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237B1 -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 Google Patents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237B1
KR102116237B1 KR1020180171789A KR20180171789A KR102116237B1 KR 102116237 B1 KR102116237 B1 KR 102116237B1 KR 1020180171789 A KR1020180171789 A KR 1020180171789A KR 20180171789 A KR20180171789 A KR 20180171789A KR 102116237 B1 KR102116237 B1 KR 10211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pipe
support member
coupled
rota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손잡이가 배수구에 비스듬히 결합되면서 회전손잡이에 고정된 걸림지그가 배수구의 걸림돌기를 회전시켜 분리하므로 욕조를 들어내지 않고도 배수구 몸체를 손쉽게 청소 및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배수관의 상부에 안착 결합된 센터지지부재가 회전봉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Separation structure of drain outlet using jig}
본 발명은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손잡이가 배수구에 비스듬히 결합되면서 회전손잡이에 고정된 걸림지그가 배수구의 걸림돌기를 회전시켜 분리하므로 욕조를 들어내지 않고도 배수구 몸체를 손쉽게 청소 및 유지보수할 수 있으며 배수관의 상부에 안착 결합된 센터지지부재가 회전봉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의 바닥에는 사용 후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는 욕조에 물을 저장할 때에는 마개를 끼워 물을 저장하고, 물을 배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배수구로부터 마개를 분리시켜 배수구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욕조의 배수구는 욕조에 있는 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이와 함께 배수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이 배수구 몸체에 걸리면서 욕조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배수구 몸체에 고정된 배수관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이물질들의 청소 자체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욕조 배수장치는, 욕조의 하부에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욕조의 배수구멍에 체결고정부재가 체결되며, 상기 배수구와 체결고정부재에 오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오수안내구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욕조의 이물질 걸름구조는, 하단에 받침 플랜지를 구비하며 방사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종살부재와 횡살부재를 통해 망체로 구성되며 표면에 경사 곡면부가 구비되도록 반구형으로 구성되는 그릴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일체로 구성되는 손잡이부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배수구의 내부에 오수안내구를 안착시켜 이물질을 걸러주게 되므로 배수구에 이물질이 걸리게 되면 오수안내구를 분리시켜 간편하게 청소할 수는 있으나, 오수안내구의 분실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배수구 소켓 내부에 걸름그릴이 안착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므로 걸름그릴이 분실될 경우 걸름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이물질이 오수관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이물질 걸름장치의 분실을 방지 하기 위해 욕조의 설치공에 체결구를 설치하여 이들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체결구를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욕조를 들어내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비용이 지출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4159호(2016.11.02.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6229호(2004.10.08. 공개)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손잡이가 배수구에 비스듬히 결합되면서 회전손잡이에 고정된 걸림지그가 배수구의 걸림돌기를 회전시켜 분리하므로 욕조를 들어내지 않고도 배수구 몸체를 청소 및 점검 또는 유지보수할 수 있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터지지부재가 배수관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므로 회전봉의 회전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는, T자형의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봉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수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손잡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센터지지부재;
상기 회전손잡이와 센터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센터지지부재를 탄력있게 가압하여 배수관에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봉 단부에 고정공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양측에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걸림지그;
욕조의 설치공에 결합되어 욕조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구 몸체에 고정되며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손잡이가 배수관에 비스듬히 결합되면서 센터지지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배수관에 안착되며 걸림지그의 걸림편이 배수관의 걸림돌기를 회전시켜 욕조로부터 배수관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터지지부재는,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형성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는 이동돌기;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에 관통되는 이동안내공;
상기 이동안내공의 주변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홈은 스프링의 압축시 스프링을 수용하면서 불규칙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손잡이를 배수관에 결합시, 센터지지부재가 회전봉에 안내되어 회전손잡이 상부로 이동되며, 결합이 완료되면 센터지지부재의 안착턱이 배수관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에 의하면, 회전손잡이가 배수구에 비스듬히 결합되면서 회전손잡이에 고정된 걸림지그가 배수구의 걸림돌기를 회전시켜 분리하므로 욕조를 들어내지 않고도 배수구 몸체를 청소 및 점검 또는 유지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에 의하면, 센터지지부재가 배수관의 상부에 안착 결합되므로 회전봉의 회전시 흔들림을 방지하여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 치공구에 의해 배수관이 분리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100)는, 회전손잡이(110), 센터지지부재(120), 스프링(130), 걸림지그(140), 배수관(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10)는 'T'자형으로 형성되며, 세로방향으로는 회전봉(111)이 형성되어 끝단부에는 걸림지그(140)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봉(111)은 걸림지그(140)에 억지끼움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센터지지부재(120)는, 외주면에 안착턱(121')이 형성되는 지지몸체(121)가 배수관(150)의 내주면에 결합되면서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지지몸체(121)의 상부는 위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몸체(121)의 상부 양측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이동돌기(122)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회전손잡이(110)의 회전봉(1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동안내공(123)이 관통된다.
