대(300)를 따라 우수저장조(100) 내부로 공급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수거함본체(4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잔여우수의 자중에 의해 벌어져 잔여우수를 우수저장조(100)로 배출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의 제2회동결합부재(460) 하부 측에 측면도어(440)가 구비되고, 한 쌍의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측면도어(44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내부에 수용된 잔여우수의 압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는 얇은 고무판으로 형성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수거함본체(410)의 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일정 길이를 갖는 결합바(453)에 의해 상단이 가압되고, 결합바(453)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51)에 의해 수거함본체(410)에 결합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의 상단은 체결부재(451)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은 자유단 형태로 배치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받이(1)가 노상에 설치되고 그레이팅(200)을 통해 유수가 내부로 유입될 때, 오물(M)이 오물수거함(400) 내부로 유입되어 바닥면을 막아 잔여우수(W)가 수거함본체(410)에 잔여하게 된다.
잔여우수의 수위가 높지 않을 경우, 한 쌍의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수거함본체(410)의 측벽에 수직하게 부착되어 잔여우수(W)의 외부 배출을 막는다.
반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 내부의 잔여우수(W)의 수위가 점차 높아져 잔여우수(W)의 수압이 높아지면,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이 외측으로 벌어지고 잔여우수(W)는 우수배출공(4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조본체(110)로 떨어진다.
잔류 우수가 많을 경우 내부에 적재된 오물과 함께 부폐되어 악취를 풍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400)은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이 우수의 수압에 의해 수거함본체(41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잔류하는 우수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악취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의 동작에 의해서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잔여우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도어(440)의 개방에 의해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된다.
한편, 470으로 표시된 탄성보호부재(470)은 받침대거치프레임(420)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질 때, 바닥면과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이 직접 닿아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1)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1)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저장조(100)에 수거함받침대(300)가 제1회동결합부재(32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수거함받침대(300)의 수거함결합공(310)에 오물수거함(400)이 제2회동결합부재(4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수거함받침대(300)와 오물수거함(400)이 수용된 우수저장조(100)의 그레이팅삽입관(120)에 그레이팅(20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레이팅(200)의 회동축(250)이 그레이팅삽입관(120)의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에 끼워져 회동되며 개폐된다.
우수받이(1)는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고, 우수저장조(100)의 우수배출관(130)은 하수관거와 연결된다.
비가 내리면 그레이팅(200)의 거름살톱니바(220)를 통해 우수가 오물수거함(400)으로 유입된다. 거름살톱니바(220)를 통하면서 거름살톱니바(220)의 간격 보다 크기가 큰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지고, 오물수거함(400)을 통해 우수배출공(411) 보다 크기가 큰 오물이 2차로 걸러져 우수가 저장조본체(110)의 하부로 낙하된다. 저장조본체(110) 하부의 우수는 우수배출관(130)을 통해 하수관거로 이동된다.
그레이팅(200)과 오물수거함(400)을 통해 이물질이 두 차례 걸러진 상태로 우수가하수관거로 유입되므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청결 상태가 오물수거함이 없는 종래 우수받이에 비해 현저히 나아질 수 있으며, 악취도 줄어들게 된다.
우수받이(1)가 설치된 상태로 장시간이 경과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의 바닥면에 오물(M)이 쌓이게 된다. 이렇게 바닥면에 오물(M)이 쌓이면 우수가 바닥면의 우수배출공(411)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잔류하는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이 수압에 의해 벌어지고 잔류우수(W)가 수거함본체(410) 외부로 배출되어 우수저장조(100) 하부로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수거함본체(410)에 오물이 퇴적되더라도, 잔류우수가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밀어 외부로 배출되므로 잔여우수가 그레이팅(200)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잔여우수와 오물이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오물수거함(400)은 일정 주기별로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작업자는 회동가압부재(500)의 결합고리(510)를 그레이팅(200)의 고리삽입공(260)에 끼워 가압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0)을 수직하게 회동시킨다.
