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192Y1 - 역류차단기 - Google Patents

역류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192Y1
KR200395192Y1 KR20-2005-0018113U KR20050018113U KR200395192Y1 KR 200395192 Y1 KR200395192 Y1 KR 200395192Y1 KR 20050018113 U KR20050018113 U KR 20050018113U KR 200395192 Y1 KR200395192 Y1 KR 200395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main body
blocking film
ring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규
Original Assignee
안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규 filed Critical 안영규
Priority to KR20-2005-0018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본체와 핀결합되어 자유회동이 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차단막이 자유회동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차단기{Backflow Preventer}
기술분야
본 고안은 욕실 , 다용도실 등의 배수관에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 및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본체와 핀결합되어 자유회동이 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차단막이 자유회동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역류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역류차단기(또는 배수트랩)이란 욕실, 다용도실 등의 바닥면에 하수관과 함께 매설되도록 설치되어 각종 생활오수가 하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수관으로부터 오수 또는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역류차단기(또는 배수트랩)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배수공이 천공된 덮개가 마련되어 있어 생활오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걸러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역류차단기(또는 배수트랩)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하단에 물수장홈(112)이 형성된 배수구(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턱(100')에 안착되며 이물질 등을 걸러주고 오수만을 배출하는 다수 개의 배수공(113')이 천공되고 중앙하단에 반구형의 차단판(117)이 나사결합된 덮개(113);로 이루어져 하수구에서 역류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역류차단기(또는 배수트랩)에 의하면 유입되는 오수를 안내하기 위한 차단판(117)이 덮개(113)의 하단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는 바, 배수구(111)로 유입되는 오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111)와 차단판(117)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부가 협소하여 단위 시간 당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이 제한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오수의 배출속도가 떨어져 배출력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배수공(113')을 통과한 미세한 오염물질들이 오수와 함께 신속히 배출되지 못하고 역류차단기 내부에 잔존하여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종래의 역류차단기의 다른 구체예로서 도2에 도시된 역류방지 배수장치가 있다.
도2에 도시된 역류방지 배수장치는 배수공이 형성된 통형의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중앙부 하단으로 걸이구가 형성된 걸름망(40);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걸름망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50); 상부에 걸이구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의 내측에 위치되는 작동핀(70); 상기 걸름망(40)과 작동핀(70)의 걸이구에 각각 상,하부가 체결되는 탄성부재(S); 및, 상기 작동핀(70)의 하단부에 체결 고정되는 밸브시트(80);가 마련되어, 신속한 오수의 배출이 가능하고 오수 및 악취의 역류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역류방지 배수장치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탄성부재(S)로서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한 경우 장기간 사용 시 여러가지 오염물질들이 내부 구조에 점착하여 악취를 유발하게 되고, 이러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거작업 자체가 상당히 번거로움은 물론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장된 스프링은 지속적으로 습기에 노출되는 바, 산화가 촉진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며, 특히 스프링의 틈새에는 오염물질이 쉽게 점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역류차단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오수 및 역류의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역류차단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보다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이루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역류차단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배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본체와 핀결합되어 자유회동이 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차단막이 자유회동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인 역류차단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수관과 연결되는 본체(200) 및,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200)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배출구(210)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300)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본체(200)와 핀결합되어 자유회동이 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210)를 차단하고,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차단막(300)이 자유회동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출구(210)를 개방하게 된다.
본체(200)는 배수관에 연결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210)가 차단막(300)에 의하여 차단되는 경우 그 내부에 물이 채워지도록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20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하중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면 그 하중에 의하여 본체(200) 하부의 차단막(300)이 개방되어 배출구(210)를 통하여 저장된 물이 배출된다.
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210)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구비된다.
차단막(300)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본체(200)와 핀결합되며, 차단막(300)에 외부로부터 별도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막(300)은 편향된 무게중심에 의하여 자유회동하여 배출구(210)를 차단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한편 본체(200)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물의 하중이 차단막(300)에 작용하고 물의 하중이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편향된 무게중심에 의하여 배출구(210)를 차단하고 있던 차단막(300)이 자유회동의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출구(210)를 개방하게 되고 본체(200) 내부에 채워져 있던 물이 배출구(210)를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본체(200) 내부의 물이 빠져나가게 되면 차단막(300)에 작용하던 물의 하중이 제거되고 차단막(300)은 편향된 무게중심에 의하여 자유회동하여 다시 배출구(210)를 차단하게 된다.
밸런스웨이트(310)는 차단막(300)에 구비되는데, 차단막(300)과 본체(200)가 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배출구(210)와 반대측에 구비되어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밸런스웨이트(310)가 구비되는 경우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보다 수밀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4은 본 고안인 역류차단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오링(330) 및 오링수용홈(340)의 구조를 보여준다.
오링(330)은 차단막(300)에 구비되는 오링수용홈(340)에 삽결되며, 차단막(300)이 닫히는 경우 배출구(210)의 테두리를 수밀하게 둘러싸게 된다.
오링(330)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 원호(331)와 하부 원호(332)로 구성되는 오뚜기 형상이다.
이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경우 오링(330)의 유연성이 증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구(210)의 테두리를 수밀하게 둘러싸게 된다.
즉 차단막(300)이 자유회동되어 배출구(210)를 차단하는 정도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오링(330)이 배출구(210) 테두리에 압착되어 수밀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오링수용홈(340)은 오뚜기 형상을 구성하는 하부 원호(33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면이 구비되어 오링(330)의 하부 원호(332)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오링(330)과 접촉되는 배출구(210)의 테두리에는 오뚜기 형상을 구성하는 상부 원호(331)에 대응하도록 곡면처리되어 수밀효과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도5는 본 고안인 역류차단기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탄성부재(320)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이다.
탄성부재(320)의 역할은 밸런스웨이트(310)와 마찬가지로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보다 수밀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밸런스웨이트(310) 또는 탄성부재(320)를 사용하는 경우 본체(200) 내부에 채워지는 물이 소정의 범위에 도달하면 물의 하중이 밸런스웨이트(310) 또는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을 초과하여 차단막(300)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무게 또는 탄성력을 구비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밸런스웨이트(310) 또는 탄성부재(320)는 도4 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가지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첨부도면에 구체적으로 그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밸런스웨이트(310) 및 탄성부재(320)를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밸런스웨이트(310)도 구비되고 탄성부재(320)도 구비된 역류차단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밸런스웨이트(310) 및 탄성부재(320)가 모두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밸런스웨이트(310)는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되고, 탄성부재(320)는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320)는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되고, 밸런스웨이트(310)는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경우 본체(200)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이 밸런스웨이트(310)의 하중에 의한 회동력 및 차단막(300)의 편향된 무게중심에 의한 회동력을 능가하여 차단막(300)이 배출구(210)를 차단하게 되고, 본체(200)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경우에는 밸런스웨이트(310)의 하중에 의한 회동력, 물의 하중에 의한 회동력 및 차단막(300)의 편향된 무게중심에 의한 회동력이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을 능가하여 차단막(300)이 개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의 변경, 수치의 한정, 공지된 기술수단의 부가 등은 당연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수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구비하여 차단막(300)이 개방되는 경우 배출구(210)를 통하여 본체(200)에 저장된 물이 신속하게 배출된다.
둘째, 오수 및 역류의 차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단막(300)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본체(200)와 핀결합되며, 차단막(300)에 외부로부터 별도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차단막(300)은 편향된 무게중심에 의하여 자유회동하여 배출구(210)를 차단하고 부가적으로 밸런스웨이트(310) 또는 탄성부재(320)가 구비되어 오수 및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오링(330)이 구비되어 수밀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셋째, 보다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이루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기술과 그 구조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역류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역류차단기의 다른 구체예이다.
도3는 본 고안인 역류차단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은 본 고안인 역류차단기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오링 및 오링수용홈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5는 본 고안인 역류차단기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탄성부재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본체
210:배출구
300:차단막
310:밸런스웨이트(Balance weight)
320:탄성부재
330:오링(O-ring)
331:상부 원호 332:하부 원호
340:오링수용홈

