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393B1 -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393B1
KR102601393B1 KR1020230060887A KR20230060887A KR102601393B1 KR 102601393 B1 KR102601393 B1 KR 102601393B1 KR 1020230060887 A KR1020230060887 A KR 1020230060887A KR 20230060887 A KR20230060887 A KR 20230060887A KR 102601393 B1 KR102601393 B1 KR 102601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ent
toilet
tank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정
Original Assignee
계림요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림요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림요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24Low-level flush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물덮개, 고정수단, 고정패킹, 물배출구를 갖는 사이펀 구조의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물탱크 쪽으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의 회동축에 연결다리로 연결된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이다.

Description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LOW-TANK TOILE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 세척 보울에서 오물이나 기타 사유로 오염된 세척수가 내려가지 않아 양변기가 막히는 경우, 오염된 세척수가 물탱크 쪽으로 역류되어 들어와 물탱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세척수를 양변기 외부에서 공급받아 저장하는 물탱크와 오물을 배출하는 변기본체(양변기 보울)로 이루어지며, 세척수는 물탱크에 설치된 조작 레버의 작동에 의해 물덮개가 열리게 되면 변기본체 쪽으로 배출되어 소변 또는 대변과 같은 오물과 함께 변기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과거와 달리 물탱크와 변기본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원피스(one-piece)형 양변기가 많이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피스형 양변기는 물탱크와 변기본체가 분리되어 있는 소위 투피스(two-piece)형 양변기와 달리, 물탱크와 변기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특성으로 인해,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물탱크의 바닥 높이가 변기본체의 림(rim, 사람이 앉게 되는 부분)보다 낮은 구조로 되어 있거나 물탱크의 바닥 높이가 세척수의 세척면 보다 낮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로우탱크(low-tank)형 양변기의 경우 양변기 세척 보울(bowl)에서 오물이나 화장지 등 기타 사유로 양변기가 막히는 경우, 오염된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물탱크에서 나오는 세척수와 섞이면서 그 양이 많아지게 되고 결국 세척 보울에서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양변기 외부로 넘치거나 물탱크 쪽으로 역류되어 들어와 물탱크를 오염시키는 경우가 많고, 물탱크 쪽으로 역류되어 들어온 경우 막힌 양변기를 뚫은 후 오염된 물탱크를 청소하여 다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배경기술과 관련된 종래기술의 문헌 1 발명을 보면,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이 발명의 경우 로우탱크형 양변기가 아닌 도 1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하이탱크(high-tank) 형식의 투피스(two-piece)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가 막힐 경우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나, 유동바와 회동바에 의하여 세척수의 개폐구를 막는 기술이므로, 이러한 기술은 본 발명과 같은 로우탱크형 양변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689676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로우탱크형 양변기에 역류 방지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양변기가 막히는 경우 오염된 세척수가 물탱크 쪽으로 들어와 물탱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 물덮개, 고정수단, 고정패킹, 물배출구를 갖는 사이펀 구조의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물탱크 쪽으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의 회동축에 연결다리로 연결된 마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성은 아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인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서 로우탱크형 양변기가 막힐 때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여 앞에서 설명한 발명의 목적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다양한 작용과 효과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로우탱크 양변기와 하이탱크 양변기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역류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역류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또 다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물탱크에서 물(세척수)이 흐를 때 물덮개와 마개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오염된 세척수가 역류되기 시작할 때 역류 방지 장치의 마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오염된 세척수가 역류될 때 역류 방지 장치의 마개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를 로우탱크 양변기에 장착한 모습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그림으로 도 2의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그림으로 도 2의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모습 중 하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모습 중 하나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사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역류 방지 장치
200: 물덮개 201: 볼체인
300: 고정수단 301: 고정패킹
400: 몸체 401: 물 배출구 402: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
403: 몸체 하부 단부
500: 마개 501: 회동축 502: 연결 다리 503: 회동축 지지부
