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029B1 -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9029B1 KR101269029B1 KR1020110105176A KR20110105176A KR101269029B1 KR 101269029 B1 KR101269029 B1 KR 101269029B1 KR 1020110105176 A KR1020110105176 A KR 1020110105176A KR 20110105176 A KR20110105176 A KR 20110105176A KR 101269029 B1 KR101269029 B1 KR 101269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ckflow prevention
- support
- installation
- support member
- preven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2/00—Toi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관으로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수도관 내부의 압력차에 따라 역압이 발생하여도 변기본체의 오물이 수조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관으로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수도관 내부의 압력차에 따라 역압이 발생하여도 변기본체의 오물이 수조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10)는 욕실이나 화장실에 설치되어 대,소변의 용변을 깨끗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올부가 구비된 변기본체(11)와, 상기 변기본체(11)의 후방에 세척수를 보올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탱크(12)와, 상기 탱크(12)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거나 차단하는 필밸브(13)와, 상기 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를 변기본체(11)의 보올부로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레버(14) 및 상기 레버(14)에 의해 상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16)의 배수공을 개방하는 사이폰덮개(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가 탱크(12)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 후, 레버(14)를 가압하면, 상기 레버(14)에 의해 사이폰덮개(15)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16)의 배수공을 개방함과 동시에 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가 개방된 배수공을 통과하여 보올부로 배수되면서 용변과 함께 정화조로 배출되어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되어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필밸브(13)가 개방되면서 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상태에서 용변의 세척이 완료되면, 사이폰덮개(15)가 하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16)의 배수공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가 필밸브(13)를 통해 탱크(12)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저장되어 만수위를 유지하는 세척수가 필밸브(13)를 폐쇄시켜 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시키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양변기는, 수도관 공사 등의 이유로 수도관으로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세척수가 역류되면서 발생하는 수도관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상향으로 회전되어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개방시킴과 동시에 보올부에 위치한 오물이 탱크 내부로 역류되면서 탱크 내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탱크 내부를 오염시킨 오물이 수도관으로 역류된 후, 단수가 끝나고 세척수의 공급이 재개되면, 수도관으로 역류된 오물이 세척수와 함께 세면기, 샤워기 또는 주방밸브를 통해 배출되므로 비위생적이면서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07054호로 양변기 수조의 역류방지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어관(16)에 장착되는 안내부재(30)에 보강판(22)이 역류방지판(21)에 내장된 역류방지부재(20)를 결합하는데, 상기 역류방지부재(20)는, 안내부재(30)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판(21)이 외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되어 세척수를 보울부로 공급하며, 수도관의 세척수가 역류되면서 발생하는 역압발생시, 역류방지판(21)이 안내부재(30)의 저면에 신속하게 밀착되어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였다.
그러나 선 등록된 특허는, 세척수가 역류되면서 발생하는 역압에 의해 역류방지판이 안내부재의 저면을 신속하게 폐쇄하여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이점은 있으나, 보강판이 내장되면서 역류방지판이 방사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상기 부품을 만드는 금형의 제작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역류방지판의 복원력이 떨어져 안내부재 저면에 밀착되지 않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부재의 지지리브에 밀착되어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재를 일체로 성형함으로 구조가 간소화되어 생산상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역류방지부재를 만드는 금형의 제작이 용이한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의 역류방지부재가 만곡된 지지리브에 밀착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는,
내부가 관통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가 결합되어 탱크의 설치공에 장착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에 안착되면서 체결고정구로 설치공에 고정되어 역류방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수도관에 발생하는 역압에 의해 지지부재를 폐쇄하는 역류방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부재를 개폐하는 사이폰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의 지지리브에 밀착되어 오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재를 일체로 성형함으로 구조가 간소화되어 생산상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역류방지부재를 만드는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여 설비비용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체의 역류방지부재가 만곡된 지지리브에 밀착되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오동작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변기의 구성도
