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4516Y1 -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4516Y1
KR880004516Y1 KR2019850006825U KR850006825U KR880004516Y1 KR 880004516 Y1 KR880004516 Y1 KR 880004516Y1 KR 2019850006825 U KR2019850006825 U KR 2019850006825U KR 850006825 U KR850006825 U KR 850006825U KR 880004516 Y1 KR880004516 Y1 KR 880004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rainwater
dust
dir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772U (ko
Inventor
장달진
Original Assignee
제원기업주식회사
장익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원기업주식회사, 장익순 filed Critical 제원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06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4516Y1/ko
Publication of KR870000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4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제1도는 본 고안의 차진함체가 배수상자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거안의 차진함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상자체 1a : 내측벽
2 : 차진함체 2' : 후벽부
2a : 격판 2b : 유입부분
2c : 유출부분 3 : 오물수집부
본 고안은 많은 양의 비가 오더라도 빗물과 함께 배수상자체로 인입되는 진개나 토사, 오물등을 걸르고 빗물만이 배수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홍수시와 같은 경우에 하수관이나 하수구가 진개나 토사, 오물들에 의하여 막히는 사례가 전혀 없도록 하고 배수상자체 내부에 침적되는 오물을 손쉽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면 빗물과 함께 배수상자체로 인입되는 물질은 여러종류가 있게 되느데 그 중에서 비중이 큰 것은 자중에 의하여 배수상자체 저면으로 낙하되고 또한 비닐지와 같은 것은 이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격판의 구성만 있으면 비닐지가 배수구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지만 비중이 1보다 약간 적거나 약간 큰 진개등과 같은 세립자는 대부분이 빗물과 함께 배수구로 통과된다.
본 고안은 비중이 1의 근처에 있는 세립자등을 빗물과 함께 배수구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수상자체의 내부에 다수개의 격판을 경사진 각도록 고정시킨 차진함체를 설치 및 분해가 가능하므로서 차진함체의 후방벽체에 형성된 경사진 격판이 차진함체의 내부에서 발생된 와류현상을 감쇠시키면서 빗물을 유연하게 흐르게함과 동시에 진개와 같은 세립자 상호간에 후로크(floc)를 형성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시키므로서 비중이 1보다 커진 후로크는 격판의 경사면에 침적되었다가 침적된 후로크가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되면 격판의 경사면을 따라 차진함체의 저면으로 낙하케 하여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지금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빗물받이는 배수상자체의 일측상부에 빗물유입구를 형성하고 타측 하단에는 배출구를 형성한 단수한 구조이었으므로 많은 양의 비가 올 경우에 빗물과 함께 진개나 토사, 오물등이 상자체 내부로 유입되어 곧바로 하수관이나 하수구로 배출되므로 이들은 하수관이나 하수구를 막히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 경우에는 빗물받이의 배출구와 연결관이 진개 또는 토사등의 퇴적으로 인하게 막히게 되어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에는 이 빗물들이 하수관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도로면으로 넘치게 되어 이들은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주변 가옥까지 침수시켜 재산상으로 막대한 손해를 입혔던 것이다.
원래 빗물받이의 설치목적은 모래와 진개, 오물등을 직접시켜 빗물만을 하수관이나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함인데 지금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배수상자체의 구조로는 유입구의 통수단면이 적고 배수구가 협소하여 모래나 진개등으로 배수구가 거의 막혀져서 빗물을 제대로 하수관으로 배출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차기 홍수를 대비하여 빗물받이 상자체의 내부를 우기(雨期)전에 청소하여야 하는데 상자체 내부가 협소하여 상자체 내부에 집적된 토사와 진개를 청소할 수 없었으므로 빗물받이의 배출구가 막혀있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빗물이 항상 상자체내에 고여있게 되어 그 청소도 거의 불가능하여 차기의 홍수에 대한 대비책이 큰 문제점으로 되어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198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714호에서 상기의 목적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모래나 진개, 오물등을 차진벽체에 경사지게 설치된 격판에 의하여 배출될 수 없도록 하므로서 하수관이나 하수구가 전혀 막히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빗물이 상자체내에 고이지 않고 상자체내의 모래나 진개, 오물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에 빗물유입구를 형성하고 그 타측 하단에 배출구를 형성한 상자체의 내부에 일측이 낮고 타측이 높게 경사각을 가진 다수개의 격판을 차진벽체내에 고정시켜 이를 상자체에 내부 적당 위치에 설치한 것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의 것은 빗물과 함께 상자체 내부로 유입되는 모래나 진개, 오물이 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하게 하는 이점은 있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상자체의 바닥면에 남아있는 모래나 진개, 오물이 쌓이게 되면 이를 제거시켜야 하는데 이 작업시에 작업자가 상자체의 내부로 들어가서 바닥면에 쌓인 오물을 퍼내야 하는 결점이 있고 또한 그 바닥면을 깨끗하게 청소하기가 난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배수상자체에 설치되는 차진함체를 상자형으로하여 배수상자체의 청소시 차진함체를 밖으로 인출시켜 