601: 조작 레버 602: 물탱크 603: 양변기 보울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재된 물건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권의 권리범위는 그 방법에 의하여 생산한 물건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미쳐서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종래기술(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 종래기술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최소로 기재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종래기술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로우탱크형 양변기는 내부의 수위에 따라서 급수를 개폐하는 볼탭(ball tap)을 통하여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와는 측면수로로 연결되는 세척 보울(bowl)을 갖는 양변기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물탱크 배수구가 세척 보울의 상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물탱크 개폐 밸브의 물덮개를 개폐하여 세척수를 측면수로를 통해 세척 보울로 배출하는 양변기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경우 보통 제트 사이펀(zet siphon) 기능을 활용한 양변기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 기술은 양변기 보울의 상부 측면으로 림(rim)수로와 연결되는 림토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로는 오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배치되고, 림수로를 통하여 림토출구는 볼탭에서 공급되는 급수를 양변기 보울의 벽면으로 토출하며, 배출구와 대향해서 측면수로와 연결되는 제트분사구가 배치되고, 제트분사구는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정상수위의 낙차를 이용하여 오물을 강하게 밀어내며 양변기 보울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양변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구조는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트 사이펀 기능을 하는 로우탱크형 양변기에 대하여 예시를 하였으나,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는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로우탱크형 양변기에만 사용하지 않고 아래에 설명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로우탱크형 양변기에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용은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의 설명 및 이와 관련된 도면에서 로우탱크형 양변기는 공지기술이고, 본 역류 방지 장치는 어떠한 구성이나 구조의 로우탱크형 양변기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본 발명과 관련된 양변기나 물탱크의 구조는 자세히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나아가 다양한 주변 양변기 부속품의 모습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음에 유의하면서 본 발명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 특별히 나타내지 않은 양변기의 다양한 구성은 공지기술이거나 본 발명과 특별히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러한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경우 양변기의 배출트랩이 막히게 되면, 오염된 세척수는 양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물탱크에서 나오는 세척수는 계속 공급되므로 양변기 보울에서 오염된 세척수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수위가 계속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경우 도 1의 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물탱크의 배수구가 양변기 본체의 세척 보울의 세척수 수위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양변기가 막히는 경우 역류되어 그 역류되는 힘으로 물덮개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서 오염된 세척수가 물탱크로 들어와서 물탱크가 오염되게 된다.
또한, 양변기의 배출트랩이 막혔을 때 각종 뚫기 도구로 세척수 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마찬가지로 그 힘에 의하여 물덮개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서 오염된 세척수가 물탱크로 들어와서 물탱크가 오염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장치는 종래의 로우탱크형 양변기 또는 하이탱크형 양변기에서 사용하는 개폐 밸브 기능의 사이펀 구조와 기본적으로 그 구조가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400)의 하부 부분 연장부(402)에 마개(500)가 회동할 수 있는 있는 회동축(501)을 구성하고, 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마개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장치의 작동 방식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면 몸체(400), 고정수단(300), 물덮개(200), 마개(500)를 주요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는 이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PVC 수지, ABS 수지 등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사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의 재질은 특별히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먼저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물덮개를 설명하면, 물덮개(200)는 조작 레버(601)와 연결된 볼체인(201)이 조작레버가 눌러짐에 의하여 위로 당겨질 때, 물덮개는 위로 힌지 축에 따라서 회전하면서 몸체(400)의 물 배출구(401)를 개방한다.
물덮개 하부에는 덮어졌을 때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패킹 또는 링 형태의 고무 재질 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물 배출구가 개방되면 물(세척수)은 고정수단(300) 부분을 지나서 몸체 하부 단부(403)를 거쳐 흐르게 되어 빠져 나간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몸체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따로 제작되어 접착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수단은 물탱크(602)와 양변기 보울(603)로 통하는 구멍에 밀착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수단 하부에는 고정패킹(301)이 있는데, 재질이 고무 재질로 되어 있어 압력을 주어 구멍에 맞추어 결합시켜 구멍 가장자리 부분으로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만일, 고정수단이 구멍과 결합할 때 나사산 구조로 결합되는 구조라면 미리 제조된 고정수단의 나사산과 구멍의 나사산을 이용하여 돌려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역류 방지 장치를 물탱크와 양변기 보울 사이의 구멍에 밀착 결합시키면,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가 설치 완성된다.