도 2는 선 등록된 특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2는 선 등록된 특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100)는, 내부가 관통된 포스트(110)가 구성되고, 상기 포스트(110)가 결합되어 탱크(12)의 설치공(12')에 장착되는 설치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설치부재(120)에 안착되면서 체결고정구(160)로 설치공에 고정되어 역류방지부재(14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13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수도관에 발생하는 역압에 의해 지지부재(130)를 폐쇄하는 역류방지부재(14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30)의 회전축(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부재(130)를 개폐하는 사이폰덮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재(130)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체결안내공(131a')이 관통된 체결안내구(131a)를 중심으로 지지리브(131b)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안내구(131a)의 외주면에 역류방지부재(140)가 설치되는 설치홈(131c)이 형성된 지지몸체(131)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몸체(131)의 일측에 돌출되어 포스트(110)를 감싸는 한 쌍의 지지편(132)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편(132)에 돌출되어 사이폰덮개(150)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133)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이폰덮개(15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13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131b)는 상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40)는, 상기 지지부재(130)의 저면을 폐쇄시키면서 중앙에 체결안내구(131a)를 수용하도록 통공(141')이 관통된 역류방지몸체(141)가 구비되고, 상기 역류방지몸체(141)에 돌출되어 설치홈(131c)에 설치되는 설치돌기(1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몸체(141)는 중앙에서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0)와 설치부재(120)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안내부(170)는, 상기 지지부재(130)와 설치부재(120) 중 어느 부재에 돌출되는 결합돌기(171)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171)가 결합되도록 지지부재(130)와 설치부재(120) 중 어느 부재에 요입되는 결합홈(172)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되는 탱크(12)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구성한 포스트(110)를 설치부재(120)에 장착하고, 역류방지부재(140)를 지지부재(130)의 지지몸체(131) 저면에 결합하여 설치부재(120)에 지지부재(13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부재(140)의 역류방지몸체(141) 단부가 지지몸체(131)의 지지리브(131b)에 밀착됨과 동시에 역류방지몸체(141)의 중앙에 관통된 통공(141')이 체결안내구(131a)에 결합된 후, 설치돌기(142)가 설치홈(131c)에 결합되면서 역류방지몸체(141)가 지지몸체(131)의 지지리브(131b)에 면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30)가 설치부재(120)에 안착될 때, 결합안내부(170)의 안내에 따라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안내부(170)는 지지부재(130)와 설치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돌출된 결합돌기(171)가 어느 하나의 부재에 요입된 결합홈(172)에 결합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120)의 저면에 실링부재를 결합한 후, 설치부재(120)에 안착된 지지부재(130)의 체결안내구(131a)에 관통된 체결안내공(131a')으로 체결고정구(160)의 체결볼트(161)를 결합하여 단부가 돌출되도록 하며, 돌출된 체결볼트(161)의 단부에 체결너트(162)가 분리되지 않도록 만 체결한다.
상기 체결볼트(161)의 단부에 체결너트(162)가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162)를 체결안내공(131a') 내부에서 경사지게 하면, 체결볼트(162)가 경사진 만큼 체결너트(162)가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여 탱크(12)의 설치공(12')으로 통과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너트(162)가 설치공(12')을 통과하면 체결볼트(162)가 수직이 되도록 하여 체결너트(162)의 양단부는 탱크(12)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설치부재(120)의 하단부를 탱크(12)의 설치공(12')에 결합하여 실링부재가 탱크(1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체결볼트(161)를 정방향으로 체결하면, 상기 체결볼트(161)에 체결너트(162)가 체결되면서 체결볼트(161)의 나사산을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체결너트(162)의 양단부가 탱크(12)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재(130)의 지지편(132)에 돌출된 회전축(133)에 사이폰덮개(15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이폰덮개(150)가 지지부재(130)의 지지몸체(131) 내부를 폐쇄시키면서 본 발명 역류 방지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며, 필밸브(13)의 제어에 따라 탱크(12) 내부에는 일정한 세척수가 담수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필밸브(13)가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제어하지 못할 경우, 상기 포스트(110)의 상부가 탱크(1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포스트(110)와 설치부재(120)를 통해 변기본체(11)로 배출되어 탱크(12)로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용변자가 변기본체(11)에 앉아 용변을 본 후,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레버(14)를 가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4)에 의해 사이폰덮개(150)가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는 사이폰덮개(150)는 회전제어돌기(134)에 밀착되어 상향회전을 정지하면서 지지부재(130)의 지지몸체(131) 내부를 개방함과 동시에 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된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131)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부재(140)의 단부가 하향으로 변형되어 지지몸체(131) 내부를 개방하게 되고, 개방된 지지몸체(131) 내부와 설치부재(120)를 통해 변기본체(11)의 보올부로 배수되어 용변이 포함된 오물과 함께 정화조로 배출되면서 용변이 포함된 오물을 세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재부재(140)는 역류방지몸체(141)의 두께를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나, 역류방지몸체(141)의 두께를 중앙보다 단부가 얇도록 형성하여 세척수의 수압에 의한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가 배수되어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필밸브(13)가 개방되면서 수도관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상태에서 용변의 세척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사이폰덮개(150)가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는데, 상기 회전축(133)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는 사이폰덮개(150)는 회전제어돌기(134')에 밀착되어 하향회전을 정지하면서 지지부재(130)의 지지몸체(131) 내부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세척수의 압력이 해제된 역류방지부재(140)는 자체의 탄력으로 복원되어 지지리브(131b) 저면에 밀착되며, 상기 필밸브(13)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배수된 세척수량만큼 탱크(12)에 저장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 변기본체(11)의 용변이 포함된 오물을 정화조로 배출할 때, 관이 막혀 배출하지 못해 변기본체(11)에 용변이 포함된 오물이 배출되지 않거나, 수도관으로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어 세척수가 역류됨에 따라 발생하는 역압이 발생하면, 역류방지부재(140)는 지지리브(131b) 저면에 신속하게 밀착되어 변기본체(11)의 오물이 탱크(12)로 역류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탱크(12) 및 수도관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역류 방지장치 110: 포스트