이 때, 본 발명의 그레이팅(200)은 회동축(250)과 반대방향 하부에 복수개의 토사유입이빨(240)이 형성된다. 토사유입이빨(240)은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삽입관(120)과 외곽보강프레임(230a) 사이로 토사(A)가 유입되면, 토사(A)를 이웃하는 토사유입이빨(240) 사이의 간격을 통해 우수저장조(100)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에 의해 외곽보강프레임(230a)과 그레이팅삽입관(120) 사이에 토사가 쌓이는 것이 줄어들어 종래 토사에 의해 그레이팅(200)이 개방되지 않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이팅(200)의 회동축(250)이 원호 형태로 형성된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을 따라 이동되며 그레이팅(200)이 개폐되므로 그레이팅삽입관(120)과 외곽보강프레임(230a) 사이에 토사가 있더라도 좌우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하여 보다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레이팅(200)이 개방되면, 작업자는 회동가압부재(500)의 결합고리(510)를 수거함받침대(300)의 분리고리(340)에 끼워 수거함받침대(300)가 회동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가 제1회동결합부재(320)에 의해 우수저장조(100)에 대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동된다.
이 때, 오물수거함(400)은 수거함받침대(300)와 함께 회동되고, 내부에 수용된 오물(M)과 잔여우수(W)의 무게에 의해 제2회동결합부재(46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뒤집어진다. 이에 의해 오물수거함(400) 내부에 쌓여있던 오물(M)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오물수거함(400)이 뒤집어지면, 측면도어(440)는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열러지고 오물수거함(400) 내부의 잔여우수(W)가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해 작업자는 직접 수거함받침대(300)를 배출하고 오물수거함(400)을 배출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 수거함받침대(300)를 회동시키는 하나의 동작만으로 오물수거함(400)이 뒤집어져 내부의 오물(M)을 배출하고, 측면도어(440)가 개방되어 내부의 잔여우수(W)가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짧아지고 우수받이(1)를 청소하고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수받이는 그레이팅이 우수저장조의 상부에 회동축에 의해 회동되며 개폐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그레이팅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레이팅의 선단하부에 복수개의 토사유입이빨이 형성되어 그레이팅과 우수저장조 사이로 유입되는 토사를 우수저장조 하부로 유입시킨다. 이에 의해 그레이팅과 우수저장조 사이에 토사가 퇴적되어 그레이팅의 개방이 어려웠던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그레이팅의 회동축이 결합되는 우수저장조의 덮개회동축결합슬릿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동축이 덮개회동축결합슬릿을 따라 이동되며 그레이팅이 개폐되므로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방식에 비해 보다 원활하게 그레이팅이 개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받이는 오물수거함에 오버플로우고무판이 형성되어 내부에 오물이 쌓여 있더라도 우수의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고무판이 벌어져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그레이팅 밖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오물이 우수에 수용되어 악취가 발생되던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받이는 수거함받침대가 우수저장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오물수거함이 수거함받침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수거함받침대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오물수거함이 자동으로 뒤집어져 내부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오물수거함의 측면에 결합된 측면도어가 개방되어 내부에 잔류하는 잔여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동선이 짧아지고 우수받이의 청소와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우수받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우수받이 100 : 우수저장조
110 : 저장조본체 111 : 제1회동결합공
115 : 받침대지지돌기 120 : 그레이팅삽입관
121 : 그레이팅안착면 123 : 덮개회동축결합슬릿
130 : 우수배출관 200 : 그레이팅
210 : 그레이팅프레임 211 : 수평프레임
213 : 수직프레임 220 : 거름살톱니바
230 : 보강프레임 230a : 외곽보강프레임
240 : 토사유입이빨 250 : 회동축
260 : 고리삽입공 270 : 축보호캡
300 : 수거함받침대 310 : 수거함결합공
320 : 제1회동결합부재 330 : 제2회동결합공
340 : 분리고리 400 : 오물수거함
410 : 수거함본체 411 : 우수배출공
413 : 잔여우수배출공 420 : 받침대거치프레임
440 : 측면도어 441 : 회동결합공
443 : 제3회동결합부재 450 : 오버플로우고무판
451 : 체결부재 453 : 결합바
460 : 제2회동결합부재 470 : 탄성보호부재
500 : 회동가압부재 510 : 결합고리
A : 토사
M : 오물
W : 잔여우수

Claims (4)

  1. 지면 내부에 매립되며, 지면으로부터 유입된 우수가 수용되는 우수저장조(100)와;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수를 상기 우수저장조 내부로 유입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그레이팅(200)과;
    상기 우수저장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400)과;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오물수거함(400)을 지지하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저장조(100)는,
    우수가 저장되는 저장조본체(110)와;
    상기 저장조본체(110)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200)이 결합되는 그레이팅삽입관(120)과;
    상기 저장조본체(110)와 상기 그레이팅삽입관(120) 사이의 경계영역에 내측방향으로 일정면적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200)이 안착지지되는 그레이팅안착면(121);을 포함하며,
    상기 그레이팅(200)은,
    상기 그레이팅삽입관(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그레이팅안착면(121)에 안착되는 그레이팅프레임(210)과;
