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948A - 욕조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욕조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948A
KR20160066948A KR1020140172400A KR20140172400A KR20160066948A KR 20160066948 A KR20160066948 A KR 20160066948A KR 1020140172400 A KR1020140172400 A KR 1020140172400A KR 20140172400 A KR20140172400 A KR 20140172400A KR 20160066948 A KR20160066948 A KR 20160066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guide
drainage
fastening
bath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159B1 (ko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송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광 filed Critical 송태광
Priority to KR102014017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조의 배수구멍을 통해 욕조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수구를 체결고정부재로 견고하게 고정한 후, 오수안내구가 체결고정부재 및 배수구에 안착되어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걸름부재를 통과한 오수가 수봉캡을 흘러넘쳐 배수구로 배수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조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조 배수장치{Bathtub a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조의 배수구멍을 통해 욕조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수구를 체결고정부재로 견고하게 고정한 후, 오수안내구가 체결고정부재 및 배수구에 안착되어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걸름부재를 통과한 오수가 수봉캡을 흘러넘쳐 배수구로 배수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조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는, 급수밸브를 통해 샤워기로 배출되는 물을 일정량 공급받아 저장하는 조수조가 구성되고, 상기 저수조 일측에는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구 및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는 고무마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배수구를 고무마개로 폐쇄시키지 않을 경우, 하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되면서 물과 함께 버려지는 이물질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328호에 욕조용 배수트랩이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청소용관체를 배수관체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저수통을 욕조 배수구멍의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하면, 상기 청소용관체는 배수구멍에 위치하거나 통과하면서 배수관체가 배수구멍에 안착되고, 배수구멍의 하부에서 상부로 저수통을 배수관체에 체결한 후, 상기 배수관체에 형성된 배수통로에 하부접속관을 장착하면 된다.
상기 욕조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킬 때, 욕조에 저장된 물은, 배수관체 및 청소용관체를 통과하면서 배수관체의 배수통로를 통해 하부접속관으로 배출되는데, 청소용관체의 하단부가 배수통로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배수관체의 하단부에 저장된 물에 의해 하부접속관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부품수가 많아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시간이 늘어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조의 배수구멍을 통해 욕조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수구를 체결고정부재로 견고하게 고정한 후, 오수안내구가 체결고정부재 및 배수구에 안착되어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욕조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걸름부재를 통과한 오수가 수봉캡을 흘러넘쳐 배수구로 배수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조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욕조 배수장치는,
배수구멍과 연통되도록 욕조 저면에 밀착되는 배수구와;
상기 욕조와 배수구를 고정시키도록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구에 체결고정되는 체결고정부재와;
상기 체결고정부재와 배수구에 안착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함과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수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욕조의 배수구멍을 통해 욕조의 저면에 밀착되는 배수구를 체결고정부재로 견고하게 고정한 후, 오수안내구가 체결고정부재 및 배수구에 안착되어 설치되므로 시공이 간편함은 물론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름부재를 통과한 오수가 수봉캡을 흘러넘쳐 배수구로 배수되는 구성이 간소화되어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욕조 배수장치(100)는, 배수구멍(11)과 연통되도록 욕조(10) 저면에 밀착되는 배수구(110)가 구성되고, 상기 욕조(10)와 배수구(110)를 고정시키도록 배수구멍(11)을 통해 배수구(110)에 체결고정되는 체결고정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체결고정부재(120)와 배수구(110)에 안착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함과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수안내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수구(110)는, 상기 오수안내구(130)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배수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몸체(111) 일측에 돌출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면서 배수관(20)이 장착되는 배수리브(112)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몸체(11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체결고정부재(120)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안내부재(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배수몸체(111)의 하단부에 요입되어 오수안내구(13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14)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배수리브(112) 외부에 위치하는 배수몸체(111)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돌출되어 직경이 다른 배수관(20)이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115)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오수안내구(130)는, 안내관(132)을 수용하도록 상부로 개구되면서 내부에 설치봉(131')이 돌출된 수봉캡(131)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봉(131')에 장착고정되면서 수봉캡(131) 내부에 위치하여 욕조(10)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름부재(132')에서 여과하여 배출하는 안내관(132)이 구비되며, 상기 안내관(132)의 상단부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체결고정부재(120)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편(13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걸름부재(132')가 설치봉(13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10)의 체결안내부재(113)에 패킹(140)을 안착시켜 배수구멍(11)과 연통되도록 욕조(10)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배수구멍(11) 둘레의 욕조(10) 상면에 패킹(140)을 안착시킨 후, 배수구멍(11)으로 체결고정부재(120)를 삽입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체결고정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체결고정부재(120)가 체결안내부재(113)에 체결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체결고정부재(120)의 체결력에 의해 체결고정부재(120)와 욕조(10) 사이의 패킹(140) 및 상기 체결안내부재(113)와 욕조(10) 사이의 패킹(140)을 압착시켜 체결고정부재(120)와 배수구멍(11) 사이 및 욕조(10)와 배수구(110) 사이를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멍(11) 둘레의 욕조(10) 상면에 패킹(140)을 안착시키고, 상기 배수구멍(11)으로 체결고정부재(120)를 결합하여 돌출시킨 후, 돌출된 체결고정부재(120)에 배수구(110)의 체결안내부재(113)를 결합하고, 배수몸체(111)를 회전시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욕조(10)의 배수구멍(11)에 배수구(110)가 체결고정부재(120)에 의해 고정되면, 상기 욕조(10)를 욕실의 바닥면에 통상의 방법으로 안착시킨 후, 2개의 결합홈(115) 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115)에 배수관(20)을 결합하여 하수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오수안내구(130)의 안내관(132)을 수봉캡(131)에 결합하여 안내관(132)에 내장된 걸름부재(132')가 설치봉(131')에 안착되도록 한 후, 상기 걸름부재(132') 및 수봉캡(131)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름부재(132')가 수봉캡(131)에 체결고정되도록 하고, 걸름부재(132')의 상단부에 돌출된 고리(미도시)를 잡고 배수구(110)에 오수안내구(130)를 안착한다.
이때, 상기 오수안내구(130)의 수봉캡(131)이 체결고정부재(120)를 통과함과 동시에 밀착편(133)이 체결고정부재(120)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고정부재(120) 하단부로 이동하여 수봉캡(131)의 저면이 배수구(110)의 수용홈(114)에 안착되면서 본 발명 욕조 배수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수봉캡(131)의 하단부가 수용홈(114)에 안착되고, 안내관(132)의 상단부에 돌출된 밀착편(133)이 체결고정부재(130) 내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오수안내구(13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설치된 욕조 배수장치(100)의 체결고정부재(120)를 별도의 마개(12)로 폐쇄시킨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0)에 물을 받아 사용한 후, 마개(12)를 체결고정부재(120)로부터 이탈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0)의 오수가 체결고정부재(120)를 통해 안내관(132)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안내관(132)으로 공급되는 오수에 포함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은 안내관(132) 내부에 위치한 걸름부재(132')에서 여과된 후, 수봉캡(131)으로 공급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수봉캡(131)으로 저장되는 오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흘러넘친 오수는 배수몸체(111)로 공급되고, 다시 배수리브(112)에 결합된 배수관(20)을 경유하여 하수관(미도시)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수봉캡(131)에는 오수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하수관(미도시) 및 배수관(20)으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면서 안정감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름부재(132')에서 여과한 이물질은 걸름부재(132')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리(미도시)를 잡고 오수안내구(130)를 배수구(110) 상부로 이동시켜 욕조(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걸름부재(132')에서 여과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안내관(130)을 배수구(110)에 안착시키고 체결고정부재(120)에 위치시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욕조 배수장치 110: 배수구
120: 체결고정부재 130: 오수안내구
140: 패킹

