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006B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006B1
KR100742006B1 KR1020060002561A KR20060002561A KR100742006B1 KR 100742006 B1 KR100742006 B1 KR 100742006B1 KR 1020060002561 A KR1020060002561 A KR 1020060002561A KR 20060002561 A KR20060002561 A KR 20060002561A KR 100742006 B1 KR100742006 B1 KR 10074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center
drain plu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4703A (ko
Inventor
박희범
Original Assignee
박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범 filed Critical 박희범
Priority to KR102006000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0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7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이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걸러지게 하는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고, 배수마개가 편리하게 닫히고 열리게 하여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원터치, 배수트랩, 누름부재, 회전부재, 조립통

Description

배수트랩{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00 : 본체 10 : 틀체
11 : 배수유도링 11a : 배수구멍
12 : 지지부 13 : 상부플랜지
20 : 배수마개 20a, 30a : 패킹
21 : 파이프 23 : 걸름구
30 : 조립통 31 : 나사부
32 : 걸림부 33 : 복귀방지돌기
33a : 턱 34 : 안내홈
35 : 경사면 40 : 누름부재
41 : 이동돌기 42 : 톱니
45 : 작동봉 50 : 회전부재
51 : 녹크돌기 52 : 톱니
53 : 봉 54 : 스프링
55 : 마개 70 : 종발이
71 : 종발이통 72, 73 : 걸림돌기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이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걸러지게 하는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고, 배수마개가 편리하게 닫히고 열리게 하여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트랩은 사각을 이루는 틀체의 중앙에 배수잔류통이 설치되고, 이 배수잔류통에 배수유도통이 결합되며, 틀체의 상부에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덮개판이 덮여지게 되는 것이 있는데,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은 상기 덮개판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며, 배수유도통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는 점은 있으나 덮개판의 저면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문제점과, 배수유도통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덮개판을 분리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유도통, 배수잔류통 덮개판의 구멍이 배수관과 연결된 통로를 이루게 되어 배수관의 악취가 역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이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걸러지게 하는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고, 배수마개가 편리하게 닫히고 열리게 하여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걸름구가 형성된 파이프가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마개가 원통체로 구성되는 한편, 하부의 둘레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배수유도링이 지지부의 내부 하단에 결합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운데가 움푹 파인 판체로 형성되는 틀체에 상부에는 상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상ㆍ하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이며 내부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부를 삽입하여 구성하기 앞서,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링 형상의 배수유도링 중심 나사 구멍에, 내부면이 이미 공지된 필심인출장치인 노크장치의 구성과 같으며, 둘레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립통을 결합하고, 그 조립통 내부에는 파이프에 삽입되는 작동봉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지된 노크장치의 구조와 같은 누름부재를 삽입하였으며 또 누름부재 내부에는, 공지된 노크장치와 같은 구조의 회전부재와 그 내부에 스프링을 삽입한 후 조립통의 하부 입구를 막아주게 되는 마개를 압입하였다. 상기와 같은 조립통이 구성된 배수유도링을 지지부의 상부를 통하여 지지부 하단까지 압입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지지부를 틀체의 중앙에 삽입하여 지지부의 플랜지가 틀체에 안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체의 지지부의 하부 조립통에 반원통체의 종발이를 압입하여 구성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배수트랩 본체(100)는 틀체(10), 배수유도링(11), 지지부(12), 배수마개(20), 조립통(30), 누름부재(40), 회전부재(50), 종발이(70)로 구성된다.
상기 틀체(10)는 직사각 또는 원형의 판체로 형성되고, 중앙이 움푹 파여져 형성되며, 움푹 파인 중앙에 수직으로 구멍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틀체(10)는 둘레면에서부터 중앙을 향해 경사져서 원추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배수유도링(11)은 원형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중앙에 상기 조립통(30)이 나사 끼움 되게 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며, 그 둘레에 다수개의 배수구멍(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12)는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형통체로 형성되고, 상부의 둘레면에 상부플랜지(13)가 형성되며, 하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유도링(11)이 걸림되어 결합되게 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마개(20)는 하부의 중앙에 파이프(21)가 결합되는데, 이 파이프(21)의 하부에는 방사상의 걸름구(2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마개(20)에 조임되어 결합된다.
