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160Y1 -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 Google Patents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160Y1
KR200168160Y1 KR2019990017727U KR19990017727U KR200168160Y1 KR 200168160 Y1 KR200168160 Y1 KR 200168160Y1 KR 2019990017727 U KR2019990017727 U KR 2019990017727U KR 19990017727 U KR19990017727 U KR 19990017727U KR 200168160 Y1 KR200168160 Y1 KR 200168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overflow
hole
earth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19990017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1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버플로우(over flow) 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토사받이(20)는 폭우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게 되면 토사받이(20)에 형성된 절결구멍(21)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우수받이의 외부로 물이 넘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걸러진 낙엽, 토사, 비닐과 같은 협잡물 등을 적기에 수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협잡물들이 절결구멍(21)을 막아 배수처리능력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적은 양의 비에도 우수가 넘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토사받이 받침(30)의 외향플랜지(32)와 내향걸림턱(34) 사이를 수직으로 하향 연장한 수직연장면(38)을 갖고 이에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구멍(39)을 형성하여 토사받이의 배수처리능력 이상으로 우수가 유입되거나 관리의 소홀로 절결구멍이 막혀 배수능력이 떨어질 때 오버플로우구멍으로 배수되도록 하므로써 우수가 넘치는일 없이 원활한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A earth and sand rest underpinning of raindroprest with overflow-hole}
본 고안은 개량우수받이에 설치되는 토사받이에 오버플로우구멍을 설치하여 토사받이의 배수능력 한계 이상으로 폭우가 내리거나 관리의 소홀로 절결구멍이 막혀 배수능력이 떨어질 때 오버플로우(over flow)구멍으로 배수되도록 하므로써 우수가 넘치는일 없이 원활한 배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주택가 등의 가장자리에는 빗물을 집수하여 배수시키는 우수받이가 설치되어 있고 도로나 주택 주변으로부터 바람이나 우수와 함께 쓸려 내려오는 토사나 협잡물 등을 걸러내기 위한 토사받이가 설치되어 있다.
토사받이(20)는 도 1, 도 2에서와 같이 토사받이 받침(25)에 의하여 그레이팅(16)이 안착되는 우수받이 본체(10)내에 설치가 된다.
토사받이(20)는 측면에 배수를 위한 절결구멍(21)이 형성된 바구니형태로 되어 있고 토사받이(20)의 바닥판(23)은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물빠짐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토사받이(20)를 지지하는 토사받이 받침(25)은 상부둘레에 외향플랜지(26)를 갖고 내부에는 내향걸림턱(27)을 형성하여 외향플랜지(26)를 이용하여 본체(10)의 상부 안착턱(12)에 안착시키고 내향걸림턱(27)에 토사받이(20)를 안착시킬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었다. 참조번호 29는 우수유도면이다.
그런데 토사받이(20)는 배수처리능력에 한계가 있어 폭우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게 되면 토사받이(20)에 형성된 절결구멍(21)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우수받이의 외부로 물이 넘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걸러진 낙엽, 토사, 비닐과 같은 협잡물 등을 적기에 수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러한 협잡물들이 절결구멍(21)을 막아 배수처리능력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적은 양의 비에도 우수가 넘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물론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토사받이(20)를 더 크게 제작하여 절결구멍(21)을 충분히 확보하면 되겠으나 금형 값이 많이 들고 또 토사받이(20)가 커지게 되어 수거되는 오물의 양이 많아지면 작업이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토사받이 받침에 오버플로우구멍을 형성하여 토사받이의 절결구멍만으로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토사받이 받침의 오버플로우구멍을 통하여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악조건 하에서도 원활한 배수를 이룰 수 있도록 배수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토사받이 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수받이에 설치되는 토사받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토사받이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토사받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받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 - 안착턱 14 - 배출구
16 - 그레이팅 20 - 토사받이 21 - 절결구멍
22 - 걸림테 23 - 바닥판 24 - 물빠짐구멍
30 - 토사받이 받침 32 - 외향플랜지 34 - 내향걸림턱
36 - 우수유도면 38 - 수직연장면 39 - 오버플로우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는 그레이팅이 안착되는 우수받이의 상부에 안착되는 외향플랜지를 갖고 내부에는 토사받이가 안착되는 내향 플랜지를 구비한 토사받이 받침에 있어서,
상기 외향플랜지와 내향걸림턱 사이를 수직으로 하향 연장한 수직연장부를 갖고 이에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구멍을 형성하여 토사받이의 절결구멍만으로 배수가 잘 안될 경우 토사받이 받침의 오버플로우구멍으로 배수되도록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토사받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사받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참조번호 10은 상부에 안착턱(12)을 갖고 이에 그레이팅(16)이 안착되고 일측면 하부에 우수 배출구(14)가 형성된 우수받이 본체이고, 20은 측벽부에 다수개의 절결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3)은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각종 이물질이나 토사를 걸러내는 토사받이이며, 30은 토사받이(20)를 우수받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가능하도록 해주는 본 고안의 토사받이 받침이다. 참조번호 24는 물빠짐구멍이다.
