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976B1 -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 Google Patents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976B1
KR101889976B1 KR1020180008169A KR20180008169A KR101889976B1 KR 101889976 B1 KR101889976 B1 KR 101889976B1 KR 1020180008169 A KR1020180008169 A KR 1020180008169A KR 20180008169 A KR20180008169 A KR 20180008169A KR 101889976 B1 KR101889976 B1 KR 101889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dirt
collecting box
main body
colle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테크
Priority to KR1020180008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976B1/ko
Priority to PCT/KR2019/000882 priority patent/WO2019146985A1/ko
Priority to JP2020535081A priority patent/JP700183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우수받이 내부에 수용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400)과; 상기 우수받이 상부에 거치되며, 상기 오물수거함(400)을 지지하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오물수거함(400)은, 일정 체적을 갖는 함체 형상을 가지며 판면에 복수개의 우수배출공(411)이 형성된 수거함본체(410)와; 상기 수거함본체(41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수용된 잔여 우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외측벽면과 이격되게 벌어져 잔여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SEWAGE BOX FOR RAIN WATER BOX TO REDUCE BAD SMELL}
본 발명은 오물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우수받이 내부에 결합되어 오물을 걸러내고 우수받이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받이(또는 빗물받이)는 도로 건설시 노면 배수를 위해 반드시 설치되도록 시설기준상에 명시되어 있다.
종래 우수받이의 일례가 등록실용신안 제20-0431109호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우수받이(10)가 노면(G)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우수받이(10)는 노면(G)의 하부로 집수통(11)이 설치되고, 집수통(11)의 측면에 배수관(13)이 형성되어 집수통(11)에 모인 우수를 우수관거(미도시)로 배출시킨다.
그런데, 종래 우수받이(10)는 그레이팅(15)을 통해 내부로 빗물과 함께 낙엽과 쓰레기들이 유입되더라도 이들을 걸러낼 수단이 없어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집수통(11) 바닥에 쌓인 낙엽과 쓰레기가 부폐되어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여름철에는 악취발생이 심해져 주변에서 민원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우수받이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받이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쌓인 오물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받이 내부에 결합되어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우수받이 내부에 수용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400)과; 상기 우수받이 상부에 거치되며, 상기 오물수거함(400)을 지지하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오물수거함(400)은, 일정 체적을 갖는 함체 형상을 가지며 판면에 복수개의 우수배출공(411)이 형성된 수거함본체(410)와; 상기 수거함본체(41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수용된 잔여 우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외측벽면과 이격되게 벌어져 잔여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거함본체(410)는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거함본체(410)에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와 힌지결합된 방향의 벽면에는 잔여 우수가 배출되는 잔여우수배출공(41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잔여우수배출공(413)에는 상기 수거함본체(410)가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에 회동될 때, 상기 수거함본체(410)의 자중에 의해 개폐되는 측면도어(44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오물수거함에 오버플로우고무판이 형성되어 내부에 오물이 쌓여 있더라도 우수의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고무판이 벌어져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그레이팅 밖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오물이 우수에 수용되어 악취가 발생되던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오물수거함의 측면에 결합된 측면도어가 개방되어 내부에 잔류하는 잔여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우수받이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가 우수받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가 우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가 우수받이 외부로 배출되어 오물과 우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함 조립체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오물수거함 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오물수거함 조립체가 우수받이(1)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우수받이(1)에 결합되어 그레이팅(20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내고, 우수는 오버플로우되어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되도록 하여 우수받이(1)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줄일 수 있다.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다양한 규격의 우수받이(1)의 크기에 맞게 제작된 후, 우수받이(1)에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우수받이(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가 저장되는 우수저장조(100)와, 우수저장조(100)이 상부에 개폐되게 결합되는 그레이팅(200)을 포함한다.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는 그레이팅(200)이 수용되는 그레이팅삽입관(120)이 구비되고, 측벽에는 우수를 하수관거로 배출하는 우수배출관(130)이 구비된다.
그레이팅(200)은 수평프레임(211)과 수직프레임(213)이 형성된 그레이팅프레임(210)과, 그레이팅프레임의 선단(230a)에 구비된 복수개의 토사유입이빨(240)을 포함한다. 그레이팅(200)은 회동축(250)이 그레이팅삽입관(120)의 덮개회동축결합슬릿(123)에 삽입되어 우수저장조(100)에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우수받이(1)의 우수저장조(100)에 결합되는 수거함받침대(300)와, 수거함받침대(300)에 결합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내는 오물수거함(400)을 포함한다.