상기 조립통(30)은 외면의 나사부(31)가 배수유도링(1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조립통(30)의 내부에는 이미 공지된 필기구의 필심인출장치인 노크장치와 같은 구성과 이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도 3 도시와 같이 복귀방지돌기(33)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복귀방지돌기(33)는 하부면이 경사면(35)을 이루게 되고, 사이에는 안내홈(34)이 형성된다. 즉, 복귀방지돌기(33)는 6개가 형성되고, 이 복귀방지돌기(33)의 하부면은 앞쪽보다는 뒤쪽이 높게되는 경사면(35)을 이루게 되며, 이 복귀방지돌기(33)들의 사이사이에는 수직으로 안내홈(34)이 형성되는데, 이 안내홈(34) 역시 6개가 형성되고, 그 입구에는 3개의 턱(33a)이 교차로 형성되는데, 이는 공지된 노크장치와 같다.
조립통(30) 상부의 외부면에는 나사부(31)가, 그 하부에는 걸림부(32)가 형성되며, 외부면의 나사부(31)가 배수유도링(11)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배수유도링(11)과 일치된다.
작동봉(45)이 상부에 형성된 상기 누름부재(40)는 하부에 공지된 노크장치와 같은 톱니(42)가 형성되며, 이 톱니(42)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이동돌기(41)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돌기(41)는 6개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동돌기(41)가 조립통(30)의 안내홈(34)에 위치하여 결합된다.
삭제
상기 회전부재(50)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가 빈 원통형상의 봉(53)으로 형성되고, 이 봉(53)의 하부 원통 둘레면에는 3개의 녹크돌기(51)가 형성되며, 이 녹크돌기(51)가 형성되는 통체의 상부면에는 상부를 향하는 톱니(52)가 형성된다. 이는 공지된 노크장치와 같다. 그리고 이 회전부재(50)의 내부에는 스프링(54)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54)의 하부에는 마개(55)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 마개(55)는 상기 조립통(30)의 하부를 막아 회전부재(50)와 스프링(54) 등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종발이(70)는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로 형성된다. 이 종발이(70)의 중앙에는 원통형을 이루는 종발이통(71)이 형성되는데, 이 종발이통(71)은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부와 하부 각각의 내주면에 걸림돌기(72)(73)가 형성되며, 상기 조립통(30)의 나사부(31)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부(32)에 걸림돌기(72)가 걸림되는 한편, 조립통(30)의 하단부를 상기 걸림돌기(73)가 받쳐주게 되어 결합되는데, 종발이(70)의 기능은 공지된 봉수 방식의 원리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본체(100)는, 틀체(10)의 중앙에 배수마개(20)를 갖는 지지부(12)가 삽입되는데, 지지부(12)의 내부 하단에는 조립통(30)과 일체된 배수유도링(11)이 고정되어 있다. 틀체(10)에 삽입된 지지부(12)에는 조립통(30) 하부로부터 종발이(70)를 압입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에 있어, 배수되는 하수는 배수마개(20)가 올라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걸름구(23) - 배수구멍(11a) - 종발이(70)를 경유하여 배출되고, 배수되는 하수 중 이물질은 상기 걸름구(23)에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 걸름구(23)에 이물질이 걸린 상태에서는 배수마개(20)를 잡아올리면 배수마개(20)와 걸름구(23)가 결합된 파이프(21)가 동시에 빠져나오게 되어 걸름구(23)에 걸린 이물질이 제거되게 한 후 다시 결합되게 하면 되는 것이며, 이후 반복되는 배수마개(20) 누름에 의한 지지부(12)의 배수관 개폐는 조립통(30) 내부의 공지된 노크장치와 같은 작동원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삭제
첨부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a, 30a는 패킹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마개가 조립통 내부의 상승ㆍ멈춤 작동에 의하여 편리하게 열리고 닫히게 되어 배수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과, 배수마개 하부의 걸름구에 하수 중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게 하며 한편, 배수마개를 편리하게 분리하여 걸름구에 걸러진 이물질이 제거되게 한 후 다시 편리하게 조립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걸름구(23)가 결합된 파이프(21)가 하부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마개(20)가 원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 하부가 개방되는 지지부(12)의 내부에 결합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가운데가 움푹 파인 판체로 형성되는 틀체(10)와,
    상단면에 작동봉(45)이 형성된 누름부재(40)를 내부에 구성하였으며, 외부 둘레면에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다수의 배수구멍(11a)이 형성된 배수유도링(11)이 나사 결합된 조립통(30)을 하부 내에 구성하여 고정된 상기의 지지부(12)와,
    하단에 걸름구(23)가 형성된 파이프(21)를 하부 중심에 나사 조립으로 구성한 배수마개(20)와,
