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256B1 - 세면대용 팝업밸브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팝업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256B1
KR102156256B1 KR1020190064424A KR20190064424A KR102156256B1 KR 102156256 B1 KR102156256 B1 KR 102156256B1 KR 1020190064424 A KR1020190064424 A KR 1020190064424A KR 20190064424 A KR20190064424 A KR 20190064424A KR 102156256 B1 KR102156256 B1 KR 10215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rain
delete delete
valve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옥
Original Assignee
김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옥 filed Critical 김기옥
Priority to KR102019006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나아가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면대용 팝업밸브는,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111)와,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112)로 이루어진 밸브체(110);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가 승강가능하게 지지결합되는 승강공간부(121)가 형성된 지지체(120);
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와 상기 지지체(1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나아가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면대용 팝업밸브{A POP-UP VALVE FOR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나아가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현한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77790호(2012.08.22.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세면기용 폽업장치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폽업장치가 내장되는 하수관이 이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서 세면대에 설치되는 기술이긴 하나,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설치 시 각종 도구에 의한 조임 동작이 요구됨에 따라 설치 소요 시간이 증가하는 등, 작업자 및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나아가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세면대용 팝업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면대용 팝업밸브는,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111)와,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112)로 이루어진 밸브체(110);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가 승강가능하게 지지결합되는 승강공간부(121)가 형성된 지지체(120);
로 구성되며,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와 상기 지지체(1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면대용 팝업밸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나아가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커버부 및 분리방지스토퍼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걸림부 및 대응걸림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삽입요홈 및 패킹밴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밴드걸림단턱)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고정수단(걸림구, 삽입공간부, 구걸림턱, 구절개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중계부 및 고정부에 대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커버부에 대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고정수단(걸림부 및 대응걸림부)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고정수단(삽입요홈 및 패킹밴드)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결합보스와 연결부에 대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밸브체(110)의 방향을 상방, 지지체(120)의 방향을 하방이라 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의한 세면대용 팝업밸브는(100),
세면대용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밸브체(110), 지지체(120) 및 상기 밸브체(110)와 지지체(120)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수단(130)으로 구성된다.
밸브체(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111)와,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는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밀폐하는 밀폐패킹(150)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11)의 하면에는 나사산(111b)을 갖는 체결홈(111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밀폐패킹(150)의 중앙에는 상하관통된 연결공(154)이 형성되며, 밀폐패킹(150)의 하부에는 밀폐패킹(150)을 커버부(111)의 하면에 밀착시키는 와셔(170)가 배치되고, 상기 로드(112)의 상단에는 상기 체결홈(111a)에 결합되도록 대응나사산(112b)을 갖는 체결부(11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112a)가 상기 와셔(170) 및 밀폐패킹(150)을 관통하여 체결홈(111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부(111)와 상기 로드(112)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패킹(150)은,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을 밀폐하는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기울기면(151)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패킹(150)은,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된 고정요홈(152a)을 갖는 바디부(152)와;
상기 바디부(152)의 고정요홈(152a)에 끼워지는 것으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구(11)의 내주면을 밀폐하는 밀폐부(153);
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드(112)는 필요에 따라 그 단면이 사각(四角) 형상 또는 원(圓)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5 및 도 6에서 처럼, 단면이 사각 형상일 경우에는 로드(112)의 외주면에 승하강을 위한 걸림부(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이 원 형상일 경우에는 외주면에 패킹밴드(135)가 끼워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언급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111)에는 그립부(16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160)는, 상기 커버부(111)의 상면에 손으로 잡는 손잡이(161)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부(160)는, 상기 커버부(111)의 상부 측면에 손으로 잡는 손잡이요홈(162)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160)를 이용하여 좀 더 용이하게 상기 밸브체(110)를 지지체(120)와 결합하거나, 밸브체(110)를 지지체(120)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지지체(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가 승강가능하게 지지결합되는 승강공간부(1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120)는 배수구(1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체(120)에 형성된 승강공간부(121)의 단면 형상은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가 삽입되어 대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위에서 언급한대로, 로드(112)의 단면이 사각 형상일 경우 승강공간부(121)의 단면도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로드(112)의 단면이 원 형상일 경우 승강공간부(121)의 단면도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 하단부에는 분리방지스토퍼(140)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112)가 지지체(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부연하면, 상기 분리방지스토퍼(140)는 상기 지지체(120)에 형성된 승강공간부(121)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12)의 하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끼움요홈(112c)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끼움요홈(112c)에 판 형상의 핀클립(112d)이 끼워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시한 것처럼, 상기 핀클립(112d)은 로드(112)의 단면이 사각 형상일 경우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로드(112)의 단면이 원 형상일 경우는 'C'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림작하다.