상기 이동안내공(123)은 지지몸체(121) 상부가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회전봉(111)을 안내하는 면적을 높여 흔들림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 이동안내공(123)의 주변에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요입되는 장착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24)은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센터지지부재(120)의 이동으로 스프링(130)이 압축될 경우, 상기 스프링(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체를 수용하여 불규칙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130)의 하단부는 센터지지부재(120)의 장착홈(124)에 장착되고 상단부는 회전손잡이(110)에 밀착되어 탄력있게 압축 및 복원된다.
또한, 상기 걸림지그(140)는 회전손잡이(110)의 회전봉(111) 하단부에 고정되도록 중앙에 고정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141)의 양측에는 걸림편(142)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욕조(10)의 바닥면에는 설치공(11)이 형성되며, 상기 욕조(10)의 하부에는 배수구 몸체(20)가 설치된다.
상기 설치공(11)에는 배수관(150)이 결합되어 배수구 몸체(2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배수관(150)의 하부에는 서로 대향하게 걸림돌기(15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잡이(110)를 파지하여 배수관(15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센터지지부재(120)를 회전손잡이(110)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센터지지부재(120)는 스프링(130)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회전봉(11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110)를 비스듬히 기울인 후, 회전봉(111)의 하단부에 고정된 걸림지그(140) 일측을 배수구(150)의 하부로 먼저 결합하고, 회전손잡이(110)를 수직으로 세우면서 걸림지그(140)의 타측을 배수구(150) 하부로 결합시킨다.
상기 걸림지그(140)를 배수관(150)에 고정시킨 후, 파지하고 있던 센터지지부재(120)를 놓게 되면, 스프링(130)의 탄성에 의해 하부로 복원되면서 센터지지부재(120)를 배수관(15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상기 센터지지부재(120)의 지지몸체(121)가 배수관(150)의 내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안착턱(121')이 배수관(15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센터지지부재(120)가 배수관(150)에 안착 고정되므로 회전손잡이(110)의 회전봉(111)이 수직을 이루게 되며, 상기 회전봉(111)이 지지몸체(121)의 중앙에 형성된 이동안내공(123)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회전손잡이(110)의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손잡이(110)를 회전시켜 걸림지그(140)의 걸림편(142)이 배수관(150)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51)에 걸리도록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강한 가압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편(142)이 걸림돌기(151)를 회전시키면서 배수관(150)이 욕조(10) 하부의 배수구 몸체(2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배수관(150)이 분리되면, 욕조(10) 하부에 고정된 배수구 몸체(20)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한 후, 치공구를 이용하여 배수관(150)을 욕조(10)의 설치공(11)에 결합하여 배수구 몸체(20)에 나사결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손잡이(110), 센터지지부재(120), 스프링(130), 걸림지그(140)로 이루어진 치공구를 이용하여 욕조(10)에 고정된 배수관(150)을 손쉽게 분리 및 조립하므로 욕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욕실에서 욕조를 들어내지 않고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110: 회전손잡이 111: 회전봉
120: 센터지지부재 121: 지지몸체
122: 이동돌기 123: 이동안내공
124: 장착홈 130: 스프링
140: 걸림지그 141: 고정공
142: 걸림편 150: 배수관
151: 걸림돌기

Claims (4)

  1. T자형의 회전손잡이;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봉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수관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손잡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센터지지부재;
    상기 회전손잡이와 센터지지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센터지지부재를 탄력있게 가압하여 배수관에 밀착되게 하는 스프링;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봉 단부에 고정공이 결합되어 고정되며 양측에는 걸림편이 형성되는 걸림지그;