120: 설치부재 130: 지지부재
140: 역류방지부재 150: 사이폰덮개
160: 체결고정구 170: 결합안내부
120: 설치부재 130: 지지부재
140: 역류방지부재 150: 사이폰덮개
160: 체결고정구 170: 결합안내부
Claims (7)
- 내부가 관통된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가 결합되어 탱크의 설치공에 장착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에 안착되면서 체결고정구로 설치공에 고정되어 역류방지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어 수도관에 발생하는 역압에 의해 지지부재의 저면을 폐쇄시키면서 중앙에 체결안내구를 수용하도록 통공이 관통된 역류방지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역류방지몸체에 돌출되어 설치홈에 설치되는 설치돌기가 구비된 역류방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부재를 개폐하는 사이폰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내부가 관통되면서 체결안내공이 관통된 체결안내구를 중심으로 지지리브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안내구의 외주면에 역류방지부재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포스트를 감싸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에 돌출되어 사이폰덮개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이폰덮개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몸체는 중앙에서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설치부재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결합안내부는,
상기 지지부재와 설치부재 중 어느 부재에 돌출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도록 지지부재와 설치부재 중 어느 부재에 요입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176A KR101269029B1 (ko) | 2011-10-14 | 2011-10-14 |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5176A KR101269029B1 (ko) | 2011-10-14 | 2011-10-14 |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421A KR20130040421A (ko) | 2013-04-24 |
KR101269029B1 true KR101269029B1 (ko) | 2013-05-29 |
Family
ID=48440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5176A KR101269029B1 (ko) | 2011-10-14 | 2011-10-14 |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902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6341A (ko) | 2021-03-09 | 2022-09-16 | 윤정봉 | 경량 양변기 수조 및 이의 제조법 |
KR102601393B1 (ko) * | 2023-05-11 | 2023-11-10 | 계림요업주식회사 |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7205Y1 (ko) | 2006-12-28 | 2007-11-13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 수조의 오버플로우어관 고정구조 |
KR100901186B1 (ko) | 2008-05-14 | 2009-06-04 | 이수인 (주) |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
KR101007054B1 (ko) * | 2008-07-23 | 2011-01-12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 수조의 역류방지장치 |
KR101010343B1 (ko) | 2008-11-25 | 2011-01-25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 |
-
2011
- 2011-10-14 KR KR1020110105176A patent/KR1012690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7205Y1 (ko) | 2006-12-28 | 2007-11-13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 수조의 오버플로우어관 고정구조 |
KR100901186B1 (ko) | 2008-05-14 | 2009-06-04 | 이수인 (주) |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
KR101007054B1 (ko) * | 2008-07-23 | 2011-01-12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 수조의 역류방지장치 |
KR101010343B1 (ko) | 2008-11-25 | 2011-01-25 |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 양변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6341A (ko) | 2021-03-09 | 2022-09-16 | 윤정봉 | 경량 양변기 수조 및 이의 제조법 |
KR102601393B1 (ko) * | 2023-05-11 | 2023-11-10 | 계림요업주식회사 |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0421A (ko) | 201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7971B1 (ko) | 양변기 필밸브의 역류 방지장치 | |
KR101166553B1 (ko) | 무수 소변기 | |
KR101269029B1 (ko) |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 |
US20010049841A1 (en) |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 |
JP5435606B2 (ja) |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 |
JP5834161B2 (ja) | 節水便器 | |
KR101674159B1 (ko) | 욕조 배수장치 | |
KR101282271B1 (ko) | 보올부의 보충수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보충수 공급호스 고정장치 | |
KR200462565Y1 (ko) | 싱크볼의 배수유닛 | |
KR20170073263A (ko) | 초절수 양변기 | |
KR101007054B1 (ko) | 양변기 수조의 역류방지장치 | |
KR200374754Y1 (ko) | 개량 좌변기 | |
KR100758544B1 (ko) |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 |
KR101010343B1 (ko) | 양변기 | |
KR101152901B1 (ko) |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 |
KR20100071911A (ko) |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 |
KR101243894B1 (ko) | 위생기의 트랩과 오배수관의 연결구조 | |
WO2006135348A1 (en) | Flush tank with integrated lavatory bowl | |
KR200452869Y1 (ko) | 급수제어밸브의 역류방지구조 | |
KR101534002B1 (ko) | 양변기용 배출유닛 | |
US20240011270A1 (en) | Grey water rinse toilet | |
KR200371456Y1 (ko) | 소변기의 악취차단캡 구조 | |
KR20120041347A (ko) | 양변기 수조 및 변기본체에 담수된 세척수의 역류 방지장치 | |
KR20120110401A (ko) |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 | |
RU2371552C2 (ru) | Убирающееся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анузл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