    상기 그레이팅프레임(210)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우수저장조(100)로 우수는 유입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복수개의 거름살톱니바(220)와;
    상기 그레이팅프레임(210)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강프레임(230)과;
    외곽보강프레임(230a)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그레이팅삽입관(120)과 상기 그레이팅프레임(210) 사이로 유입되는 토사를 상기 우수저장조(100)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토사유입이빨(240)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보강프레임(230a)은 내부에 위치된 보강프레임(230) 보다 높이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토사유입이빨(240)의 높이와 상기 외곽보강프레임(230a)의 높이가 더해진 전체 높이는 내부에 위치된 보강프레임(23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받침대(300)는 내부에 상기 오물수거함(400)이 삽입되는 수거함결합공(310)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수거함받침대(300)는 상기 우수저장조(100)의 벽면에 제1회동결합부재(320)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함(400)은,
    내부에 오물이 수용되며, 판면에 우수배출공(411)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수거함결합공(310) 내부에 삽입되는 수거함본체(410)와;
    상기 수거함본체(410)의 상단에 일정면적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거함결합공(310)이 형성된 수거함받침대(300)에 거치되는 받침대거치프레임(420)과;
    상기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을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회동결합부재(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함(400)은,
    상기 제2회동결합부재(460)가 형성된 방향의 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측면도어(440)와;
    상기 오물수거함(400)의 양측벽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된 우수의 압력에 의해 벌어지며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
KR1020180008167A 2018-01-23 2018-01-23 우수받이 KR101889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67A KR101889974B1 (ko) 2018-01-23 2018-01-23 우수받이
JP2020535081A JP7001830B2 (ja) 2018-01-23 2019-01-22 雨水ます
PCT/KR2019/000882 WO2019146985A1 (ko) 2018-01-23 2019-01-22 우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67A KR101889974B1 (ko) 2018-01-23 2018-01-23 우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974B1 true KR101889974B1 (ko) 2018-08-22

Family

ID=6345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167A KR101889974B1 (ko) 2018-01-23 2018-01-23 우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9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53100A (zh) * 2022-11-25 2023-03-28 扬中恒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轻型高强度不锈钢钢格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60Y1 (ko) * 1999-08-25 2000-02-15 권혁중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20090007395U (ko) * 2008-01-18 2009-07-22 최미나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60Y1 (ko) * 1999-08-25 2000-02-15 권혁중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20090007395U (ko) * 2008-01-18 2009-07-22 최미나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53100A (zh) * 2022-11-25 2023-03-28 扬中恒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轻型高强度不锈钢钢格栅
CN115853100B (zh) * 2022-11-25 2023-10-13 扬中恒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轻型高强度不锈钢钢格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US7309420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728818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US5297367A (en) Removable storm drainage cartridge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101858141B1 (ko) 오물수거함이 자동배출되는 우수받이
KR101889974B1 (ko) 우수받이
KR101889976B1 (ko)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JP7001830B2 (ja) 雨水ます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20180118492A (ko)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KR101889975B1 (ko) 그레이팅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수받이
KR100690583B1 (ko) 빗물받이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CN207620076U (zh) 一种滞洪防涝蓄水净化排水系统
KR100557657B1 (ko) 쓰레기 수거망
CN207469012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路基排水结构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0458906B1 (ko)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0278405Y1 (ko)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0494625Y1 (ko)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CN217839694U (zh) 一种高速公路桥梁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