    상부가 개방되는 반원통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의 하부에 구성된 조립통(30)에 결합되는 종발이(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1020060002561A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KR10074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561A KR100742006B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561A KR100742006B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680U Division KR200413497Y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03A KR20070074703A (ko) 2007-07-18
KR100742006B1 true KR100742006B1 (ko) 2007-07-24

Family

ID=3849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561A KR100742006B1 (ko) 2006-01-10 2006-01-10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0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72B1 (ko) 2010-07-22 2011-05-27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KR20160057624A (ko) * 2014-11-14 2016-05-24 송태광 바닥배수구
KR20160066948A (ko) * 2014-12-03 2016-06-13 송태광 욕조 배수장치
CN106869290A (zh) * 2017-03-28 2017-06-20 永嘉县信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洗衣房专用防臭环保地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3618A (zh) * 2020-12-01 2021-04-02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地漏隔绝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 20-200822,235715,395156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72B1 (ko) 2010-07-22 2011-05-27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WO2012011766A2 (ko) * 2010-07-22 2012-01-26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WO2012011766A3 (ko) * 2010-07-22 2012-05-03 주식회사 에스엠지 하수구의 냄새역류방지장치
KR20160057624A (ko) * 2014-11-14 2016-05-24 송태광 바닥배수구
KR101674158B1 (ko) * 2014-11-14 2016-11-09 송태광 바닥배수구
KR20160066948A (ko) * 2014-12-03 2016-06-13 송태광 욕조 배수장치
KR101674159B1 (ko) * 2014-12-03 2016-11-22 송태광 욕조 배수장치
CN106869290A (zh) * 2017-03-28 2017-06-20 永嘉县信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洗衣房专用防臭环保地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703A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006B1 (ko) 배수트랩
RU25321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вода клапана,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и применен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US11066819B2 (en) Drain stopper with removable debris trap
RU2016110166A (ru) Канистровая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со стоком, взаимодействующим с фильт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US5267361A (en) Drain trap
RU2337043C2 (ru) Убираемый разливной узел для бутылок
EP1286739A2 (en) Self vent drain valve
US10364559B2 (en) Plumbing device
US20140000022A1 (en) Thread-in drain for lavatories.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368843Y1 (ko) 팝업밸브
JP2009079384A (ja) 洗面ボウルの排水構造
KR101178011B1 (ko) 배수트랩
US9815004B2 (en) Filter with a liquid drain valve
KR101757418B1 (ko)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관
JP4849664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13497Y1 (ko) 배수트랩
US2869727A (en) Valved floor drain fitting and a strainer therefor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0405339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395112Y1 (ko) 세면대용 트랩 구조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KR200429989Y1 (ko) 원터치 폽업 장치
US4262692A (en) Bell trap and check valve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