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002B1 - 양변기용 배출유닛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배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002B1
KR101534002B1 KR1020130159190A KR20130159190A KR101534002B1 KR 101534002 B1 KR101534002 B1 KR 101534002B1 KR 1020130159190 A KR1020130159190 A KR 1020130159190A KR 20130159190 A KR20130159190 A KR 20130159190A KR 101534002 B1 KR101534002 B1 KR 10153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scharge pipe
closing lid
hinge
eccen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2000A (ko
Inventor
간대현
Original Assignee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0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조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여 탈취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용 배출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은, 양변기가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편심부재와, 상기 편심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의 하단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덮개는 배출관의 하단 개구에 힌지유닛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폐덮개의 힌지유닛에 인접한 부분에는 웨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는 개폐덮개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중을 인가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배출유닛{DICHARING UNIT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의 배수구에 접속되어 오폐수를 정화조에 연통된 하수구로 배출하기 위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조에서 발생한 악취가 양변기의 관로를 통하여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여 탈취성능을 더 향상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용 배출유닛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라 함은 앉아서 대소변을 보기 위한 서양식 변기로서, 이러한 양변기는 소변 및 대변의 오폐수를 수압에 의해 정화조로 배출하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구성이고, 가정이나 업무용 건물 등의 화장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양변기의 트랩 등에는 배수구가 마련되고, 이러한 양변기의 배수구에는 양변기용 배출유닛이 설치된다.
이러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은 양변기의 배수구와 하수구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변기에 사용되는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과 하수관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고, 특히 양변기 설치시 콘크리트 상단 위에 안착되어 배수관과 하수관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출유닛의 설치 위치가 시공등의 부실로 요철이 발생할 경우, 그 평탄도가 적절하지 못함에 따라 기폭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고, 또한 배출유닛이 벽면과 밀접하게 접합되어 양변기의 배수구와 하수구 사이를 연결하면, 배출유닛의 연결부가 이탈되어 이형관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관로의 유동성이 나빠, 오폐수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결성 및 밀착성 부족 등으로 인해 누수와 악취가 발생하고, 기울거나 틈새 부족 등으로 인하여 앵커볼트 간의 간격불량, 인접거리 부족 등에 의하여 재시공을 하거나 바닥면을 절개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양변기의 설치시에 밀착성 부족으로 하수관에서 역류하는 누수와 역겨운 냄새가 확산 됨으로써 비위생적이고, 불쾌감이 지적되고, 누수로 인하여 부식이 촉발되고, 주변환경이 오염되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164091 B1(2012.07.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양변기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배출시킬 때 누수가 발생됨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더불어 정화조에서의 악취가 역류함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 안전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또한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킨 양변기용 배출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은,
양변기가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편심부재와, 상기 편심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의 하단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덮개는 배출관의 하단 개구에 힌지유닛을 통해 회동가능하고, 개폐덮개의 힌지유닛에 인접부에는 웨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웨이트는 개폐덮개의 폐쇄를 유지하도록 하중을 인가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덮개의 중심부에는 보강돌출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유닛은 배출관의 일측에 마련된 제1힌지부와, 타측에 제1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2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핀을 포함하고, 제2힌지부의 일측에는 개폐덮개가 하향 회동하여 개방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개폐덮개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에 안착되는 걸림테두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하단 일측과 개폐덮개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개폐덮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재의 중심부에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의 주변에는 원호형의 슬롯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재의 천공부 내주가장자리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편심부재의 상단에는 안착부재의 걸림홈에 안착되는 걸림테두리가 외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재의 걸림홈 외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안착부재의 외주가장자리에는 돌출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심부재에는 중심축선에 대해 편심된 편심구멍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출관의 하단 개구에 마련된 개폐덮개는 배출되는 오폐수에 의해 개방된 이후에 웨이트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출관의 하단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배출시킬 때 발생하는 누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더불어 정화조에서 역류하는 악취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을 조성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의 배출관과 하수관의 이격을 미세하게 조정가능하고, 콘크리트 상부에 지지기반을 조성하여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시공가능하고, 시공부실로 설치 위치가 협소하거나 요철부에 의하여 평탄성을 이루지 못하고 기폭에 의하여 기울어진 연결부에 이형관을 사용하지 않고 직관을 사용함으로써 관로의 유동성이 원활하게 향상되고, 연결성 및 밀착성 부족에 의하여 누수와 악취의 원인을 사전 제거하고, 앵커볼트 간의 간격유지, 인접거리 유지 등에 의하여 재시공하는 것을 사전방지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이 양변기의 배수구와 하수구 사이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배출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배출유닛의 안착부재, 편심부재, 배출관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배출관의 개폐덮개가 폐쇄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배출관의 개폐덮개가 회동하여 개방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배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의 편심부재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배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용 배출유닛은 양변기(10)가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안착홈(2)에 안착되는 안착부재(100)와, 안착부재(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편심부재(200)와, 편심부재(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출관(300)을 포함한다.