Claims (6)

  1. 배수관과 연결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차단막;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일측으로 편심된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막은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본체와 핀결합되어 자유회동이 되는 경우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차단막이 자유회동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기.
  2. 제1항에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차단막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기.
  3. 제1항에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에 밸런스웨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기.
  4. 제2항에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에 밸런스웨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기.
  5. 제2항에서,
    상기 차단막이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일측에 밸런스웨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기.
  6. 제1항 또는 제5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오링(O-ring); 및,
    상기 차단막에 구비되어 상기 오링을 수용하는 오링수용홈;
    이 더 구비되되,
    상기 오링의 단면은 내부가 비어 있고 상부 원호와 하부 원호로 구성되는 오뚜기 형상이며,
    상기 오링수용홈은 오뚜기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하부 원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면이 구비되고,
    상기 오링과 접촉되는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에는 오뚜기 형상을 구성하는 상기 상부 원호에 대응하도록 곡면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차단기.
KR20-2005-0018113U 2005-06-23 2005-06-23 역류차단기 KR200395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13U KR200395192Y1 (ko) 2005-06-23 2005-06-23 역류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13U KR200395192Y1 (ko) 2005-06-23 2005-06-23 역류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192Y1 true KR200395192Y1 (ko) 2005-09-07

Family

ID=4369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113U KR200395192Y1 (ko) 2005-06-23 2005-06-23 역류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1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30B1 (ko) 2006-12-27 2007-10-1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완충기능을 갖는 플랩밸브
KR100888222B1 (ko) 2008-07-01 2009-03-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레형 역류방지마개
KR101534002B1 (ko) * 2013-12-19 2015-07-16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배출유닛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722359B1 (ko) * 2016-10-17 2017-04-03 장진우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1840448B1 (ko) * 2017-02-20 2018-03-20 이우용 무경첩 밸브방식의 배수트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530B1 (ko) 2006-12-27 2007-10-1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상수도용 완충기능을 갖는 플랩밸브
KR100888222B1 (ko) 2008-07-01 2009-03-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레형 역류방지마개
KR101534002B1 (ko) * 2013-12-19 2015-07-16 글로벌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용 배출유닛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722359B1 (ko) * 2016-10-17 2017-04-03 장진우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1840448B1 (ko) * 2017-02-20 2018-03-20 이우용 무경첩 밸브방식의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192Y1 (ko) 역류차단기
KR101049054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1147044B1 (ko) 배수트랩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KR20080037918A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200257186Y1 (ko) 악취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트랩
TWI691634B (zh) 多功能地板排水器
KR101053435B1 (ko) 건식 싱크대 배수전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196995Y1 (ko) 배수구 냄새 역류 방지 장치
KR200472254Y1 (ko) 악취차단기
KR101101235B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JP4277083B2 (ja) 排水装置
KR20120097922A (ko) 하수구냄새트랩
KR100619180B1 (ko) 배수트랩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200313969Y1 (ko) 세면기용 트랩
KR200360419Y1 (ko) 수세식 변기의 역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