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775Y1 - 배수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775Y1
KR200174775Y1 KR2019990021529U KR19990021529U KR200174775Y1 KR 200174775 Y1 KR200174775 Y1 KR 200174775Y1 KR 2019990021529 U KR2019990021529 U KR 2019990021529U KR 19990021529 U KR19990021529 U KR 19990021529U KR 200174775 Y1 KR200174775 Y1 KR 200174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rap
drain
cas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이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재 filed Critical 이용재
Priority to KR2019990021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 트랩에 관한 것으로, 하단의 배출구(3) 둘레에 단턱(4)이 형성되고, 바닥이 배출구(3)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2)을 가지며, 상단 둘레에 플랜지(5)가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1)와;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어 배출구(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부구(6)와; 다수의 관통구멍(8)이 형성되고 플랜지(5)에 결합되는 거름망(7)으로 이루어진 배수 트랩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배수가 트랩으로 유입되면 부구(6)가 떠오르면서 배출구(3)가 열리게 되어 배수가 하수구로 배출되고, 배수가 배출되면 부구(6)가 하강되면서 배출구(3)를 막게 되므로 트랩 내에 배수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면서 악취역류를 확실하게 차단하게 되기 때문에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세개의 부품으로 전체 구성이 형성되므로 제작 공수 및 원가 절감등의 부가적인 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배수 트랩{draining trap}
본 고안은 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랩 내부에 폐수가 고여 있지 않으면서 역류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욕실, 싱크대, 세면대 등에는 트랩(trap)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 트랩은 보통 하수로 배수되는 물의 일부가 관 내에 고여 있도록 하여 하수구에서 발생되는 가스, 악취가 실내로 역류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배수 트랩은 가장 일반적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부터 본 출원인이 조사한 실용신안공고 제90-3076호, 실용신안출원 제94-13347호 등,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배수 트랩들 중, 지그재그로 절곡된 형상의 배수 트랩은 하수구로부터 가스가 역류되는 것은 방지되나, 절곡된 부위에 비교적 많은 양의 폐수가 항시 고여 있기 때문에,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고, 실용신안공고 제90=3076호, 실용신안출원 제94-13347호 등, 다른 여러 배수 트랩들은 비교적 많은 양의 폐수가 항시 고여 있을 뿐 아니라 부품수가 많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랩 내부에 폐수가 거의 고여 있지 않으면서, 하수구로부터의 악취가 역류되지 않고, 그 구조가 간단한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배수 트랩은, 배수 트랩에 있어서, 하단의 배출구 둘레에 단턱이 형성되고, 바닥이 배출구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단 둘레에 플랜지가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부구와;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플랜지에 결합되는 거름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배수가 트랩으로 유입되면 부구가 떠오르면서 배출구가 열리게 되어 배수가 하수구로 배출되고, 배수가 배출되면 부구가 하강되면서 배출구를 막게 되 므로 트랩 내에 배수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면서 악취역류를 확실하게 차단하게 되기 때문에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세개의 부품으로 전체 구성이 형성되므로 제작 공수 및 원가 절감등의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배수 트랩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도2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경사면
3 ; 배출구 4 ; 단턱
5 ; 플랜지 6 ; 부구
7 ; 거름망 8 ; 관통구멍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에서, 본 고안 배수 트랩은, 케이스(1)와 부구(6)와 거름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스(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경사면(2)이 형성되며, 경사면(2) 중앙에는 배출구(3)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3) 둘레에는 케이스(1) 내측으로 단턱(4)이 돌출되어 있으며, 케이스(1) 상단에는 플랜지(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1) 내에는 중공형이고 구형상의 부구(6)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1)의 플랜지(5)에는 다수의 관통구멍(8)이 형성된 거름망(7)이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배수 트랩은 거름망(7) 상면이 욕실, 싱크대, 세면대 바닥면과 일치하도록 설치하고, 케이스(1)의 하단을 하수구(도시안됨)에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거름망(7)의 관통구멍(8)을 통해 케이스(1)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케이스(1)의 경사면(2)을 따라 배출구(3)측으로 모이게 되고, 이때 부구(6)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에 의해 뜨게 된다.
따라서 부구(6)가 케이스(1) 내부에 유입된 물에 의해 뜨게 되면, 배출구(3)가 열리게 되어 케이스(1) 내부의 물이 하수구로 배출되며, 물이 배출되는 동안 부구(6)는 물 위에 떠 있게 된다.
한편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케이스(1) 내의 물이 배출됨에 따라 부구(6)는 점점 하강하면서 결국 단턱(4)에 안착되어 배출구(3)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배수 트랩은 물이 배출되는 동안 케이스(1) 내에 떠 있다가 물이 모두 배출되면 배출구(3)를 닫게 되므로 케이스(1) 내에 폐수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수구의 역류가스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배수 트랩은 케이스(1) 내에 폐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정량의 폐수가 저장된 상태의 종래 배수 트랩에 비해 비교적 청결하며, 케이스(1) 내부에 폐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부구(6)에 의해 배출구(3)가 확실하게 차단되므로 종래와 같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세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작이 간단하고, 이에 따라 원가가 절감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랩에 의하면, 배수가 트랩으로 유입되면 부구(6)가 떠오르면서 배출구(3)가 열리게 되어 배수가 하수구로 배출되고, 배수가 배출되면 부구(6)가 하강되면서 배출구(3)를 막게 되므로 트랩 내에 배수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면서 악취역류를 확실하게 차단하게 되기 때문에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세개의 부품으로 전체 구성이 형성되므로 제작 공수 및 원가 절감 등의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수 트랩에 있어서,
    하단의 배출구(3) 둘레에 단턱(4)이 형성되고, 바닥이 상기 배출구(3)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2)을 가지며, 상단 둘레에 플랜지(5)가 형성된 원통형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부구(6)와;
    다수의 관통구멍(8)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5)에 결합되는 거름망(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랩.
KR2019990021529U 1999-10-07 1999-10-07 배수 트랩 KR200174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29U KR200174775Y1 (ko) 1999-10-07 1999-10-07 배수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29U KR200174775Y1 (ko) 1999-10-07 1999-10-07 배수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4775Y1 true KR200174775Y1 (ko) 2000-03-15

Family

ID=1959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529U KR200174775Y1 (ko) 1999-10-07 1999-10-07 배수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7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18B1 (ko) * 2013-08-19 2015-0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성 악취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418B1 (ko) * 2013-08-19 2015-01-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성 악취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KR200174775Y1 (ko) 배수 트랩
JPH06306908A (ja) 排水トラップ
JP2007255153A (ja) 排水トラップ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273523Y1 (ko) 건축물에서 부력을 이용한 유해가스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257186Y1 (ko) 악취방지용 부표가 장착된 배수트랩
KR100739365B1 (ko) 배수트랩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200348050Y1 (ko) 세면기용 트랩 배수관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331009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305366Y1 (ko) 배수 트랩
KR100432272B1 (ko) 기능성트랩 소재구
KR200403107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0712963B1 (ko) 배수관용 소음 및 역유입 방지장치
JP3541290B2 (ja) 排水トラップ
JP4099574B2 (ja) 排水装置
JP4277083B2 (ja) 排水装置
KR200369491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