안착부재(100)는 양변기(10)가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1)의 안착홈(2)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안착부재(100)의 중심부에는 천공부(101)가 형성되고, 천공부(101)의 내주가장자리에는 편심부재(200)의 걸림테두리(202)가 안착되는 걸림홈(102)이 형성된다. 천공부(101)의 주변에는 원호형의 슬롯부(105)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슬롯부(105)의 단부에는 앵커볼트(B)가 끼워져 유동할 수 있는 유동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롯부(105)에 의해, 도 7과 같이 안착부재(100)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앵커볼트(B)의 체결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격, 거리 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재(100)의 저면에는 도 8과 같이 다수의 리브(108)를 형성하여 그 강성을 보강하고, 리브(108)들 사이에는 오목한 함몰부를 형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그 함몰부들에 충진되어 일체로 결착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재(100)의 걸림홈(102)의 외측에는 걸림턱(106)이 형성되고, 이 걸림턱(106)은 상부로 돌출되고, 이러한 걸림턱(106)의 돌출된 높이는 하중과 충격력 등과 같은 외력 조건과 주변 환경 등에 따라 가변한다. 또한, 안착부재(100)의 외주가장자리에는 돌출테두리(104)가 상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테두리(104)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앵커볼트(B)의 이탈이 방지됨과 더불어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편심부재(200)는 상단에 안착부재(100)의 걸림홈(102)에 안착되는 걸림테두리(202)가 외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걸림테두리(202)는 하중과 중력에 의해 안착부재(100)의 평활한 걸림홈(102)에 밀착된다.
벽면, 바닥면, 앵커볼트, 안착부재 등의 위치에 따라 걸림테두리(202)를 안착부재(100)의 걸림홈(102)에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함으로써 인접부재 간의 거리와 간격 등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걸림테두리(202)는 편심부재(200)의 상단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편심부재(200)에는 중심축선에 대해 편심된 편심구멍(201)이 형성되고, 편심부재(20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부(203)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홈부(203)에 의해 누수와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배출관(300)은 중공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수구(3)를 향해 배치되고, 배출관(300)의 상단에는 변기(10)의 배수구(15)가 연결되는 연결지지부(304)가 형성되고, 연결지지부(304)의 하부에는 안착턱(301)이 형성되며, 이러한 안착턱(301)은 편심부재(200)의 편심구멍(201)에 안착된다.
배출관(300)의 하단에는 테이퍼부(306)에 의한 축경부(305)가 형성되고, 이에 양변기(10)의 배수구(15)에서 배출되는 오폐수가 하수구를 향하여 흘러갈 때 축경부(305)를 통해 이동속도를 증가하여 신속하게 배출함으로써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악취가 역진하는 것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300)의 하단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개폐덮개(400)가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덮개(400)는 배출관(300)의 하단 개구에 힌지유닛(50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덮개(400)의 힌지유닛(500)에 인접한 부분에는 웨이트(402)가 설치되며, 웨이트(402)는 개폐덮개(400)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즉, 도 4와 같이 개폐덮개(4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중을 인가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양변기(10)의 배수구(15)를 통해 오폐수가 배출되면 웨이트(402)에 의해 배출관(300)의 하단개구를 폐쇄하는 개폐덮개(400)는 오폐수로 인해 개방되고, 그 후에 오폐수의 배출이 끝나면 웨이트(402)의 자중으로 인해 개폐덮개(40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출관(300)의 하단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것으로 용변 이외에는 정화조의 연결관과 격리되어 악취가 관로를 통하여 화장실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사전방지 할 수 있다.
개폐덮개(400)의 중심부에는 보강돌출부(405)가 상향으로 돌출하고, 이 보강돌출부(405)에 의해 배출되는 오폐수와의 충격력으로부터 충격력을 완화하여 개폐덮개(400)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유닛(500)은 배출관(300)의 일측에 마련된 제1힌지부(501)와, 개폐덮개(400)의 일측에 제1힌지부(50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2힌지부(502)와, 제1힌지부(501)와 제2힌지부(502)에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핀(503)을 포함한다.