박에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청소작업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차진함체를 깨끗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의 내측 빗물유입공(4')이 천공된 뚜껑(4)이 재치되도록 재치턱(1')을 형성하고 일측의 하단에 배축공(1'')을 천공시킨 통상의 배수상자체(1)에 있어서 후방벽체(2')에 유입부분(2b)이 낮고 유출부분(2c)이 높게 경사각이 형성된 다수개의 격판(2a)을 고정시키고 내부에는 오물수집부(3)를 형성한 차친함체(2)를 배수상자체(1)에 삽입시켜 차진함체(2)의 전방벽레(2'')와 배수상자체(1)의 내측벽(1a)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는 하수관 또는 하수구를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뚜껑(4)의 빗물유입공(4')을 통하여 빗물과 함께 모래나 진개, 오물이 배수상자체(1)의 내부로 들어오더라도 모래, 진개등은 하중에 의하여 배수상자체(1)의 내측벽(1a)과 밀착되어 삽입된 차진함체(2)의 바닥면으로 낙하하게 되고 빗물은 차진함체(2)의 후방벽체(2')에 형성된 격판(2a)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배출되어 배출공(1')과 하수관 또는 하수구(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과정에서 비닐지와 같은 오물이 빗물과 함께 차진함체(2) 내부로 유입될 경우 격판(2a)사이의 공간부로 오물이 나가려고 할때 경사진 격판(2a)의 낮은 부분 즉 유입부분(2b)에 의하여 비닐지와 같은 오물이 걸리게 되어 제지되므로 오물은 격판(2a)사이의 공간부로 빠져나갈 수가 없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차진함체(2)에 설치된 격판(2a)은 높이가 낮은 부분인 유입부분(2b)이 차진함체(2)의 내측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높이가 높은 부분인 유출부분(2c)이 배출공(1'')이 형성된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유입공(4')에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모래나 진개등이 차진함체(5)의 후방벽체(2')에 형성된 격판(2a)과 부딪히면서 난류의 발생을 감쇠시켜 빗물이 조용히 흐르게 함과 동시에 진개등과 같이 세립자 상호간에 후로크를 조정시키므로서 후로크가 격판(2a)의 경사면에 침적하였다가 후로크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차진함체(5)의 저면에 가라앉게 되어 이들의 집적효과가 상당히 증진된다.
상기의 작용으로 인하여 어느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면 차진함체(2)의 내부에 해당하는 오물수집부(3)에 많은 오물이 쌓이게 되어 이를 청소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차진함체(2) 전체를 배수상자체(1)에서 인출시켜 청소하면 되므로 청소작업이 손쉽고 오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우기에 많은 양의 비가 오더라도 배수상자체(1)가 모래, 진개나 오물에 의하여 막히게 되는 사례가 전혀없고 또한 배수상자체(1)의 내부에 밀착 삽입된 차진함체(2)의 삽입 및 인출작업이 용이하여 차진함체(2) 내부 즉 오물수집부(3)에 쌓여있는 오물의 제거작업이 손쉽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의 내측에 빗물유입공(4')이 천공된 뚜껑(4)이 재치되도록 재치턱(1')을 형성하고 일측의 하단에 배출공(1'')을 천공한 통상의 배수상자체에 있어서 후방벽체(2')에 유입부분(2b)이 낮고 유출부분(2c)이 높게 경사각이 형성된 다수개의 격판(2a)을 고정시키고 내부에는 오물수집부(3)를 형성한 차진함체(2)를 배수상자체(1)에 삽입시켜 차진함체(2)의 전방벽체(2'')와 배수산자체(1)의 내측벽(1a)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KR2019850006825U 1985-06-08 1985-06-08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KR880004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825U KR880004516Y1 (ko) 1985-06-08 1985-06-08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6825U KR880004516Y1 (ko) 1985-06-08 1985-06-08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72U KR870000772U (ko) 1987-02-20
KR880004516Y1 true KR880004516Y1 (ko) 1988-12-23

Family

ID=19242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825U KR880004516Y1 (ko) 1985-06-08 1985-06-08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45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772U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6471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7153417B2 (en) Floating storm water drain basket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US20090152181A1 (en) Backwashing filter basket
KR20160071050A (ko) 빗물받이에 장착되어 비점오염원 제거 및 악취 및 침수예방이 가능한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장치
JP5065567B2 (ja) 固液分離装置
KR880004516Y1 (ko)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KR200239950Y1 (ko) 침사조및악취역류방지기능을보유한배수구
KR200168160Y1 (ko)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WO2006065964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870001336Y1 (ko) 차진식 빗물받이
KR200187320Y1 (ko) 개폐식 덮개를 가진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CN218861703U (zh) 分流型雨污处理装置
KR200342681Y1 (ko) 배수구용 맨홀박스
KR200322627Y1 (ko) 개량용 우수받이
KR200239951Y1 (ko) 우수받이뚜껑및받침틀
KR100729127B1 (ko) 집수구
JPS6241102Y2 (ko)
KR100530315B1 (ko) 개량용 우수받이
KR950005538Y1 (ko) 노면 하수 오물 수거구
KR200191990Y1 (ko)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EP1546474A1 (en) Street inlet
JPH0227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