수거함받침대(300)는 오물수거함(400)을 우수저장조(100)에 결합시킨다. 수거함받침대(300)는 우수저장조(100)의 저장조본체(110)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면적의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수거함받침대(300)의 내부에는 오물수거함(400)이 수용되는 수거함결합공(310)이 관통형성된다.
수거함결합공(310)은 오물수거함(400)의 수거함본체(410)의 상부면적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오물수거함(400)이 수거함결합공(310)의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진다.
수거함받침대(300)의 단부에는 제1회동결합부재(320)가 복수개 구비된다. 제1회동결합부재(320)는 우수저장조(100)의 측벽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수거함받침대(3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본체(110)에 저장조본체(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수거함결합공(310)이 형성된 테두리영역에는 제2회동결합공(330)이 형성된다. 제2회동결합공(330)에는 오물수거함(400)의 제2회동결합부재(460)가 결합되어 오물수거함(400)이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오물수거함(400)은 수거함받침대(300)에 의해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우수와 함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 우수저장조(100)의 바닥에 오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400)은 내부에 오물이 채워져 있어 우수가 배출되지 못해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우수의 무게에 의해 우수가 오버플로우되도록 하여 악취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거함(400)은 판면에 우수배출공(411)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수거함본체(410)와, 수거함본체(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안착되도록 하는 받침대거치프레임(420)과, 수거함본체(410)의 일측벽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측면도어(440)와, 수거함본체(410)의 양측벽면에 우수의 무게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포함한다.
수거함본체(410)는 상부가 개방된 바구니 형태로 형성된다. 수거함본체(410)는 일측벽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로 유입된 낙엽이나 쓰레기와 같은 오물을 바닥측으로 안내한다.
수거함본체(410)의 판면에는 세로로 길게 형성된 복수개의 우수배출공(411)이 관통형성된다. 이에 의해 수거함본체(410) 내부로 유입된 우수가 우수저장조(100) 하부로 배출된다.
수거함본체(410)의 일측벽 상단에는 우수배출공(411)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 잔여우수배출공(413)이 관통형성된다. 잔여우수배출공(413)에는 측면도어(440)가 결합되고, 측면도어(440)의 개방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잔여우수를 배출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200)을 통해 크기가 큰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상태로 우수가 수거함본체(410)로 유입된다. 이 때, 우수에 포함된 우수배출공(411) 보다 큰 크기의 오물(M)은 수거함본체(41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바닥면에 오물(M)이 쌓이면 바닥면의 우수배출공(411)을 막아 우수가 하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오물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질 때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지면 이와 동시에 측면도어(440)가 개방되면서 오물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했던 잔여우수(W)가 잔여우수배출공(413)을 통해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될 수 있다.
수거함본체(410)와 측면도어(440)의 개폐구조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은 수거함본체(410)의 상단 테두리영역에 일정면적 형성되어 수거함받침대(300)의 수거함결합공(310) 주변에 거치된다.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의 테두리 면적이 수거함결합공(310) 보다 크게 형성되어 수거함본체(410)를 수거함결합공(310)에 삽입할 때,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이 수거함결합공(310)에 걸리며 수거함받침대(300)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거함(400)이 수거함받침대(300)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의 면적이 넓을수록 수거함받침대(300)에 거치되는 면적이 넓어 수거함받침대(300)에 응력집중이 발생되지 않고 하중이 분산되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2회동결합부재(460)는 작업자가 수거함받침대(300)를 우수저장조(100)의 상부로 들어올리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대해 자중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한다. 제2회동결합부재(460)는 일측은 받침대거치프레임(420)에 고정되고, 타측은 수거함받침대(300)의 제2회동결합공(330)에 결합된다.
수거함본체(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의 상부에 수평하게 적재되었을 때에는 수거함받침대(3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의 상부로 회동되어 들어올려지면,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이 수거함받침대(300)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수거함본체(410)도 함께 수직방향으로 회동된다.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에 대해 90도 이상 회동되면, 제2회동결합부재(460)에 의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대해 회동된다. 일정시간 동안 지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수거함본체(410) 내부에는 오물(M)과 잔여우수(W)가 존재한다. 수거함받침대(300)가 90도 이상의 각도로 회동되면, 수거함본체(410)는 자중에 의해 제2회동결합부재(460)를 중심으로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지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동된다.