고정수단(13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와 상기 지지체(1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로드(112)와 지지체(120)가 상호 대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상기 고정수단(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12)의 하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131)와;
상기 지지체(1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112)의 걸림부(131)와 대응하는 대응걸림부(132)와;
상기 대응걸림부(132)의 양측 지지체(120)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대응걸림부(132)가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절개홀(133);
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밸브체(11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각 걸림부(131)의 중앙 꼭지점이 대응걸림부(132)의 중앙 꼭지점에 근접할수록 대응걸림부(132)가 형성된 지지체(120) 부위가 승강공간부(121)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각 걸림부(131)의 중앙 꼭지점이 대응걸림부(132)의 중앙 꼭지점을 지나가면 대응걸림부(132)가 형성된 지지체(120) 부위가 다시 최초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로드(112)가 승강공간부(121)에서 승강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절개홀(133)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대응걸림부(132)가 승강공간부(121)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로드(112)의 걸림부(131)가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승강공간부(121)에서 승강하게 된다.
둘째, 상기 고정수단(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12)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요홈(134)과;
상기 삽입요홈(134)에 끼워져 승강공간부(1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밴드(135);
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로드(112)가 상기 승강공간부(121)에서 용이하게 승강하되 상기 패킹밴드(135)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동작을 제한하고 고정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고정수단(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12)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요홈(134)과;
상기 삽입요홈(134)에 끼워져 승강공간부(1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밴드(135)와;
배수구(11)의 하측 내주면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밴드(135)가 밀착되어 승강 안내되며, 상측에 패킹밴드(135)가 걸리는 밴드걸림단턱(122a)이 구비된 가이드홀(122);
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로드(112)가 상기 승강공간부(121)에서 용이하게 승강하되 상기 밴드걸림단턱(122a)에 의해 로드(112)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넷째, 상기 고정수단(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12)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로드(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구형상의 걸림구(136);
상기 지지체(120)의 승강공간부(121)의 하측 내주면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구(13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공간부(123);
상기 삽입공간부(123)의 하단부 내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구걸림턱(123a);
상기 삽입공간부(123)가 형성된 지지체(120)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지지체(120)의 하단부가 탄성적으로 확개축소되도록 유도하는 구절개홀(123b);
로 구성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고정수단(13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지지체(1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112)의 표면에 밀착되는 대응걸림부(132)와;
상기 대응걸림부(132)의 양측 지지체(120)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대응걸림부(132)가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절개홀(133);
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승강공간부(12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대응걸림부(132) 및 절개홀(133)이 구비된 중계부(120a)와;
배수구(1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중계부(120a)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보스부(124) 및 상기 보스부(124)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에 지지결합되는 둘 이상의 연결부(125)로 이루어진 고정부(120b);
로 이루어져, 상기 중계부(120a)와 고정부(120b)가 상호 결합 및 분리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부(120a)의 하부 외주면에 둘 이상의 결합돌기(1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124)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계부(120a)의 결합돌기(12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12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계부(120a)와 보스부(124)가 상호 고정 및 분리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둘 이상의 연결부(125) 사이에는 배수관(10)의 배수구(11)를 지나는 물이 통과하도록 배수유도홀(125a)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물이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의한 세면대용 팝업밸브는(400),
세면대용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밸브체(410), 로드(420) 및 밸브체(410)와 로드(420)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수단(430)으로 구성된다.
밸브체(41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411)와, 상기 커버부(4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고 내부에 승강공간부(412a)가 형성된 지지대(4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11)의 하부에는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밀폐하는 밀폐패킹(4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부연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411)의 하면에는 나사산(411b)을 갖는 체결홈(411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밀폐패킹(150)의 중앙에는 상하관통된 연결공(454)이 형성되며, 밀폐패킹(450)의 하부에는 밀폐패킹(450)을 커버부(411)의 하면에 밀착시키는 와셔(470)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412)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부(411)의 체결홈(411a)에 결합되도록 대응나사산(412c)을 갖는 체결부(412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412b)가 상기 와셔(470) 및 밀폐패킹(450)을 관통하여 체결홈(411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부(411)와 상기 지지대(412)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밀폐패킹(450)은,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을 밀폐하는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기울기면(451)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밀폐패킹(15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411)의 하부에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된 고정요홈(452a)을 갖는 바디부(452)와;
상기 바디부(452)의 고정요홈(452a)에 끼워지는 것으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구(11)의 내주면을 밀폐하는 밀폐부(453);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411)에는 그립부(46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데,
도 13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460)는, 상기 커버부(411)의 상면에 손으로 잡는 손잡이(461)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상기 그립부(460)는, 상기 커버부(411)의 상부 측면에 손으로 잡는 손잡이요홈(462)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460)를 이용하여 좀 더 용이하게 상기 밸브체(410)를 지지대(420)와 결합하거나, 밸브체(410)를 지지체(420)로 부터 분리할 수 있다.