다음으로, 몸체의 하부 부분 연장부(402)의 회동축에 결합된 마개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개는 평상시에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 방향으로 향하여 있고, 물탱크의 세척수가 물 배출구로 배수되어 흐를 때는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흐름에 의한 압력에 의해 회동축에 의하여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좌우로 약간씩 같이 움직이고, 물의 흐름이 종료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어 다시 아래 방향으로 열려 있는 도 4의 상태로 돌아간다.
즉,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의 마개는 양변기 작동에 문제가 없으면 도 4와 같은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본 발명에서 마개가 회동축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마개(500)나 연결 다리(502)가 회동하다가 고정수단(300)과 닿거나 마개가 회동하다가 몸체 하부 단부(403)에 닿는 범위가 된다.
즉, 본 발명 역류 방지 장치의 마개는 물탱크에서 물의 흐름이 중단되고 양변기의 오염수 외부 배출 작동이 중단된 후에, 개폐되는 일종의 밸브 역할을 하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에서, 평시 역류 방지 장치의 몸체 하단부(403)를 막는 구조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마개와 회동축의 위치가 도 2 내지 도 7에서 물덮개가 움직이는 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마개가 회동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도면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양변기 조작 레버(601)의 위치나 물탱크(602)의 구조에 따라 물덮개의 회동 방향이나 마개의 회동 방향을 적절히 설계하여 본 발명 역류 방지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설명과 관련된 도면은 본 발명 구조의 예시 중 하나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의 마개 부분은 양변기의 원활한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기능을 가지면서 물의 흐름에 따라 회동축에 의하여 원래의 아래 방향과 물의 흐름에 의하여 최대로 몸체 부분 등에 걸려 회동이 멈출 때까지 움직이는 것 이외에는 정상적으로 양변기가 작동할 때에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로우탱크형 양변기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닌 즉, 오염된 세척수 배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오염된 세척수 역류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본 발명 역류 방지 장치의 마개(500) 부분은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기존에 흐르던 방향과는 정반대의 흐름에 따른 힘에 의하여 평소 움직이던 방향과 정반대로 회동하여 움직이면서 몸체 하부 단부(403)에 접하면서, 역류된 오염된 세척수의 흐름이 물덮개를 열고 그 위로 배출되어 물탱크 내부의 기존의 깨끗한 물과 섞여 결과적으로 오염수로 오염된 물탱크로 만드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렇게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물의 흐름 방향에 따른 힘에 의해 마개 부분의 역할은 오염된 세척수가 역류될 때 마다 그 힘에 의하여 자동으로 몸체 하부 단부를 막아 더 이상 오염된 세척수가 물덮개를 열고 물탱크로 들어오는 현상을 막게 되고, 역류되는 흐름이 더 이상 없을 때에는 마개가 중력에 의하여 아래 부분으로 회동하나 역류하는 흐름이 없으므로 역류 흐름 힘에 의하여 물덮개는 열리지 않으므로 물탱크가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오염된 세척수의 역류 힘은 강력한 힘이 아니므로 마개 부분이 물 배출구를 막으면 더 이상 역류 방지 장치에서 물덮개 부분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효과가 구현된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역류되는 힘이 강하거나 여러 가지 다양한 이유로 외부 충격파와 같은 힘이 가해져 물덮개 부분이 개방되어 물탱크가 오염된 세척수로 인하여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마개 부분이 물 배출구를 완전히 막아야 더 이상 오염된 세척수의 역류를 막을 수 있으므로, 마개 부분에서 물 배출구와 만나서 접하는 부분인 플라스틱 재질의 마개 면에 고무 재질 층을 더 형성시키거나, 플라스틱 재질인 물 배출구 테두리 부분에 고무 재질 층 부분을 링 형태로 더 형성시키거나, 마개 쪽 면과 물 배출구 테두리 부분 모두 고무 재질 층 부문을 더 형성시켜 마개 부분이 회동하여 물 배출구를 막을 때 밀착 효과를 높여 폐색(閉塞)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장치에서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402) 부분에 구비되는 회동축(501) 부분은 도 2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18에서 볼 수 있듯이 그 구조가 단순히 마개 부분이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구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기능은 오염된 세척수를 물탱크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야 그 기능을 완수할 수 있으므로, 결국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마개가 물 배출구(401) 부분을 완전히 막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회동축의 힌지 부분이 몸체 하부 연장부에서 가깝지 않고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설계되어야 마개가 물 