당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일체로 제작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힌지부(502)의 일측에는 개폐덮개(400)가 하향으로 회동할 경우 개방도를 일정하게 규제하는 스토퍼(50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배출관(300)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걸림턱(309)가 형성되고, 개폐덮개(400)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309)가 안착되는 걸림테두리(409)가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턱(309) 및 걸림테두리(409)에 의해 개폐덮개(400)에 의한 기밀한 폐쇄상태를 매우 치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배출관(300)의 하단 일측과 개폐덮개(400) 사이에는 체인, 연결재 등과 같은 연결부재(410)가 연결되고, 이 연결부재(410)에 의해 개폐덮개(4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배출관(300)의 하단 개구에 개폐덮개(400)가 배출되는 오폐수에 의해 개방된 이후에 웨이트(402)의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배출관(300)의 하단 개구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으므로, 양변기의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를 배출시킬 때 누수가 발생됨을 원천적으로 차단함과 더불어 정화조에서의 악취가 역류함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기의 배출관과 하수관의 이격을 미세하게 조정가능하고, 콘크리트 상부에 지지기반을 조성하여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시공가능하고, 시공부실로 설치 위치가 협소하거나 요철부에 의하여 평탄성을 이루지 못하고 기폭에 의하여 기울어진 연결부에 이형관을 사용하지 않고 직관을 사용함으로써 관로의 유동성 향상, 연결성 및 밀착성 부족에 의하여 누수와 악취의 원인을 사전 제거하고, 앵커볼트 간의 간격유지, 인접거리 유지 등에 의하여 재시공하는 것을 방지하여 공사비 절감과 공사기간 단축, 편리하고 쾌적한 안식처를 조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0: 안착부재 101: 천공부
102: 걸림홈 104: 돌출테두리
105: 슬롯부 106: 걸림턱
200: 편심부재 201: 편심구멍
202: 걸림테두리 203: 홈부
300: 배출관 301: 걸림턱
304: 연결지지부 305: 축경부
400: 개폐덮개 402: 웨이트
405: 보강돌출부 500: 힌지유닛
501: 제1힌지부 502: 제2힌지부
503: 힌지핀 504: 스토퍼

Claims (9)

  1. 양변기가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편심부재와, 상기 편심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의 하단 개구에는 개폐가능한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덮개는 배출관의 하단 개구에 힌지유닛을 통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힌지유닛의 인접부에는 웨이트가 설치되어 개폐덮개 폐쇄를 유지하도록 하중을 인가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고,
    개폐덮개의 중심부에는 보강돌출부가 상향으로 돌출하는 것이며,
    배출관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개폐덮개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에 안착되는 걸림테두리가 마련되는 것이고,
    안착부재의 저면에 다수의 리브를 두어 강도를 보강하고 상기 리브들 사이에는 오목한 함몰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가 일체로 결착하고 상기 배출관의 하단에는 테이퍼부에 의한 축경부 형성으로 신속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악취 역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출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배출관의 일측에 마련된 제1힌지부와, 타측에 제1힌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2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와 제2힌지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핀을 포함하고, 제2힌지부의 일측에는 개폐덮개가 하향 회동하여 개방도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출유닛.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하단 일측과 개폐덮개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개폐덮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출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중심부에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의 주변에는 원호형의 슬롯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출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천공부 내주가장자리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편심부재의 상단에는 안착부재의 걸림홈에 안착되는 걸림테두리가 외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출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걸림홈 외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안착부재의 외주가장자리에는 돌출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출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재는 중심축선에 대해 편심된 편심구멍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의 홈부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배출유닛.
KR1020130159190A 2013-12-19 2013-12-19 양변기용 배출유닛 KR101534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90A KR101534002B1 (ko) 2013-12-19 2013-12-19 양변기용 배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90A KR101534002B1 (ko) 2013-12-19 2013-12-19 양변기용 배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00A KR20150072000A (ko) 2015-06-29
KR101534002B1 true KR101534002B1 (ko) 2015-07-16

Family

ID=53518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190A KR101534002B1 (ko) 2013-12-19 2013-12-19 양변기용 배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6574B (zh) * 2020-05-12 2021-05-11 湖南省妇幼保健院 一种医疗用防病毒粪口传播的坐便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92Y1 (ko) * 2005-06-23 2005-09-07 안영규 역류차단기
KR101202071B1 (ko) * 2010-07-15 2012-11-15 김옥현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KR101451688B1 (ko) * 2013-05-22 2014-10-22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하수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192Y1 (ko) * 2005-06-23 2005-09-07 안영규 역류차단기
KR101202071B1 (ko) * 2010-07-15 2012-11-15 김옥현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KR101451688B1 (ko) * 2013-05-22 2014-10-22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하수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000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9838A1 (en) Floor drain
US20120012193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of fill valve in water toilet
KR101451688B1 (ko) 양변기용 하수구조체
US20220349168A1 (en) Plumbing fixture with drain-casted jet orifice
KR101534002B1 (ko) 양변기용 배출유닛
JP2012127135A (ja) トイレの排水構造
EP2778303B1 (en) Anti-siphonic toilet
US20160273666A1 (en) Mechanical valve for a waterless urinal
KR101760682B1 (ko) 초절수 양변기
KR20150003341A (ko) 절수형 좌변기
KR101674159B1 (ko) 욕조 배수장치
KR20110123174A (ko) 악취 차단형 배수구
JP3189917U (ja) マンホール接続型災害用トイレセット
KR200463421Y1 (ko) 배수 트랜치
KR101269029B1 (ko) 양변기 수조의 역류 방지장치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1243894B1 (ko) 위생기의 트랩과 오배수관의 연결구조
KR20210059288A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RU2371552C2 (ru) Убирающееся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анузла
JP7253683B2 (ja) 排水器のフランジ部付き部材及び該部材の金型構造
KR200341855Y1 (ko) 배수관 가변 조립체
KR20130033855A (ko) 양변기
KR20130043318A (ko) 2단으로 개폐판을 구비한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20170117853A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