Claims (6)

  1. 배수구멍과 연통되도록 욕조 저면에 밀착되는 배수구와;
    상기 욕조와 배수구를 고정시키도록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구에 체결고정되는 체결고정부재와;
    상기 체결고정부재와 배수구에 안착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함과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오수안내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배수장치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오수안내구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배수몸체와;
    상기 배수몸체 일측에 돌출되어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면서 배수관이 장착되는 배수리브와;
    상기 배수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체결고정부재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안내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배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몸체에 하단부에 요입되어 오수안내구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배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리브 외부에 위치하는 배수몸체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 돌출되어 직경이 다른 배수관이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배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수안내구는,
    안내관을 수용하도록 상부로 개구되면서 내부에 설치봉이 돌출된 수봉캡과;
    상기 설치봉에 장착고정되면서 수봉캡 내부에 위치하여 욕조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름부재에서 여과하여 배출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상단부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체결고정부재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편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조 배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름부재가 설치봉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욕조 배수장치.
KR1020140172400A 2014-12-03 2014-12-03 욕조 배수장치 KR101674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00A KR101674159B1 (ko) 2014-12-03 2014-12-03 욕조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400A KR101674159B1 (ko) 2014-12-03 2014-12-03 욕조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948A true KR20160066948A (ko) 2016-06-13
KR101674159B1 KR101674159B1 (ko) 2016-11-22

Family

ID=5619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400A KR101674159B1 (ko) 2014-12-03 2014-12-03 욕조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50B1 (ko) * 2016-07-27 2017-01-25 주식회사 티아이씨 욕조용 배수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237B1 (ko) 2018-12-28 2020-05-28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KR20230050953A (ko) 2021-10-08 2023-04-17 (주)코리스이엔티 욕조용 배수트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147A (ja) * 1996-11-29 1998-06-16 Daido Hoxan Inc 排水管路の臭気止め装置
KR100742006B1 (ko) * 2006-01-10 2007-07-24 박희범 배수트랩
KR20120131951A (ko) * 2011-05-27 2012-12-05 김기성 다용도 배수트랩장치
KR101281612B1 (ko) * 2012-02-06 2013-07-03 김보섭 배수 트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147A (ja) * 1996-11-29 1998-06-16 Daido Hoxan Inc 排水管路の臭気止め装置
KR100742006B1 (ko) * 2006-01-10 2007-07-24 박희범 배수트랩
KR20120131951A (ko) * 2011-05-27 2012-12-05 김기성 다용도 배수트랩장치
KR101281612B1 (ko) * 2012-02-06 2013-07-03 김보섭 배수 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50B1 (ko) * 2016-07-27 2017-01-25 주식회사 티아이씨 욕조용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159B1 (ko)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622B2 (en) Drain system for bathtub with door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20180044510A (ko) 배수트랩
JP2015507113A (ja) 洗面器用ポップアップ装置の設置構造及び設置方法
KR200448852Y1 (ko) 욕실바닥용 배수트랩의 봉수트랩
KR20160142711A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395156Y1 (ko) 욕조 배수금구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1820281B1 (ko) 악취역류방지 배수트랩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6454841B2 (ja) 捕集部材を備えた排水口構造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69029B1 (ko)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KR100758544B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KR200262328Y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100991280B1 (ko) 배수장치
KR200305388Y1 (ko) 배수용 트랩
JP3569317B2 (ja) トラップ付き排水装置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JP6194507B2 (ja) 封水式排水トラップ
CA2775240C (en) Drain system for bathtub with door
KR200371456Y1 (ko) 소변기의 악취차단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