배출구(401) 부분을 완전히 막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동축(501) 부분을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402)에서 더 나오게 회동축 지지부(503)를 만들고 이 회동축 지지부에 회동축(501)을 만든 다음 이 회동축에 연결다리(502)를 구성하고 이를 마개(50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는 도 4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몸체부에서 같은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서 볼 대 고정수단(300) 면 기준으로 약 10도 내지 20도의 각도(A)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몸체 하부 연장부는 도 4 및 도 18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같은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뒤에 설명될 회동축 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더 길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회동축 지지부가 있는 쪽이 더 연장되고, 그 반대편은 조금 짧게 연장되어, 결과적으로 측면에서 볼 때에는 경사진 모습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 경사도가 10도 내지 15도 정도로 실시하였으나, 경사진 면을 형성하여 몸체 하부 단부를 만들면 마개와 자연스럽게 역류 흐름의 힘에 의하여 닫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만일 몸체 하부 단부가 측면에서 볼 때 경사진 구조를 가지지 않으면, 회동축 지지부에 형성된 회동축을 따라서 회동하는 연결다리와 마개가 효과적으로 몸체 하부 단부를 막지 못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취하면 마개의 회동 움직임이 다른 부분에 의하여 간섭을 최대한 받지 않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오염된 세척수의 흐름에 의하여 마개가 제한 없이 완전히 회동하여 물 배출구를 완전히 막아 오염된 세척수가 물탱크 쪽으로 역류하여 물탱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역류 방지 장치는 기존의 양변기 하부에서 냄새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거나 오염된 세척수가 물탱크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일반적인 양변기 장치에 있어서 그 회동 구조의 힌지가 단순히 사이펀의 고정수단 부분에 형성되어 그 회동 반경이 좁고, 나아가 역류되는 냄새나 오염된 세척수를 막는 부분이 전부가 아닌 일부분이거나, 전부를 막는다고 하여도 힌지 부분의 본 발명과 다른 설계로 인해 회동 각도가 제한됨으로 인하여 완전히 폐색(閉塞)하는 기능을 상실하여 냄새나 오염된 세척수의 흐름을 막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양변기 역류 방지 장치는 양변기의 물탱크에 갑작스러운 단수 현상으로 물탱크에 물이 없어 오염된 세척수가 양변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물덮개를 열고 물탱크 쪽으로 들어오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402)에 회동축 지지부(503)를 구성하여야 하므로 아래로 고정수단과 고정패킹부를 지나서 몸체의 하부에서 몸체 하부 단부(403)의 길이보다 더 긴 형태로 체 하부 부분 연장부(402)가 뻗어 있어야 회동축 지지부(503)를 여기에 만들 수 있고, 이렇게 회동축 지지부가 몸체부와 어느 정도 떨어져 있으므로 물탱크에서 흐르는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오염된 세척수가 역류될 때에만 마개가 회동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의 길이(D)는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1 내지 2cm 범위에서 설계할 수 있으며, 보통 사용되는 표준 크기의 사이펀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1.5cm의 길이로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는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획기적으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과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위와 같은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의 길이는 양변기의 구조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그 길이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냄새 등의 역류를 막는 마개를 갖는 구조의 장치를 보면, 물 배출구나 몸체 하부 단부(최종적으로 물이 빠져 나가는 곳)에 힌지 구조를 갖는 마개를 설치하여, 물탱크에서 물이 빠져 나가면서 마개 부분을 회동시켜 탱크에서 물을 배출하고, 오염된 세척수 등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역류할 때 일종의 체크 밸브 역할로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배출구를 막는 구조로 된 것이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체크 밸브 역할 장치는 원래의 물탱크에서의 흐름을 방해할 수도 있고, 나아가 힌지의 위치가 몸체 하부 단부에 직접적으로 위치하여 90도의 방향으로 배출구의 입구를 완전히 밀착하여 막지 못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역류되는 물의 흐름을 막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는 구조적인 설계 개선으로 종래기술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 방지 장치의 실시예(시제품) 중 하나를 사진으로 나타낸 도 12 내지 도 18을 보면, 회동축(501)을 따라서 마개(500)가 회전하는데 그 회동 범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개가 회전하면서 몸체 하부 단부(403)와 만나거나 고정수단(300) 부분과 만날 때까지 자유롭게 회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402)와 그 경사진 구조 및 연장부 길이를 시제품의 형상과 모양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통상의 기술자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장치를 로우탱크형 양변기에 적용함으로써 오염된 세척수의 물탱크 쪽으로 역류하여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우탱크형 양변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6)