로드(420)는,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밸브체(410)의 지지대(412)에 승강가능하게 지지결합된다.
이때, 로드(42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밸브체(410)의 지지대(412) 승강공간부(412a)에 삽입되어 대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공간부(412a)의 단면이 사각 형상일 경우, 로드(420)의 단면도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승강공간부(412a)의 단면이 원 형상일 경우, 로드(420)의 단면도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드(420)의 하단부는 상기 배수구(11)의 내부에 고정되는데,
로드(420)의 단면이 사각 형상인 경우,
도 11 및 도 1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20)의 하부에는 결합볼트(428)가 형성되고, 배수구(11)에는 중앙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공(424a)을 갖는 결합보스(424)가 둘 이상의 연결부(425)에 의해 배수구(11)의 내주면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420)의 결합볼트(428)가 상기 결합보스(424)의 결합공(424a)에 체결됨으로써, 로드(420)가 배수구(11)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둘 이상의 연결부(425) 사이에는 배수관(10)의 배수구(11)를 지나는 물이 통과하도록 배수유도홀(425a)이 형성되어, 결합보스(424)가 상기 배수구(1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물이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로드(420)의 단면이 원 형상인 경우,
도 16의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1)에는 상기 로드(420)가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결합공(424a)이 내부에 구비된 결합보스(424)와;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 내주면에 상기 결합보스(424)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둘 이상의 연결부(42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425)는 배수구(1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로드(420)의 상부 외주면에는 둘 이상의 결합돌기(4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보스(424)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드(420)의 결합돌기(42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427)이 형성되어, 상기 로드(420)와 결합보스(424)가 상호 고정 및 분리 되도록 함으로써, 로드(420)의 하단부가 배수구(11)의 내부에 지지결합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언급한대로 상기 둘 이상의 연결부(425) 사이에는 배수관(10)의 배수구(11)를 지나는 물이 통과하도록 배수유도홀(425a)이 형성되어, 결합보스(424)가 상기 배수구(11)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물이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고정수단(430)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410)의 지지대(412)와 상기 로드(4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로드(420)와 지지대(412)가 상호 대응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상기 고정수단(4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420)의 상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431)와;
상기 지지대(412)의 승강공간부(412a)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420)의 걸림부(431)와 대응하는 대응걸림부(432)와;
상기 대응걸림부(432)의 양측 지지대(412)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대응걸림부(432)가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절개홀(433);
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밸브체(41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로드(420)에 형성된 각 걸림부(431)의 중앙 꼭지점이 대응걸림부(432)의 중앙 꼭지점에 근접할수록 대응걸림부(432)가 형성된 지지대(412) 부위가 승강공간부(412a)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각 걸림부(431)의 중앙 꼭지점이 대응걸림부(432)의 중앙 꼭지점을 지나가면 대응걸림부(432)가 형성된 지지대(412) 부위가 다시 최초위치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로드(420)가 승강공간부(412a)에서 승강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절개홀(433)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대응걸림부(432)가 승강공간부(412a)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로드(420)의 걸림부(431)가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승강공간부(412a)에서 승강하게 된다.