    욕조의 설치공에 결합되어 욕조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구 몸체에 고정되며 하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손잡이가 배수관에 비스듬히 결합되면서 센터지지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배수관에 안착되며 걸림지그의 걸림편이 배수관의 걸림돌기를 회전시켜 욕조로부터 배수관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센터지지부재는,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안착턱이 형성되는 지지몸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는 이동돌기;
    상기 지지몸체의 중앙에 관통되는 이동안내공;
    상기 이동안내공의 주변에 형성되어 스프링이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스프링의 압축시 스프링을 수용하면서 불규칙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손잡이를 배수관에 결합시, 센터지지부재가 회전봉에 안내되어 회전손잡이 상부로 이동되며, 결합이 완료되면 센터지지부재의 안착턱이 배수관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KR1020180171789A 2018-12-28 2018-12-28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KR10211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89A KR102116237B1 (ko) 2018-12-28 2018-12-28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789A KR102116237B1 (ko) 2018-12-28 2018-12-28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237B1 true KR102116237B1 (ko) 2020-05-28

Family

ID=7092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789A KR102116237B1 (ko) 2018-12-28 2018-12-28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2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378A (en) * 1984-06-08 1986-03-04 Mcdonald Gerald R Maintenance tool for inaccessible wheel valves
JPH051392U (ja) * 1991-06-28 1993-01-14 株式会社イナツクス 排水口金具の交換工具
KR20040086229A (ko) 2004-09-02 2004-10-08 신동화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101674159B1 (ko) 2014-12-03 2016-11-22 송태광 욕조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3378A (en) * 1984-06-08 1986-03-04 Mcdonald Gerald R Maintenance tool for inaccessible wheel valves
JPH051392U (ja) * 1991-06-28 1993-01-14 株式会社イナツクス 排水口金具の交換工具
KR20040086229A (ko) 2004-09-02 2004-10-08 신동화 욕조용 이물질 걸름구조
KR101674159B1 (ko) 2014-12-03 2016-11-22 송태광 욕조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1282C (en) Sink and drain for sink
EA008425B1 (ru) Пробка для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я
US8443469B2 (en) Toilet and toilet seat mounting system
US20030182721A1 (en) Sink stopper assembly
US3802001A (en) Basket assemblies for sink strainers
KR101791450B1 (ko) 배수구커버
KR102116237B1 (ko)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US10196806B2 (en) Floor sink strainer and assembly
KR101082393B1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US10273671B2 (en) Drain cover
EP1674620A2 (en) Liquid drain and waste device, for use in tubs and plumbing fixtures
KR102104939B1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101208089B1 (ko) 배수트랩의 결합구조
CN209163007U (zh) 一种排水管的防水地漏结构
KR102156256B1 (ko) 세면대용 팝업밸브
KR200341838Y1 (ko) 배수트랩
KR100767068B1 (ko) 세탁기용 급수호스 결합장치
KR20200044761A (ko) 탈착이 용이한 플로우 드레인 여과판
KR100758544B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200384834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102087067B1 (ko) 세면대용 팝업밸브
KR20120098276A (ko) 팝업식 세면대 개폐장치용 개폐밸브
JP2005273413A (ja) 排水栓
KR101468810B1 (ko) 세면대용 분리식 팝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