  1. 몸체, 물덮개, 고정수단, 고정패킹, 물배출구를 갖는 사이펀 구조의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에 있어서,
    물탱크 쪽으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의 회동축에 연결다리로 연결된 마개를 구비하고,
    고정패킹의 재질은 고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동축(501)은 회동축 지지부(503)와 연결되는 부분이 더 길게 형성되어 경사진 모습의 몸체 하부 부분 연장부(402)의 몸체 하부 단부(403)의 회동축 지지부(503)에 연결되고, 마개(500)와 회동축 지지부(503)는 연결 다리(502)로 서로 연결되어 회동하며,
    마개는 양변기 보울에서 물이 역류할 때 몸체 하부 단부를 막아 역류된 물의 흐름이 물덮개를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2. 청구항 1의 역류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로우탱크형 양변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60887A 2023-05-11 2023-05-11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KR102601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887A KR102601393B1 (ko) 2023-05-11 2023-05-11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887A KR102601393B1 (ko) 2023-05-11 2023-05-11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393B1 true KR102601393B1 (ko) 2023-11-10

Family

ID=8874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887A KR102601393B1 (ko) 2023-05-11 2023-05-11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3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86B1 (ko) * 2008-05-14 2009-06-04 이수인 (주)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101010343B1 (ko) * 2008-11-25 2011-01-25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KR101269029B1 (ko) * 2011-10-14 2013-05-29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KR101689676B1 (ko) * 2015-06-23 2016-12-26 정미주 양변기의 역류방지장치
US20180171616A1 (en) * 2016-12-15 2018-06-21 Keith Singbeil Sewag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86B1 (ko) * 2008-05-14 2009-06-04 이수인 (주)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101010343B1 (ko) * 2008-11-25 2011-01-25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KR101269029B1 (ko) * 2011-10-14 2013-05-29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KR101689676B1 (ko) * 2015-06-23 2016-12-26 정미주 양변기의 역류방지장치
US20180171616A1 (en) * 2016-12-15 2018-06-21 Keith Singbeil Sewage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0295B2 (ja) 溢れ防止補助水槽を有する洋風便器
US5421361A (en) Float operated fill valve
JP5396679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逆流止め装置
JP7441872B2 (ja) 水洗大便器
JP5051611B2 (ja) 水洗大便器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100408075B1 (ko) 절수용 변기
CN105074104B (zh) 用于冲洗阀的溢流排气罩
KR102601393B1 (ko) 로우탱크형 양변기의 역류 방지 장치
JPS6172144A (ja) 便器洗浄装置
JP4877034B2 (ja) ターントラップ式水洗便器
KR101789012B1 (ko) 유연성 트랩
JP7411926B2 (ja) 水洗便器及び便器装置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JP4265507B2 (ja) 水洗便器
KR200374754Y1 (ko) 개량 좌변기
JP3879743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03107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2189021B1 (ko)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KR200229719Y1 (ko) 소변기의 세정제 자동공급장치
KR200197292Y1 (ko) 물탱크용 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CN211113932U (zh) 一种防止污水回流的马桶
KR200470846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밸브
KR200388665Y1 (ko)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