둘째, 상기 고정수단(43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420)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요홈(434)과;
상기 삽입요홈(434)에 끼워져 지지대(412)의 승강공간부(412a)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밴드(435);
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로드(420)가 상기 승강공간부(412a)에서 용이하게 승강하되 상기 패킹밴드(435)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승강동작을 제한하고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나아가 조작 및 사용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세면대용 팝업밸브"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제1실시예>
10 ; 배수관
11 ; 배수구
100 ; 세면대용 팝업밸브
110 ; 밸브체
111 ; 커버부
111a ; 체결홈
111b ; 나사산
112 ; 로드
112a ; 체결부
112b ; 대응나사산
112c ; 끼움요홈
112d ; 핀클립
120 ; 지지체
120a ; 중계부
120b ; 고정부
121 ; 승강공간부
122 ; 가이드홀
122a ; 걸림단턱
123 ; 삽입공간부
123a ; 구걸림턱
123b ; 구절개홀
124 ; 보스부
125 ; 연결부
125a ; 배수유도홀
126 ; 결합돌기
127 ; 결합홈
130 ; 고정수단
131 ; 걸림부
132 ; 대응걸림부
133 ; 절개홀
134 ; 삽입요홈
135 ; 패킹밴드
136 ; 걸림구
140 ; 분리방지스토퍼
150 ; 밀폐패킹
151 ; 기울기면
152 ; 바디부
152a ; 고정요홈
153 ; 밀폐부
154 ; 연결공
160 ; 그립부
161 ; 손잡이
162 ; 손잡이요홈
170 ; 와셔
< 제2실시예>
10 ; 배수관
11 ; 배수구
400 ; 세면대용 팝업밸브
410 ; 밸브체
411 ; 커버부
411a ; 체결홈
411b ; 나사산
412 ; 지지대
412a ; 승강공간부
412b ; 체결부
412c ; 대응나사산
420 ; 로드
424 ; 결합보스
424a ; 결합공
425 ; 연결부
425a ; 배수유도홀
426 ; 결합돌기
427 ; 결합홈
428 ; 결합볼트
430 ; 고정수단
431 ; 걸림부
432 ; 대응걸림부
433 ; 절개홀
434 ; 삽입요홈
435 ; 패킹밴드
450 ; 밀폐패킹
451 ; 기울기면
452 ; 바디부
452a ; 고정요홈
453 ; 밀폐부
454 ; 연결공
460 ; 그립부
461 ; 손잡이
462 ; 손잡이요홈
470 ; 와셔

Claims (28)

  1.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111)와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112)로 이루어진 밸브체(110);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가 승강가능하게 지지결합되는 승강공간부(121)가 형성된 지지체(120);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와 상기 지지체(1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이 구비되어 구성된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로드(112)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요홈(134)과;
    상기 삽입요홈(134)에 끼워져 승강공간부(1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밴드(13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팝업밸브.
  2.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111)와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112)로 이루어진 밸브체(110);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가 승강가능하게 지지결합되는 승강공간부(121)가 형성된 지지체(120);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와 상기 지지체(1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이 구비되어 구성된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로드(112)의 하단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요홈(134)과;
    상기 삽입요홈(134)에 끼워져 승강공간부(12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밴드(135)와;
    배수구(11)의 하측 내주면 둘레에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패킹밴드(135)가 밀착되어 승강 안내되며 상측에 패킹밴드(135)가 걸리는 밴드걸림단턱(122a)이 구비된 가이드홀(12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팝업밸브.
  3.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111)와 상기 커버부(1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로드(112)로 이루어진 밸브체(110);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가 승강가능하게 지지결합되는 승강공간부(121)가 형성된 지지체(120);
    상기 밸브체(110)의 로드(112)와 상기 지지체(1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130);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130)은
    상기 로드(112)의 하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131)와;
    상기 지지체(1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112)의 걸림부(131)와 대응하는 대응걸림부(132)와;
    상기 대응걸림부(132)의 양측 지지체(120)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대응걸림부(132)가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절개홀(133);로 구성된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20)는,
    내부에 승강공간부(121)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대응걸림부(132) 및 절개홀(133)이 구비된 중계부(120a)와;
    상기 중계부(120a)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보스부(124) 및 상기 보스부(124)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구(11)의 내주면에 지지결합되는 둘 이상의 연결부(125)로 이루어진 고정부(120b);
    로 이루어져, 상기 중계부(120a)와 고정부(120b)가 상호 결합 및 분리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팝업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120a)의 하부 외주면에 둘 이상의 결합돌기(1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124)의 내주면에는 상기 중계부(120a)의 결합돌기(12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12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계부(120a)와 보스부(124)가 상호 고정 및 분리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팝업밸브.
  5.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411)와 상기 커버부(4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고 내부에 승강공간부(412a)가 형성된 지지대(412)로 이루어진 밸브체(410);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체(410)의 지지대(412) 승강공간부(412a)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로드(420);
    상기 밸브체(410)와 상기 로드(4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30)이 구비되어 구성된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30)은,
    상기 로드(420)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삽입요홈(434)과;
    상기 삽입요홈(434)에 끼워져 지지대(412)의 승강공간부(412a) 내주면에 밀착되는 패킹밴드(43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팝업밸브.