본 고안의 토사받이(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우수받이 본체(10)의 상부 안착턱(12)에 안착되는 외향플랜지(3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토사받이(20)가 삽입 가능하면서 토사받이(20) 상부의 걸림테(22)가 걸림 안착되는 내향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외향플랜지(32)의 내측단에는 내측하방향으로 경사진 우수유도면(36)이 형성되어 있고, 우수유도면(36)의 내측단과 내향걸림턱(34)의 사이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면(3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연장면(38)에는 오버플로우구멍(39)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토사받이(20)를 설치할 때 우선 토사받이 받침(30)의 외향플랜지(32)를 우수받이 본체(10) 상단의 안착턱(12)에 안착시키고, 그 내부에 토사받이(20)를 삽입시켜 토사받이(20)의 상부 걸림테(22)가 토사받이 받침(30) 내부의 내향걸림턱(34)에 안착되도록 한 후 우수받이의 안착턱(12)에 그레이팅(16)을 안착시키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우수는 토사, 낙엽, 비닐 등의 협잡물과 함께 그레이팅(16)의 구멍을 통해 우수받이의 내부로 유입되고 토사받이 받침(30)의 우수유도면(36)에 유도되어 토사받이(20)에 유입된다. 이때 오버플로우구멍(39)은 수직연장면(38)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우수는 이를 통해 배수되지 않는다. 한편, 유입된 우수는 수위가 높아지면서 측면 상부에 형성된 절결구멍(21)을 통해 배수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협잡물들은 절결구멍(21)에 걸러지게 되고 토사는 침전되어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배수작용은 한계허용배수량 내에서의 정상적 배수상태를 설명한 것이고, 폭우와 같이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거나 또는 유입된 낙엽, 토사, 비닐과 같은 협잡물을 적기에 수거하지 않아 이들이 절결구멍(21)에 끼게 될 경우에는 배수처리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우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에는 수위가 급상승하여 토사받이(20)를 넘어 토사받이 받침(30)의 수직연장면(38)에 까지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토사받이 받침(30)의 수직연장면(38)에는 오버플로우구멍(3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배수가 되어 더 이상 수위가 상승하지는 않게 된다. 그러므로 많은 양의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충분히 배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우수받이 외부로 우수가 넘치게 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토사받이 받침에 오버플로우구멍(39)을 형성하여 토사받이의 관리를 적기에 수행하지 못하거나 갑작스런 폭우로 인하여 토사받이의 절결구멍만으로 우수를 처리하지 못할 때에는 토사받이 받침의 오버플로우구멍을 통하여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우수받이의 배수처리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에는 그레이팅(16)이 안착되는 우수받이의 상부에 안착되는 외향플랜지(32)를 갖고 내부에는 토사받이(20)가 안착되는 내향 플랜지를 구비한 토사받이 받침(30)에 있어서,
    상기 외향플랜지(32)와 내향걸림턱(34) 사이를 수직으로 하향 연장한 수직연장면(38)을 갖고 이에 다수개의 오버플로우구멍(39)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개량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2019990017727U 1999-08-25 1999-08-25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200168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27U KR200168160Y1 (ko) 1999-08-25 1999-08-25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27U KR200168160Y1 (ko) 1999-08-25 1999-08-25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160Y1 true KR200168160Y1 (ko) 2000-02-15

Family

ID=1958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727U KR200168160Y1 (ko) 1999-08-25 1999-08-25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16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44B1 (ko) 2007-07-25 2007-10-23 양동훈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1858141B1 (ko) 2018-01-23 2018-05-16 주식회사 신화테크 오물수거함이 자동배출되는 우수받이
KR101889976B1 (ko) * 2018-01-23 2018-08-22 주식회사 신화테크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KR101889975B1 (ko) * 2018-01-23 2018-08-22 주식회사 신화테크 그레이팅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수받이
KR101889974B1 (ko) * 2018-01-23 2018-08-22 주식회사 신화테크 우수받이
CN108708451A (zh) * 2018-07-18 2018-10-26 湖北巴河云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井清污竹笼、专用投放工具及投放方法
WO2019146985A1 (ko) * 2018-01-23 2019-08-01 주식회사 신화엘아이디 우수받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44B1 (ko) 2007-07-25 2007-10-23 양동훈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1858141B1 (ko) 2018-01-23 2018-05-16 주식회사 신화테크 오물수거함이 자동배출되는 우수받이
KR101889976B1 (ko) * 2018-01-23 2018-08-22 주식회사 신화테크 악취방지를 위한 우수받이용 오물수거함 조립체
KR101889975B1 (ko) * 2018-01-23 2018-08-22 주식회사 신화테크 그레이팅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우수받이
KR101889974B1 (ko) * 2018-01-23 2018-08-22 주식회사 신화테크 우수받이
WO2019146985A1 (ko) * 2018-01-23 2019-08-01 주식회사 신화엘아이디 우수받이
JP2021508012A (ja) * 2018-01-23 2021-02-25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ンファ エルアイディーcorporation shinhwa LID 雨水ます
JP7001830B2 (ja) 2018-01-23 2022-02-10 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ンファ エルアイディー 雨水ます
CN108708451A (zh) * 2018-07-18 2018-10-26 湖北巴河云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井清污竹笼、专用投放工具及投放方法
CN108708451B (zh) * 2018-07-18 2024-01-26 湖北巴河云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井清污竹笼、专用投放工具及投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207B1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7153417B2 (en)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KR200168160Y1 (ko)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JP5572999B2 (ja) 排水目皿
KR101845068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받이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200255625Y1 (ko)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구조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255619Y1 (ko) 배수처리 집수조 구조
JP2005273354A (ja) 排水溝や排水桝のごみ受け籠
KR200248509Y1 (ko) 우수받이용 필터링 바스켓
KR200239951Y1 (ko) 우수받이뚜껑및받침틀
KR19980015770U (ko) 배수구
KR200322627Y1 (ko) 개량용 우수받이
KR200446045Y1 (ko) 하수구 악취 역상방지 트랜치 커버
KR200167094Y1 (ko) 벽걸이식 토사받이가 설치된 개량우수받이
KR200410547Y1 (ko)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구조
KR100530315B1 (ko) 개량용 우수받이
KR200459955Y1 (ko) 교량용 집수구
JPH0248550Y2 (ko)
JPH0248549Y2 (ko)
KR100729127B1 (ko) 집수구
KR880004516Y1 (ko)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