이에 의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의 수거함결합공(310)으로부터 분리되며 뒤집어져 내부의 오물(M)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오물수거함(400)을 우수저장조(100)로부터 배출하지 않더라도 수거함받침대(300)를 회동가압부재(500)를 이용해 90도 이상 각도로 회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오물수거함(400)이 뒤집어지며 내부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이 현저히 줄어들며, 우수받이(1)의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측면도어(440)는 수거함본체(410)의 잔여우수배출공(413)의 외측에 결합된다. 측면도어(440)는 수거함본체(4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가 수거함받침대(300)에 대해 회동될 때, 자중에 의해 수거함본체(410)로부터 개방되어 수거함본체(410) 내부의 잔여우수(W)가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되도록 한다.
측면도어(440)는 수거함본체(410)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잔여우수배출공(413)을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측면도어(440)는 제3회동결합부재(443)에 의해 수거함본체(410)의 벽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측면도어(440)의 판면에는 제3회동결합부재(443)가 결합되는 회동결합공(441)이 형성된다.
제3회동결합부재(443)는 제2회동결합부재(460)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거함본체(41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수거함받침대(300)가 우수저장조(100)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있을 때, 측면도어(440)는 자중에 의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잔여우수배출공(413)을 막는다. 잔여우수배출공(413)을 측면도어(440)가 막고 있으므로 내부의 잔여우수는 외부로 배출되지 내부에 수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받침대(300)에 작업자에 의해 수직하게 회동되면, 측면도어(440)가 제3회동결합부재(443)에 의해 회동되기 시작하고, 자중에 의해 측면도어(440)가 하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잔여우수배출공(413)을 개방한다.
이렇게 잔여우수배출공(413)이 개방되면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잔류하던 우수가 측면도어(440)와 수거함받침대(300)를 따라 우수저장조(100) 내부로 공급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수거함본체(4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잔여우수의 자중에 의해 벌어져 잔여우수를 우수저장조(100)로 배출시킨다.
수거함본체(410)의 제2회동결합부재(460) 하부 측에 측면도어(440)가 구비되고, 한 쌍의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측면도어(44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내부에 수용된 잔여우수의 압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는 얇은 고무판으로 형성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수거함본체(410)의 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일정 길이를 갖는 결합바(453)에 의해 상단이 가압되고, 결합바(453)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51)에 의해 수거함본체(410)에 결합된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의 상단은 체결부재(451)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은 자유단 형태로 배치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받이(1)가 노면에 설치되고 그레이팅(200)을 통해 유수가 내부로 유입될 때, 오물(M)이 오물수거함(400) 내부로 유입되어 바닥면을 막아 잔여우수(W)가 수거함본체(410)에 잔여하게 된다.
잔여우수의 수위가 높지 않을 경우, 한 쌍의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은 수거함본체(410)의 측벽에 수직하게 부착되어 잔여우수(W)의 외부 배출을 막는다.
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 내부의 잔여우수(W)의 수위가 점차 높아져 잔여우수(W)의 수압이 높아지면,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이 외측으로 벌어지고 잔여우수(W)는 우수배출공(4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저장조본체(110)로 떨어진다.
잔류 우수가 많을 경우 내부에 적재된 오물과 함께 부폐되어 악취를 풍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400)은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이 우수의 수압에 의해 수거함본체(41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잔류하는 우수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악취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의 동작에 의해서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잔여우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도어(440)의 개방에 의해 우수저장조(100)로 배출된다.