  6. 배수관(10)의 배수구(11) 입구를 개폐하는 커버부(411)와 상기 커버부(411)의 하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고 내부에 승강공간부(412a)가 형성된 지지대(412)로 이루어진 밸브체(410);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에 지지설치 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체(410)의 지지대(412) 승강공간부(412a)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로드(420);
    상기 로드(420)가 삽입되어 고정결합되는 결합공(424a)이 내부에 구비된 결합보스(424);
    상기 배수관(10)의 배수구(11) 내주면에 상기 결합보스(424)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둘 이상의 연결부(425);
    상기 밸브체(410)와 상기 로드(420)가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430)이 구비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정수단(430)은,
    상기 로드(420)의 상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부(431)와;
    상기 지지대(412)의 승강공간부(412a)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드(420)의 걸림부(431)와 대응하는 대응걸림부(432)와;
    상기 대응걸림부(432)의 양측 지지대(412)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되어 대응걸림부(432)가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절개홀(433);로 구성된 세면대용 팝업밸브에 있어서,
    상기 로드(420)의 하부 외주면에는 둘 이상의 결합돌기(42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보스(424)의 내주면에는 상기 로드(420)의 결합돌기(426)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홈(42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로드(420)와 결합보스(424)가 상호 고정 및 분리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팝업밸브.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90064424A 2019-05-31 2019-05-31 세면대용 팝업밸브 KR10215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24A KR102156256B1 (ko) 2019-05-31 2019-05-31 세면대용 팝업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424A KR102156256B1 (ko) 2019-05-31 2019-05-31 세면대용 팝업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256B1 true KR102156256B1 (ko) 2020-09-15

Family

ID=7246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424A KR102156256B1 (ko) 2019-05-31 2019-05-31 세면대용 팝업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2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62U (ja) * 1993-10-05 1995-04-25 育實 太田 排水栓装置
KR19990038498U (ko) * 1998-03-26 1999-10-25 이영환 세면대 배수구의 개폐장치
KR20000017843A (ko) * 1999-12-21 2000-04-06 이준우 배수 차단 장치
KR20120044706A (ko) * 2010-10-28 2012-05-08 장기철 배수구 개폐장치
KR101696145B1 (ko) * 2016-05-09 2017-01-23 김도균 장식회전부가 마련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101922083B1 (ko) * 2018-06-20 2019-02-20 조찬동 원터치식 세면대용 팝업 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62U (ja) * 1993-10-05 1995-04-25 育實 太田 排水栓装置
KR19990038498U (ko) * 1998-03-26 1999-10-25 이영환 세면대 배수구의 개폐장치
KR20000017843A (ko) * 1999-12-21 2000-04-06 이준우 배수 차단 장치
KR20120044706A (ko) * 2010-10-28 2012-05-08 장기철 배수구 개폐장치
KR101696145B1 (ko) * 2016-05-09 2017-01-23 김도균 장식회전부가 마련된 세면대용 배수구 개폐장치
KR101922083B1 (ko) * 2018-06-20 2019-02-20 조찬동 원터치식 세면대용 팝업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2586B1 (en) Mounting assembly for plumbing control fitting
EP1434917B1 (en) Drain assembly with installation aid stopper guide
US11162251B2 (en) Bathtub drain stopper
US20050050623A1 (en) Water closet flange hub assembly
KR200453608Y1 (ko) 너트 일체형 배수관
KR102156256B1 (ko) 세면대용 팝업밸브
US10196806B2 (en) Floor sink strainer and assembly
KR20120000403U (ko) 상하 길이조절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배수관 어셈블리
US6845528B2 (en) Test plug assembly for a bath tub
US11041487B2 (en) Wastewater sump assembly
GB2426446A (en) Basin waste
US20100138985A1 (en) Offset grid drain and drain closure mechanism
KR200471977Y1 (ko) 세면대 배수구용 원터치 개폐장치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EP1826323A2 (en) Drain and overflow device
CN111287270B (zh) 排水塞连动装置
KR101807458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체결구조
KR200465364Y1 (ko) 배수관용 배수 트랩의 조립체
KR102087067B1 (ko) 세면대용 팝업밸브
JP6225300B1 (ja) 排水栓装置
KR101713125B1 (ko) 세면기용 폽업장치
KR200480200Y1 (ko) 세면기의 팝업 밸브용 배수관
KR102116237B1 (ko) 치공구를 이용한 욕실 배수구 분리구조
KR101644904B1 (ko) 밀폐 구조 개선형 너트를 갖는 팝업밸브
US11066820B1 (en) Universal non-convex press type 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