한편, 470으로 표시된 탄성보호부재(470)은 받침대거치프레임(420)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본체(410)가 뒤집어질 때, 바닥면과 받침대거치프레임(420)이 직접 닿아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수거함받침대(300)에 오물수거함(400)이 제2회동결합부재(4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예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오물수거함(400)이 수거함받침대(300)에 상부로 들어올려지며 착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통해 우수받이(1)의 우수저장조(100)에 결합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오물수거함(400)이 직접 우수저장조(100)에 걸림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는 오물수거함에 오버플로우고무판이 형성되어 내부에 오물이 쌓여 있더라도 우수의 수압에 의해 오버플로우고무판이 벌어져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그레이팅 밖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시간 오물이 우수에 수용되어 악취가 발생되던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오물수거함의 측면에 결합된 측면도어가 개방되어 내부에 잔류하는 잔여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오물수거함 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우수받이 100 : 우수저장조
110 : 저장조본체 111 : 제1회동결합공
115 : 받침대지지돌기 120 : 그레이팅삽입관
121 : 그레이팅안착면 123 : 덮개회동축결합슬릿
130 : 우수배출관 200 : 그레이팅
210 : 그레이팅프레임 211 : 수평프레임
213 : 수직프레임 240 : 토사유입이빨
250 : 회동축 270 : 축보호캡
300 : 수거함받침대 310 : 수거함결합공
320 : 제1회동결합부재 330 : 제2회동결합공
340 : 분리고리 400 : 오물수거함
410 : 수거함본체 411 : 우수배출공
413 : 잔여우수배출공 420 : 받침대거치프레임
440 : 측면도어 441 : 회동결합공
443 : 제3회동결합부재 450 : 오버플로우고무판
451 : 체결부재 453 : 결합바
460 : 제2회동결합부재 470 : 탄성마개
500 : 회동가압부재 510 : 결합고리
A : 토사
M : 오물
W : 잔여우수

Claims (2)

  1. 우수받이 내부에 결합되어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 조립체에 있어서,
    우수받이 내부에 수용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주는 오물수거함(400)과;
    상기 우수받이 상부에 거치되며, 상기 오물수거함(400)을 지지하는 수거함받침대(300)를 포함하되,
    상기 오물수거함(400)은,
    일정 체적을 갖는 함체 형상을 가지며 판면에 복수개의 우수배출공(411)이 형성된 수거함본체(410)와;
    상기 수거함본체(410)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거함본체(410) 내부에 수용된 잔여 우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외측벽면과 이격되게 벌어져 잔여 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고무판(450)을 포함하고,
    상기 수거함본체(410)는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거함본체(410)에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와 힌지결합된 방향의 벽면에는 잔여 우수가 배출되는 잔여우수배출공(41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잔여우수배출공(413)에는 상기 수거함본체(410)가 상기 수거함받침대(300)에 회동될 때, 상기 수거함본체(410)의 자중에 의해 개폐되는 측면도어(44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2. 삭제
KR1020180008169A 2018-01-23 2018-01-23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KR101889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69A KR101889976B1 (ko) 2018-01-23 2018-01-23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PCT/KR2019/000882 WO2019146985A1 (ko) 2018-01-23 2019-01-22 우수받이
JP2020535081A JP7001830B2 (ja) 2018-01-23 2019-01-22 雨水ま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169A KR101889976B1 (ko) 2018-01-23 2018-01-23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976B1 true KR101889976B1 (ko) 2018-08-22

Family

ID=6345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169A KR101889976B1 (ko) 2018-01-23 2018-01-23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9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64A1 (ko) * 2018-11-22 2020-05-28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CN113216363A (zh) * 2021-05-06 2021-08-06 江西三江精密针车有限公司 一种无堵塞下使用周期长的卫浴下水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60Y1 (ko) * 1999-08-25 2000-02-15 권혁중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200338772Y1 (ko) * 2003-08-30 2004-01-24 김경호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160Y1 (ko) * 1999-08-25 2000-02-15 권혁중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200338772Y1 (ko) * 2003-08-30 2004-01-24 김경호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964A1 (ko) * 2018-11-22 2020-05-28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CN113216363A (zh) * 2021-05-06 2021-08-06 江西三江精密针车有限公司 一种无堵塞下使用周期长的卫浴下水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1889976B1 (ko)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US3977729A (en) Outdoors refuse-receiving system
KR101956452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비점오염 여과기능을 갖는 집수정
KR101291612B1 (ko)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858141B1 (ko) 오물수거함이 자동배출되는 우수받이
KR101889974B1 (ko) 우수받이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1627561B1 (ko) 다기능 하수구 뚜껑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CN107934300B (zh) 垃圾箱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AU2006250168A1 (en) Waste container apparatus
KR100458906B1 (ko)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KR20150136237A (ko) 하수구 맨홀 악취 방지장치
KR200278405Y1 (ko) 포집통이 구비된 그레이팅
US11974714B2 (en) Wet/dry vacuum stand and bottom discharge
CN213805755U (zh) 一种用于市政建筑工程的集水井盖体
KR101889975B1 (ko) 그레이팅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수받이
KR102654586B1 (ko) 싱크대 음식물 쓰레기 정리 및 압축 장치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20030068514A (ko) 우수 저수장치
KR200494625Y1 (ko)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